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647B1 -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647B1
KR102199647B1 KR1020190047196A KR20190047196A KR102199647B1 KR 102199647 B1 KR102199647 B1 KR 102199647B1 KR 1020190047196 A KR1020190047196 A KR 1020190047196A KR 20190047196 A KR20190047196 A KR 20190047196A KR 102199647 B1 KR102199647 B1 KR 102199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e suppression
nut
hole
bol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969A (ko
Inventor
김한준
Original Assignee
유노빅스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노빅스이엔씨(주) filed Critical 유노빅스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19004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64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3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hanging from a pend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은 길게 연장되고, 일단과 타단을 구비하는 지지대; 및 지지대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연결부는 폭이 보다 길이가 긴 밴드 형상을 가지는 클램프; 제1 내부 관통홀을 구비하고, 제1 내부 관통홀에 지지대의 타단이 결합되는 플랜지 너트; 제2 내부 관통홀을 구비하고, 플랜지 너트의 하부에서 지지대의 타단이 제2 내부 관통홀에 결합되고, 플랜지 너트와 함께 클램프의 끝단을 고정하는 서지 억제 볼트; 및 서지 억제 볼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임이 가능한 서지 억제 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EARTHQUAKE-RESISTANT CLAMPING SYSTEM FOR PIPING}
본 발명은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지진시 배관의 변형 및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한 내진 성능이 확보될 수 있는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기계 설비 및 소방설비 공사시, 천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배관을 설치하기 위해서 여러 종류의 배관 지지대가 사용된다. 일반적인 종래의 배관 지지대는 수평 방향의 횡력에 저항할 수 없는 구조로써 지진에 의해 배관이 흔들리는 것을 막지 못하여 배관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배관의 교체, 이설, 및 유지보수 등으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소화계통 배관의 손상은 지진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로 인해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배관의 경우, CPVC, STEEL, SUS 등 철 또는 합금 재질로 형성되거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관에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이 고정되는 경우, 지진과 같은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과 배관 사이의 고정이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으로 배관을 강한 압력을 가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배관이 플라스틱 재질의 형성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으로 배관을 과도한 압력으로 고정하게 되면, 배관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등,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으로 배관을 적절한 압력으로 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지진과 같은 외력에 배관의 변형 및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배관의 고정이 풀리지 않도록 배관을 적절한 압력으로 고정하며, 배관의 재질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은 일단이 건축물에 연결되는 지지대; 및 지지대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연결부는 폭이 보다 길이가 긴 밴드 형상을 가지는 클램프; 제1 내부 관통홀을 구비하고, 제1 내부 관통홀에 지지대의 타단이 결합되는 플랜지 너트; 제2 내부 관통홀을 구비하고, 플랜지 너트의 하부에서 지지대의 타단이 제2 내부 관통홀에 결합되고, 플랜지 너트와 함께 클램프의 끝단을 고정하는 서지 억제 볼트; 및 서지 억제 볼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임이 가능한 서지 억제 너트;를 포함한다.
지지대는 표면에 나사홈을 가지며, 플랜지 너트의 제1 내부 관통홀에는 지지대의 나사홈과 맞물리는 나사홈을 구비하고, 플랜지 너트가 회전함에 따라, 플랜지 너트의 위치가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서지 억제 볼트는 제2 내부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 내부 관통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클램프의 끝단이 삽입되는 클램프 삽입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내부 관통홀은 클램프 삽입홈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서지 억제 볼트의 제2 내부 관통홀에는 지지대의 나사홈과 맞물리는 나사홈이 구비되어, 서지 억제 볼트가 회전함에 따라, 서지 억제 볼트의 위치가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서지 억제 너트는 제2 내부 관통홀보다 큰 제3 내부 관통홀을 구비하고, 제3 내부 관통홀에 서지 억제 볼트의 외측면이 결합될 수 있다.
