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122U -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 Google Patents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122U
KR20130002122U KR2020110008648U KR20110008648U KR20130002122U KR 20130002122 U KR20130002122 U KR 20130002122U KR 2020110008648 U KR2020110008648 U KR 2020110008648U KR 20110008648 U KR20110008648 U KR 20110008648U KR 20130002122 U KR20130002122 U KR 201300021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ece
support
fixing plate
fixing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055Y1 (ko
Inventor
윤희정
Original Assignee
윤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정 filed Critical 윤희정
Priority to KR2020110008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05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1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1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0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잭스크류부; 잭스크류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단이 소정정도 절곡되어 토류벽에 설치된 제 1 띠장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끼움결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제 1 고정편 체결홀이 형성된 제 1 고정플레이트; 제 1 고정편 체결홀에 체결되어, 제 1 고정플레이트를 제 1 띠장에 밀착 고정시키는 제 1 고정편; 잭스크류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버팀보; 버팀보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단이 소정정도 절곡되어 제 1 띠장과 대향하는 제 2 띠장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 끼움결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제 2 고정편 체결홀이 형성된 제 2 고정플레이트; 및 제 2 고정편 체결홀에 체결되어, 제 2 고정플레이트를 제 2 띠장에 밀착 고정시키는 제 2 고정편;을 포함하는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SUPPORTING UNIT FOR WALE}
본 고안은 서포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에 사용되는 띠장를 지지하는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흙막이 가시설을 건설하는 경우, 횡방향 토압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토류벽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토류벽을 지지하기 위하여, 토류벽의 상단에는 띠장이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띠장 사이에는 잭서포트 및 버팀보가 설치되어, 토류벽 및 띠장을 을 횡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에 사용되는 띠장을 지지하기 위한 잭서포트 및 버팀보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흙막이 가시설의 토압을 지지하는 토류벽(W) 상단에는 각각 H빔 형태의 띠장(11, 12)이 설치되며, 각 띠장(11, 12) 사이는 잭서포트(10) 및 버팀보(13)에 의하여 지지되게 된다. 즉, 서로 대향되는 양측의 띠장(11, 12) 사이에는 잭서포트(10) 및 버팀보(13)가 체결되어, 각 띠장(11, 12)을 토류벽(W) 측으로 지지하여 토류벽(W)에 작용하는 횡방향 토압 등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잭서포트(10) 및 버팀보(13)는 볼팅결합을 통해 띠장(11, 12)에 체결되게 된다. 즉, 양측의 띠장(11, 12)에 각각 드릴로 체결홀을 천공하고, 잭서포트(10) 및 버팀보(13)를상기와 같은 체결홀에 볼팅결합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일일이 띠장(11, 12) 체결홀을 천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잭서포트(10) 및 버팀보(13)를 띠장(11, 12)에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드릴 사용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드릴로 천공한 띠장(11, 12)은 다시 재사용이 불가하여, 불필요하게 자재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에 사용되는 띠장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잭스크류부; 상기 잭스크류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단이 소정정도 절곡되어 토류벽에 설치된 제 1 띠장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끼움결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제 1 고정편 체결홀이 형성된 제 1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 1 고정편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를 상기 제 1 띠장에 밀착 고정시키는 제 1 고정편; 상기 잭스크류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버팀보; 상기 버팀보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단이 소정정도 절곡되어 상기 제 1 띠장과 대향하는 제 2 띠장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 끼움결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제 2 고정편 체결홀이 형성된 제 2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고정편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를 상기 제 2 띠장에 밀착 고정시키는 제 2 고정편;을 포함하는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끼움결합부는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의 상단이 'ㄷ'자 형태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끼움결합부는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의 상단이 'ㄷ'자 형태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끼움결합부에는 상기 제 1 띠장에 설치된 제 1 스티프너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제 1 스티프너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끼움결합부에는 상기 제 2 띠장에 설치된 제 2 스티프너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제 1 스티프너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편 체결홀은 복수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 1 고정편체결홀은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편 체결홀은 복수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 2 고정편체결홀은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편은 'ㄴ'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띠장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편은 'ㄴ'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 2 띠장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은 제 1, 2 고정플레이트가 각각 제 1, 2 띠장에 끼움 결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즉, 종래와 같이 띠장에 볼팅결합을 위한 체결홀을 드릴링하는 한편, 상기 체결홀에 각각 잭서포트 및 버팀보를 볼팅결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띠장에 별도의 체결홀을 천공하여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띠장에 불필요한 손상을 가하지 않으며, 제 1, 2 띠장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덧붙여, 볼팅결합을 위한 드릴링 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성이 우수하며, 드릴링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에 사용되는 띠장을 지지하기 위한 잭서포트 및 버팀보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명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100)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100)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100)는, 잭스크류부(110)와, 잭스크류부(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 1 고정플레이트(120)와, 제 1 고정플레이트(120)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120)를 제 1 띠장(11, 도 5 참고)에 밀착 고정시키는 제 1 고정편(130)과, 상기 잭스크류뷰(110)의 타측에 마련되는 버팀보(140)와, 상기 버팀보(14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 2 고정플레이트(150)와,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150)에 체결되어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150)를 제 2 띠장(12, 도 5 참고)에 밀착 고정시키는 제 2 고정편(160)을 포함한다.
