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102B1 - 강봉을 이용한 띠장 보강장치,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봉을 이용한 띠장 보강장치,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4102B1 KR101624102B1 KR1020150101015A KR20150101015A KR101624102B1 KR 101624102 B1 KR101624102 B1 KR 101624102B1 KR 1020150101015 A KR1020150101015 A KR 1020150101015A KR 20150101015 A KR20150101015 A KR 20150101015A KR 101624102 B1 KR101624102 B1 KR 1016241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e
- wristband
- steel bar
- strut
- ba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띠장의 전면에 강봉에 의해 수평방향으로의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띠장 보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띠장의 강성을 증가시켜 버팀보 사이의 간격을 넓혀서 작업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 강봉을 이용한 띠장 보강장치,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띠장에 결합 설치되며 전방으로는 버팀보(3)의 단부가 일체로 조립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블록(10)과, 띠장(2)과 나란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는 강봉(11)을 포함하며; 각각의 결합블록(10)은 상,하 플랜지(101, 102)와 웨브(103)로 이루어진 I형 단면의 빔 본체로 구성되고, 빔 본체의 전방 단부에는 버팀보(3)의 단부가 조립 결합되는 전방단부판(104)이 구비되어 있으며, 빔부재의 후방 단부에는 전방단부판(104)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며 띠장(2)에 밀착되어 띠장(2)에 조립 결합되는 후방단부판(105)이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강봉(11)에 의한 긴장력의 도입에 의해, 토압으로 인한 휨모멘트에 저항하는 띠장(2)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보강장치가 제공되며, 더 나아가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띠장에 결합 설치되며 전방으로는 버팀보(3)의 단부가 일체로 조립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블록(10)과, 띠장(2)과 나란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는 강봉(11)을 포함하며; 각각의 결합블록(10)은 상,하 플랜지(101, 102)와 웨브(103)로 이루어진 I형 단면의 빔 본체로 구성되고, 빔 본체의 전방 단부에는 버팀보(3)의 단부가 조립 결합되는 전방단부판(104)이 구비되어 있으며, 빔부재의 후방 단부에는 전방단부판(104)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며 띠장(2)에 밀착되어 띠장(2)에 조립 결합되는 후방단부판(105)이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강봉(11)에 의한 긴장력의 도입에 의해, 토압으로 인한 휨모멘트에 저항하는 띠장(2)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보강장치가 제공되며, 더 나아가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류벽의 띠장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와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그리고 이를 이용한 토류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띠장의 전면에 강봉에 의해 수평방향으로의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띠장 보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띠장의 강성을 증가시켜 버팀보 사이의 간격을 넓혀서 작업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 "강봉을 이용한 띠장 보강장치,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파기 공사에서 스트럿(strut) 공법에 의해 토류벽을 시공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토류벽의 시공선에서 복수개의 말뚝을 일정 간격으로 두고 수직하게 설치하고, 그 사이에 토류판을 연직하게 적층하며, 토류벽을 지지하기 위하여 말뚝을 가로 질러 수평하게 띠장이 설치된다. 그리고 띠장을 지지하기 위하여 굴착된 공간을 횡단하여 버팀보가 설치된다. 그런데 버팀보의 설치 개수가 많게 되면, 그 자체로도 공사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터파기되는 곳에서의 작업 공간을 협소하게 만들게 되어 시공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버팀보의 설치 개수는 가능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데, 버팀보의 개수를 줄이고 버팀보 사이의 간격을 늘리기 위해서는 띠장의 휨강성 증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6293호를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의 종래 기술이 제시되었으나, 지금까지의 종래 기술은 만족스러운 띠장의 휨강성 보강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터파기를 수행하여 토류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버팀보를 띠장과 결합되도록 하면서도 강봉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띠장에 긴장력이 도입되도록 함으로써 띠장의 휨강성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버팀보의 설치 개수를 줄이고 버팀보 사이의 횡방향 간격을 증대시켜서 버팀보로 인한 작업 공간의 잠식을 최소화시켜서 터파기 및 구조물 구축을 위한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띠장의 보강장치, 그리고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토류벽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토류벽의 띠장 전면에서 조립 결합되어 버팀보가 띠장과 일체로 되도록 함과 동시에 띠장의 휨 강성을 보강하는 띠장 보강장치로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띠장이 결합 설치되며 전방으로는 버팀보의 단부가 일체로 조립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블록과, 띠장과 