서지 억제 너트는 하부 끝단에 서지 억제 너트의 내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풀림 방지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서지 억제 볼트에 구비된 클램프 삽입홈의 폭은 클램프의 두께보다 클 수 있고, 클램프의 끝단은 플랜지 너트와 서지 억제 볼트 사이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클램프의 끝단은 클램프 삽입홈에 삽입되어, 플랜지 너트와 서지 억제 볼트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예에 따른 서지 억제 볼트는 제2 내부 관통홀의 외측면에 외측 나사홈을 구비하고, 서지 억제 너트는 제3 내부 관통홀에 서지 억제 볼트의 외측 나사홈과 맞물리는 나사홈을 구비하고, 서지 억제 너트가 회전함에 따라, 서지 억제 너트의 위치는 서지 억제 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예에 따른 서지 억제 볼트는 제2 내부 관통홀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되,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볼트 고정홀을 구비하고, 서지 억제 너트는 제3 내부 관통홀 중 볼트 고정홀에 대응되는 부분에 너트 고정홀을 구비하고, 볼트 고정홀과 너트 고정홀에는 고정핀이 삽입되어, 서지억제 너트가 서지 억제 볼트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예에 따른 서지 억제 볼트는 제2 내부 관통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용 돌기가 구비되고, 서지 억제 너트는 서지 억제 너트의 제3 내부 관통홀 중 서지 억제 볼트의 고정용 돌기에 대응되는 부분에 너트 고정홀을 구비하되, 너트 고정홀은 서지 억제 너트의 길이 방향에 사선 방향으로 구비되고, 너트 고정홀의 끝부분에는 고정용 돌기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돌기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의 서지 억제 너트는 상부에 서지 억제 볼트의 제2 내부 관통홀의 나사홈에 맞물리는 상부 나사홈을 구비하고, 하부에 상부 나사홈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부 손잡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지 억제 너트는 상부에 서지 억제 볼트의 제2 내부 관통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지지대의 나사홈에 맞물리는 나사홈이 구비된 내부 관통홈을 구비하고, 하부에 내부 관통홈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부 손잡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은 서지 억제 볼트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서지 억제 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세 움직임이 가능한 서지 억제 너트를 구비하여, 배관의 고정이 풀리지 않도록 배관을 적절한 압력으로 고정할 수 있고, 지진과 같은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배관의 변형 및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의 적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는 도 2에 도시된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3의 (b)는 도 2에 도시된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3의 (c)는 도 2에 도시된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을 분해한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에서 클램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에서 서지 억제 볼트의 제1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에서 서지 억제 너트의 제1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지 억제 너트의 제1 예에 구비된 풀림 방지홈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지 억제 볼트의 제1 예와 서지 억제 너트의 제1 예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지 억제 볼트의 제2 예 및 서지 억제 너트의 제2 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지 억제 볼트의 제3 예 및 서지 억제 너트의 제3 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을 조립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상부 및 하부는 지지대를 기준으로 설명하되, 상부라 함은 지지대의 일단, 즉 건축물에 연결되는 지지대의 부분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분을 의미하고, 하부라 함은 지지대의 타단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분을 의미한다.
상부 방향으로 움직인다라는 의미는 지지대의 일단 쪽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고, 하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의미는 지지대의 타단 쪽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이하에서 어떤 구성 요소의 두께, 폭, 길이 또는 직경이 동일하다는 의미는 공정 상의 오차를 고려하여, 어떤 제1 구성 요소의 두께, 폭, 길이 또는 직경이 다른 제2 구성 요소의 두께, 폭, 길이 또는 직경과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의 적용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는 도 2에 도시된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3의 (b)는 도 2에 도시된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3의 (c)는 도 2에 도시된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는 일단이 건축물(1)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관(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는 지진 등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배관(2)의 수평, 수직 방향의 변형 및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건축물(1)이라 함은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구조물 또는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까지 모두 포함되는 의미이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는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프레임과 같은 구조물에 고정되되, 건축물 부착 장치(20, Structure Attachment Fitting)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건축물 부착 장치(20)는 건축물(1)에 고정되고, 배관(2)의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는 건축물 부착 장치(20)에 일단이 결합 및 고정되고, 타단에 배관(2)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진과 같은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배관(2)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배관(2)의 파손이나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여 배관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0, Brace Member)와 연결부(100, Sway Brace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00)는 일단이 건축물(1)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과 같이, 지지대(200)의 일단은 건축물 부착 장치(20)에 결합 및 고정되어 건축물(1)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은 연결부(100)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100)는 지지대(200)의 타단에 연결되고, 연결부(100)는 클램프(110), 플랜지 너트(120), 서지 억제 볼트(130) 및 서지 억제 너트(140)를 구비할 수 있다.
클램프(110)는 배관(2)을 거치하고, 플랜지 너트(120)와 서지 억제 볼트(130)는 클램프(110)를 사이에 두고, 압박하여 클램프(11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플랜지 너트(120)와 서지 억제 볼트(130)의 위치를 조절하여, 클램프(1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배관(2)을 적절한 위치에 거치할 수 있다.
