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811B1 -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7811B1 KR101677811B1 KR1020140183042A KR20140183042A KR101677811B1 KR 101677811 B1 KR101677811 B1 KR 101677811B1 KR 1020140183042 A KR1020140183042 A KR 1020140183042A KR 20140183042 A KR20140183042 A KR 20140183042A KR 101677811 B1 KR101677811 B1 KR 1016778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chor
- fixing device
- pair
- shaft
- ear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종래 토류판을 사용하는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띠장 시공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 도 1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흙막이 지보공의 제거식 어스앵커 단독 띠장 구조물에 대한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홈메우기 겸용 거치대의 구조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축볼트가 통과되는 축지지부 하부고정장치와 이에 쌍을 이루며 결합되는 축지지부 상부고정장치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중의 강선이 통과되는 앵커인장부 하부고정장치와 이에 쌍을 이루며 결합되는 지압판 겸용 앵커인장부 상부고정장치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띠장 강재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축볼트가 결합된 홈메우기 겸용 거치대, 스페이서, 축볼트가 통과되는 축지지부 하부고정장치와 이에 쌍을 이루며 결합되는 축지지부 상부고정장치의 결합구조에 의한 흙막이 지보공의 제거식 어스앵커 단독 띠장 구조물의 결합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중의 강선이 통과되는 앵커인장부 하부고정장치와 이에 쌍을 이루며 결합되는 지압판 겸용 앵커인장부 상부고정장치의 결합구조에 의한 흙막이 지보공의 제거식 어스앵커 단독 띠장 구조물의 결합단면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띠장 사이에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는 간격유지용 연결판과 스티프너를 적용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독 띠장 자체에 스티프너를 일체형으로 용접 구성한 평면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스티프너가 일체로 형성된 앵커인장부 하부고정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스티프너가 일체로 형성된 앵커인장부 하부고정장치와 띠장의 결합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스티프너가 일체로 형성된 앵커인장부 하부고정장치와 띠장의 결합 구조를 보인 평단면도.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에 대한 시공 흐름도.
30; 축볼트 40; 띠장
41; 제 1 스티프너 50; 축지지부 하부고정장치
51; 제 1 홀 52; 낙하방지용 제 1 걸림부
53; 제 1 간격유지돌기 60; 앵커인장부 하부고정장치
62; 낙하방지용 제 2 걸림부 63; 제 2 간격유지돌기
65; 제 2 스티프너 70, 70'; 상부고정장치
71; 제 2 홀 72; 정렬날개
73; 제 3 간격유지돌기 80; 너트
90; 콘 100; 간격유지용 연결판
110; 스페이서 200; 사이드파일
300; 볼트 400; 체결홀
T1; 강선
Claims (11)
- 사이드파일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고정볼트와 조임너트로 결합 고정되는 홈메우기 겸용 거치대;
상기 홈메우기 겸용 거치대에 볼트 결합되는 축볼트;
상기 축볼트를 중심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띠장;
중앙에 상기 축볼트가 관통하는 제 1 홀이 형성되고, 상기 띠장의 하측 후렌지부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축지지부 하부고정장치;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띠장의 사이로 다중의 강선이 통과시 다중의 상기 강선이 통과되는 단면부위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띠장의 하측 후렌지부를 감싸며 설치되고, 띠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한쌍의 앵커인장부 하부고정장치;
상기 축볼트 또는 다중의 상기 강선이 통과되는 제 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축지지부 하부고정장치와 앵커인장부 하부고정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상기 띠장의 타단에 고정되는 축지지부 상부고정장치 및 지압판 겸용 앵커인장부 상부고정장치;
상기 축지지부 상부고정장치의 제 2 홀을 통과하는 축볼트에 고정되는 와셔 및 너트; 그리고,
상기 지압판 겸용 앵커인장부 상부고정장치의 제 2 홀을 통과하는 다중 강선에 통과되어 고정되는 콘;
을 포함하는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 하부고정장치에는 상기 띠장의 내면을 감싸는 낙하방지용의 제 1 걸림부를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한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앵커인장부 하부고정장치의 사이로 다중으로 이루어진 상기 강선이 통과되도록 하되, 복수로 이루어진 상기 앵커인장부 하부고정장치에는 각각 상기 띠장의 내면을 감싸는 낙하방지용의 제 2 걸림부를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띠장의 사이에는 간격유지용 연결판을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 하부고정장치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띠장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 1 간격유지돌기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인장부 하부고정장치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띠장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 2 간격유지돌기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 상부고정장치 및 지압판 겸용 앵커인장부 