KR0172037B1 -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2037B1
KR0172037B1 KR1019950037415A KR19950037415A KR0172037B1 KR 0172037 B1 KR0172037 B1 KR 0172037B1 KR 1019950037415 A KR1019950037415 A KR 1019950037415A KR 19950037415 A KR19950037415 A KR 19950037415A KR 0172037 B1 KR0172037 B1 KR 0172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portion
fastening
wall
grip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577A (ko
Inventor
김재수
고영우
윤기영
이혜련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101995003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2037B1/ko
Publication of KR970021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2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단부가 하향으로 예각지게 꺽여져서 형성되는 상측그립부(110)와 상기 상측그립부의 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측체결부(120)로 이루어지는 상부 그립띠(100)와, 선단부가 상향으로 예각지게 꺾여져서 형성되는 하측그립부(210)와 상기 하측그립부의 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측체결부(220)로 이루어지는 하부 그립띠(200)와, 상기 상측체결부와 하측체결부를 체결하면서 상측그립부(110)와 하측그립부(210)를 조이는 체결볼트(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로서; 외벽판재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하여서, 고층건축물의 상층부에 작용하는 커다란 풍압에도 외벽판재가 건축구조물로부터 이탈될 위험성을 제거하는 작용효과와, 비교적 안전한 위치에서 외벽판재의 고정구 부착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아니라 줄눈부분을 자유롭게 처리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
제1도는 종래 석재용 고정철물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 석재용 고정철물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구성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표현되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특히 돌출지지턱과 지지요홈 및 상측요철부와 하측요철부의 기술구성과 그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6(a)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인 상부그립띠와 하부그립띠 및 체결볼트와 조절볼트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6(b)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조절볼트의 기능을 보여주는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촉부 20 : 연결띠부
40 : 외벽판재 40a,40b : 하부 및 상부연결홈
50 : 건축구조물 100 : 상부그립띠
110 : 상측그립부 112 : 상측요철부
120 : 상측체결부 122 : 지지요홈
200 : 하부그립띠 210 : 하측그립부
212 : 하측요철부 220 : 하측체결부
222 : 돌출지지턱 300 : 체결볼트
400 : 걸침띠 500 : 조절볼트
510 : 조절볼트구멍 600 : 하부요홈
700 : 지지구 710 : 걸침대부
800 : 외벽판재 810a : 상측그립홈
810b : 하측그립홈 900 : 외벽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외벽마감재가 되는 카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튼월용 외벽판재를 건축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서 외벽판재가 공중에서 낙하되는 위험을 방지하는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고층건축물의 커튼월을 구성하는 외벽판재는 외관상의 이유로 석재나 인조석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전통적으로 장식용석재를 조적하여 본 구조물에 연결할 때에는 석재용 고정철물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관계로 고층건축물의 커튼월용 외벽판재들도 종래의 전통적인 석재용 고정철물을 사용한 전통적인 방식으로 건축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이 통례이다.