서지 억제 너트(140)는 서지 억제 볼트(130)의 하부에 위치하고, 지지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끝단이 배관(2)의 표면에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2)은 클램프(110)와 서지 억제 너트(14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서지 억제 너트(140)는 도 3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지 억제 볼트(130)의 외측면에서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지 억제 너트(140)가 서지 억제 볼트(130)의 외측면에서 미세하게 조정되어, 클램프(110)에 거치된 배관(2)의 고정이 풀리지 않도록 배관(2)을 적절한 압력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2)에 과도한 압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적절한 압력으로 배관(2)을 고정하여, 배관(2)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지진과 같은 외력에 배관(2)의 변형 및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배관(2)에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이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를 분해한 모습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에서 클램프(110)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에서 플랜지 너트(12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에서 서지 억제 볼트(130)의 제1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7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에서 서지 억제 너트(140)의 제1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지 억제 너트의 제1 예에 구비된 풀림 방지홈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지 억제 볼트(130)의 제1 예와 서지 억제 너트(140)의 제1 예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지지대(200)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의 표면에 나사홈을 가지며, 일단이 건축물 부착 장치(20)를 통하여 건축물(1)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대(200)의 타단에 연결되어, 배관(2)을 고정하기 위하여, 클램프(110), 플랜지 너트(120), 서지 억제 볼트(130) 및 서지 억제 너트(1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0)의 하부 끝단은 화살표 방향으로 플랜지 너트(120) 및 서지 억제 볼트(130)를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서지 억제 너트(140)는 화살표 방향으로 서지 억제 볼트(130)에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1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2)을 거치하기 위해, 폭이 보다 길이가 긴 밴드 형상을 가지며, 철 또는 철을 포함하는 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110)는 제1 예로, 도 5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2)을 거치하기 위해 곡면으로 형성되는 거치부(111)와 밴드 형사의 끝단이 플랜지 너트(120)와 서지 억제 볼트(130) 사이에 갈고리 형태로 고정되는 걸림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클램프(110)의 일부 형상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도 5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10)는 거치부(111)를 가지되, 클램프(110)의 제1 예와 다르게, 걸림부(112)의 형상이 갈고리 형태가 아니고, 걸림부(112)에 지지대(200)가 삽입 및 관통되는 클램프 홀(110H)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클램프(110)는 끝단이 플랜지 너트(120)와 서지 억제 볼트(130) 사이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클램프(110)의 제1 예와 같은 경우, 클램프(110)의 끝단에 구비된 걸림부(112)가 클램프 삽입홈(131)에 삽입되어, 플랜지 너트(120)와 서지 억제 볼트(130)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플랜지 너트(1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 관통홀(120H)을 구비하고, 제1 내부 관통홀(120H)에 지지대(20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랜지 너트(120)의 제1 내부 관통홀(120H)에는 지지대(200)의 나사홈과 맞물리는 나사홈을 구비할 수 있고, 플랜지 너트(120)의 제1 내부 관통홀(120H)의 직경(R120)은 지지대(200)의 직경(R200)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 너트(120)가 회전함에 따라, 플랜지 너트(120)의 위치가 지지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서지 억제 볼트(130)의 제1 예는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내부 관통홀(130H1)을 구비하고, 플랜지 너트(120)의 하부에서 지지대(200)의 타단이 제2 내부 관통홀(130H1)에 결합되고, 플랜지 너트(120)와 함께 클램프(110)의 끝단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지 억제 볼트(130)의 제2 내부 관통홀(130H1) 내에는 지지대(200)에 맞물리는 나사홈을 구비하고, 제2 내부 관통홀(130H1)의 직경(R130H1)은 제1 내부 관통홀(120H)의 직경(R120) 및 지지대(200)의 직경(R200)과 동일할 수 있고, 서지 억제 볼트(130)는 철 또는 철을 포함하는 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보다 구체적으로, 서지 억제 볼트(130)는 상부에 클램프 삽입홈(131)을 구비하고, 하부에 클램프 삽입홈(131)의 직경(R131)보다 작은 직경(R130H1)을 갖는 제2 내부 관통홀(130H1)을 구비할 수 있고, 서지 억제 볼트(130)에서 클램프 삽입홈(131)이 구비된 상부의 외측면 직경은 제2 내부 관통홀(130H1)이 구비된 하부의 외측면 직경(R133)보다 클 수 있다.
