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127A -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127A
KR20180127127A KR1020170062580A KR20170062580A KR20180127127A KR 20180127127 A KR20180127127 A KR 20180127127A KR 1020170062580 A KR1020170062580 A KR 1020170062580A KR 20170062580 A KR20170062580 A KR 20170062580A KR 20180127127 A KR20180127127 A KR 20180127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e
sliding plate
flange
bent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977B1 (ko
Inventor
고천석
손영근
문종현
Original Assignee
고천석
문종현
손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천석, 문종현, 손영근 filed Critical 고천석
Priority to KR102017006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97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류벽에 설치된 H빔 형태의 띠장, 상기 띠장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띠장을 지지하도록 체결되는 잭스크류 및 버팀보가 구비된 띠장 지지용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잭스크류(10)의 타측에 버팀보(13)가 결합되고, 상기 잭스크류(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부측에는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상부측(U)에 걸리도록 절곡된 걸림결합부(110)가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하부측(L)과 체결 고정되도록 고정부(120)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00)가 구비된다.

Description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Supporting structure for wale of soil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지지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띠장을 지지하는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흙막이 가시설을 건설하는 경우, 횡방향 토압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토류벽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토류벽을 지지하기 위하여 토류벽의 상단에는 띠장이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띠장 사이에는 잭스크류 및 버팀보가 설치되어, 토류벽 및 띠장을 횡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에 사용되는 띠장을 지지하기 위한 잭스크류 및 버팀보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흙막이 가시설의 토압을 지지하는 토류벽(W) 상단에는 각각 H빔 형태의 띠장(11,12)이 설치되며, 각 띠장(11,12) 사이는 잭스크류(10) 및 버팀보(13)에 의하여 지지되게 된다.
즉, 서로 대향되는 양측의 띠장(11,12) 사이에는 잭스크류(10) 및 버팀보(13)가 체결되어, 각 띠장(11,12)을 토류벽(W) 측으로 지지하여 토류벽(W)에 작용하는 횡방향 토압 등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 같은 잭스크류(10) 및 버팀보(13)는 볼팅결합을 통해 띠장(11,12)에 체결되게 된다.
즉, 양측의 띠장(11,12)에 각각 드릴로 체결홀을 천공하고, 잭스크류(10) 및 버팀보(13)를 상기와 같은 체결홀에 볼팅결합 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일일이 띠장(11,12) 체결홀을 천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로 인해 잭스크류(10) 및 버팀보(13)를 띠장(11,12)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드릴로 천공한 띠장(11,12)은 다시 재사용이 불가하여, 불필요하게 자재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띠장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띠장 지지용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류벽에 설치된 H빔 형태의 띠장, 상기 띠장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띠장을 지지하도록 체결되는 잭스크류 및 버팀보가 구비된 띠장 지지용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잭스크류(10)의 타측에 버팀보(13)가 결합되고, 상기 잭스크류(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부측에는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상부측(U)에 걸리도록 절곡된 걸림결합부(110)가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하부측(L)과 체결 고정되도록 고정부(120)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단이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하단보다 하부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21)와, 상기 연장부(121)에서 일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22)와, 상기 절곡부(122)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22-1)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의 상단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스토퍼(123-1)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가 하부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스토퍼(123-1)에 의해 절곡부(122)에 걸려 슬라이딩홈(122-1)에서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가 상부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가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하부측과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의 상부측에 제1고정홈(H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 하부측과 상기 연장부(121)에는 체결홈(H2,H3)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결합부(11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상단이 'ㄷ'자 형태로 하향 절곡되며, 상기 걸림결합부(110)에서 하향 절곡된 하향절곡부(111)에는 상기 걸림결합부(110)가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상부측(U)과 밀착 고정되도록 제2고정홈(H4)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띠장에 체결홀을 천공할 필요가 없어 손상을 가하지 않아도 되고, 띠장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볼팅결합을 위한 드릴링 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성이 