종래의 석재용 고정철물은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수직으로 놓여지는 연결촉부(10)와, 상기 연결촉부(10)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어있는 판체형의 연결띠부(20)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석재용 고정철물은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연결띠부(10)와 맞닿는 상부면에는 하부연결홈(40a)이 하부면에는 상부연결홈(40b)이 파여지도록 외벽판재(40)를 가공하여, 하부 및 상부연결홈(40a)(40b)들이 상호간에 접하도록 외벽판재(40)들을 적층하면서 접하는 하부 및 상부연결홈(41)(42)들에 연결촉부(10)를 매설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촉부(10)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어있는 판체형의 연결띠부(20)를 건축구조물(50)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석재용 고정철물은 첫째, 외벽판재들의 하부 및 상부연결홈에 단순히 끼워져서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외벽판재들을 건축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못하여서, 고층건축물의 상층부에 작용하는 커다란 풍압으로 외벽판재가 건축구조물로부터 이탈될 위험성의 상존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쌔,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외벽판재들의 적층작업과 외벽판재들을 고정철물로 고정시키는 외벽판재들의 고정작업과 그 고정철물을 건축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철물의 고정작업을 작업환경이 극히 열악한 고층에서 동시에 수행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커튼월의 정밀시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셋째, 외벽판재의 고정위치를 필요에 따라서 조절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전체적인 커튼월의 정밀시공이 더욱 어려워져서 전반적인 공사진행이 지연되어서 공사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넷째, 외벽판재의 줄눈부분에 고정철물이 매설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필요에 따라서 줄눈부분을 자유롭게 시공하는 데에 많은 제한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외벽판재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하여서, 고층 건축물의 상층부에 작용하는 커다란 풍압에도 외벽판재가 건축구조물로부터 이탈될 위험성을 제고하는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둘째, 외벽판재들에 고정구를 부착고정시키는 작업이 비교적 안전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서, 커튼월의 시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셋째, 외벽판재의 고정위치가 필요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서, 전체적인 커튼월의 정밀시공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넷째, 외벽판재의 배면부가 고정위치가 되도록 하여서, 필요에 따라서 줄눈부분을 자유롭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는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선단부가 하향으로 예각지게 꺾여져서 형성되는 상측그립부(110)와 상기 상측그립부의 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측체결부(120)로 이루어지는 상부그립띠(100)와, 선단부가 상향으로 예각지게 꺾여져서 형성되는 하측그립부(210)와 상기 하측그립부의 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측체결부(220)로 이루어지는 하부 그립띠(200)와, 상기 상측체결부와 하측체결부를 체결하면서 상측그립부(110)와 하측그립부(210)를 조이는 체결볼트(300)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고정구는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튼월용 외벽판재(800)의 배면부의 적절한 위치에 상측그립부(110)와 하측그립부(210)가 끼워지도록 하향으로 예각지게 파여지는 상측그립홈(810a)과 상향으로 예각지게 꺾여지는 하측그립홈(810b)을 형성시키고, 상부그립띠(100)의 상측그립부(110)를 외벽판재의 상측그립홈(810a)에 끼우고 하부그립띠(200)의 하측그립부(210)를 외벽판재의 하측그립홈(810b)에 끼운 후에, 상부그립띠(100)의 상측체결부(120)와 하측그립띠의 하측체결부(220)를 체결볼트(300)로 체결하여 상측그립부(110)와 하측그립부(210)가 외벽판재의 상측그립홈(810a)의 하면부과 하측그립홈(810b)의 상면부를 조이도록 하여서, 외벽판재의 배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사용된다.
이와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고정구는 첫째, 외벽판재의 배면부에 상측 및 하측그립홈(810a)(810b)의 하면부와 상면부를 상측 및 하측 그립부(110)(210)들로 견고하게 조이는 구조로 외벽판재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에 비하여 외벽판재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하여서, 고층건축물의 상층부에 작용하는 커다란 풍압에도 외벽판재가 건축구조물로부터 이탈될 위험성을 제거하는 작용효과를 가지며; 둘째, 외벽판재에 부착고정되는 위치가 상하 마구리가 아닌 배면부가 되기때문에, 외벽판재들의 적층작업과 상관없이 고정구를 외벽판재에 부착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비교적 안전한 위치에서 외벽판재의 고정구 부착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뿐아니라, 줄눈부분의 시공에 고정구가 아무런 제한을 가하지 않게 되므로, 줄눈부분을 자유롭게 처리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5도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선단부가 하향으로 예각지게 꺾여져서 형성되는 상측그립부(110)와 상기 상측그립부의 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측체결부(120)로 이루어지는 상부그립띠(100)와, 선단부가 상향으로 예각지게 꺾여져서 형성되는 하측그립부(210)와 상기 하측그립부의 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측체결부(220)로 이루어지는 하부 그립띠(220)와, 상기 상측체결부와 하측체결부를 체결하면서 상측그립부(110)와 하측그립부(210)를 조이는 체결볼트(300)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구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위의 기본적인 기술적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용방법과 기본적인 작용효과는 위에서 이미 설명되어 있으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위에서 이미 설명된 기본적인 기술적 구성외에 부가적인 기술사상을 구현하는 부가적인 기술구성들이 추가되어 있다. 그 부가적이 기술구성과 작용효과를 하나하나 살펴본다.