더불어, 클램프 삽입홈(131)의 외측면에는 서지 억제 볼트(130)의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미끄럼 방지를 위한 널링(knurling) 패턴(134)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널링 패턴(134)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삽입홈(131)의 외측면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복수 개의 홈을 갖는 패턴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이고, 다른 예로는 클램프 삽입홈(131)의 외측면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복수 개의 홈이 서로 엇갈려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클램프 삽입홈(131)은 제2 내부 관통홀(130H1)보다 큰 직경(R131)을 가지며, 클램프(110)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서지 억제 볼트(130)에 구비된 클램프 삽입홈(131)의 폭(W1)은 클램프(110)의 두께(T110)보다 클 수 있다.
서지 억제 볼트(1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내부 관통홀(130H1)은 클램프 삽입홈(131)의 바닥면(1311)에 구비되고, 지지대(200)의 나사홈과 맞물리는 나사홈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내부 관통홀(130H1)의 직경(R130H1)은 지지대(200)의 직경(R200)과 동일할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클램프 삽입홈(131)의 직경(R131)보다 작을 수 있다.
서지 억제 볼트(130)가 회전함에 따라, 서지 억제 볼트(130)의 위치가 지지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서지 억제 볼트(130)의 클램프 삽입홈(131)에 클램프(110)의 걸림부(112)가 삽입되고, 서지 억제 볼트(130)와 플랜지 너트(120)가 클램프(110)의 걸림부(112)가 위치한 방향으로 압박하여, 클램프(110)가 서지 억제 볼트(130)와 플랜지 너트(120)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서지 억제 볼트(130)의 위치와 플랜지 너트(120)의 위치에 의해 클램프(110)의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서지 억제 볼트(130)는 제2 내부 관통홀(130H1)의 외측면에 서지 억제 너트(140)와 결합하기 위한 외측 나사홈(133)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서지 억제 볼트(130)의 외측 나사홈(133)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서지 억제 볼트(130)의 제1 예 이외에 후술한 서지 억제 볼트(130)의 제2 예 및 제3 예에서는 외측 나사홈(133)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까지 서지 억제 볼트(130)의 제1 예를 기본으로 설명한다.
더불어, 도 6의 (a) 및 (b)에서는 서지 억제 볼트(130)의 상부 외측면[즉, 클램프 삽입홈(131)의 외측면]이 원형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6의 (c)와 같이, 서지 억제 볼트(130)의 상부 외측면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타원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더불어, 도 6의 (a) 내지 (c)에서는 서지 억제 볼트(130)가 상부에 클램프 삽입홈(131)을 구비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클램프 삽입홈(131)이 서지 억제 볼트(130)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다.
예를 들어, 도 6의 (d)와 같이, 제1 예에 대한 변형예로, 서지 억제 볼트(130)는 하부에 제2 내부 관통홀(130H1)을 구비하되, 상부에 클램프 삽입홈(131)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도 5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램프(110)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5a의 (b)에 도시된 클램프(110)의 클램프 홀(110H)이 지지대(200)가 삽입 및 관통되어, 플랜지 너트(120)와 도 6의 (d)에 도시된 서지 억제 볼트(130) 사이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지 억제 너트(140)의 제1 예는 도 7a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지 억제 볼트(130)의 제2 내부 관통홀(130H1)보다 큰 제3 내부 관통홀(140H1)을 구비하고, 제3 내부 관통홀(140H1)은 서지 억제 볼트(130)의 외측면이 결합되어, 서지 억제 너트(140)가 서지 억제 볼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임일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지 억제 볼트(130)의 하부 외측면에 서지 억제 너트(140)의 제3 내부 관통홀(140H1)이 결합된 상태에서, 서지 억제 너트(140)가 회전함에 따라, 서지 억제 너트(140)의 위치는 서지 억제 볼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지 억제 너트(140)는 철 또는 철을 포함하는 