우수하며,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와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결합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와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결합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수치한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와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결합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와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결합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와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수치한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띠장 지지용 구조체는 토류벽(W)에 설치된 H빔 형태의 띠장(11,12), 상기 띠장(11,1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띠장(11,12)을 지지하도록 체결되는 잭스크류(10) 및 버팀보(1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잭스크류(10)는 띠장 지지용 구조체의 길이조절을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회전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이며, 통상적인 잭스크류(jack screw)와 동일 유사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잭스크류(10)의 타측에 버팀보(13)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잭스크류(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부측에는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상부측(U)에 걸리도록 절곡된 걸림결합부(110)가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하부측(L)과 체결 고정되도록 고정부(120)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단이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하단보다 하부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21)와, 상기 연장부(121)에서 일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22)와, 상기 절곡부(122)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22-1)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의 상단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스토퍼(123-1)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가 하부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스토퍼(123-1)에 의해 절곡부(122)에 걸려 슬라이딩홈(122-1)에서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가 상부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가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하부측(L)과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의 상부측에 제1고정홈(H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 하부측과 상기 연장부(121)에는 체결홈(H2,H3)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H2,H3)의 일측에는 고정 볼트가 삽입 체결되며, 고정 볼트가 삽입되어 너트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홈(H1)의 일측에는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가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하부측(L)과 밀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 걸림결합부(11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상단이 'ㄷ'자 형태로 하향 절곡되며, 상기 걸림결합부(110)에서 하향 절곡된 하향절곡부(111)에는 상기 걸림결합부(110)가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상부측(U)과 밀착 고정되도록 제2고정홈(H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홈(H4)의 일측에는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결합부(110)가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상부측(U)과 밀착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띠장 지지용 구조체에 의해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에 사용되는 띠장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띠장 지지용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과 같이 띠장(11,12)에 체결홀을 천공할 필요가 없어 띠장(11,12)에 손상을 가하지 않아도 되고, 띠장(11,12)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볼팅결합을 위한 드릴링 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성이 우수하며,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하향절곡부(111)의 하단면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의 상단면 사이의 거리(L2)는 상기 띠장(11)의 플랜지의 길이(L3) 보다 크게(L2>L3)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향절곡부(111)의 하단면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의 상단면 사이의 거리(L2)는 상기 걸림결합부(110)와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상단부와 접촉되는 접촉면(112)과 상기 하향절곡부(111)의 하단면 사이의 거리(L1)보다 크게(L2>L1)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결합부(110)와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상단부와 접촉되는 접촉면(112)과 상기 하향절곡부(111)의 하단면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하단면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의 상단면 사이의 거리(L4)보다 작거나 같게(L1<=L4)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121)의 체결홈(H3)의 중심축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의 상단면 사이의 거리(L5)와 상기 연장부(121)의 체결홈(H3)의 반지름(D1/2)을 더한값(L5+D1/2)은 상기 걸림결합부(110)와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상단부와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하향절곡부(111)의 하단면 사이의 거리(L1) 보다 작게(L5+D1/2<L1) 형성된다.
따라서 띠장(11)에 상기 지지플레이트(10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를 지지플레이트(100)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21)의 체결홈(H3)을 상기 띠장의 플랜지 하단부와 밀접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띠장(11)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잭스크류 11,12 : 띠장
13 : 버팀보 100 : 지지플레이트
110 : 걸림결합부 111 : 하향절곡부
120 : 고정부 121 : 연장부
122 : 절곡부 122-1 : 슬라이딩홈
123 : 슬라이딩 플레이트 123-1 : 스토퍼

Claims (6)

