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717B1 -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Google Patents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5717B1 KR101845717B1 KR1020170076727A KR20170076727A KR101845717B1 KR 101845717 B1 KR101845717 B1 KR 101845717B1 KR 1020170076727 A KR1020170076727 A KR 1020170076727A KR 20170076727 A KR20170076727 A KR 20170076727A KR 101845717 B1 KR101845717 B1 KR 1018457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concrete structure
- steel frame
- anchor
- reinforced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3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730 finish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20 retrof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다섯째, 연결부재(400)는 철골부재(300)로 가려지는 내측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설치되는 구조로서, 도2 내지 도5 등에 도시된 단면 구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보강단면이 불필요하게 비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존 건물의 기초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T"형강의 연결부재(400)가 철골부재(300)의 플랜지에 결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ㄷ"형강의 연결부재(400)가 철골부재(300)의 플랜지에 결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a)는 "T"형강으로 제작된 연결부재(400)가 철골부재(300)의 웨브 일측면에 볼트결합된 경우이고, (b)는 "ㄷ"형강으로 제작된 연결부재(400)가 철골부재(300)의 웨브 일측면에 볼트결합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연결부재(400)가 하부연결부(410)와 상부연결부(420)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한다.
도6a는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의 개구부 내측면을 따라 앵커플레이트(100)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6b는 앵커플레이트(100)에 연결부재(400)의 일측 단부를 용접결합한 후 가체결된 볼트를 완전히 조인 상태를 도시한다.
도6c는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7a는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의 개구부 외측 전면을 따라 앵커플레이트(100)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7b는 앵커플레이트(100)에 하부연결부(410)를 앵커플레이트(100)에 용접결합한 후 가체결된 볼트를 완전히 조인 상태를 도시한다.
도7c는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8은 철골부재(300)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9는 철골부재(300)의 또 다른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10은 힌지형 마찰보강가새(330)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데, (a) 마찰패드(334)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b) 마찰패드(334)가 사용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100:앵커플레이트
200:앵커볼트
300:철골부재
330:힌지형 마찰보강가새
331:제1보강부재
332:제2보강부재
333:결속강판
334:마찰패드
335:힌지브라켓
400:연결부재
410:하부연결부
420:상부연결부
500:타설양생층
11:앵커볼트장착공
22:통과공
33:슬로트홀
Claims (8)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에 장착되는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철골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강 대상이 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의 바탕면을 따라 부착되는 평판 형태의 앵커플레이트(100);
상기 앵커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앵커볼트장착공(11)을 통과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에 매립 장착되는 앵커볼트(200);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의 기둥과 보를 따라 장착되는 철골부재(300); 및,
일측 단부는 시공 현장에서 상기 앵커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용접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철골부재(300)를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마다 유동 가능하게 상기 앵커플레이트(100)의 외측면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볼트로 가체결되는 다수의 연결부재(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앵커플레이트(100)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의 바탕면 사이에는 상기 앵커볼트(200)가 매립 장착된 상태에서도 간격(gap)이 존재하여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플레이트(100)의 외측면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볼트로 가체결된 상기 연결부재(400)는 시공 현장에서 상기 앵커플레이트(100)에 용접결합된 후 볼트를 완전히 조임으로써 상기 철골부재(300)에 고정되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볼트의 파단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과 상기 철골부재(300)의 일체 거동이 확보되고,
상기 연결부재(400)는 상기 철골부재(300)로 가려지는 내측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기 철골부재(300)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의 기둥과 보를 따라 " ㅁ"자 또는 "日"자 형태로 배열되는 구조가 되고,
상기 철골부재(300)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좌우 대칭 구조로 용접 결합되는 힌지형 마찰보강가새(330);