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지 억제 너트(140)의 제1 예는 제3 내부 관통홀(140H1)에 서지 억제 볼트(130)의 외측 나사홈(133)과 맞물리는 나사홈을 구비하고, 제3 내부 관통홀(140H1)의 직경(R140H1)은 서지 억제 볼트(130)의 하부에 외부 나사홈(133)이 구비된 외측면의 직경(R133)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2)을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서지 억제 볼트(130)를 회전하여 지지대(200)의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서지 억제 볼트(130)를 움직일 때, 서지 억제 너트(140) 역시 서지 억제 볼트(130)와 함께 회전하여 지지대(200)의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서지 억제 볼트(130)의 위치가 정해진 이후, 서지 억제 너트(140)는 서지 억제 볼트(130)의 하부 외측면에서 배관(2)쪽 하부 방향으로 움직여, 서지 억제 너트(140)의 하부 끝단이 배관(2)의 표면과 맞닿을 수 있고, 배관(2)은 클램프(110)와 서지 억제 너트(140) 사이에서 적절한 힘과 압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는 배관(2)에 적절한 압력으로 맞닿아, 지진 등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배관(2)의 수평, 수직 방향의 변형 및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서지 억제 너트(140)를 통하여 배관(2)을 적절한 압력으로 누르도록 조정할 수 있어, CPVC, STEEL, SUS 등 철 또는 합금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는 배관(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지 억제 너트(140)의 외측면의 단면 형상은 도 7a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타원형, 육각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서지 억제 너트(140)는 도 7a의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끝단에 서지 억제 너트(140)의 내부 방향으로 함몰된 풀림 방지 홈(14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a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림 방지 홈(142)은 서지 억제 너트(140)의 하부 끝단에 함몰되어 구비되고, 지진과 같은 외력이 발생했을 때, 순간적인 힘에 의해 배관(2)의 고정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풀림 방지 홈(142)은 도 7a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을 가지며, 풀림 방지 홈(142)의 폭(W142)은 서지 억제 너트(140)의 제3 내부 관통홀(140H1)의 직경(R140H1)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풀림 방지 홈(142)에 구비된 곡면의 곡률 반경(r142)은 배관(2)의 곡률 반경(r2)과 동일하거나 작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지 억제 너트(140)는 하부 끝단에 적절한 폭과 곡률 반경을 갖는 풀림 방지 홈(142)을 구비하여, 도 7a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2)을 고정할 때, 배관(2)의 일부분이 풀림 방지 홈(142)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고, 서지 억제 너트(140)로 배관(2)을 더 강한 힘으로 압박하지 않더라도, 풀림 방지 홈(142)에 의해, 배관(2)의 고정이 쉽게 풀리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a에서는 서지 억제 너트(140)에 구비된 풀림 방지 홈(142)이 곡면을 가지고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풀림 방지 홈(142)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풀림 방지 홈(142)은 곡면을 구비하지 않고, 도 7b에서 (a)와 같이, 사각 홈을 가지고 구비되거나, (b)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고 구비되거나, (c)와 같이, 복수의 요철 또는 돌기를 가지고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구비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서지 억제 볼트(130)와 서지 억제 너트(140)가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도 9 및 도 10에서는 서지 억제 볼트(130)와 서지 억제 너트(140)가 나사 결합이 아닌 다른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이하에서는 앞선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지 억제 볼트(130)의 제2 예 및 서지 억제 너트(140)의 제2 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지 억제 볼트(130)의 제2 예는 제2 내부 관통홀(130H1)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되, 수직 방향으로 길이(L2)를 갖는 볼트 고정홀(130H2)을 구비할 수 있고, 제2 내부 관통홀(130H1)의 외측면에는 외측 나사홈(133)이 생략될 수 있다.