상부고정장치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띠장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 3 간격유지돌기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띠장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단의 제 1 스티프너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상기 축지지부 하부고정장치의 낙하방지용 제 1 걸림부 또는 상기 앵커인장부 하부고정장치의 낙하방지용 제 2 걸림부에는 상기 띠장 내에 위치되도록 용접 고정되는 제 2 스티프너를 일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메우기 겸용 거치대와 상기 축지지부 하부고정장치의 사이에는 사이드파일 얼라인먼트 불일치로 인한 간극을 메우기 위한 다단의 스페이서를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 사이드파일과 CIP 말뚝 또는 토류판을 이용하여 가설 흙막이벽을 시공한 후, 상기 사이드파일의 일면에 고정볼트가 형성된 고정판을 용접 고정하는 제 1 공정;
상기 고정판에 고정볼트와 조임너트를 이용하여 일면에 축볼트가 설치되어 있는 홈메우기 겸용 거치대를 고정한 후, 상기 홈메우기 겸용 거치대 일면에 볼트결합되어 있는 축볼트를 관통하도록 축지지부 하부고정장치를 설치하는 제 2 공정;
축볼트를 관통하도록 조립되는 상기 축지지부 하부고정장치 위에, 상기 축볼트를 중심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띠장을 설치하는 제 3 공정;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축볼트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기 띠장의 타단에는 축볼트를 관통한 축지지부 상부고정장치를 결합시키는 제 4 공정;
사이드파일의 얼라인먼트 부족으로 인한 상기 홈메우기 겸용 거치대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홈메우기 겸용 거치대와 축지지부 하부고정장치 사이에 복수의 스페이서를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하는 제 5 공정;
상기 축지지부 하부고정장치와 띠장 및 축지지용 상부고정장치를 관통한 축볼트의 끝단에 와셔 및 너트를 체결 고정하는 제 6 공정;
CIP 말뚝 또는 토류판의 사이에서 인출되는 다중의 어스앵커 강선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띠장의 사이를 통과시, 상기 띠장의 일단에서 복수로 이루어진 앵커인장부 하부고정장치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설치간격을 조절하며 결합하여 강선의 통과지점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는 제 7 공정;
상기 띠장의 타단에 지압판 겸용 앵커인장부 상부고정장치를 결합시켜 다중의 강선이 통과되도록 한 후, 상기 지압판 겸용 앵커인장부 상부고정장치에 콘을 설치하여, 흙막이벽에 토압이 걸리는 것을 어스앵커로 지지하도록 상기 콘을 통해 강선을 인장하는 제 8 공정; 및,
상기 제 1 내지 제 8 공정을 반복하여 띠장 구조물을 조립 설치한 상태에서, 가설 흙막이벽 전면을 따라 본 구조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하고, 옹벽 시공 완료시 상기 제 1 내지 제 8 공정에서 조립 결합되는 띠장과 강선, 그리고 상기 띠장에 조립된 요소들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제 9 공정;
을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3042A KR101677811B1 (ko) | 2014-12-18 | 2014-12-18 |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3042A KR101677811B1 (ko) | 2014-12-18 | 2014-12-18 |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4148A KR20160074148A (ko) | 2016-06-28 |
KR101677811B1 true KR101677811B1 (ko) | 2016-11-18 |
Family
ID=5636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3042A Active KR101677811B1 (ko) | 2014-12-18 | 2014-12-18 |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7811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7421B1 (ko) | 2019-04-25 | 2020-02-13 | (주)제이피이엔씨 | 홈메우기 볼트를 갖는 띠장 및 이의 시공 방법 |
KR102172692B1 (ko) | 2020-07-16 | 2020-11-02 | (주)테스콤엔지니어링 | 흙막이 띠장 스티프너 |
KR102310228B1 (ko) | 2021-01-11 | 2021-10-08 | (주)제이피이엔씨 | 무용접 홈 메우기 및 재사용을 위한 띠장 받침 모듈 |
KR20230110120A (ko) | 2022-01-14 | 2023-07-21 | (주)제이피이엔씨 | 시공 안전성을 높인 띠장의 설치 방법 및 그 구조 |
KR102637531B1 (ko) | 2023-02-28 | 2024-02-16 | 김재승 | 홈메우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 방법 |
KR102653831B1 (ko) | 2023-07-17 | 2024-04-02 | (주)제이피이엔씨 | 어스앵커홀이 형성된 폐합단면형 띠장과 볼트식 홈메우기 세트를 구비한 어스앵커 전용 단독 띠장 시스템 |
KR102668277B1 (ko) | 2023-10-05 | 2024-05-22 | (주)영신디엔씨 | Cip공법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띠장 스크류 잭 |
KR102733952B1 (ko) | 2024-03-18 | 2024-11-25 | 신동은 | 흙막이 시공용 지지구조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22241B (zh) * | 2016-12-14 | 2019-04-12 |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 超大层高地下室结构的深基坑支护方法 |
CN108625378A (zh) * | 2018-06-25 | 2018-10-09 | 浦江县飞通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改良型桥梁深基坑施工方法 |
CN108625380B (zh) * | 2018-06-30 | 2019-03-22 | 武汉市市政路桥有限公司 | 一种桥梁深基坑施工设备及其使用方法 |
KR102055891B1 (ko) * | 2018-12-18 | 2020-01-22 | 임세춘 | 흙막이 벽체용 필러 |
CN109680691B (zh) * | 2018-12-25 | 2021-04-06 | 三箭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 基坑环形支撑的土方开挖方法 |