나란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결합블록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긴장력이 도입되는 강봉을 포함하며; 각각의 결합블록은 상,하 플랜지와 웨브로 이루어진 I형 단면의 빔 본체로 구성되고, 빔 본체의 전방 단부에는 버팀보의 단부가 조립 결합되는 전방단부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빔부재의 후방 단부에는 전방단부판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며 띠장에 밀착되어 띠장에 조립 결합되는 후방단부판이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강봉에 의한 긴장력의 도입에 의해, 토압으로 인한 휨모멘트에 저항하는 띠장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보강장치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띠장 보강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결합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후방단부는 띠장에 조립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단부는 강봉과 밀착하여, 강봉을 지지함과 동시에 한 쌍의 결합블록 사이에서 띠장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한 휨모멘트를 강봉에 전달하게 되는 강봉고정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류벽의 전방에서 설치되어 버팀보로부터의 축력을 토류벽에 전달하는 띠장 조립체로서, 토류벽의 말뚝과 결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띠장과; 띠장과 일체로 되도록 함과 동시에 띠장의 휨 강성을 보강하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보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조립체가 제공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중에 말뚝을 연직하게 관입 설치하고; 수평방향으로 말뚝 사이의 간격에 토류판을 끼워서 토류벽을 형성하고; 토류벽의 전면에 띠장과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보강장치를 설치하며; 띠장의 전방으로 버팀보를 결합 설치하는 토류벽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띠장의 전방으로 긴장력이 도입된 강봉을 구비한 띠장 보강장치가 설치되므로, 토압에 의해 발생하는 휨모멘트에 의한 수평방향으로의 휨응력은 강봉의 긴장력에 의해 상당부분 감소되고, 그에 따라 띠장에 작용하게 되는 휨모멘트에 의한 휨응력은 크게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단면과 강성을 가지는 띠장의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버팀보 사이의 간격을 더 증가시킬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터파기되는 전체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는 버팀보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버팀보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터파기되는 곳에서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종래 기술과 동일한 개수의 버팀보를 설치하는 경우라면, 본 발명을 이용하였을 때, 강봉의 긴장력 도입에 의해 띠장의 강성이 증가되는 만큼 띠장의 단면 또는 재료 강성을 줄일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띠장의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띠장의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되어, 이 역시 시공성 향상에 큰 기여를 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보강장치는, 버팀보 및 띠장에 작용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설치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현장 상황에 최적화된 상태로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터파기를 수행하여 토류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버팀보를 띠장과 결합되도록 하면서도 강봉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띠장에 긴장력이 도입되도록 함으로써 띠장의 휨강성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버팀보의 설치 개수를 줄이고 버팀보 사이의 횡방향 간격을 증대시켜서 버팀보로 인한 작업 공간의 잠식을 최소화시켜서 터파기 및 구조물 구축을 위한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띠장 보강장치와 버팀보가 토류벽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띠장 조립체에 대한 연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띠장 보강장치에 구비되는 결합블록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화살표 K 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버팀보가 결합블록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버팀보가 결합블록에 결합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띠장 조립체에 대한 연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띠장 보강장치에 구비되는 결합블록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화살표 K 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버팀보가 결합블록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버팀보가 결합블록에 결합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말뚝(301)과 토류판(302)으로 이루어진 토류벽의 전면에 본 발명의 띠장 보강장치(1)와 버팀보(3)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 조립체(10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띠장 조립체(100)의 연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지중에 말뚝(301)이 연직하게 관입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말뚝(301) 사이의 간격에 토류판(302)이 끼워져서 토류벽이 형성되며, 이러한 토류벽의 전면에 본 발명의 띠장 조립체(100)가 설치되고, 띠장 조립체(100)의 전방으로 버팀보(3)가 결합 설치되는 형태로 토류벽이 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띠장 