여기서, 서지 억제 볼트(130)의 제2 예에 구비된 볼트 고정홀(130H2)은 수평 방향으로의 폭(W2)보다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L2)가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지 억제 너트(140)의 제2 예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내부 관통홀(140H1) 중 볼트 고정홀(130H2)에 대응되는 부분에 너트 고정홀(140H2)을 구비하고, 제3 내부 관통홀(140H1) 내부에 구비되었던 나사홈은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고정홀(130H2)과 너트 고정홀(140H2)을 관통하여 고정핀(145)이 삽입되어, 서지 억제 너트(140)가 서지 억제 볼트(130)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볼트 고정홀(130H2)과 너트 고정홀(140H2)을 관통하는 고정핀(145)은 서지 억제 볼트(1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지지대(200)의 나사 홈에 걸려, 서지 억제 너트(14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서지 억제 너트(140)가 서지 억제 볼트(130)의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배관(2)을 충분한 압박하도록, 서지 억제 너트(14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핀(145)을 볼트 고정홀(130H2)과 너트 고정홀(140H2)을 관통시켜 지지대(200)의 나사홈에 걸리도록 하여, 서지 억제 너트(14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서지 억제 너트(140)의 위치는 서지 억제 볼트(130)의 의 외측면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핀(145)과 지지대(200)의 나사홈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예에 따른 서지 억제 너트(140) 역시 하부면에 도 7a에서 설명한 풀림 방지 홈(142)이 구비하여, 지진과 같은 외력 발생시 배관(2)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지 억제 볼트(130)의 제3 예 및 서지 억제 너트(140)의 제3 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예에 따른 서지 억제 볼트(130)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내부 관통홀(130H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용 돌기(130P)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용 돌기(130P)는 제2 내부 관통홀(130H1)의 외측면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고정용 돌기(130P)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대칭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용 돌기(130P)는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4개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고정용 돌기(130P)의 돌출 길이(H130P)는 서지 억제 볼트(130)의 상부 외측면의 직경과 하부 외측면의 직경의 차(DR)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예에 따른 서지 억제 너트(14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지 억제 너트(140)의 제3 내부 관통홀(140H1) 중 서지 억제 볼트(130)의 고정용 돌기(130P)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용 돌기(130P)가 삽입되는 너트 고정홀(140H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너트 고정홀(140H2)은 서지 억제 너트(140)의 길이 방향에 사선 방향으로 구비되고, 너트 고정홀(140H2)의 끝부분에는 고정용 돌기(130P)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 고정홀(140H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고정부(140k)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지 억제 볼트(130)의 하부 외측면에 구비된 고정용 돌기(130P)가 서지 억제 볼트(130)의 너트 고정홀(140H2)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지 억제 볼트(130)가 배관(2)에 충분한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될 때, 너트 고정홀(140H2)에 구비된 돌기 고정부(140k)에 고정용 돌기(130P)가 고정되어, 서지 억제 너트(14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예에 따른 서지 억제 너트(140) 역시, 도 7a에서 설명한 풀림 방지 홈(142)이 구비되어, 지진과 같은 외력 발생시 배관(2)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를 조립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흔들임 방지 버팀대가 제1 예에 따른 서지 억제 볼트(130)와 제1 예에 따른 서지 억제 너트(140)를 구비한 경우의 조립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0)의 일단을 건물 부착 장치에 고정한 상태에서, 클램프(110), 플랜지 너트(120), 서지 억제 볼트(130) 및 서지 억제 너트(140)를 준비할 수 있다.
이후,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지 억제 볼트(130)의 하부 외측면에 서지 억제 너트(140)를 나사 결합하여 조립한 상태에서, 지지대(200)의 타단에 플랜지 너트(120)와 서지 억제 볼트(130)가 적절하게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나사 결합하고, 클램프(110)의 양쪽 끝단을 벌여 클램프(110)에 배관(2)을 적절하게 거치하고, 클램프(110)의 양쪽 끝단이 플랜지 너트(120)와 서지 억제 볼트(130)가 이격된 부분의 근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서지 억제 볼트(130)를 회전하여 위치를 조정할 때에는 서지 억제 볼트(130)의 하부 외측면에 나사 결합된 서지 억제 너트(140) 역지 서지 억제 볼트(13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다음,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10)의 양쪽 끝단을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너트(120)와 서지 억제 볼트(130)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클램프(110)의 양쪽 끝단을 서지 억제 볼트(130)의 클램프 삽입홈(131)에 삽입할 수 있다.