첫째는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측체결부(220)의 후단부에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는 돌출지지턱(222)과, 상부그립띠(100)의 후단부에는 상기 돌출지지턱(222)에 맞닿는 형상으로 파여지는 지지요홈(122)의 기술구성이다.
이러한 돌출지지턱(222)과 지지요홈(122)의 기술구성은 상측체결부(120)와 하측체결부(220)를 체결볼트(300)로 체결할 때에 지지축의 역할을 수행하여 상측그립부(110)와 하측그립부(210)들이 외벽판재(800)에 형성되는 상측 및 하측그립홈(810a)(810b)의 하면부와 상면부를 조여서 외벽판재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둘째는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그립부(110)의 하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측요철부(112)와, 하측그립부(210)의 상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하측요철부(212)의 기술구성이다.
이러한 상측요철부(112)와 하측요철부(212)의 기술구성은 상측체결부(120)와 하측체결부(220)를 체결볼트(300)로 체결하여서 상측 및 하측그립부(110)(210)들이 외벽판재(800)에 형성되는 상측 및 하측그립홈(810a)(810b)의 하면부와 상면부를 조일 때에, 맞닿는 부분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켜서 외벽판재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셋째는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측체결부(220)의 후단부에서 수직하게 아래로 연장되는 걸침띠(400)의 기술구성이다.
이러한 걸침띠(400)는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측그립부(210)의 하측체결부(220)와 더불어서 본 발명의 고정구에 찬넬형의 하부요홈(600)을 형성시켜 준다. 이러한 찬넬형의 하부요홈(600)은 제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건축구조물에 고정되는 지지구(700)의 걸침대부(710)에 걸쳐져서 지지되기에 적합하도록 하여 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구(700)의 걸침대부(710)에 걸쳐져서 지지된 외벽판재(800)의 지지위치를 수평방향으로 간편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준다. 즉, 걸침띠(400)의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고정구가 고정되는 외벽판재를 건축구조물에 지지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줄 뿐만아니라, 지지위치를 수평방향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넷째는 제6(a)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체결부(120)(220)들을 체결하는 한 쌍의 체결볼트(300)들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상측 및 하측체결부(120)(220)들을 관통하여 뚫려지는 조절볼트구멍(510)과, 상기 조절볼트구멍(510)에 나사결합되어서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볼트구멍(510)안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조절볼트(500)의 기술구성이다.
이러한 조절볼트(500)는 제6(b)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머리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본 발명의 고정구에 형성되는 조절볼트구멍(510)에 끼워진 상태로 외벽판재의 배면부에 고정시킨 본 발명의 고정구를 건축구조물에 고정되는 지지구(700)의 걸침대부(710)에 걸쳐져서 지지되도록 하여서 사용된다.