가 더 구비되되,
상기 힌지형 마찰보강가새(330)는,
일측이 상기 철골부재(300)에 맞닿아 용접결합되고,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슬로트홀(33)이 구비된 제1보강부재(331);
일측이 상기 철골부재(300)에 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슬로트홀(33)이 구비된 제2보강부재(332); 및,
상기 제1보강부재(331)와 상기 제2보강부재(332) 각각에 구비된 슬로트홀(33)을 통과하는 볼트에 의하여 볼트결합되어 상기 제1보강부재(331)와 상기 제2보강부재(332) 각각의 타측에 밀착되는 결속강판(333);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재(400)는,
"T"형강 또는 "ㄷ"형강으로 제작되며,
상기 철골부재(300)는,
"H"형강으로 제작되며,
상기 연결부재(400)가 "T"형강으로 제작될 경우 상기 연결부재(400)의 웨브의 단면부가 상기 앵커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용접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400)의 플랜지 외측면이 상기 철골부재(300)의 일측 플랜지 외측면 또는 상기 철골부재(300)의 웨브 일측면에 맞닿도록 볼트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400)가 "ㄷ"형강으로 제작될 경우 상기 연결부재(400)의 양측 웨브 단면부가 각각 상기 앵커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용접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400)의 플랜지 외측면이 상기 철골부재(300)의 일측 플랜지 외측면 또는 상기 철골부재(300)의 웨브 일측면에 맞닿도록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재(400)는,
"T"형강 또는 "ㄷ"형강으로 제작되는 하부연결부(410); 및,
"T"형강 또는 "ㄷ"형강으로 제작되는 상부연결부(420);
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연결부(410)의 웨브 단부는 상기 앵커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용접결합되고, 상기 하부연결부(410)의 플랜지 외측면과 상기 상부연결부(420)의 플랜지 외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볼트결합되고, 상기 상부연결부(420)의 웨브 단부가 각각 상기 철골부재(300) 웨브 일측면에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앵커플레이트(100)는,
다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개별적으로 상기 앵커볼트(200)에 의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일측으로 길게 늘어진 1개의 강판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앵커플레이트(100) 및 상기 연결부재(400)가 차지하고 있는 철골부재(300) 하부 영역의 공간을 채우도록 타설양생되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과 상기 철골부재(300)를 일체로 결합하는 타설양생층(50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힌지형 마찰보강가새(330)는,
상기 제1보강부재(331)와 상기 제2보강부재(332) 각각에 형성된 슬로트홀(33)과 대응하는 패턴의 슬로트홀(33)이 구비되고 상기 결속강판(333)이 볼트결합될 경우 상기 결속강판(333)과 상기 제1보강부재(331) 사이 및 상기 결속강판(333)과 상기 제2보강부재(332)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패드(334);
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내진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마감재의 철거 작업 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의 보강 부위 바탕면의 페인트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제1단계;
앵커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앵커볼트장착공(11)의 패턴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의 바탕면에 앵커볼트 장착을 위한 구멍을 천공하는 제2단계;
제2단계에서 천공된 구멍에 앵커볼트(200)를 장착하여 앵커플레이트(100)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의 바탕면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간격이 존재하도록 부착하는 제3단계;
철골부재(300)에 고장력볼트로 가조립된 연결부재(400)를 밀거나 당기면서 앵커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밀착한 후 용접결합하는 제4단계;
가체결된 고장력볼트를 완전히 조임으로써 연결부재(400)와 철골부재(300)를 최종 결합하는 제5단계;
거푸집을 설치한 후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과 철골부재(300)를 일체로 결합하는 타설양생층(500)을 형성하는 제6단계; 및,
양생이 완료된 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마감공정을 수행하는 제7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내진공법. - 제3항에 기재된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내진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마감재의 철거 작업 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의 보강 부위 바탕면의 페인트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제1단계;
앵커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앵커볼트장착공(11)의 패턴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의 바탕면에 앵커볼트 장착을 위한 구멍을 천공하는 제2단계;
제2단계에서 천공된 구멍에 앵커볼트(200)를 장착하여 앵커플레이트(100)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의 바탕면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간격이 존재하도록 부착하는 제3단계;
철골부재(300)에 용접결합된 상부연결부(420)에 볼트로 가조립된 하부연결부(410)를 밀거나 당기면서 앵커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밀착한 후 용접결합하는 제4단계;
가체결된 볼트를 완전히 조임으로써 상부연결부(420)와 하부연결부(410)를 최종 결합하는 제5단계;
거푸집을 설치한 후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50)과 철골부재(300)를 일체로 결합하는 타설양생층(500)을 형성하는 제6단계; 및,