이후, 도 11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지 억제 볼트(130)와 플랜지 너트(12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서지 억제 볼트(130)나 플랜지 너트(120)를 회전하여, 서지 억제 볼트(130)와 플랜지 너트(120) 사이에서 클램프(110)의 양쪽 끝단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서지 억제 볼트(13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서지 억제 볼트(130)의 하부 외측면에 나사 결합된 서지 억제 너트(140)만 회전하여, 서지 억제 너트(140)의 풀림 방지 홈(142)에 배관(2)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서지 억제 너트(140)의 위치를 배관(2) 쪽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즉, 서지 억제 너트(140)를 회전하여, 서지 억제 너트(140)가 배관(2)쪽으로 움직여 풀림 방지 홈(142)에 배관(2)의 일부가 삽입되면, 서지 억제 너트(140)의 회전이 더 이상 어려워지게 되고, 지진과 같은 외력이 발생해도 풀림 방지 홈(142)에 배관(2)의 일부가 걸려, 배관(2)의 고정이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는 지진과 같은 외력에 배관(2)의 변형 및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배관(2)의 고정이 풀리지 않도록 배관(2)을 적절한 압력으로 고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에서는 서지 억제 너트의 제3 내부 관통홀에 서지 억제 볼트의 하부 외측면이 결합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지 억제 볼트와 서지 억제 너트는 이와 다른 구조로 결합되거나, 서로 결합되지 않고 독립적을 분리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도 12 및 도 13에 대한 설명에서는 이전의 도 11까지의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전의 설명으로 갈음하며, 다른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에서, 지지대(200)에 결합되는 플랜지 너트(120), 서지 억제 볼트(130) 및 클램프(110)의 구조는 앞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서지 억제 너트(140)가 서지 억제 볼트(130)에 결합되는 구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지 억제 너트(140)는 상부(140a)에 서지 억제 볼트(130)의 제2 내부 관통홀(130H1)의 나사홈에 맞물리는 상부 나사홈과 하부(140b)에 상부 나사홈(140a)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부 손잡이부(140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서지 억제 너트(140)의 상부 나사홈의 직경은 서지 억제 볼트(130)의 제2 내부 관통홀(130H1)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으며, 서지 억제 너트(140)의 하부 손잡이부(140b)를 회전하여, 지지대(200)의 길이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서지 억제 너트(140)가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서지 억제 너트(140) 역시 제1 실시예의 서지 억제 너트(140)와 같이, 배관(2)과 맞닿는 하부 바닥면에 풀림 방지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서지 억제 너트(140)의 하부 손잡이부(140b)의 바닥면에는 배관(2)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 방지 홈(14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에서, 지지대(200)에 결합되는 플랜지 너트(120), 서지 억제 볼트(130) 및 클램프(110)의 구조는 앞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서지 억제 너트(140)는 서지 억제 볼트(130)와 결합되지 않고 독립적을 분리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지 억제 너트(140)는 상부(140a)에 서지 억제 볼트(130)의 제2 내부 관통홀(130H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지지대(200)의 나사홈에 맞물리는 나사홈이 구비된 내부 관통홀을 구비하고, 하부(140b)에 내부 관통홀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부 손잡이부(140b)를 구비할 수 있다.
서지 억제 볼트(130)와 서지 억제 너트(140)는 서로 결합되지 않고, 서지 억제 볼트(130)의 하부면과 서지 억제 너트(140)의 상부면은 서로 맞닿거나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지 억제 너트(140)의 내부 관통홀에 지지대(200)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으며, 서지 억제 너트(140)를 회전함에 따라 지지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서지 억제 너트(140)의 손잡이부 표면에는 서지 억제 너트(140)의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세로 방향으로 복수의 홈을 갖는 널링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제3 실시예에 따른 서지 억제 너트(140)의 하부 손잡이부(140b)의 바닥면에는 배관(2)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 방지 홈(14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10)는 지진과 같은 외력에 배관(2)의 변형 및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배관(2)의 고정이 풀리지 않도록 배관(2)을 적절한 압력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길게 연장되고, 일단과 타단을 구비하며, 표면에 나사홈을 갖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폭이 보다 길이가 긴 밴드 형상을 가지는 클램프;
    제1 내부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내부 관통홀에 상기 지지대의 타단이 결합되는 플랜지 너트;
    제2 내부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 너트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대의 타단이 상기 제2 내부 관통홀에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 너트와 함께 상기 클램프의 끝단을 고정하는 서지 억제 볼트; 및
