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624Y1 - 석재판넬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석재판넬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624Y1
KR200205624Y1 KR2019980016255U KR19980016255U KR200205624Y1 KR 200205624 Y1 KR200205624 Y1 KR 200205624Y1 KR 2019980016255 U KR2019980016255 U KR 2019980016255U KR 19980016255 U KR19980016255 U KR 19980016255U KR 200205624 Y1 KR200205624 Y1 KR 200205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anel
fixing
locking
long hole
attach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439U (ko
Inventor
강덕수
Original Assignee
강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덕수 filed Critical 강덕수
Priority to KR2019980016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62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4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6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석재판넬을 건물 외벽과 같은 곳에서 수직방향으로 부착되게 고정시킨 후에 상기 석재판넬이 그 하중에 의해서 처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석재판넬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석재판넬을 건축콘크리트물에 지지하는 모체가 되고 상기 건축콘크리트물에 고정되는 수직편 및 상기 수직편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수평편을 가지며, 상기 수직편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장공을구비하고,상기장공상,하부중어느한지점에유동방지를위한적어도하나이상의걸림부재를가진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를 건축콘크리트물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축 및 상기 나사축에 체결되는 와셔와 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부재의 수평편에 고정되고 석재판넬이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수평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와셔와 너트를 가지며; 상기 석재판넬을 고정시키기 위해 그 상,하면에 형성된 핀결합공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한 받침부재의 수직편 외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나사축이 관통하는 장공을 가지며 상기 장공은 상기 수직편에 있는 장공과 대각선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단부중 어느 일단부에 이동방지를 위해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한 걸림부재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갖는 처짐이동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석재부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석재판넬 부착장치
본 고안은 석재(石材)판넬을 건물 외벽과 같은 곳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석재판넬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판넬을 부착되게 고정시킨 후에 상기 석재판넬이 그 하중에 의해서 처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석재판넬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판넬(대리석판넬)은 주로 건축물의 외벽 또는 실내 벽면 등에 부착되고 있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즉, 석재판넬은 주로 수직방향으로 부착되며, 수십장에서 수백장에 이르기까지의 여러장의 석재판넬이 부착된다.
이러한 석재판넬은 그 크기나 두께가 다양하지만, 석재판넬의 특성상 크기에 비해서 매우 무거운 중량이 나간다. 따라서, 안전한 부착을 위해서 철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석재판넬 부착장치에 의해서 벽면에 고정되도록 부착된다.
도 1 및 도 2와 도 3은 선행기술로 개시된 석재판넬 부착장치(10)를 보여 준다. 이 장치는 벽면을 이루는 콘크리트물(1) 내부에 고정되는 나사축(11)을 구비한다. 상기 나사축(11) 외부에는 그 나사축(11)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관체(12)가 끼워져서 콘트리트물(1) 내부에 고정된다.
나사축(11)은 석재판넬 부착장치(10)의 전체 하중을 포함하여 여기에 고정되는 석재판넬(2)(2')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나사축(11)에는 수직편(13a)과 수평편(13b)이 일체로 되어 "ㄴ"자형을 이루는 받침부재(13)가 고정된다. 이 받침부재(13)는 그것의 수직편(13a)이 나사축(11)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을 위하여 수직편(13a)은 중간에 수직방향으로 길다란 장공(14)이 뚫리게 되며, 이 장공(14)으로 나사축(11)이 관통되게 조립된다. 다음 나사축(11)에는 와셔(15)가 끼워지고 너트(16)로 체결됨으로써 나사축(11)에 받침부재(13)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에 있어 상기 장공(14)은 나사축(11)에 대하여 받침부재(13)가 위,아래방향으로 움직일수 있게 함으로써 적절하고 정확한 위치에 받침부재(13)가 너트(16)의 체결력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받침부재(13)의 수평편(13b)에는 구멍(17)이 뚫리도록 형성된다. 이 구멍(17)으로는 고정볼트(18)가 밑에서 위쪽으로 끼워지고, 이 고정볼트(18)에는 고정부재(19)가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고정부재(19)는 상기와 같은 조립을 위해서 고정볼트(18)가 끼워지는 장공(20)이 뚫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20)은 수평편(13b)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움직일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움직임은 정확한 위치에 석재판넬(2)(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고정부재(19)의 위치가 조절된 후 고정볼트(18)에는 와셔(21)가 끼워지고 이어서 너트(22)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9)는 수평편(13b)에 완전히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19)의 선단에는 핀공(23)이 뚫리고, 이 핀공(23)에는 고정핀(24)이 끼워진다. 또한, 고정핀(24)은 석재(2)(2')의 상,하부면에 각각 뚫리게 되는 핀결합공(3)(3')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석재판넬(2)(2')이 고정되는 것이다.