잭스크류부(110)는, 띠장 지지용 서포팅유닛(100)의 길이조절을 위한 것으로, 한 쌍의 베이스부(111, 112), 길이조절스크류(113), 회전핸들(114)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부(111, 112)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내측에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길이조절스크류(113)와 나합된다. 길이조절스크류(113)는 한 쌍의 베이스부(111, 112) 사이에 배치되며, 외면에 수나사부(113a)가 형성되어 각각의 베이스부(111, 112)와 나합된다. 회전핸들(114)은 내측에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길이조절스크류(113)에 나합되며,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돌출부(114a)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잭스크류부(110)는, 작업자가 회전핸들(114)을 회전시킴으로써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이며, 통상적인 잭스크류(jack screw)와 동일유사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제 1 고정플레이트(120)는 잭스크류부(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띠장 지지용 서포팅유닛(100)을 제 1 띠장(1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플레이트(120)는 잭스크류부(110)의 베이스부(111)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단이 소정정도 절곡되어 제 1 띠장(1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고정플레이트(120)가 볼팅결합을 통해 잭스크류부(110)의 베이스부(111)에 결합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제 1 고정플레이트(120)는 용접결합 등을 통해 잭스크류부(110)의 베이스부(111)와 결합될 수도 있으며, 잭스크류부(110)의 베이스부(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 1 끼움결합부(121)는 제 1 고정플레이트(120)의 상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제 1 띠장(11)의 상단에 끼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 1 끼움결합부(121)는 제 1 고정플레이트(120)의 상단이 'ㄷ'자 형태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제 1 고정플레이트(120)의 상단이 절곡되어 형성된 홈으로 제 1 띠장(11)의 상단이 끼움 결합되게 된다.
또한, 제 1 끼움결합부(121)에는 제 1 띠장(11)에 설치된 제 1 스티프너(13)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제 1 스티프너 끼움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흙막이 구조물의 토류벽을 지지하는 제 1 띠장(11)의 경우, 구조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가로방향의 보강부재인 제 1 스티프너(11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스티프너(11a) 부위는 제 1 띠장(11)의 다른 부위에 비해 구조강도가 우수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띠장 지지용 서포팅유닛(100)은 제 1 스티프너 끼움홈(122)이 형성되어 상기와 같은 제 1 스티프너(11a) 부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 1, 2 띠장(11, 12) 사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 고정플레이트(120)의 하부 측에는 제 1 고정편(130)을 체결시키기 위한 제 1 고정편 체결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편 체결홀(123)에는 고정볼트(131) 및 너트(132)가 체결되어 후술한 제 1 고정편(130)이 제 1 고정플레이트(120)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제 1 고정편 체결홀(123)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 1 고정편 체결홀(123)이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 1 띠장(11)의 상하높이에 따라 대응되는 제 1 고정편 체결홀(123)에 제 1 고정편(130)을 체결할 수 있으므로, 제 1 띠장(11)의 규격이 다소 상이한 경우에도 띠장 지지용 서포팅유닛(100)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 1 고정편(130)은 상기와 같은 제 1 고정플레이트(120)의 하부측에 체결되어 제 1 고정플레이트(120)를 제 1 띠장(11)에 밀착 고정시킨다. 즉, 제 1 고정플레이트(120) 상단의 제 1 끼움결합부(121)가 제 1 띠장(11)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면, 제 1 고정플레이트(120)의 하부측은 별도의 고정수단이나 지지수단이 없어 제 1 띠장(11)과 밀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띠장 지지용 서포팅유닛(100)이 제 1 띠장(11)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고정편(130)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볼트(131) 및 너트(132)를 통해 제 1 고정플레이트(120)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 1 고정편 체결홀(123)에 체결됨으로써, 제 1 고정플레이트(120)의 하부측을 제 1 띠장(11)에 밀착 고정시킨다. 따라서 제 1 고정편(130)은 띠장 지지용 서포팅유닛(100)이 제 1 띠장(1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고정편(130)은 'ㄴ'자 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일측이 고정볼트(131) 및 너트(132)를 통해 제 1 고정플레이트(120)와 결합되고, 타측은 제 1 띠장(11)의 후면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고정편(130)의 일측에는 고정볼트(131)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체결홀로 고정볼트(131)가 삽입되어 제 1 고정편(130)이 제 1 고정플레이트(120)에 결합되게 된다.