조립체(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토류벽의 말뚝 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띠장(2)과, 띠장(2)의 전면에서 설치되어 버팀보(3)가 띠장(2)과 일체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띠장(2)의 휨강성을 보강하는 띠장 보강장치(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띠장 보강장치(1)는,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띠장(2)에 결합 설치되며 전방으로는 버팀보(3)의 단부가 일체로 조립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블록(10)과, 띠장(2)과 나란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결합블록(10)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긴장력이 도입되는 강봉(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띠장 조립체(100)에는, 띠장(2)에 조립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강봉(11)을 지지하는 강봉고정재(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각각 본 발명의 띠장 보강장치(1)에 구비되는 결합블록(10)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점선은 결합블록(10)의 각 부분을 만들기 위해 판부재를 용접하여 일체화시킨 용접선을 나타낸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결합블록(10)은 상,하 플랜지(101, 102)와 웨브(103)로 이루어진 I형 단면의 빔 본체로 구성되는데, 빔 본체의 전방 단부에는 버팀보(3)의 단부가 조립 결합되는 전방단부판(104)이 구비되어 있고, 빔부재의 후방 단부에는 띠장(2)에 밀착되어 띠장(2)에 조립 결합되는 후방단부판(105)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결합블록(10)에서, 후방단부판(105)은 전방단부판(104)보다 그 면적이 더 넓은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버팀보(3)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서 띠장(2)에 전달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띠장(2)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의 순경간이 줄어들게 되고 그에 따라 구조적인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상,하 플랜지(101, 102)와 웨브(103)를 가진 I형 단면의 빔 본체를 이용하여 위와 같이 전방단부판(104)보다 후방단부판(105)이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결합블록(10)을 구성하기 위해서, 상,하 플랜지(101, 102)는 원래 I형 단면의 빔에 구비된 직사각형의 상,하 플랜지에 추가적인 판부재를 연결하여,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수평방향 폭이 확장되는 삼각형 내지 부채꼴 형상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블록(10)의 빔 본체에서 웨브(103)에는 강봉(11)이 관통하게 되는 강봉관통공(1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도면부호 109는 버팀보(3)를 전방단부판(104)에 볼트결합하고, 결합블록(10)을 띠장(2)에 볼트(9)로 결합하기 위한 볼트체결공(109)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웨브(103)와 후방단부판(3) 사이에는 보강리브(107)를 더 설치하여 보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결합블록(10)에서 후방단부판(105)의 상단에는 띠장(2)을 향하여 후방연장판(106)이 구비되어 있으며, 후방연장판(106)의 후방단부에는 연직절곡판(106a)이 구비되어 있다. 즉, 후방단부판(105)을 지나 후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상부 플랜지(101)에 연속하여 후방연장판(106)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연직절곡판(106a)은 후방연장판(106)의 후방단부가 절곡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결합블록(10)은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띠장(2)의 전방에 조립 결합된다. 도 7에는 결합블록(10)이 띠장(2)의 전방에 결합 설치된 상태를 수평방향으로 바라본 상태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즉, 도 2의 화살표 K 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띠장(2)은 토류벽에 직접 밀착하는 후방 플랜지(21)와 웨브(22), 그리고 전방 플랜지(23)를 구비한 H형 단면의 빔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결합블록(10)이 띠장(2)의 전방에 조립 결합될 때, 결합블록(10)의 후방단부판(105)은 띠장(2)의 전방 플랜지(23) 전면에 밀착된다. 결합블록(10)의 후방단부판(105)이 띠장(2)의 전방 플랜지(23)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9)를 후방단부판(105)의 볼트체결공(109) 및 띠장의 전방 플랜지(23)에 형성된 볼트체결공에 관통시켜 체결고정함으로써, 결합블록(10)이 띠장(2)의 전방에 견고하게 일체화된 상태로 설치된다. 한편, 이와 같이 결합블록(10)의 후방단부판(105)은 띠장(2)의 전방 플랜지(23) 전면에 밀착될 때, 연직절곡판(106a) 역시 띠장(2)의 후방 플랜지(21)의 전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결합블록(10)이 띠장(2)에 결합 설치된 상태에서 결합블록(10)의 전방단부판(104)에 버팀보(3)가 결합되고 버팀보(3)를 통해서 축력이 결합블록(10)에 가해지게 되면, 그 축력은 띠장(2)으로 전달되는데, 위와 같이 결합블록(10)의 후방단부판(105) 뿐만 아니라 연직절곡판(106a)도 띠장(2)의 후방 플랜지(21)에 밀착되어 있는 구성의 경우, 버팀보(3)로부터의 축력은 후방단부판(105)과 연직절곡판(106a)으로 각각 분배된 상태로 띠장(2)에 전달된다. 