부언하면, 먼저 고정부재(19)의 하측에 있는 석재판넬(2)의 핀결합공(3)으로 고정핀(24)이 끼워진다. 다음 그 위쪽으로 또 다른 석재판넬(2')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그것의 하부면에 형성된 핀결합공(3')에 고정핀(24)이 끼워지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선행기술의 단점을 설명한다. 석재판넬(2)(2')은 그 크기나 중량에 대해서는 다양하지만 보통 사용되고 있는 것은 1장의 석재판넬의 중량이 50-70㎏에 달함으로써 하나의 건축부재로는 실로 엄청난 하중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나사축(11)을 포함하여 받침부재(13) 및 고정볼트(18)와 고정부재(19)는 석재판넬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수 있는 안전율까지 고려하여 그 두께가 설정되어 제조된다. 그러므로 석재판넬부착장치(10)는 그 강도에 대해서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석재판넬 부착장치(10)에 있어서는 구조적인 결점이 있다. 즉, 받침부재(13)는 나사축(11)과 너트(16)에 의해서 콘크리트물(1)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3)의 수직편(13b)에는 장공(14)이 뚫려져 있다. 이 장공(14)은 콘크리트물(1)에 대해서 받침부재(13)의 위,아래 방향의 위치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로 되는 장공(14)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석재판넬부착장치(10)는 상기한 장공(14)이 있음으로써 비롯된다.
석재판넬(2)(2')의 완전한 고정후에 그 석재판넬(2)(2')의 하중은 고정부재(19)를 포함하여 받침부재(13)에 실리게 된다.
따라서, 받침부재(13)는 처짐 하중을 받는 상태에 있게 된다. 그로인해 작업자가 너트(16)를 강하게 체결한다고 하여도 점차적으로 와셔(15)와 수직편(13a)은 슬립(미끌림)현상이 발생됨으로써 도 3의 가상선 상태에서 실선상태로 슬립 이동되는 것과 같이 받침부재(13)를 포함한 고정부재(19) 전체가 하측으로 처짐되는 이동을하여 하측에 있는 석재판넬(2)에게 과하중이 실리게 된다.
그에따라 과하중을 받는 석재판넬(2)은 크랙(k)과 같은 균열을 야기시키게 된다. 이 크랙(k)은 점차적으로 발전될 수 있고, 그로인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엄청난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바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서, 석재판넬의 설치 완료후에 그 석재판넬의 하중에 의해서 석재판넬 부착장치의 받침부재가 처짐 이동을 전혀 할 수 없도록 미연에 차단시킴으로써 안전도있는 석재판넬 설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석재판넬을 건축콘크리트물에 지지하는 모체가 되고 상기 건축콘크리트물에 고정되는 수직편 및 상기 수직편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수평편을 가지며, 상기 수직편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장공을 가진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를 건축콘크리트물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축 및 상기 나사축에 체결되는 와셔와 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부재의 수평편에 고정되고 석재판넬이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수평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와셔와 너트를 가지며; 상기 석재판넬을 고정시키기 위해 그 상,하면에 형성된 핀결합공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한 받침부재의 수직편 외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나사축이 관통하는 장공을 가지며, 상기 장공은 상기 수직편에 있는 장공과 대각선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단부중 어느 일단부에 이동방지를 위해 일렬로 형성된 걸림홈 및 걸림돌기를 갖는 처짐이동방지부재와; 상기 처짐이동방지부재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재부착장치를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석재판넬 부착장치의 일측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보인 종래의 석재판넬 부착장치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설명하는 석재판넬 부착장치의 일측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석재판넬 부착장치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 A'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석재판넬부착장치의 사용상태를보인전체일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 장치의 요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 개략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 장치의 제1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 장치의 제2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 장치의 제3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 장치의 제4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 석재판넬 3,3' : 핀결합공
11 : 나사축 15,21 : 와셔
16,22 : 너트 17 : 구멍
18 : 고정볼트 19 : 고정부재
20 : 장공 23 : 핀공
24 : 고정핀 100 : 석재부착장치
120 : 걸림부재 130 : 받침부재
131 : 수직편 132 : 수평편
133 : 장공 140 : 처짐이동방지부재
141 : 장공 142 : 걸림부
본 고안에 따른 석재판넬 부착장치를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석재판넬 부착장치(100)를 보인 것이다. 참고로 이 장치의 설명에서 종전의 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부품은 종전 장치 도면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석재판넬(2)(2')을 건축콘크리트물(1)에 지지하는 모체가 되는 받침부재(130)를 구비한다.
상기 받침부재(130)는, 건축콘크리트물(1)에 고정되는 수직편(131) 및 상기 수직편(131)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수평편(132)을 가지며, 상기 수직편(131)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받침부재(130)의 고정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장공(133)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받침부재(130)에는 걸림부재(120)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부재(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며, 보다 안정적인 걸림부재(120)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장공(133) 양측에 각각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양호한 실시 상태이다.