한편, 버팀보(140)는 잭스크류부(110)의 타측에 마련되어, 제 2 띠장(12)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잭스크류부(110)의 일측에는 제 1 고정플레이트(120)가 마련되어 제 1 띠장(11)과 결합되게 되며, 잭스크류부(110)의 타측에는 버팀보(1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버팀보(140)는 볼팅결합이나 용접결합 등을 통해 잭스크류부(110)의 베이스부(112)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버팀보(140)는 잭스크류부(110)의 베이스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버팀보(140)의 일측에는 제 2 고정플레이트(150)가 마련된다. 제 2 고정플레이트(150)는 버팀보(140)의 일측에 마련되어 띠장 지지용 서포팅유닛(100)을 제 2 띠장(12)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제 1 고정플레이트(120)와 대응된다.
이때, 제 2 고정플레이트(150)는 상단이 소정정도 절곡되어 제 2 띠장(12)에 끼움 결합되는 제 2 끼움결합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 2 고정플레이트(150)가 볼팅결합을 통해 버팀보(140)의 일단부에 결합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제 2 고정플레이트(150)는 용접결합 등을 통해 버팀보(140)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버팀보(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끼움결합부(151)는 제 2 고정플레이트(150)의 상단이 'ㄷ'자 형태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 2 고정플레이트(150)의 상단이 절곡되어 형성된 홈으로 제 2 띠장(12)의 상단이 끼움 결합되게 된다. 또한, 제 2 끼움결합부(151)에는 제 2 띠장(12)에 설치된 제 2 스티프너(12a)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제 2 스티프너 끼움홈(15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고정플레이트(150)의 하부 측에는 제 2 고정편(160)을 체결시키기 위한 제 2 고정편 체결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고정편 체결홀(153)에는 고정볼트(161) 및 너트(162)가 체결되어 후술할 제 2 고정편(160)이 제 2 고정플레이트(150)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제 2 고정편 체결홀(153)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 2 고정편 체결홀(153)이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 2 띠장(12)의 상하높이에 따라 대응되는 제 2 고정편 체결홀(153)에 제 1 고정편(160)을 체결할 수 있으므로, 제 2 띠장(12)의 규격이 다소 상이한 경우에도 띠장 지지용 서포팅유닛(100)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 2 고정편(160)은 상기와 같은 제 2 고정플레이트(150)의 하부측에 체결되어 제 2 고정플레이트(150)를 제 2 띠장(12)에 밀착 고정시킨다. 즉, 제 2 고정편(160)은 고정볼트(161) 및 너트(162)를 통해 제 2 고정플레이트(150)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 2 고정편 체결홀(153)에 체결됨으로써, 제 2 고정플레이트(150)의 하부측을 제 2 띠장(12)에 밀착 고정시킨다.
