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595Y1 -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595Y1
KR200360595Y1 KR20-2004-0012606U KR20040012606U KR200360595Y1 KR 200360595 Y1 KR200360595 Y1 KR 200360595Y1 KR 20040012606 U KR20040012606 U KR 20040012606U KR 200360595 Y1 KR200360595 Y1 KR 200360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
earth wall
connector
strip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혁
민경필
은성운
정찬보
Original Assignee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2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5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팀보와 토류벽의 띠장 사이에 연결구를 이용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인 바, 그 구조는 H형강이 수직으로 지면에 기립 설치되고 상호 양측면이 연결 설치되며 내측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띠장이 일체로 결합된 토류벽과, 그 토류벽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버팀보가 연결구에 의해 토류벽의 띠장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연결구는 일측에 버팀보의 좌,우 폭과 대응되는 폭의 플레이트가 서로 대칭되고 그 플레이트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구성된 브라켓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한 띠장의 플랜지가 끼워져 끼움 결합되는 후크부가 형성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버팀보의 단부와 토류벽의 띠장 사이에 연결구를 개재 설치하고, 그 연결구를 이용하여 버팀보의 단부가 용이하게 띠장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연결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더 견고하게 연결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STRUTTED BEAM}
본 고안은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류벽의 건설시 토류벽의 띠장과 버팀보의 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별도의 조립공정없이 상호간의 결합이 견고해지도록 한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막이 가시설, 토류벽 등의 건설 현장에서 횡방향 토압을 지지하기 위해 수직으로 다수개의 H빔 또는 시트파일등의 형강재가 연결되어 수직 토류벽(retrining walls)을 형성하게 되고, 그 토류벽을 구성하는 형강재들을 지지하기 위해 띠장이 수평으로 브라켓에 안착되도록 결합되고, 그 띠장이 결합된 양측 토류벽 사이에 버팀보가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 종래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조는 수직으로 시트파일 또는 H빔등의 형강재가 지면에 수직으로 기립 설치되어 양측이 서로 다른 시트파일 또는 H빔(목재에 의해 서로 연결)과 연결되어 구성되는 토류벽(10)과, 그 토류벽(10)의 내측면에 일체로 용접된 브라켓(17)의 상측에 복수개의 띠장(15)이 안착되어 횡방향으로 토류벽(10)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 버팀보(20)와 띠장(15)과의 결합구조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버팀보(20)의 단부에 그 단부 테두리와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의 결합판(23)이 용접으로 일체 성형되고, 그 결합판(23)에 띠장(15)과 볼팅 결합되도록 볼트(52)가 관통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그 결합판(23)의 결합공과띠장(15)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일치시킨 후에 볼트(52)와 너트(54)로 체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복수개의 브라켓(17)은 철근 또는 앵글이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용접으로 일체 결합되고, 그 브라켓(17)의 상측에 띠장(15)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그 버팀보(20)의 반대편측에는 띠장(15)과 버팀보(20) 사이에 유압잭이나 스크류잭(60)이 설치되어 버팀보(2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합판(23)을 버팀보(20)의 단부에 일체로 용접하고, 그 용접된 결합판(23)과 띠장(15)을 볼트(52)와 너트(54)로 체결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즉, 유압잭이나 스크류잭(60)을 이용하여 길이가 조절된 버팀보(20)의 단부가 결합판(23)을 매개로 하여 띠장(15)에 볼팅 결합되는 조립공정을 갖는다.