즉, 버팀보로부터의 축력이 띠장(2)으로 전달됨에 있어서, 띠장(2)의 한 부분이 아니라, 띠장(2)의 전방 플랜지(23)와 후방 플랜지(21) 모두를 통해서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버팀보의 축력을 토류벽으로 전달해야 하는 띠장(2)에서, 웨브(22)에 직접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그 만큼 웨브(22)의 변형(좌굴)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띠장(2)의 단면 크기를 최적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수평방향에서 연직하향으로 절곡된 형태의 연직절곡판(106a)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결합블록(10)을 띠장(2)의 전방에 거치하는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결합블록(10)에서, I형 단면 빔 본체의 상,하 플랜지(101, 102)에는 볼트관통공(109a)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결합블록(10)과 버팀보(3)가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버팀보(3)가 볼트(9)에 의해 결합블록(10)과 결합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예시된 것처럼, 결합블록(10)의 전방에 버팀보(3)가 결합됨에 있어서 볼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버팀보(3)의 단부판(30)이 결합블록(10)의 전방단부판(104)에 밀착한 상태에서 볼트(9)가 단부판(30)의 관통공(31)과 전방단부판(104)의 볼트체결공(109)에 관통시켜 체결 고정하게 된다. 이 때,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결합블록(10)의 상,하 플랜지(101, 102)에 볼트관통공(109a)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버팀보(3)의 상,하 플랜지와, 결합블록(10)의 상,하 플랜지(101, 102)를 동시에 덮게 되는 상,하부 연결판(32a, 32b)을 각각 설치하고, 볼트(9)가 상,하부 연결판(32a, 32b)을 관통하고 상,하 플랜지(101, 102)의 볼트관통공(109a)을 관통하도록 한 후 체결 고정함과 동시에, 상,하부 연결판(32a, 32b)과 버팀보(3)를 각각 위와 같은 방식으로 볼트 결합함으로써, 상,하부 연결판(32a, 32b)에 의해 버팀보(3)와 결합블록(10)이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 쌍의 결합블록(10) 사이에는 강봉(11)이 띠장(2)과 나란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고 강봉(11)의 양단이 각각 결합블록(10)에 결합되면서, 강봉(11)에는 긴장력이 도입된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각각의 결합블록(10)에 형성된 강봉관통공(110)에 강봉(11)의 양단이 관통된 후, 강봉(11)이 긴장된 상태에서 너트 등의 체결고정부재가 강봉(11)의 단부에 체결됨으로써 강봉(11)의 단부가 결합블록(10)에 긴장 정착될 수 있다. 결합블록(10)에는 버팀보(3)가 결합되므로, 한 쌍의 결합블록(10) 간의 수평방향 간격은 버팀보(3) 사이의 간격이 되며, 후술하는 것처럼 버팀보(3) 사이의 간격에서 띠장(2)에는 토압에 의해 띠장(2)을 전방 방향으로 구부리려는 형태의 휨 모멘트가 작용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띠장(2)의 전방으로 띠장(2)과 나란하게 버팀보(3) 사이의 간격에 강봉(11)이 배치되고 강봉(11)에 의해 긴장력이 도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그만큼 띠장(2)의 휨강성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즉, 한 쌍의 결합블록(10) 간의 간격에서 토압에 의해 발생하는 휨모멘트에 의한 수평방향으로의 휨응력은 강봉(11)의 긴장력에 의해 상당부분 감소되고, 그에 따라 띠장(2)에 작용하게 되는 휨모멘트에 의한 휨응력은 크게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단면과 강성을 가지는 띠장(2)의 경우에는 한 쌍의 결합블록(10) 간의 수평방향 간격 즉, 버팀보(3) 사이의 간격을 더 증가시킬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터파기되는 전체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는 버팀보(3)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버팀보(3)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터파기되는 곳에서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만일 종래 기술과 동일한 개수의 버팀보(3)를 설치하는 경우라면, 강봉(11)의 긴장력 도입에 의해 띠장(2)의 휨강성이 증가되는 만큼 띠장(2)의 단면 또는 재료 강성을 줄일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띠장(2)의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띠장(2)의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되어, 이 역시 시공성 향상에 큰 기여를 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한 쌍의 결합블록(10) 사이에 강봉(11)을 배치하여 긴장력을 도입함에 있어서, 강봉(11)을 지지함과 동시에 한 쌍의 결합블록(10) 사이에서 띠장(2)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한 휨모멘트를 강봉(11)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서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한 쌍의 결합블록(10) 사이의 위치에는 강봉고정재(12)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강봉고정재(12)의 후방단부는 띠장(2)에 조립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된 강봉고정재(12)의 전방단부는 강봉(11)과 밀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류벽 시공방법에서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말뚝을 시공하고 말뚝 사이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말뚝과 토류판에 의한 토류벽의 구축이 완료된 후,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토류벽 앞에 띠장(2)을 결합 설치한다. 공장에서 미리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결합블록(10)을 제작한 후, 현장으로 결합블록(10)을 이송하여, 상기한 것처럼 결합블록(10)의 후방단부판(105)을 띠장(2)의 전방 플랜지(23) 전면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연직절곡판(106a) 역시 띠장(2)의 후방 플랜지(21)의 전면에 밀착시켜서 설치하며, 강봉고정재(12)도 띠장(2)에 설치하면서 강봉(11)을 설치하여 긴장 정착하는 방식으로 시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미리 공장에서 띠장(2)에 결합블록(10)과 강봉(11), 그리고 강봉고정재(12)를 모두 결합한 상태로 띠장 조립체(100)를 조립하여 완성한 후, 띠장 조립체(100)를 현장으로 이송하여, 토류벽 앞에 띠장 조립체(100)를 위치시키고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띠장 조립체(100)에 구비된 띠장(2)을, 토류벽의 말뚝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할 수도 있다.