  1. 토류벽에 설치된 H빔 형태의 띠장, 상기 띠장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띠장을 지지하도록 체결되는 잭스크류 및 버팀보가 구비된 띠장 지지용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잭스크류(10)의 타측에 버팀보(13)가 결합되고,
    상기 잭스크류(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부측에는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상부측(U)에 걸리도록 절곡된 걸림결합부(110)가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하부측(L)과 체결 고정되도록 고정부(120)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지지용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하단이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하단보다 하부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21)와,
    상기 연장부(121)에서 일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22)와,
    상기 절곡부(122)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22-1)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지지용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의 상단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스토퍼(123-1)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가 하부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스토퍼(123-1)에 의해 절곡부(122)에 걸려 슬라이딩홈(122-1)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지지용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가 상부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가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하부측과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의 상부측에 제1고정홈(H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23) 하부측과 상기 연장부(121)에는 각각 체결홈(H2,H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지지용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결합부(11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상단이 'ㄷ'자 형태로 하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지지용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결합부(110)에서 하향 절곡된 하향절곡부(111)에는 상기 걸림결합부(110)가 상기 띠장(11)의 플랜지 상부측(U)과 밀착 고정되도록 제2고정홈(H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지지용 구조체.
KR1020170062580A 2017-05-19 2017-05-19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 KR102027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580A KR102027977B1 (ko) 2017-05-19 2017-05-19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580A KR102027977B1 (ko) 2017-05-19 2017-05-19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127A true KR20180127127A (ko) 2018-11-28
KR102027977B1 KR102027977B1 (ko) 2019-10-02

Family

ID=6456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580A KR102027977B1 (ko) 2017-05-19 2017-05-19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238B1 (ko) * 2019-04-22 2020-01-29 김상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WO2020130565A1 (ko) * 2018-12-18 2020-06-25 임세춘 흙막이 벽체용 필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882A (ja) * 1993-09-13 1995-03-28 Aruinko Kk 足場等の部材連結装置
KR20090064775A (ko) * 2007-12-17 2009-06-22 홍은수 발코니 확장형 윌타이 브라켓
KR20130002122U (ko) * 2011-09-27 2013-04-04 윤희정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882A (ja) * 1993-09-13 1995-03-28 Aruinko Kk 足場等の部材連結装置
KR20090064775A (ko) * 2007-12-17 2009-06-22 홍은수 발코니 확장형 윌타이 브라켓
KR20130002122U (ko) * 2011-09-27 2013-04-04 윤희정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565A1 (ko) * 2018-12-18 2020-06-25 임세춘 흙막이 벽체용 필러
KR102070238B1 (ko) * 2019-04-22 2020-01-29 김상문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빔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977B1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2464A1 (en) Lining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fastening lining elements to a support structure
KR20180127127A (ko)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
KR20190060956A (ko) 매입형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1404938B1 (ko) 펀칭작업이 필요없는 개선된 세트 앵커볼트
AU2019230746B2 (en) Cover band of steel pipe strut connector, steel pipe strut connector having same, and steel pipe strut assembly
AU2019444153B2 (en) Strut connector
KR20200115799A (ko) 보강지지대가 구비된 외벽 고정용 앵커
JP2006207286A (ja) 芯出し機能付き螺旋杭
US10519686B2 (en) Supporting post improvements
JP6361201B2 (ja) 杭保持装置
KR100949195B1 (ko) 이형철근의 정착구
KR200275103Y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서포트파이프 고정 및 보강구조
US11326321B2 (en) Height-adjustable fixtures for buried tubulars and methods of adjusting the height-adjustable fixtures
JP5992562B2 (ja) 埋設筐
JP3159676B2 (ja) 沓及び桁並びに沓をもちいた架設方法
CN219139594U (zh) 抗上浮装置
EP0725219A1 (en) Anchoring device
JP4485919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据え付けのための施工方法及び同方法に使用する支持金具
KR100737224B1 (ko) 맨홀높이 가변용 고정링
JP2022094529A (ja) ワンタッチ固定式ロックボルト
KR101249921B1 (ko) 탈부착형 응력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구조 시공방법
JP2015172307A (ja) マンホールに接続する下水道本管の取付装置
KR200379811Y1 (ko) 구조물 위치 조절 장치
KR200404259Y1 (ko) 맨홀높이 가변용 고정링
KR20000009027U (ko) 기둥 보수용 지주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