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238B1 -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 Google Patents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238B1
KR102070238B1 KR1020190046732A KR20190046732A KR102070238B1 KR 102070238 B1 KR102070238 B1 KR 102070238B1 KR 1020190046732 A KR1020190046732 A KR 1020190046732A KR 20190046732 A KR20190046732 A KR 20190046732A KR 102070238 B1 KR102070238 B1 KR 102070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lamp
lower support
beam clamp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식
김상문
김상현
Original Assignee
김상문
김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문, 김상현 filed Critical 김상문
Priority to KR1020190046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빔의 플랜지에 결합되는 클램프에 의해 스크래치나 비산먼지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과정에서 클램프를 구성하는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빔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빔의 플랜지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지지판과, 상기 빔의 웨브를 중심으로 양측의 플랜지 상부에 밀착되는 상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판에 대해 상기 상부지지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BEAM CLAMP WITH MEANS THAT PREVENTS FROM ESCAPING}
본 발명은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빔의 플랜지에 결합되는 클램프에 의해 스크래치나 비산먼지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과정에서 클램프를 구성하는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에는 급수관, 온수관, 우수관, 하수관, 오수관, 가스관 등 각종 배관이 설치되는데, 특히 천장에 에이치빔 또는 아이빔이 설치된 경우에는 빔 클램프 등을 이용해서 배관을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빔 클램프의 일예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48662호 "빔 클램프"에서 찾아 볼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빔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빔 클램프는, 일측의 나선공(1aa) 상에 체결되는 전산볼트(3)를 구비하고, 양측 가장자리에 다수의 하단톱니(1ab)가 형성되는 하단부(1a)와, 상기 하단부(1a)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조임볼트(2)가 상단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1ba)상에 체결되고, 양측 가장자리에 다수의 상단톱니(1ba)가 형성된 상단부(1b)를 포함하는 대략 'ㄷ' 자 형태를 이루는 본체(1); 빔(4)과 상기 본체(1)를 결합시키는 조임볼트(2); 및 배관(6)을 적재하는 채널(Channel)(5)과 상기 본체(1)를 연결하는 전산볼트(3)를 포함한다.
따라서, 빔(4)의 일측에 빔 클랩프의 본체(1)에서 개구 부위를 끼워 넣고, 상단부의 관통공(1ba)을 통해 조임볼트(2)를 삽입하여 체결시키게 되면, 본체(1)와 빔(4)이 결합되고, 전산볼트(3)의 일단은 본체(1)의 하단부(1a)에 형성된 나선공(1aa)을 통해 삽입하여 체결시키고, 타단은 채널(5)의 일측과 체결시킴으로써, 빔(4)에 대하여 배관(6)이 적재된 채널(5)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빔 클램프는, 빔(4)의 플랜지에 본체(1)에 형성된 상단톱니(1ba) 및 하단톱니(1ab)와 조임볼트(2)에 의해 빔(1)의 플랜지에 스크래치 및 비산먼지 등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어 클린룸(반도체 공장 등) 등에 설치하기에는 부적절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20-0457434호 "해양 구조물용 헬리콥터 데크의 클램프"는 설치시 스크래치 및 비산먼지는 방지할 수 있으나, 클램프를 구성하는 상부클램프와 하부클램프가 분리된 상태로 체결부재로 결합되어져 설치위치가 고가인 경우에는 작업자의 부주위로 인해 지면으로 낙하하는 경우 큰 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1: 등록특허 10-0948662호{등록일자 2010년03월12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빔의 플랜지에 결합되는 클램프에 의해 스크래치나 비산먼지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과정에서 클램프를 구성하는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는, 빔의 플랜지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지지판과, 상기 빔의 웨브를 중심으로 양측의 플랜지 상부에 밀착되는 상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판에 대해 상기 상부지지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하부지지판의 양측에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편과, 상기 절곡편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지지판의 양측면에 하방으로 절곡되어진 연결부와, 상기 절곡편 및 연결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되는 이탈방지용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관통공은 장공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지지판의 저면에 접면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판은, 상기 빔의 웨브 방향으로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판은, 