1: 띠장 보강장치
2: 띠장
3: 버팀보
10: 결합블록
11: 강봉
12: 강봉고정재
100: 띠장 조립체
2: 띠장
3: 버팀보
10: 결합블록
11: 강봉
12: 강봉고정재
100: 띠장 조립체
Claims (7)
- 전방 플랜지(23)와 후방 플랜지(21)와 웨브(22)를 가지는 H형 단면의 빔으로 이루어진 토류벽의 띠장(2) 전면에서 조립 결합되어 버팀보(3)가 띠장(2)과 일체로 되도록 함과 동시에 띠장(2)의 휨강성을 보강하는 띠장 보강장치(1)로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띠장(2)에 결합 설치되며 전방으로는 버팀보(3)가 일체로 조립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블록(10)과, 띠장(2)과 나란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결합블록(10)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긴장력이 도입되는 강봉(11)을 포함하며;
각각의 결합블록(10)은 상,하 플랜지(101, 102)와 웨브(103)로 이루어진 I형 단면의 빔 본체로 구성되고, 빔 본체의 전방 단부에는 버팀보(3)의 단부가 조립 결합되는 전방단부판(104)이 구비되어 있으며, 빔부재의 후방 단부에는 버팀보(3)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축력을 분산시켜서 띠장(2)에 전달하도록 전방단부판(104)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며 띠장(2)에 밀착되어 띠장(2)에 조립 결합되는 후방단부판(105)이 구비되어 있고, 상,하 플랜지(101, 10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수평방향 폭이 확장되는 삼각형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강봉(11)에 의한 긴장력의 도입에 의해, 토압으로 인한 휨모멘트에 저항하는 띠장(2)의 휨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며;
한 쌍의 결합블록(10) 사이에 배치되어, 후방단부는 띠장(2)에 조립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단부는 강봉(11)과 밀착하여, 강봉(11)을 지지함과 동시에 한 쌍의 결합블록(10) 사이에서 띠장(2)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한 휨모멘트를 강봉(11)에 전달하게 되는 강봉고정재(12)가 구비되어 있고;
후방단부판(105)의 상단에는 띠장(2)을 향하여 후방연장판(106)이 구비되어 있으며, 후방연장판(106)의 후방단부에는 연직절곡판(106a)이 구비되어 있고;
결합블록(10)이 띠장(2)에 결합될 때, 후방단부판(105)이 띠장(2)의 전방 플랜지(23) 전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연직절곡판(106a)은 띠장(2)의 후방 플랜지(21)의 전면에 밀착되어, 버팀보(3)로부터의 축력이 후방단부판(105)과 연직절곡판(106a)으로 각각 분배된 상태로 띠장(2)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보강장치.
- 삭제
- 삭제
- 토류벽의 전방에서 설치되어 버팀보(3)로부터의 축력을 토류벽에 전달하는 띠장 조립체(100)로서,
토류벽의 말뚝과 결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띠장(2)과;
띠장(2)과 일체로 됨과 동시에 띠장(2)의 휨강성을 보강하는 청구항 제1항 에 따른 띠장 보강장치(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장 조립체.