    상기 서지 억제 볼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임이 가능한 서지 억제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너트의 제1 내부 관통홀은, 상기 지지대의 나사홈과 맞물리는 나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너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플랜지 너트의 위치가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서지 억제 볼트는, 상기 제2 내부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내부 관통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클램프의 끝단이 삽입되는 클램프 삽입홈, 및 상기 제2 내부 관통홀의 외측면에 구비된 외측 나사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부 관통홀은, 상기 클램프 삽입홈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내부 관통홀에는 상기 지지대의 나사홈과 맞물리는 나사홈이 구비되어, 상기 서지 억제 볼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서지 억제 볼트의 위치가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서지 억제 너트는, 상기 제2 내부 관통홀보다 큰 제3 내부 관통홀, 및 상기 제3 내부 관통홀에 상기 서지 억제 볼트의 외측 나사홈과 맞물리는 나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내부 관통홀에 상기 서지 억제 볼트의 외측면이 결합되며, 상기 서지 억제 너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서지 억제 너트의 위치는 상기 서지 억제 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 억제 너트는 하부 끝단에 상기 서지 억제 너트의 내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풀림 방지 홈을 구비하는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방지 홈은 곡면을 가지며, 상기 풀림 방지홈의 폭은 상기 서지억제 너트의 제3 내부 관통홀의 직경보다 작은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 억제 볼트에 구비된 상기 클램프 삽입홈의 폭은 상기 클램프의 두께보다 큰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끝단은 상기 플랜지 너트와 상기 서지 억제 볼트 사이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끝단은 상기 클램프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 너트와 상기 서지 억제 볼트 사이에서 고정되는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 억제 볼트는 상기 제2 내부 관통홀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되,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볼트 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서지 억제 너트는 상기 제3 내부 관통홀 중 상기 볼트 고정홀에 대응되는 부분에 너트 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 고정홀과 상기 너트 고정홀에는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서지억제 너트가 상기 서지 억제 볼트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 억제 볼트는 상기 제2 내부 관통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서지 억제 너트는 상기 서지 억제 너트의 제3 내부 관통홀 중 상기 서지 억제 볼트의 고정용 돌기에 대응되는 부분에 너트 고정홀을 구비하되,
    상기 너트 고정홀은 상기 서지 억제 너트의 길이 방향에 사선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너트 고정홀의 끝부분에는 상기 고정용 돌기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돌기 고정부가 구비되는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 억제 너트는
    상부에 상기 서지 억제 볼트의 제2 내부 관통홀의 나사홈에 맞물리는 상부 나사홈을 구비하고,
    하부에 상기 상부 나사홈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부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 억제 너트는
    상부에 상기 서지 억제 볼트의 상기 제2 내부 관통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지지대의 나사홈에 맞물리는 나사홈이 구비된 내부 관통홈을 구비하고,
    하부에 내부 관통홈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부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KR1020190047196A 2019-04-23 2019-04-23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KR102199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196A KR102199647B1 (ko) 2019-04-23 2019-04-23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196A KR102199647B1 (ko) 2019-04-23 2019-04-23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969A KR20200123969A (ko) 2020-11-02
KR102199647B1 true KR102199647B1 (ko) 2021-01-07

Family

ID=7339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196A KR102199647B1 (ko) 2019-04-23 2019-04-23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6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8432A1 (de) * 1991-03-15 1992-09-17 Hilti Ag Hoehenverstellbare rohrabhaengung
DE10041223A1 (de) * 2000-08-22 2002-03-21 Mefa Befestigungs Und Montages Rohrabhäng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8432A1 (de) * 1991-03-15 1992-09-17 Hilti Ag Hoehenverstellbare rohrabhaengung
DE10041223A1 (de) * 2000-08-22 2002-03-21 Mefa Befestigungs Und Montages Rohrabhäng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969A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361B2 (en) Mullion splice joint design
JP7193179B2 (ja) ブラケット
EP0499854B1 (en) Seismic expansion joint cover
US20050217203A1 (en) Multi-piece attachment mounting clamp for trapezoidal rib profile panels
US6971623B2 (en) Fitting for building structures and the like
KR101341438B1 (ko) 커튼월 시스템
US7967272B2 (en) Industrial hangers for fram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199647B1 (ko) 배관용 내진 클램프 시스템
JP3898010B2 (ja) ガラス板の支持金具および支持構造
KR102070238B1 (ko)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KR200205624Y1 (ko) 석재판넬 부착장치
KR101752881B1 (ko) 벽체 마감장치
JP2020076252A (ja) 建築用金具
US6471000B2 (en) Safety harness and ladder assembly
JP3968339B2 (ja) 開放防止柵
KR100592714B1 (ko) 난간대용 지주장치
US5125761A (en) Seismic hold down device
CA3168235A1 (en) Fire stop installation at top plate of tie-down system
CN217440984U (zh) 防震动j型毛毡管夹
JP3675700B2 (ja) ガラス板の支持金具および支持構造
JP3381906B2 (ja) ガラス板の支持構造
KR102620132B1 (ko) 수직 연결유닛이 적용된 타워형 안전작업대
JPS5833289Y2 (ja) 合成樹脂板の取付け構造
JPS6221605Y2 (ko)
JP2811181B2 (ja) 建物の振れ止めアンカ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