전,후면에 절곡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판의 하부에는 연결브라켓이 결합되어진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는, 빔의 플랜지에 결합되는 상, 하부지지판을 면접촉되도록 하고, 하부지지판에 대해서 상부지지판을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플랜지에 결합되는 클램프에 의해 스크래치나 비산먼지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과정에서 클램프를 구성하는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빔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에 빔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에 빔이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가 적용된 배관지지가대가 빔에 대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가 적용된 배관지지가대가 빔에 대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에 빔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에 빔이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가 적용된 배관지지가대가 빔에 대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가 적용된 배관지지가대가 빔에 대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빔은 H, I형상의 빔이며, 상기 빔은 대략 중심을 이루는 수직방향의 웨브(web)와 상기 웨브의 일측 및 타측단에서 양측으로 동일한 길이가 연장된 플랜지(flange)가 각각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100)는, 하부지지판(10), 상부지지판(20), 체결부재(30) 및 이탈방지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지지판(10)은, 빔(200)의 플랜지(220) 하부에 밀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판(10)은, 전,후면에 절곡부(11)를 형성하도록 하여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판(10)의 하부에는 연결브라켓(12)이 결합되어져 배관지지가대(300)가 설치되어진다.
상기 상부지지판(20)은, 상기 빔(200)의 웨브(210)를 중심으로 양측의 플랜지(220) 상부에 밀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판(20)은, 상기 빔(200)의 웨브(210) 방향으로 상향 경사면(21)을 형성하도록 하여 빔(200)의 플랜지(220) 상에 스크래치 및 비산먼지를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0)는, 상기 하부지지판(10)과 상부지지판(20)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수단(40)은, 상기 하부지지판(10)에 대해 상기 상부지지판(2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판(10)의 양측에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편(41)과, 상기 절곡편(41)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지지판(20)의 양측면에 하방으로 절곡되어진 연결부(42)와, 상기 절곡편(41) 및 연결부(42) 형성된 관통공(42a)에 체결되는 이탈방지용 체결부재(43)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42)의 관통공(42a)은 장공으로 이루어져 이탈방지용 체결부재(43)가 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부(42)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지지판(10)의 저면에 접면되도록 하여 체결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100)는, 건물의 철골구조물로 사용되는 H, I형상의 빔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H 형상의 빔(200)에 설치된 상태를 일예로 설명한다.
빔(200)의 플랜지(220) 하부에 하부지지판(10)을 위치시키되, 상기 하부지지판(10)에는 상부지지판(20)이 이탈방지수단(40)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하부지지판(10)의 절곡편(41)과 상부지지판(20)의 연결부(42)에 형성된 관통공(42a)에 이탈방지용 체결부재(43)가 결합되어져 있고, 상기 상부지지판(20)의 연결부(42)에 형성된 관통공(42a)이 장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지지판(20)이 좌,우로 이동가능함과 아울러 이탈방지용 체결부재(43)를 중심으로 상부지지판(20)이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평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설치시 하부지지판(10)과 상부지지판(20)이 분리되어 낙하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판(10)과 상부지지판(20) 사이에 빔(00)의 플랜지(22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상,하부지지판(20)(10)을 결합하게 되어 종래와 같이 체결부재(30)가 빔(200)의 플랜지(220)에 접촉되지 않게 되어 스크래치나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하여 클린룸 등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판(10)의 연결부(42)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지지판(10)의 저면에 접면되도록 하여 체결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판(10)의 형성된 연결브라켓(12)에 배관이 안착되어지는 배관지지가대(300)를 설치하게 되며, 배관지지가대(300)에는 배관이 안착되어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0: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10: 하부지지판 11: 절곡부
12: 연결브라켓 20: 상부지지판
21: 상향 경사면
30: 체결부재 40: 이탈방지수단
41: 절곡편 42: 연결부
42a: 관통공 43: 이탈방지용 체결부재
200: 빔 210: 웨브
220: 플랜지 300: 배관지지가대

Claims (7)