또한, 그 결합판(23)이 결합되는 부위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결합판(23)과 버팀보(20)의 단부에 사선상으로 경사를 갖는 보강리브(24)가 용접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 형성되고, 띠장(15)의 플랜지 내측으로 보강판(25)이 용접되어 버팀보(20) 및 토류벽(10)으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에 대해 강성을 갖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버팀보(20)와 띠장(15)의 연결구조는, 띠장(15)과 버팀보(20) 단부와의 결합을 위해 별도의 결합판(23)이 버팀보(20)의 단부에 용접된 후에 볼트(52)로 체결하는 작업과 별도의 보강리브(24) 및 보강판(25)을 일체로 용접하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볼트(52)의 체결작업시 볼트 결합구멍을 결합판(23)과 띠장(15)에 각각 천공하는 작업이 번거로우며, 오차 발생시 조립 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설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결합판이 버팀보의 단부에 일체로 용접되어 있으므로, 분해작업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규격화된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상호 치환성이 없으므로, 분해후에 다른 곳에서의 재가설 공사시 조립 오차가 발생할 경우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버팀보의 단부와 띠장 간의 연결방식을 개선하여 구조가 단순하면서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한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7은 종래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종래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토류벽 15 : 띠장
17 : 브라켓 20 : 버팀보
30 : 연결구 32 :후크부
35 : 브라켓부 36,37 : 플레이트
40 : 고정구 60 : 유압잭이나 스크류잭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형강재가 수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토류벽과,
상기 토류벽의 가로방향으로 브라켓에 의해 안착되어 결합되는 띠장과,
상기 띠장이 설치된 양측 토류벽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토압을 지지하는 버팀보와,
상기 버팀보와 띠장의 사이에 마련되며 일측이 상기 버팀보의 단부가 안착되고 타측이 상기 띠장의 플랜지부에 후크 결합되는 연결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연결구는 일측에 상기 버팀보의 좌,우 폭과대응되는 폭을 갖는 브라켓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띠장의 플랜지부를 감싸서 끼움 결합되는 후크부가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띠장의 플랜지부와 후크 결합되는 타측부위를 지지하도록 그 타측면과 상기 띠장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구가 더 구비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는 다수개의 형강재를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호 연결되게 설치하여 토류벽을 양측으로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토류벽의 양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띠장을 브라켓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양측 토류벽중 일측 토류벽측에 버팀보의 일단부를 근접시킨 후에 그 일측 토류벽의 띠장과 버팀보의 일단부 사이에 길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잭이나 스크류잭을 개재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타측 토류벽의 띠장의 플랜지에 연결구의 일측을 후크 결합시키고 그 연결구의 타측에 상기 일측 토류벽의 띠장과 연결된 버팀보의 타단부를 안착시켜 버팀보와 토류벽을 상호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기존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기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공법은 도 6에서와 같이, 양측에 토압을 지지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된 양측 토류벽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다수개의 띠장을 용접으로 일체화시키고(S1), 그 띠장이 일체화된 양측 토류벽 사이에 버팀보를 수평으로 설치하기 위해 일측 토류벽의 띠장과 버팀보의 일단부 사이에 길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잭이나 스크류잭을 설치하여 상호 연결시키며(S2), 이어서 다른 토류벽의 띠장에 연결구를 걸어 후크 결합시킨 후에 그 결합된 연결구의 타측에 상기한 버팀보의 타단부를 안착시켜 결합하고, 이후에 띠장과 결합된 연결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띠장과 연결구의 내측면 사이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고정구를 끼움 결합시켜 상호 면접촉되도록 결합시키는 공정(S4)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 유압잭은 띠장과 버팀보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볼팅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그 구조는 H빔등의 형강재가 수직으로 지면에 기립 설치되고 상호 양측면이 연결 설치되며 내측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띠장(15)이 브라켓(17)에 안착 지지된 토류벽(10)과, 그 토류벽(10)을 지지하기 위한 버팀보(20)가 연결구(30)에 의해 토류벽(10)의 띠장(15)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연결구(30)는 일측에 버팀보(20)의 좌,우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플레이트(36,37)가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되고 그 플레이트(36,37)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구성된 브라켓부(35)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한 띠장(15)의 플랜지에 끼워져 끼움 결합되는 후크부(32)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그 연결구(30)는 스틸재를 채용하되,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후크부(32)의 외측면과 띠장(15)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 설치되어 그 연결구(30)의 후크결합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구(40)가 더 구비된다.
그 고정구(40)는 양측면이 후크부(32)의 외측면과 띠장(15)의 내측면에 면접촉되도록 띠장(15)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의 폭을 갖는다.
즉, 고정구(40)는 양측면이 띠장(15)의 내측면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후크부(32)와의 결합시 후크부(32)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토류벽(10)의 띠장(15)과 연결구(30)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연결구조는, 지반에 대해 수직으로 시트파일 또는 H빔등의 형강재들이 기립 설치되어 토류벽(10)을 형성한 후에, 그 토류벽(10)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다수개의 브라켓(17)을 용접등의 방식으로 상호 간격을 두도록 일체화시키고, 그 일체화된 브라켓(17)의 상면에 띠장(15)을 안착시켜 그 토류벽(10)의 양측 띠장(15)들 사이에 버팀보(20)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버팀보(20)의 일단부를 유압잭이나 스크류잭(60)으로 띠장(15)과 연결시킨 다음에, 그 버팀보(20)의 타단부를 반대편 토류벽(10)의 띠장(15)측에 연결구(30)로 상호 연결시키는 조립과정을 갖게 된다.