상기 걸림부재(120)는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받침부재(130)의 수직편(131)을 프레스금형(미도시함)으로 찍어서("F"방향) 일부가 외면으로 돌출되게 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걸림부재(120) 형성방법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경우에 따라서 걸림부재를 별도로 구비하여 이것을 소정의 위치에 용착시킬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받침부재(130)를 건축콘크리트물(1)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축(11) 및 상기 나사축(11)에 체결되는 와셔(15)와 너트(16)를 구비한다. 미설명부호 12는 상기 나사축(11)에 끼워지는 고정관체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130)의 수평편(13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9)를 구비하며, 이 고정부재(19)에는 장공(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를 수평편(13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18) 및 상기 고정볼트(18)에 체결되는 와셔(21)와 너트(22)를 갖는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7은 상기 고정볼트(18)가 관통되는 구멍이다.
석재판넬(2)(2')을 고정시키기 위해 그 상,하면에 형성된 핀결합공(3)(3')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19)의 선단에는 핀공(23)을 형성하며, 그 핀공(23)으로는 고정핀(24)이 결합된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한 받침부재(130)의 수직편(131) 외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처짐이동방지부재(140)를 구비한다. 상기 처짐이동방지부재(140)는 나사축(11)이 관통하는 장공(141)을 가지며, 이 장공(141)은 상기 수직편(131)에 있는 장공(133)과 대각선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처짐이동방지부재(140)의 상단부에는 이동방지를 위해 일렬로 형성된 걸림부(142)를 갖는다. 이 걸림부(142)는 걸림부재(120)에 걸림되게 되며, 걸림부재(120)가 삽입되는 걸림홈(143) 및 걸림돌기(144)로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석재판넬 부착장치(100)에 있어서도 종전과 같이 고정관체(12)를 가진 나사축(11)이 건축콘크리트물(1)에 고정된다. 다음 상기 나사축(11)이 장공(133)(141)을 관통하도록 받침부재(130) 및 처짐이동방지부재(140)가 차례대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축(11)에 와셔(15)가 끼워지고 너트(16)로 체결하는데 이때 너트(16)를 완전히 체결하지 않고서 받침부재(13)를 위쪽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즉,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받침부재(130) 위치가 조절되면, 그때에 너트(16)를 강력하게 체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너트(16)를 강력히 체결하기에 앞서서 처짐이동방지부재(140)의 걸림부(142)가 걸림부재(120)에 걸리도록 한후에 너트(16)를 강력하게 체결한다.(도 7 참조)
도 8a 및 도 8b는 걸림부재(120)와 처짐이동방지부재(140)의 기능 및 역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도 8a는 처짐이동방지부재(140)와 받침부재(130) 및 나사축(11)의 상호 관계를 보인 것이다. 즉, 도 8a를 참조하면 나사축(11)이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령 받침부재(130)가 걸림부가 없는 상태이면서 걸림부재(120)에 의해서 더 이상 위쪽으로 상승 이동되지 못하고 가로 막혀져 있는 상태에서 받침부재(130)가 하중을 받아서 하부 방향으로 처짐되는 이동을 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받침부재(130)가 내려가게 되므로 처짐이동방지부재(140)도 내려 가려는 힘이 작용된다.
그러나 처짐이동방지부재(140)는 대각선으로 형성된 장공(141)이 있기 때문에 이 장공(141)이 하나의 안내공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처짐이동방지부재(140)는 화살표 도시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이와같이 처짐이동방지부재(140)가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면 받침부재(130)는 종전과 마찬가지로 아랫방향으로 처짐되는 이동을 하게 될 것이고, 아울러서 석재판넬(2)이 처짐하중을 받게 되어 크랙등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도 8b의 도시와 같이 처짐이동방지부재(140)의 상단부에 걸림부(142)를 형성시켜 이 걸림부(142)의 걸림홈(143)에 걸림부재(120)가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처짐이동방지부재(140) 자체가 우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받침부재(130)가 처짐되는 이동을 하려면 처짐이동방지부재(140) 가 우측으로 이동하여야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처짐방지부재(140)의 상단부에 있는 걸림부(142)에 걸림부재(120)가 걸림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처짐방지부재(140)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고, 그로인해 받침부재(130)는 절대로 하측방향으로 처짐되는 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받침부재(13)의 고정 설치시에 건축콘크리트물(1)에 대해서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때 그 위치가 되도록 하면서 처짐이동방지부재(140)의 걸림부(142)가 걸림부재(120)에 걸림되도록 한 상태에서 너트(16)를 강력히 조임하게 된다.
