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672B1 -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672B1
KR101599672B1 KR1020150066836A KR20150066836A KR101599672B1 KR 101599672 B1 KR101599672 B1 KR 101599672B1 KR 1020150066836 A KR1020150066836 A KR 1020150066836A KR 20150066836 A KR20150066836 A KR 20150066836A KR 101599672 B1 KR101599672 B1 KR 101599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plate
connecting plate
coupl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호
Original Assignee
박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호 filed Critical 박광호
Priority to KR1020150066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는 공사현장의 흙막이 벽체를 보강하는 버팀보를 띠장과 받침보에 연결시킬 때 버팀보에 천공되는 체결공을 없애 버팀보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버팀보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COUPLING DEVICE FOR SUPPORTING BEAM OF EARTH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현장의 흙막이 벽체를 보강하는 버팀보를 띠장과 받침보에 연결시킬 때 버팀보에 천공되는 체결공을 없애 버팀보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버팀보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지하에 건물의 기초, 지하실 또는 콘크리트 벽체를 축조하기 위하여 해당 지반을 굴토한 후 굴토면이 토압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막이 공사를 하게 된다.
이러한 흙막이는 소정 간격으로 지반에 설치되는 H파일에 굴토면을 받치는 토류벽을 형성하고 H파일의 상단에 수평되게 띠장이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띠장과 띠장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평되게 버팀보가 설치된다.
이때 띠장의 사이가 먼 경우에는 버팀보와 버팀보가 수평으로 연결된다.
상기 버팀보를 통해 띠장이 토류벽이 토압을 견디게 되고, 이때 횡방향으로 미치는 토압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버팀보를 토류벽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크류잭이 더 설치된다.
여기서 띠장과 버팀보로 H형강을 사용된다.
종래의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공법(특허공개 제2005-0106703호)은 띠장에 버팀보를 설치한 구성이다.
이러한 종래의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공법은 버팀보를 연결구에 삽입시키고, 상기 연결구에는 후크부를 형성하여 상기 띠장의 플랜지에 결합시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단순히 연결구가 띠장의 플랜지에 걸쳐진 구조로, 연결구가 좌우측으로 유동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항시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띠장의 플랜지가 버팀보의 하중을 지탱하게 되므로 연결구가 삽입된 띠장의 플랜지가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팀보와 버팀보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 "버팀보의 연결구조(특허등록 제142442호)가 등록된 바 있다.
하지만 버팀보의 연결구조는 2개의 강재빔의 이음부위에 제 3연결대를 결합시켜 볼팅 결합시키는 구조로, 버팀보에 체결공을 뚫어 버팀보의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점과, 시공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공사현장의 흙막이 벽체를 보강하는 버팀보를 띠장과 받침보에 연결시킬 때 버팀보에 천공되는 체결공을 없애 버팀보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버팀보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버팀보에 체결공을 천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버팀보의 손상을 방지하고, 천공 형성에 따른 인건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재활용시 버팀보의 전체적인 강성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띠장에 체결되는 커플러를 이용하여 버팀보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고, 또한 커플러에 보강대를 일체로 마련하여 버팀보의 하중에 의해 띠장의 플랜지가 휘어지거나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버팀보의 양측 이음 단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 1연결판;과, 제 2버팀보의 이음 단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제 1연결판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 1플레이트가 용접결합되어 제 1연결판과 밀착 결합되는 제 2연결판;과, 띠장의 플랜지에 후크 결합되는 후크걸쇠를 갖고, 중앙에는 제 1버팀보에 결합된 제 1연결판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 2플레이트가 용접결합되어 제 1연결판과 밀착 결합되는 제 3연결판;과, 상기 제 1버팀보와 제 2버팀보의 이음 단부를 체결고정하는 제 1커플러;와, 띠장의 플랜지에 후크 결합된 제 3연결판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띠장에 고정되어 제 3연결판의 좌우측을 지지하는 제 2커플러; 및 제 1,2버팀보와 받침보를 상호 간 고정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커플러는 상기 제 1,2버팀보의 상부 플랜지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걸림판부와, 상기 각 걸림판부에 수평연장되어 제 1,2버팀보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제 1수평판부와, 상기 각 제 1수평판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 1지지판부로 구성되되, 상기 각 제 1지지판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호 