이와같이 사용되는 조절볼트(500)를 조절볼트구멍(510)내에서 회전시키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서 조절볼트(500)가 조절볼트구멍(510)내에서 상하로 움직여진다. 조절볼트(500)가 하강하면, 제6b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절볼트(500)의 하단부는 조절볼트구멍(510)을 관통하여 걸침대부(710)의 상부면에 맞닿아서 조절볼트구멍(510)을 관통하여 돌출하는 높이만큼 본 발명의 고정구가 위로 상승하며, 그에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정구가 고정된 외벽판재(800)도 위로 상승한다. 또, 조절볼트구멍(510)을 관통하여 하강된 조절볼트(500)를 상승시키면, 본 발명의 고정구가 그만큼 아래로 하강하며, 그에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정구가 고정된 외벽판재(800)도 아래로 하강된다. 즉, 조절볼트구멍(510)과 조절볼트의 기술구성은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벽판재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안전한 위치에서 외벽판재에 고정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주며, 줄눈부분을 자유롭게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기본적인 작용효과들외에, 외벽판재를 건축구조물(900)에 지지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며, 외벽판재의 고정위치를 상하좌우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서, 카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작업을 더욱 간편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부수적인 작용효과도 함께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하는 다른 실시예들이 동종업계에서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Claims (5)

  1. 선단부가 하향으로 예각지게 꺾여져서 형성되는 상측그립부(110)와 상기 상측그립부의 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측체결부(120)로 이루어지는 상부그립띠(100)와, 선단부가 상향으로 예각지게 꺾여져서 형성되는 하측그립부(210)와 상기 하측그립부의 후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측체결부(220)로 이루어지는 하부 그립띠(200)와, 상기 상측체결부와 하측체결부를 체결하면서 상측그립부(110)와 하측그립부(210)를 조이는 체결볼트(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체결부(220)의 후단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는 돌출지지턱(222)이, 상부그립띠(100)의 후단부에는 상기 돌출지지턱(222)에 맞닿는 형상으로 파여지는 지지요홈(1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그립부(110)의 하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측요철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그립부(210)의 상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하측요철부(2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체결부(220)의 후단부에는 수직하게 아래로 연장되는 걸침띠(40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체결부(120)(220)들을 체결하는 체결볼트(300)들의 중간부에는 상측 및 하측체결부(120)(220)들을 관통하여 조절볼트구멍(510)이 뚫려지며, 상기 조절볼트구멍(510)안에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되는 조절볼트(500)가 볼트결합으로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
KR1019950037415A 1995-10-26 1995-10-26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 KR0172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415A KR0172037B1 (ko) 1995-10-26 1995-10-26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415A KR0172037B1 (ko) 1995-10-26 1995-10-26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577A KR970021577A (ko) 1997-05-28
KR0172037B1 true KR0172037B1 (ko) 1999-02-18

Family

ID=1943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415A KR0172037B1 (ko) 1995-10-26 1995-10-26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20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933B1 (ko) * 2007-02-08 2008-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루버
CN108374537A (zh) * 2018-02-08 2018-08-07 绅坊建设有限公司 一种墙地面装饰模块
KR102327981B1 (ko) * 2021-01-12 2021-11-17 주식회사 유니퍼 건축물 외장재용 부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4666A (zh) * 2019-07-30 2019-11-08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墙体装饰板组件及墙体装饰板安装方法
KR102296588B1 (ko) 2019-12-17 2021-09-02 주식회사 포스코 내충돌 커튼월 및, 커튼월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933B1 (ko) * 2007-02-08 2008-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루버
CN108374537A (zh) * 2018-02-08 2018-08-07 绅坊建设有限公司 一种墙地面装饰模块
CN108374537B (zh) * 2018-02-08 2020-04-14 绅坊建设有限公司 一种墙地面装饰模块
KR102327981B1 (ko) * 2021-01-12 2021-11-17 주식회사 유니퍼 건축물 외장재용 부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577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5690A (en) Tile mounting system
US5848512A (en) Structural member for wall assembly
US5205690A (en) Concrete insert for attaching utility hangers to a structure
US4057947A (en) Joining and fixing structure for ceiling boards and panelling
KR0172037B1 (ko)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
US5727355A (en) Stone facing section anchor mounting system
KR100862071B1 (ko)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0134600Y1 (ko) 건축용 다용도 브라켓
KR200145770Y1 (ko) 실내의 천정판넬 부착장치
JPH083259B2 (ja) 石材等構造物の連結装置
JP6332355B2 (ja) 腕木の軒梁への取付構造及び腕木の軒梁への取付金具
KR20090054515A (ko) 안전폭목
JP3309127B2 (ja) 足場揺れ止め金物
CN220504274U (zh) 一种大跨度曲面单层索网幕墙的连接结构
JP3445355B2 (ja) 化粧柱カバーの取付構造
JP4215125B2 (ja) 支柱固定構造
JPH06299641A (ja) 飾り天井
KR200174952Y1 (ko) 경량 철골 조립구조
JPS6257774B2 (ko)
JPH0416839Y2 (ko)
KR200140850Y1 (ko) 걸림수단이 부설된 고정구
JP2002235396A (ja) 垂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H07580Y2 (ja) 手すり
JPS5935702Y2 (ja) 手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