이때, 제 2 고정편(160)은 'ㄴ'자 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일측이 고정볼트(161) 및 너트(162)를 통해 제 2 고정플레이트(150)와 결합되고, 타측은 제 2 띠장(12)의 후면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띠장 지지용 서포팅유닛(100)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띠장 지지용 서포팅유닛(100)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횡방향 토압을 지지하기 위하여 토류벽(W) 및 토류벽(W) 상단에 제 1, 2 띠장(11, 12)이 설치된다. 이때, 제 1, 2 띠장(11, 12)으로는 H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 1, 2 띠장(11, 12)의 구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제 1, 2 스티프너(11a, 12a)가 각각 제 1, 2 띠장(11, 12)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토류벽(W) 및 제 1, 2 띠장(11, 12)이 설치되면, 작업자는 크레인(미도시) 등을 사용하여 서로 대향하는 제 1, 2 띠장(11, 12) 사이로 띠장 지지용 서포팅유닛(100)을 횡방향 배치시킨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크레인 등을 사용해 띠장 지지용 서포팅유닛(100)를 서서히 내려, 제 1, 2 고정플레이트(120, 150)에 마련된 제 1, 2 끼움결합부(121, 151)에 각각 제 1, 2 띠장(11, 12)의 상단을 끼움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 1, 2 끼움결합부(121, 151)가 각각 제 1, 2 띠장(11, 12) 상단에 끼움 결합되면, 작업자는 잭스크류부(110)의 회전핸들(114)을 돌려 띠장 지지용 서포팅유닛(100)의 길이를 조절하고, 대향하는 제 1, 2 띠장(11, 12)을 횡방향으로 밀어 토압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잭스크류부(110)의 조절이 완료되면, 제 1, 2 고정편(130, 160)를 각각 제 1, 2 고정플레이트(120, 150)에 체결한다. 즉, 고정볼트(131) 및 너트(132)를 통해 제 1 고정편(130)을 제 1 고정플레이트(120) 하단의 제 1 고정편 체결홀(123)에 체결시킨다. 제 2 고정편(160) 또한 상기와 유사하게 제 2 고정플레이트(150) 하단의 제 2 고정편 체결홀(153)에 체결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제 1, 2 띠장(11, 12)의 규격에 따라, 대응되는 제 1, 2 고정편 체결홀(123, 153)에 각각 제 1, 2 고정편(130, 150)을 체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띠장 지지용 서포팅유닛(100)은 다양한 규격의 제 1, 2 띠장(11, 12)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100)은, 제 1, 2 고정플레이트(120, 150)가 각각 제 1, 2 띠장(11, 12) 상단에 끼움 결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간편하게 제 1, 2 띠장(11)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제 1, 2 띠장(11, 12)에 볼팅결합을 위한 체결홀을 천공하는 한편, 상기 체결홀에 각각 잭서포트 및 버팀보를 볼팅결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1, 2 띠장(11, 12)에 별도의 체결홀을 뚫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1, 2 띠장(11, 12)에 불필요한 손상을 가하지 않으며, 제 1, 2 띠장(11, 12)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덧붙여, 볼팅결합을 위한 드릴링 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성이 우수하며, 드릴링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110: 잭스크류부 111, 112: 베이스부
113: 길이조절스크류 114: 회전핸들
120: 제 1 고정플레이트 121: 제 1 끼움결합부
122: 제 1 스티프너 끼움홈 123: 제 1 고정편 체결홀
132: 너트 140: 버팀보
150: 제 2 고정플레이트 151: 제 2 끼움결합부
152: 제 2 스티프너 끼움홈 153: 제 2 고정편 체결홀
160: 제 2 고정편

Claims (9)

  1. 잭스크류부(110);
    상기 잭스크류부(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단이 소정정도 절곡되어 토류벽(W)에 설치된 제 1 띠장(1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끼움결합부(121)가 형성되고, 하부에 제 1 고정편 체결홀(123)이 형성된 제 1 고정플레이트(120);
    상기 제 1 고정편 체결홀(123)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120)를 상기 제 1 띠장(11)에 밀착 고정시키는 제 1 고정편(130);
    상기 잭스크류부(110)의 타측에 마련되는 버팀보(140);
    상기 버팀보(140)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단이 소정정도 절곡되어 상기 제 1 띠장(11)과 대향하는 제 2 띠장(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 끼움결합부(151)가 형성되고, 하부에 제 2 고정편 체결홀(153)이 형성된 제 2 고정플레이트(150); 및
    상기 제 2 고정편 체결홀(153)에 체결되어,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150)를 상기 제 2 띠장(12)에 밀착 고정시키는 제 2 고정편(160);을 포함하는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끼움결합부(121)는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120)의 상단이 'ㄷ'자 형태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지지용 잭서포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끼움결합부(151)는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150)의 상단이 'ㄷ'자 형태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지지용 잭서포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끼움결합부(121)에는 상기 제 1 띠장(11)에 설치된 제 1 스티프너(11a)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제 1 스티프너 끼움홈(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지지용 잭서포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끼움결합부(151)에는 상기 제 2 띠장(12)에 설치된 제 2 스티프너(12a)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제 1 스티프너 끼움홈(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지지용 잭서포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편 체결홀(123)은 복수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 1 고정편체결홀(123)은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120)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지지용 잭서포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편 체결홀(153)은 복수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 2 고정편체결홀(153)은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150)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지지용 잭서포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편(130)은 'ㄴ'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120)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띠장(11)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지지용 잭서포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편(160)은 'ㄴ'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150)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 2 띠장(12)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 지지용 잭서포트.