간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각 걸림판부의 중앙에는 제 1,2버팀보에 결합된 제 1,2연결판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절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커플러는 띠장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는 보강대와, 상기 보강대에 수직 연장되는 제 2수평판부와, 상기 제 2수평판부에서 수평 연장되고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 2지지판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2커플러는 띠장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제 2지지판부의 체결공을 통해 상호간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 1,2버팀보의 하부 플랜지 상부면에 밀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하향 연장되는 장볼트와, 상기 장볼트에 삽입되어 받침보의 하부 플랜지 저면에 배치되는 가압판과, 상기 장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가압판과 고정판을 고정시키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저면에 다수의 스파이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커플러는 띠장과, 제 1,2버팀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 1버팀보 또는 제 2버팀보에는 스크류잭이 더 결합되되, 상기 스크류잭의 양단부에는 제 1연결판과, 제 2연결판 및 제 3연결판 중 어느 하나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에 따르면, 공사현장의 흙막이 벽체를 보강하는 버팀보를 띠장과 받침보에 연결시킬 때 버팀보에 천공되는 체결공을 없애 버팀보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버팀보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팀보에 체결공을 천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버팀보의 손상을 방지하고, 천공 형성에 따른 인건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재활용시 버팀보의 전체적인 강성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띠장에 체결되는 커플러를 이용하여 버팀보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고, 또한 커플러에 보강대를 일체로 마련하여 버팀보의 하중에 의해 띠장의 플랜지가 휘어지거나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플러에 형성된 보강대를 이용하여 버팀보 또는 받침보 또는 띠장에 용접결합되는 스티프너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제 1,2버팀보 및 상기 제 1,2버팀보에 결합된 제 1커플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제 1버팀보 및 상기 제 1버팀보와 띠장에 결합된 제 3연결판 및 제 2커플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제 1버팀보와 받침보에 결합된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발췌된 스크류잭의 결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제 1,2버팀보 및 상기 제 1,2버팀보에 결합된 제 1커플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제 1버팀보 및 상기 제 1버팀보와 띠장에 결합된 제 3연결판 및 제 2커플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제 1버팀보와 받침보에 결합된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사현장의 흙막이 벽체를 보강하는 버팀보를 띠장과 받침보에 연결시킬 때 버팀보에 천공되는 체결공을 없애 버팀보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버팀보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1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제 1연결판(10)과, 제 2연결판(20)과, 제 3연결판(30)과, 제 1커플러(40)와, 제 2커플러(50) 및 클램프(60)로 구성된다.
도 2와 같이, 상기 제 1연결판(10)은 제 1버팀보(200a)의 양측 연결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중앙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 1연결판(10)은 제 1버팀보(200a)와 동일한 재질의 강재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개구부(11)는 "사각" 형태로 구성되며, 이외에 원형, 오각, 육각,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2연결판(20)은 제 2버팀보(200b)의 연결 단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제 1연결판(10)의 개구부(11)에 삽입되는 제 1플레이트(21)가 용접결합되어 제 1연결판(10)과 밀착되는 구성이다.
상술된 구성은 제 1버팀보(200a) 또는 제 2버팀보(200b)에 스크류잭(J)을 설치하여 힘을 가하면 상기 제 1버팀보(200a)와 제 2버팀보(200b)는 개구부(11)에 삽입되는 제 1플레이트(21)를 처짐을 방지하고 상호 간 1차로 가(假)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제 1버팀보(200a)와 제 2버팀보(200b)를 이음 연결할 때 상기 각 버팀보(200a, 200b)에 천공되는 체결공(H)을 없애 상기 각 버팀보(200a, 200b)의 강성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과 같이, 상기 제 3연결판(30)은 제 1버팀보(200a)의 제 1연결판(10)과 밀착 결합되는 것으로, 띠장(300)의 플랜지(P)에 후크 결합되는 후크걸쇠(32)를 갖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후크걸쇠(32)는 제 3연결판(30)의 상단을 2단 절곡시켜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후크걸쇠(32)를 통해 제 3연결판(30)이 띠장(300)의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 배치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러한 제 3연결판(30)의 내부 중앙에는 제 1연결판(10)의 개구부(11)의 형상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제 2플레이트(31)가 일체로 용접결합되어 구성된다.