이때, 그 연결구(30)는 일단부에 형성된 후크부(32)를 토류벽(10)측의 띠장(15)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걸어 그 띠장(15)의 상측 플랜지에 안착되도록 고정시킨 후에, 타단부측에 마련된 브라켓부(35)에 버팀보(20)의 단부를 안착시킴으로써, 버팀보(20)와 띠장(15)을 상호 연결시켜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고정구(40)를 띠장(15)의 전,후 플랜지 내측면 사이에 결합시켜 토류벽(10)으로부터 전달되는 토압과 버팀보(20)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축압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 고정구(40)는 연결구(30)의 후크부(32)와 띠장(15)의 플랜지가 결합된 부위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므로, 양측 단부가 띠장(15)의 내측면과 후크부(32)의 외측면에 각각 면 접촉되면서 후크부(32)의 걸고리 결합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이때, 브라켓부(35)는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플레이트(36,3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버팀보(20)의 단부가 안착된 후에 좌,우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버팀보(20)의 단부와 연결구(30)의 브라켓부(35)가 면 접촉되는 부위에 일직선상으로 볼트(52)가 관통될 정도의 구멍을 형성시킨 후에 볼트(52)와 너트(54)로 고정시키는 공정을 추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기초공사 또는 옹벽건설등의 토류벽(10) 작업시 버팀보(20)의 단부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시켜 상호간의 연결구조를 개선시킨 것인 바, 본 고안이 갖는 기술적 사상과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버팀보와 띠장 사이에 연결구를 이용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버팀보의 단부와 토류벽의 띠장 사이에 연결구를 개재 설치하고, 그 연결구를 이용하여 버팀보의 단부가 용이하게 띠장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연결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더 견고하게 연결구조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가설공사가 완료된 후에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형강재가 수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토류벽(10)과,
    상기 토류벽(10)의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브라켓(17)과,
    상기 브라켓(17)의 상측으로 안착되는 띠장(15)과,
    상기 띠장(15)이 설치된 양측 토류벽(1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토압을 지지하는 버팀보(20)와,
    상기 버팀보(20)와 띠장(15)의 사이에 마련되며 일측이 상기 버팀보(20)의 단부가 안착되고 타측이 상기 띠장(15)의 플랜지에 후크 결합되는 연결구(3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는 일측에 상기 버팀보(20)의 좌,우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브라켓부(35)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띠장(15)의 플랜지에 안착되어 끼움 결합되는 후크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띠장(15)의 플랜지와 후크 결합되는 타측부위를 지지하도록 그 타측면과 상기 띠장(15)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구(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2004-0012606U 2004-05-06 2004-05-06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0360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606U KR200360595Y1 (ko) 2004-05-06 2004-05-06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606U KR200360595Y1 (ko) 2004-05-06 2004-05-06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712A Division KR20050106703A (ko) 2004-05-06 2004-05-06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595Y1 true KR200360595Y1 (ko) 2004-08-30

Family

ID=4943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606U KR200360595Y1 (ko) 2004-05-06 2004-05-06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59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452B1 (ko) 2009-11-30 2012-01-19 주식회사 화성기연 걸이식 철골 좌대
KR200471055Y1 (ko) * 2011-09-27 2014-01-29 윤희정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KR101715876B1 (ko) * 2016-06-08 2017-03-13 세광건설주식회사 흙막이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452B1 (ko) 2009-11-30 2012-01-19 주식회사 화성기연 걸이식 철골 좌대
KR200471055Y1 (ko) * 2011-09-27 2014-01-29 윤희정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KR101715876B1 (ko) * 2016-06-08 2017-03-13 세광건설주식회사 흙막이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100997128B1 (ko) 버팀부재 지지용 스크류잭
KR100991208B1 (ko) 개량된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강재띠장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11614B1 (ko) 철골기둥과 철골 보의 접합구조
KR101357775B1 (ko)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버팀보 연결장치
US6984092B1 (en) Corner connection for temporary shoring
KR101624102B1 (ko) 강봉을 이용한 띠장 보강장치,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
JP2007031934A (ja) 住宅の傾斜矯正工法
KR101599672B1 (ko)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KR101322020B1 (ko) 마찰접합형 강관 버팀보용 연결장치,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지지용 강관 버팀보 및 그 버팀보의 시공방법
KR200360595Y1 (ko)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110009644U (ko) 흙막이 벽체 시공용 버팀보 연결장치
KR100699040B1 (ko) 흙막이 벽체 지지용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050106703A (ko)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공법
KR20120131996A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308089B1 (ko)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JP2618205B2 (ja) 仮設橋梁における主桁の横連結構造及び横連結材
JP6918613B2 (ja) 壁面構造および壁面の構築方法
KR20110131336A (ko) 안전 작업대유닛
KR200285281Y1 (ko)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KR20120002868U (ko) 토류벽 보강지지용 연결부재
JP3138112U (ja) 屋根ユニット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連結用金物
KR102508535B1 (ko) 웨일러 고정용 스트롱 백
KR20190123408A (ko) 합벽지지대 고정장치
JP5650309B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