CN109736184B (zh) * | 2019-03-06 | 2024-04-19 | 兰州交通大学 | 一种波形钢腹板组合桥主梁与桥台连接件及其安装方法 |
KR102322742B1 (ko) * | 2021-01-19 | 2021-11-08 | (주)케이엘 | 시공오차 보정식 띠장 지지장치 |
CN113216214B (zh) * | 2021-06-22 | 2025-03-11 | 辽宁工程技术大学 | 一种深基坑桩锚支护体系中双向装配式减振装置 |
CN113737811A (zh) * | 2021-09-22 | 2021-12-03 |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 一种狭小基坑内装配式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
CN115839092A (zh) * | 2022-11-29 | 2023-03-24 | 中国市政工程中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 一种施加横向预应力并集止水与支护为一体的预制桩板式支护结构体系及施工方法 |
KR102728954B1 (ko) * | 2023-11-23 | 2024-11-13 | (주)영신디엔씨 | 흙막이 지보공의 재사용 가능한 띠장(Recycling Wale;RW) 연결 조립체 |
KR102752110B1 (ko) * | 2024-09-02 | 2025-01-10 | 주식회사 명동엔지니어링 | 흙막이 응급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응급 보수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3508B1 (ko) * | 2007-08-16 | 2009-06-17 | 이창남 | 지하실 외벽과 격리 시공하는 '시'형띠장 흙막이공법(='시'형띠장 흙막이공법) |
KR101328907B1 (ko) * | 2013-02-20 | 2013-11-13 | 손일준 |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
-
2014
- 2014-12-18 KR KR1020140183042A patent/KR101677811B1/ko active Active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7421B1 (ko) | 2019-04-25 | 2020-02-13 | (주)제이피이엔씨 | 홈메우기 볼트를 갖는 띠장 및 이의 시공 방법 |
KR102172692B1 (ko) | 2020-07-16 | 2020-11-02 | (주)테스콤엔지니어링 | 흙막이 띠장 스티프너 |
KR102310228B1 (ko) | 2021-01-11 | 2021-10-08 | (주)제이피이엔씨 | 무용접 홈 메우기 및 재사용을 위한 띠장 받침 모듈 |
KR20230110120A (ko) | 2022-01-14 | 2023-07-21 | (주)제이피이엔씨 | 시공 안전성을 높인 띠장의 설치 방법 및 그 구조 |
KR102637531B1 (ko) | 2023-02-28 | 2024-02-16 | 김재승 | 홈메우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 방법 |
KR102653831B1 (ko) | 2023-07-17 | 2024-04-02 | (주)제이피이엔씨 | 어스앵커홀이 형성된 폐합단면형 띠장과 볼트식 홈메우기 세트를 구비한 어스앵커 전용 단독 띠장 시스템 |
KR102668277B1 (ko) | 2023-10-05 | 2024-05-22 | (주)영신디엔씨 | Cip공법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띠장 스크류 잭 |
KR102733952B1 (ko) | 2024-03-18 | 2024-11-25 | 신동은 | 흙막이 시공용 지지구조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4148A (ko) | 2016-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7811B1 (ko) |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단독 띠장 강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0910987B1 (ko) | 띠장용 홈메우기 장치 | |
KR101357775B1 (ko) |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버팀보 연결장치 | |
KR20130002122U (ko) |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 |
KR101494132B1 (ko) | 엄지말뚝 상단 지지방식 자립식 흙막이 시설물 | |
KR101546434B1 (ko) | 편심조절이 가능한 겹띠장,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 |
KR101845717B1 (ko) |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
JP7670753B2 (ja) | 梁の構造、梁主筋配筋用の支持部材、および梁主筋の配筋方法 | |
KR20180137268A (ko) |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
KR101599672B1 (ko) |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 |
JP6151337B2 (ja) | 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及び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の施工方法 | |
JP5116443B2 (ja) | 深礎基礎、深礎基礎の施工方法及び深礎基礎用の作業足場 | |
KR101472753B1 (ko) | 강성이 보강된 자립식 가시설 구조 및 그 공법 | |
KR20120131996A (ko) | 흙막이 가시설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200482057Y1 (ko) | 지주식 흙막이용 체결장치 | |
WO2007123329A1 (en) | Mold for manufacturing u-type side gutt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mold | |
JP4982534B2 (ja) | 深礎基礎用の配筋作業のための補助具、及び、この補助具を用いた配筋の施工方法 | |
KR100986810B1 (ko) | 조립식 빔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조립식 버팀보 | |
KR101297679B1 (ko) | 와이어를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구조 및 그 공법 | |
JP2017061803A (ja) | 柱用アンカーボルトの位置決め治具及び鋼製柱脚部の施工方法 | |
JP2008121335A (ja) | 塔状pc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緊張システム装置 | |
KR101545713B1 (ko) | 합성형 강가시설 차수벽체 및 그 시공 방법 | |
KR20180092499A (ko) | 복수 띠장을 이용한 버팀보 지지 시스템 | |
KR101016002B1 (ko) | 말뚝 두부 연결 장치 | |
JP6736830B2 (ja) | 地下躯体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構築物の建替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