상술된 제 3연결판(30)은 제 2연결판(20)과 동일 구조이며, 다만 제 3연결판(30)은 후크걸쇠(32)가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제 1커플러(40)는 상호 연결된 상기 제 1버팀보(200a)와 제 2버팀보(200b)의 이음 부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버팀보(200a)와 제 2버팀보(200b)의 외각에서 상호간 체결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 1커플러(40)는 도 2와 같이, 상기 제 1,2버팀보(200a, 200b)의 상부 플랜지(P)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걸림판부(41)와, 상기 각 걸림판부(41)에 수평연장되어 제 1,2버팀보(200a, 200b)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제 1수평판부(42)와, 상기 각 제 1수평판부(42)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 1지지판부(43)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각 제 1지지판부(43)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공(H)이 형성되어 상호 간 볼팅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 걸림판부(41)의 중앙에는 제 1,2버팀보(200a, 200b)에 결합된 제 1,2연결판(10,2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절개부(411)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절개부(411)는 제 1,2연결판(10,20)을 삽입을 유도하여 상기 각 걸림판부(41)가 제 1,2버팀보(200a, 200b)의 상부 플랜지(P)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술된 제 1커플러(40)는 걸림판부(41)가 제 1,2버팀보(200a, 200b)의 상부 플랜지 양측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각 제 1지지판부(43)에 형성된 체결공(H)을 통해 볼트(B)와 너트(N)로 체결됨으로써, 제 1,2버팀보(200a, 200b)를 이음 부위를 2차적으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 1커플러(40)를 통해 제 1,2버팀보(200a, 200b)의 이음 부위에 발생되는 좌굴이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커플러(50)는 도 3와 같이, 띠장(300)의 플랜지(P)에 후크 결합된 제 3연결판(3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띠장(300)에 고정되어 제 3연결판(30)의 좌우측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제 2커플러(50)는 띠장(300)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P) 사이에 삽입되는 보강대(51)와, 상기 각 보강대(51)에 수직 연장되는 제 2수평판부(52)와, 상기 각 제 2수평판부(52)에서 수평 연장되는 제 2지지판부(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보강대(51)는 띠장(300)의 플랜지(P)와 플랜지(P)의 사이에 삽입되어 띠장(300)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부가적인 기능을 겸한다.
그리고 상기 각 제 2수평판부(52)는 띠장(300)의 상부 및 하부 전면에 밀착되는데, 이 때 상기 각 제 2수평판부(52)의 측면은 제 3연결판(30)의 좌,우 측면에 고정되어 제 3연결판(30)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제 2지지판부(53) 역시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공(H)이 형성되어 상호 간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60)는 도 4와 같이, 제 1,2버팀보(200a, 200b)와 받침보(400)를 상호 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클램프(60)는 상기 제 1,2버팀보(200a, 200b)를 직접적인 볼팅 결합 없이 받침보(4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상기 제 1,2버팀보(200a, 200b)의 하부 플랜지(P) 상부면에 밀착되는 고정판(61)과, 상기 고정판(61)에 하향 결합되는 장볼트(62)와, 상기 장볼트(62)에 삽입되어 받침보(400)의 하부 플랜지(P) 저면에 배치되는 가압판(63)과, 상기 장볼트(62)에 체결되어 상기 가압판(63)과 고정판(61)을 고정시키는 너트(N)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고정판(61)은 받침보(400)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이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저면에 다수의 스파이크(611)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장볼트(62)는 고정판(61)에 저면에 2개가 하향 결합되는 구성이고, 이러한 상기 각 장볼트(62)는 받침보(400)의 상부 플랜지(P)에 형성된 삽입공(H)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가압판(63)은 상부 플랜지(P)의 하부로 노출된 각 장볼트(62)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너트(N)는 각 장볼트(62)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각 가압판(63)과, 상기 고정판(61)을 일체로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너트(N)의 체결 정도에 따라 가압판(63)은 상향으로 가압되고, 고정판(61)은 하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제 1,2버팀보(200a, 200b)를 받침보(4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클램프(60)는 제 1,2버팀보(200a, 200b)의 폭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어 제 1,2버팀보(200a, 200b)의 좌우측을 받침보(4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의 시공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버팀보(200a)의 이음 단부에 제 1연결판(10)을 용접결합시킨다.
그리고 제 2버팀보(200b)의 이음 단부에 제 2연결판(20)을 용접결합시킨다.
흙막이 벽체를 이루는 띠장(300)의 전면 플랜지(P)에 후크걸쇠(32)를 삽입하여 제 3연결판(30)을 설치한다.
그리고 제 1버팀보(200a)와 제 2버팀보(200b)의 받침보(400)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제 1버팀보(200a) 또는 제 2버팀보(200b)에 스크류잭(J)을 설치한다.
제 1버팀보(200a)의 양측에 결합된 제 1연결판(10)을 띠장(300)의 제 3연결판(30)과, 제 1버팀보(200a)의 제 2연결판(20)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잭(J)을 띠장(300)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 1버팀보(200a)와, 띠장(300)과, 제 2버팀보(200b)를 가(假) 결합시켜 고정한다.
제 1커플러(40)를 제 1버팀보(200a)와 제 2버팀보(200b)의 이음 부위에 결합시킨다.