양생이 완료된 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마감공정을 수행하는 제7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내진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6727A KR101845717B1 (ko) | 2017-06-16 | 2017-06-16 |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6727A KR101845717B1 (ko) | 2017-06-16 | 2017-06-16 |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5717B1 true KR101845717B1 (ko) | 2018-04-05 |
Family
ID=6197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6727A KR101845717B1 (ko) | 2017-06-16 | 2017-06-16 |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571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19387A (zh) * | 2019-06-17 | 2019-09-10 | 濮阳恒瑞建材科技有限公司 | 一种焊接装配式网架板 |
CN110359590A (zh) * | 2019-07-05 | 2019-10-22 | 重庆大学 | 一种用于主次结构侧向连接的双重防屈曲连接器 |
KR102391157B1 (ko) * | 2021-08-17 | 2022-04-27 | (주)신개산업 | 내진 보강용 프레임구조 시공방법 |
KR20240035729A (ko) * | 2023-12-14 | 2024-03-18 | 씨엠알아이티 주식회사 | 좌굴방지형 강재슬릿 지진에너지 감쇠장치, 내진보강구조 및 내진보강공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1628B1 (ko) * | 2010-08-06 | 2012-08-06 | 씨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형강을 이용한 다지점 회전식 마찰댐퍼 |
KR101214139B1 (ko) * | 2012-07-09 | 2012-12-20 | 홍정락 | 클램프를 이용한 단면증설 내진보강구조 및 단면증설 내진보강공법 |
-
2017
- 2017-06-16 KR KR1020170076727A patent/KR1018457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1628B1 (ko) * | 2010-08-06 | 2012-08-06 | 씨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형강을 이용한 다지점 회전식 마찰댐퍼 |
KR101214139B1 (ko) * | 2012-07-09 | 2012-12-20 | 홍정락 | 클램프를 이용한 단면증설 내진보강구조 및 단면증설 내진보강공법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19387A (zh) * | 2019-06-17 | 2019-09-10 | 濮阳恒瑞建材科技有限公司 | 一种焊接装配式网架板 |
CN110219387B (zh) * | 2019-06-17 | 2024-02-06 | 中鼎(河南)建筑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焊接装配式网架板 |
CN110359590A (zh) * | 2019-07-05 | 2019-10-22 | 重庆大学 | 一种用于主次结构侧向连接的双重防屈曲连接器 |
CN110359590B (zh) * | 2019-07-05 | 2024-02-23 | 重庆大学 | 一种用于主次结构侧向连接的双重防屈曲连接器 |
KR102391157B1 (ko) * | 2021-08-17 | 2022-04-27 | (주)신개산업 | 내진 보강용 프레임구조 시공방법 |
KR20240035729A (ko) * | 2023-12-14 | 2024-03-18 | 씨엠알아이티 주식회사 | 좌굴방지형 강재슬릿 지진에너지 감쇠장치, 내진보강구조 및 내진보강공법 |
KR102696705B1 (ko) * | 2023-12-14 | 2024-08-20 | 씨엠알아이티 주식회사 | 좌굴방지형 강재슬릿 지진에너지 감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0309B1 (ko) | 내진보강용 철골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
KR101157147B1 (ko) |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
KR101908356B1 (ko) |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
KR101845717B1 (ko) |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
KR20180137268A (ko) |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
WO2006038620A1 (ja) | 脚柱の接合部構造および接合方法 | |
KR102099207B1 (ko) |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 |
KR101845078B1 (ko) | 유동식 연결부재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
KR102004854B1 (ko) | 앵커플레이트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
KR100949828B1 (ko) | 층고절감형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합성보 | |
JP4472726B2 (ja) | 免震建物構造 | |
KR101176846B1 (ko) | 보의 내력 강화구조를 갖는 공작물 | |
KR101521946B1 (ko) |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src)의 확장된 주두부 구조 | |
KR20200068205A (ko) | 강연선과 길이조절 가능형 트러스 구조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 |
KR102000082B1 (ko) | 토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
JP2011241544A (ja) | 建物の施工方法 | |
JP7158231B2 (ja) | 合成柱及びそれを用いた橋脚、施工方法 | |
KR20120036614A (ko) | 긴장재와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한 이중 강박스거더의 종방향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박스거더교 시공방법 | |
KR102099206B1 (ko) | 철근콘크리트구조물과 내진보강용 철골구조물의 연결장치 | |
KR101814902B1 (ko) | 분절형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건축물 개구부의 내진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 |
JP5989597B2 (ja) | 既設架構の免震化工事施工中の仮設耐震化構造及びその施工法 | |
JP2002332645A (ja) | 地上走行クレ−ンレ−ルの基礎構造および基礎の敷設方法 | |
KR101631526B1 (ko) | 외부 긴장재를 이용한 교각의 내진보강 공법 | |
KR102074251B1 (ko) | 마찰플랜지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
KR101083062B1 (ko) | 복합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6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