  1. 빔의 플랜지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지지판과,
    상기 빔의 웨브를 중심으로 양측의 플랜지 상부에 밀착되는 상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판에 대해 상기 상부지지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이 형성되되,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하부지지판의 양측에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편과,
    상기 절곡편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지지판의 양측면에 하방으로 절곡되어진 연결부와,
    상기 절곡편 및 연결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되는 이탈방지용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관통공은 장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지지판의 저면에 접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은, 상기 빔의 웨브 방향으로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판은, 전,후면에 절곡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판의 하부에는 연결브라켓이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KR1020190046732A 2019-04-22 2019-04-22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KR102070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732A KR102070238B1 (ko) 2019-04-22 2019-04-22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732A KR102070238B1 (ko) 2019-04-22 2019-04-22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238B1 true KR102070238B1 (ko) 2020-01-29

Family

ID=6932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732A KR102070238B1 (ko) 2019-04-22 2019-04-22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2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094B1 (ko) * 2020-08-13 2021-02-10 성화시스템챤넬(주) 빔고정용 배관지지가대
KR20210150845A (ko) 2020-06-04 2021-12-13 성화시스템챤넬(주) 건축물의 천정에 대한 랙 모듈러 고정용 빔 클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62B1 (ko) 2008-06-25 2010-03-18 이점용 빔 클램프
US20160138634A1 (en) * 2014-11-14 2016-05-19 Cooper Technologies Company Beam clamp for strut channel
KR101876317B1 (ko) * 2018-03-05 2018-07-09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빔 클램프
KR20180127127A (ko) * 2017-05-19 2018-11-28 고천석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62B1 (ko) 2008-06-25 2010-03-18 이점용 빔 클램프
US20160138634A1 (en) * 2014-11-14 2016-05-19 Cooper Technologies Company Beam clamp for strut channel
KR20180127127A (ko) * 2017-05-19 2018-11-28 고천석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
KR101876317B1 (ko) * 2018-03-05 2018-07-09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빔 클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845A (ko) 2020-06-04 2021-12-13 성화시스템챤넬(주) 건축물의 천정에 대한 랙 모듈러 고정용 빔 클램프
KR102215094B1 (ko) * 2020-08-13 2021-02-10 성화시스템챤넬(주) 빔고정용 배관지지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83443A1 (en) Universal structural attachment for seismic brace
US7784746B2 (en) Mounting structure for fire protection systems
KR102070238B1 (ko)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US7967272B2 (en) Industrial hangers for fram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498341B1 (ko) 설비 배관 지지용 가대 구조물
US5259165A (en) Supporting metal fittings for double beams
KR102097694B1 (ko) 빔 클램프
KR20150022502A (ko) 빔용 클램프
JP5156153B2 (ja) 配設体支持具
KR102420849B1 (ko)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KR20170000106U (ko) 벽체프레임 이탈 방지용 고정 브라켓
JPH11241312A (ja) 高架道路等の桁下裏面側の足場兼用吸音システムの歩廊材取付け構造
JP2714804B2 (ja) 床パネルの固定装置
KR102398730B1 (ko) 저층고용 종/횡방향 겸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JP2000027429A (ja) 足場固定用金物
KR102587352B1 (ko) 배관 연결장치 어댑터
JP2816046B2 (ja) ガイドレール取付装置
JP7425706B2 (ja) 通気管の立ち上げ部設置方法、立ち上げ部支持具、通気管の立ち上げ部支持構造
JP7483275B1 (ja) 部材連結具
JP2003090100A (ja) 天井吊ボルト連結金具
JP2000120936A (ja) 架台用固定補助具
JP2023042260A (ja) 外壁取付金具、外壁取付構造、及び外壁取付構造の施工方法。
JP3101263U (ja) 防火水槽蓋
JP2017166144A (ja) 勾配屋根における吊り天井下地構造及び既存吊り天井の下地改修方法
KR20220020234A (ko) 내진용 가새 부착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