다음,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예전과 같이 고정부재(19)의 위치를 맞춘 다음 너트(22)를 조여서 고정시킨후 고정핀(24)으로 석재판넬(2)(2')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작업에 의해서 석재판넬(2)(2') 고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작업 완료된 상태에서는 걸림부재(120) 및 처짐이동방지부재(140)에 의해서 석재판넬 하중을 받는 받침부재(130)가 아래쪽으로 처짐되는 이동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1변형 실시예를 나타 낸다. 제1변형 실시예는 걸림부재(120)를 받침부재(130)의 수직편(131) 하부쪽에 구비하도록 하면서 상기 걸림부재(120)에 걸림되는 걸림부(142)를 처짐이동방지부재(140)의 하단면에 형성토록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특징이 되는 걸림부재(120)는 사각에 가까운 마름모꼴 형태로 형성시키고, 그 마름모꼴 걸림부재(120)에 걸림되는 걸림부(142)는 톱니 형태의 걸림홈(143) 및 걸림돌기(144)로 형성되도록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변형 실시예를 보여 준다. 이 실시예는 걸림부(142)를 제1실시예보다 약간 큰 형태의 톱니형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걸림부(142)에 걸림되는 걸림부재(120a)를 삼각형태로 형성되도록 한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3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걸림부재(120b)를 원형으로 형성시키고, 이 걸림부재(120b)가 걸리게 되는 걸림부(142b)를 상기 걸림부재(120b)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반원형홈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 경우는 걸림부재(120c)는 사각형태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걸림부재(120c)가 걸림되는 걸림부(142c)도 사각형홈이 형성되도록하여 이들이 걸림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1 내지 제4변형 실시예 이외에 다른 형태로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결과적으로는 받침부재(130)의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재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갖는 처짐이동방지부재(140)를 갖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서 석재판넬의 무거운 하중에 의해서 그 하중을 받는 받침부재가 처짐되는 이동을 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석재판넬 부착 공사후에 석재판넬에 집중 하중이 걸리지 않게 될뿐 아니라 크랙 현상등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전도 및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석재판넬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석재판넬을 건축콘크리트물에 지지하는 모체가 되고 상기 건축콘크리트물에 고정되는 수직편 및 상기 수직편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수평편을 가지며, 상기 수직편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장공을 구비하고, 상기 장공 상,하부중 어느 한지점에 유동 방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갖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를 건축콘크리트물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축 및 상기 나사축에 체결되는 와셔와 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부재의 수평편에 고정되고 석재판넬이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수평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와셔와 너트를 가지며;
    상기 석재판넬을 고정시키기 위해 그 상,하면에 형성된 핀결합공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한 받침부재의 수직편 외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나사축이 관통하는 장공을 가지며 상기 장공은 상기 수직편에 있는 장공과 대각선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단부중 어느 일단부에 이동방지를 위해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한 걸림부재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갖는 처짐이동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판넬 부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장공 양쪽에 각각 하나씩 한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판넬 부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받침부재의 수직편 상측에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재에 걸림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는 처짐이동방지부재의 상단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판넬 부착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받침부재의 수직편 하측에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재에 걸림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는 처짐이동방지부재의 하단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판넬 부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받침부재의 수직편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판넬 부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 기걸림부는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걸림홈과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을 차단시키는 걸림돌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판넬 부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마름모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에 걸림되는 처짐이동방지부재의 걸림부가 톱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판넬 부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삼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에 걸림되는 처짐이동방지부재의 걸림부를 톱니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판넬 부착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에 걸림되는 처짐이동방지부재의 걸림부를 반원형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판넬 부착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에 걸림되는 처짐이동방지부재의 걸림부를 사각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판넬 부착장치.
KR2019980016255U 1998-08-28 1998-08-28 석재판넬 부착장치 KR200205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255U KR200205624Y1 (ko) 1998-08-28 1998-08-28 석재판넬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255U KR200205624Y1 (ko) 1998-08-28 1998-08-28 석재판넬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439U KR20000005439U (ko) 2000-03-25
KR200205624Y1 true KR200205624Y1 (ko) 2000-12-01