제 2커플러(50)를 띠장(300)에 고정시켜 제 3연결판(30)을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클램프(60)를 설치하여 제 1,2버팀보(200a, 200b)와 받침보(400)를 연결하여 시공을 완성한다.
도 5는 도 1에서 발췌된 스크류잭의 결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버팀보(200a) 또는 제 2버팀보(200b)에는 스크류잭(J)이 더 결합되는데, 이러한 상기 스크류잭(J)은 볼팅 결합없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크류잭(J)의 양단부에는 제 1연결판(10)과, 제 2연결판(20) 및 제 3연결판(30) 중 어느 하나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크류잭(J)의 일단은 제 2버팀보(200b)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띠장(300)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 때 제 2버팀보(200b)의 단부에 제 1연결판(10)이 결합될 경우에는 스크류잭(J)의 일단에는 제 2연결판(20)을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2연결판(20)에 형성되는 제 1플레이트(21)의 형상은 제 2버팀보(200b)의 플랜지(P)와, 플랜지(P) 사이에 연결되는 수직빔(미부호)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2개로 반분시켜 제 1연결판(10)의 개구부(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잭(J)의 타단은 제 3연결판(30)을 결합시켜 띠장(300)의 플랜지(P)에 후크걸쇠(32)가 후크 결합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제 1연결판 11: 개구부
20: 제 2연결판 21: 제 1플레이트
30: 제 3연결판 31: 제 2플레이트 32: 후크걸쇠
40: 제 1커플러 41: 걸림판부 411: 절개부
42: 제 1수평판부 43: 제 1지지판부
50: 제 2커플러 51: 보강대 52: 제 2수평판부
53: 제 2지지판부
60: 클램프 61: 고정판 611: 스파이크
62: 장볼트 63: 가압판
100: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200a: 제 1버팀보 200b: 제 2버팀보
300: 띠장
400: 받침보
P: 플랜지 B: 볼트 N: 너트
H: 삽입공, 체결공 J: 스크류잭

Claims (8)

  1. 띠장과 받침대에 연결되는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에 있어서,
    제 1버팀보(200a)의 양측 이음 단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된 제 1연결판(10);
    제 2버팀보(200b)의 이음 단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제 1연결판(10)의 개구부(11)에 삽입되는 제 1플레이트(21)가 용접결합되어 제 1연결판(10)과 밀착 결합되는 제 2연결판(20);
    띠장(300)의 플랜지(P)에 후크 결합되는 후크걸쇠(32)를 갖고, 중앙에는 제 1버팀보(200a)에 결합된 제 1연결판(10)의 개구부(11)에 삽입되는 제 2플레이트(31)가 용접결합되어 제 1연결판(10)과 밀착 결합되는 제 3연결판(30);
    상기 제 1버팀보(200a)와 제 2버팀보(200b)의 이음 단부를 체결고정하는 제 1커플러(40);
    띠장(300)의 플랜지(P)에 후크 결합된 제 3연결판(3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띠장(300)에 고정되어 제 3연결판(30)의 좌우측을 지지하는 제 2커플러(50); 및
    제 1,2버팀보(200a, 200b)와 받침보(400)를 상호 간 고정시키는 클램프(6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커플러(50)는 띠장(300)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P) 사이에 삽입되는 보강대(51)와, 상기 보강대(51)에 수직 연장되는 제 2수평판부(52)와, 상기 제 2수평판부(52)에서 수평 연장되고 체결공(H)이 형성되는 제 2지지판부(53)로 구성되며,
    상기 제 2커플러(50)는 띠장(30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제 2지지판부(53)의 체결공(H)을 통해 상호간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커플러(40)는 상기 제 1,2버팀보(200a, 200b)의 상부 플랜지(P)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걸림판부(41)와, 상기 각 걸림판부(41)에 수평연장되어 제 1,2버팀보(200a, 200b)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제 1수평판부(42)와, 상기 각 제 1수평판부(42)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 1지지판부(43)로 구성되되,
    상기 각 제 1지지판부(43)에는 2개 이상의 체결공(H)이 형성되어 상호 간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판부(41)의 중앙에는 제 1,2버팀보(200a, 200b)에 결합된 제 1,2연결판(10,2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절개부(4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60)는 상기 제 1,2버팀보(200a, 200b)의 하부 플랜지(P) 상부면에 밀착되는 고정판(61)과, 상기 고정판(61)에 하향 연장되는 장볼트(62)와, 상기 장볼트(62)에 삽입되어 받침보(400)의 하부 플랜지(P) 저면에 배치되는 가압판(63)과, 상기 장볼트(62)에 체결되어 상기 가압판(63)과 고정판(61)을 고정시키는 너트(N)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61)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저면에 다수의 스파이크(61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커플러(50)는 띠장(300)과, 제 1,2버팀보(200a, 200b)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제 1버팀보(200a) 또는 제 2버팀보(200b)에는 스크류잭(J)이 더 결합되되,