- 삭제
- 삭제
- 지중에 말뚝(301)을 연직하게 관입 설치하고;
수평방향으로 말뚝(301) 사이의 간격에 토류판(302)을 끼워서 토류벽을 형성하고;
토류벽의 전면에 띠장(2)을 설치하며;
띠장(2)의 휨강성을 보강하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띠장 보강장치(1)를 띠장(2)에 일체로 설치하고;
띠장의 전방으로 띠장 보강장치(1)에 버팀보(3)를 결합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벽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1015A KR101624102B1 (ko) | 2015-07-16 | 2015-07-16 | 강봉을 이용한 띠장 보강장치,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1015A KR101624102B1 (ko) | 2015-07-16 | 2015-07-16 | 강봉을 이용한 띠장 보강장치,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4102B1 true KR101624102B1 (ko) | 2016-05-25 |
Family
ID=5611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1015A KR101624102B1 (ko) | 2015-07-16 | 2015-07-16 | 강봉을 이용한 띠장 보강장치,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4102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8825B1 (ko) * | 2016-07-08 | 2017-03-08 | 안성근 |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 |
KR101926160B1 (ko) * | 2017-11-14 | 2019-02-26 | 한빛건설주식회사 | 흙막이 가시설용 띠장 설치공법 및 띠장 |
KR102392355B1 (ko) * | 2021-08-10 | 2022-04-28 | 정원훈 | 가로보 연결 구조체 |
KR102499826B1 (ko) * | 2022-03-02 | 2023-02-14 |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강성증대 엄지말뚝을 이용한 자립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
KR20240020023A (ko) | 2022-08-05 | 2024-02-14 | 김기철 | 가시설 띠장구조체의 연결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띠장구조체 시공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1040B1 (ko) * | 2011-10-10 | 2012-08-06 | 전혜관 | 긴장재를 이용한 조립식 간이 흙막이 시공 방법 |
KR101323945B1 (ko) * | 2013-02-15 | 2013-10-31 | 김종관 | 가변형 프리스트레스 구조를 갖는 흙막이 공법용 띠장재 |
-
2015
- 2015-07-16 KR KR1020150101015A patent/KR1016241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1040B1 (ko) * | 2011-10-10 | 2012-08-06 | 전혜관 | 긴장재를 이용한 조립식 간이 흙막이 시공 방법 |
KR101323945B1 (ko) * | 2013-02-15 | 2013-10-31 | 김종관 | 가변형 프리스트레스 구조를 갖는 흙막이 공법용 띠장재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8825B1 (ko) * | 2016-07-08 | 2017-03-08 | 안성근 |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 |
KR101926160B1 (ko) * | 2017-11-14 | 2019-02-26 | 한빛건설주식회사 | 흙막이 가시설용 띠장 설치공법 및 띠장 |
KR102392355B1 (ko) * | 2021-08-10 | 2022-04-28 | 정원훈 | 가로보 연결 구조체 |
KR102499826B1 (ko) * | 2022-03-02 | 2023-02-14 |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강성증대 엄지말뚝을 이용한 자립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
KR20240020023A (ko) | 2022-08-05 | 2024-02-14 | 김기철 | 가시설 띠장구조체의 연결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띠장구조체 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4102B1 (ko) | 강봉을 이용한 띠장 보강장치,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 | |
KR101611937B1 (ko) | 흙막이 공사용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겹띠장 부재재 | |
KR100777212B1 (ko) | 버팀보 조인트 | |
KR101357775B1 (ko) |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버팀보 연결장치 | |
JP2014159711A (ja) | 山留壁の架構構造 | |
KR20160005310A (ko) | 강관 버팀보를 이용한 가설 흙막이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546434B1 (ko) | 편심조절이 가능한 겹띠장,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 |
US6984092B1 (en) | Corner connection for temporary shoring | |
KR101599672B1 (ko) |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 |
KR101468101B1 (ko) | 사선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 |
KR100916546B1 (ko) |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 |
KR102365786B1 (ko) | 채널형 보강연결구로 보강된 형강보와 각형강관 기둥의 조립형 접합구조 | |
JP5165455B2 (ja) | 鋼製スリットダム及びその施工方法 | |
KR20120131996A (ko) | 흙막이 가시설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JP5656065B2 (ja) |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の構造部材 | |
JP6070118B2 (ja) | 土留壁構造、土留壁構造の構築方法 | |
KR101943974B1 (ko) |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JP6599377B2 (ja) | 切梁材の切替金物 | |
JP7156347B2 (ja) | 鋼製壁体と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構造 | |
KR102484548B1 (ko) | 마름모형 단면의 지보재를 이용한 터널 굴착면의 지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JP6535558B2 (ja) | 腹起し | |
JP2010024775A (ja) | 鉄筋かごの揚重方法、鉄筋かご、鉄筋かごの組立方法 | |
KR20180092499A (ko) | 복수 띠장을 이용한 버팀보 지지 시스템 | |
KR101211763B1 (ko) | 조립식 강지보의 결합구조 | |
JP7123782B2 (ja) | 地中連続壁の継手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