Family

ID=1953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255U KR200205624Y1 (ko) 1998-08-28 1998-08-28 석재판넬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6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624A (ko) * 2000-04-18 2000-08-05 강용중 건축물의 외장판재 결합구조
KR20210072385A (ko)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포스코 패널지지장치
KR20210157582A (ko)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포스코 프레임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790A (ko) * 2000-07-27 2002-02-02 김영창 건물의 외장에 사용되는 석판재용 고정 구조물
KR20020016480A (ko) * 2000-08-26 2002-03-04 송정식 건물용 판재 앵커
KR20020028103A (ko) * 2000-10-07 2002-04-16 박헌철 건축용 판재의 고정방법 및 그 장치
KR100741421B1 (ko) * 2005-12-30 2007-07-20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와샤붙이머리 직결피스 및 그 직결피스를 이용한 건축물의석재판넬 외벽 시공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624A (ko) * 2000-04-18 2000-08-05 강용중 건축물의 외장판재 결합구조
KR20210072385A (ko)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포스코 패널지지장치
KR20210157582A (ko)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포스코 프레임 구조물
KR20230117549A (ko) 2020-06-22 2023-08-08 주식회사 포스코 프레임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439U (ko)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5624Y1 (ko) 석재판넬 부착장치
DE19947913C2 (de) Befestigungselement zur Anbringung von Lasten an eine eine Wärmedämmung aufweisende Gebäudewand
KR200214426Y1 (ko) 석재 벽판 지지용 앵글
KR200255532Y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GB2376729A (en) Structural assembly
JP3594143B2 (ja) ベランダ用パイプ取付金具
JP6406668B2 (ja) 手摺支柱の固定構造
KR930002861Y1 (ko) 석재 부착 고정구
KR102615351B1 (ko) 건축용 커튼월의 트러스 연결장치
DE3602308A1 (de) Verankerung von vormauerwerk im attikabereich
RU21058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KR102563033B1 (ko) 외장재 지지 구조체
KR102199647B1 (ko)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JP2692696B2 (ja) 玄関ユニット
AU2002312646B2 (en) Adjustment device and building element
JPH0118739Y2 (ko)
JP3113860U (ja) ユニットハウス用壁パネルの固定構造
JPS5825110Y2 (ja) 建具の建付調整装置
JP2931561B2 (ja) 手摺り構造物
JP4046423B2 (ja) 手摺付きalc壁構造
JP4255406B2 (ja) 庇の取付け構造
JP2023108701A (ja) 吊り足場用根太の端部材
KR100615667B1 (ko) 날개형 고정부재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960009421Y1 (ko) 천정틀 설치부재
JPH0635010Y2 (ja) 屋根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21 Withdrawal of opposition [utility mode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000083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20125

Effective date: 200304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511

Effective date: 20011031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000210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20125

Effective date: 200304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1114

Effective date: 200304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10300001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20125

Effective date: 200304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20125

Effective date: 200304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8

Year of fee payment: 4

O062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