    상기 스크류잭(J)의 양단부에는 제 1연결판(10)과, 제 2연결판(20) 및 제 3연결판(30) 중 어느 하나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KR1020150066836A 2015-05-13 2015-05-13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KR101599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836A KR101599672B1 (ko) 2015-05-13 2015-05-13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836A KR101599672B1 (ko) 2015-05-13 2015-05-13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672B1 true KR101599672B1 (ko) 2016-03-03

Family

ID=5553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836A KR101599672B1 (ko) 2015-05-13 2015-05-13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67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941A (ko) 2018-03-07 2019-09-18 (주)핸스 강관 버팀보의 받침부재 및 이를 갖는 강관 버팀보의 받침기구
KR20190105924A (ko) * 2018-03-07 2019-09-18 삼정건설산업(주) 흙막이 구조물용 띠장과 버팀보의 체결구조
KR102087083B1 (ko) 2019-09-03 2020-03-10 윤기환 토목 공사용 흙막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51788B1 (ko) * 2021-09-10 2022-01-17 주식회사 태근엔지니어링 간편 지보재 연결장치
KR20240000726A (ko) 2022-06-24 2024-01-03 강찬성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7079A (ja) * 1995-12-26 1997-07-08 Tooshin:Kk 鋼材の組立方法
KR20050106703A (ko) * 2004-05-06 2005-11-11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공법
KR20050110775A (ko) * 2004-05-19 2005-11-24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나사 결합형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050116006A (ko) * 2004-06-04 2005-12-08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7079A (ja) * 1995-12-26 1997-07-08 Tooshin:Kk 鋼材の組立方法
KR20050106703A (ko) * 2004-05-06 2005-11-11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공법
KR20050110775A (ko) * 2004-05-19 2005-11-24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나사 결합형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050116006A (ko) * 2004-06-04 2005-12-08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연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941A (ko) 2018-03-07 2019-09-18 (주)핸스 강관 버팀보의 받침부재 및 이를 갖는 강관 버팀보의 받침기구
KR20190105924A (ko) * 2018-03-07 2019-09-18 삼정건설산업(주) 흙막이 구조물용 띠장과 버팀보의 체결구조
KR102037513B1 (ko) * 2018-03-07 2019-10-28 삼정건설산업(주) 흙막이 구조물용 띠장과 버팀보의 체결구조
KR102087083B1 (ko) 2019-09-03 2020-03-10 윤기환 토목 공사용 흙막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51788B1 (ko) * 2021-09-10 2022-01-17 주식회사 태근엔지니어링 간편 지보재 연결장치
KR20240000726A (ko) 2022-06-24 2024-01-03 강찬성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672B1 (ko)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KR101677811B1 (ko)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10392772B2 (en) Construction method for band type fiber reinforcing material for reinforced-soil retaining-wall
KR102007947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및 시공방법
KR200471055Y1 (ko)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KR101649449B1 (ko) 강화버팀보를 이용한 이음장치
KR101410666B1 (ko) 비계용 단위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비계
KR100777212B1 (ko) 버팀보 조인트
KR101500144B1 (ko) 아치형 광폭띠장 및 아치형 광폭띠장 구조체
US6984092B1 (en) Corner connection for temporary shoring
KR100801480B1 (ko) 옹벽의 지오그리드 결합구조
KR100973601B1 (ko)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터파기방법
KR101624102B1 (ko) 강봉을 이용한 띠장 보강장치,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
KR101352146B1 (ko) 띠장과 버팀보 일체형 단위 흙막이 가시설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683968B1 (ko) 띠장 브래킷
KR20090079660A (ko) 지지부재 취부 돌출 거치쇄 수평 보의 끼움 결합구조
KR20100076386A (ko) 플랜지용 강관 이음장치
KR101468101B1 (ko) 사선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KR20110009644U (ko) 흙막이 벽체 시공용 버팀보 연결장치
KR20190083299A (ko) 조립식 천막의 지붕 트러스간 연결방법 및 장치
US5080533A (en) Safety shield for an excavation trench
KR101448390B1 (ko) 사각강관 띠장과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구조
KR20120131996A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38988B1 (ko) 메쉬망을 이용한 토류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92499A (ko) 복수 띠장을 이용한 버팀보 지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