KR2020110008648U 2011-09-27 2011-09-27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KR200471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648U KR200471055Y1 (ko) 2011-09-27 2011-09-27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648U KR200471055Y1 (ko) 2011-09-27 2011-09-27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22U true KR20130002122U (ko) 2013-04-04
KR200471055Y1 KR200471055Y1 (ko) 2014-01-29

Family

ID=5141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648U KR200471055Y1 (ko) 2011-09-27 2011-09-27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055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834B1 (ko) *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신암이앤씨 장관 매설용 버팀부재
KR200486046Y1 (ko) * 2017-09-29 2018-03-27 이주식 굴착용 케이싱 가이드 장치
KR101881486B1 (ko) * 2017-09-29 2018-08-27 이주식 가이드 장치
KR20180127127A (ko) * 2017-05-19 2018-11-28 고천석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
KR102322742B1 (ko) 2021-01-19 2021-11-08 (주)케이엘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
KR20210144041A (ko) * 2020-05-21 2021-11-30 정명숙 건축용 단열재의 간격 유지 장치
KR102388669B1 (ko) 2021-07-13 2022-04-20 (주)케이엘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사 방법
KR102476068B1 (ko) * 2022-03-17 2022-12-12 안진성 다방향 앵커 고정장치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064B1 (ko) * 2020-05-26 2022-07-26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흙막이 공법
KR102431162B1 (ko) * 2020-05-26 2022-08-10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흙막이벽 지지용 선행하중잭
KR102425060B1 (ko) * 2020-05-26 2022-07-26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지면 보정기능을 가진 흙막이벽 띠장용 선행하중잭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595Y1 (ko) * 2004-05-06 2004-08-30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KR100939826B1 (ko) * 2009-04-09 2010-02-02 서승권 사선버팀보 연결 지지장치
KR101117546B1 (ko) * 2009-08-18 2012-03-07 (주)피에스테크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
KR101107452B1 (ko) * 2009-11-30 2012-01-19 주식회사 화성기연 걸이식 철골 좌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834B1 (ko) *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신암이앤씨 장관 매설용 버팀부재
KR20180127127A (ko) * 2017-05-19 2018-11-28 고천석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구조체
KR200486046Y1 (ko) * 2017-09-29 2018-03-27 이주식 굴착용 케이싱 가이드 장치
KR101881486B1 (ko) * 2017-09-29 2018-08-27 이주식 가이드 장치
KR20210144041A (ko) * 2020-05-21 2021-11-30 정명숙 건축용 단열재의 간격 유지 장치
KR102322742B1 (ko) 2021-01-19 2021-11-08 (주)케이엘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
KR102388669B1 (ko) 2021-07-13 2022-04-20 (주)케이엘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사 방법
KR102476068B1 (ko) * 2022-03-17 2022-12-12 안진성 다방향 앵커 고정장치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055Y1 (ko)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055Y1 (ko)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KR101420071B1 (ko) 콘크리트제 가대의 제조 방법, 콘크리트제 가대 및 이음재
JP4449876B2 (ja) 大断面のトンネル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851062B1 (ko) 자성체가 부착된 잭 스티프너
KR101686993B1 (ko) 암거 보강 공법
CN110656762A (zh) 三节式拉杆悬挑外脚手架及其施工方法
KR101599672B1 (ko)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CN110284729A (zh) 一种历史建筑墙体分块式切割拆除方法
KR20130007502U (ko)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JP4449875B2 (ja) 大断面のトンネル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753223B1 (ko) 흙막이 공법용 버팀대가 구비된 흙막이 판넬 조립체
KR20130003047U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터
KR101303873B1 (ko) 굴절지지대를 이용한 버팀보 지지장치
KR102095480B1 (ko)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KR102001638B1 (ko) 전단-휨 보강재를 구비한 강관버팀보 연결재
KR101990733B1 (ko) 유로폼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190266B1 (ko) 슬라이딩이 가능한 옹벽 거푸집용 지지빔
KR200436405Y1 (ko) 버팀보 보강용 브레이싱 서포트 체결구조
CN211421795U (zh) 三节式拉杆悬挑外脚手架
JP6604650B2 (ja) 擁壁型枠の固定金物
JP2013064264A (ja) アンカーボルト用支持フレーム及び支持フレームの構築方法
KR100825961B1 (ko) 버팀보 연결용 브라켓
KR200360595Y1 (ko)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