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726A -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726A
KR20240000726A KR1020220077240A KR20220077240A KR20240000726A KR 20240000726 A KR20240000726 A KR 20240000726A KR 1020220077240 A KR1020220077240 A KR 1020220077240A KR 20220077240 A KR20220077240 A KR 20220077240A KR 20240000726 A KR20240000726 A KR 20240000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pipe
length
jack screw
conn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찬성
강정욱
Original Assignee
강찬성
강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찬성, 강정욱 filed Critical 강찬성
Priority to KR1020220077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726A/ko
Publication of KR2024000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72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류벽을 보다 안정적으로 높은 효율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가설기자재 등 다양한 종류의 운반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보다 넓은 면적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자들의 작업속도가 향상 및 공사기간이 단축됨과 더불어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 효율적인 결합사용이 가능하면서 자재사용량, 자재비 및 인건비 등의 전체 공사비가 현저히 절약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토류벽 사이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되는 일측사각파이프 및 타측사각파이프로 구성되는 사각파이프와;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타측과 상기 타측사각파이프의 일측이 각각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와 상기 타측사각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일측과 상기 타측사각파이프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잭스크류 및 타측잭스크류로 구성되는 잭스크류와; 상기 일측잭스크류의 일측과 상기 타측잭스크류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토류벽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일측판스프링 및 타측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Length-adjustable retaining and temporary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은 토류벽을 보다 안정적으로 높은 효율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가설기자재 등 다양한 종류의 운반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보다 넓은 면적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자들의 작업속도가 향상 및 공사기간이 단축됨과 더불어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 효율적인 결합사용이 가능하면서 자재사용량, 자재비 및 인건비 등의 전체 공사비가 현저히 절약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지하에 건물의 기초, 지하실 또는 콘크리트 벽체를 축조하기 위하여 해당 지반을 굴토한 후 굴토면이 토압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막이 공사를 하게 된다.
이러한 흙막이는 소정 간격으로 지반에 설치되는 H파일에 굴토면을 받치는 토류벽을 형성하고 H파일의 상단에 수평되게 띠장이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띠장과 띠장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평되게 버팀보가 설치된다.
이때, 띠장의 사이가 먼 경우에는 버팀보와 버팀보가 수평으로 연결된다.
상기 버팀보를 통해 띠장이 토류벽이 토압을 견디게 되고, 이때 횡방향으로 미치는 토압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버팀보를 토류벽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크류잭이 더 설치되며, 최근에는 공사현장의 흙막이 벽체를 보강하는 버팀보를 띠장과 받침보에 연결시킬 때 버팀보에 천공되는 체결공을 없애 버팀보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버팀보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99672호로 제안된 바 있다.
한편,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99672호 등에서 제안된 버팀보로는 대개, H빔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버팀보로서 H빔을 사용하게 되면 토류벽 사이의 이격거리 및 상기 H빔 사이의 간격이 멀어질 경우, 상기 버팀보로서 사용되는 H빔에 뒤틀림현상이 발생되면서 H빔의 형태가 변형 및 파손되기 때문에 토류벽을 지지하는 H빔의 지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버팀보로서 사용되는 H빔의 뒤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대개 상기 토류벽 사이에 상기 버팀보를 조밀하게 설치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상기 버팀보 사이의 작업공간이 협소해지면서 상기 버팀보 사이의 작업공간을 통한 운반대상물의 운반이 여의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9967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토류벽을 보다 안정적으로 높은 효율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가설기자재 등 다양한 종류의 운반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보다 넓은 면적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자들의 작업속도가 향상 및 공사기간이 단축됨과 더불어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 효율적인 결합사용이 가능하면서 자재사용량, 자재비 및 인건비 등의 전체 공사비가 현저히 절약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토류벽 사이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되는 일측사각파이프 및 타측사각파이프로 구성되는 사각파이프와;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타측과 상기 타측사각파이프의 일측이 각각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와 상기 타측사각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일측과 상기 타측사각파이프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잭스크류 및 타측잭스크류로 구성되는 잭스크류와; 상기 일측잭스크류의 일측과 상기 타측잭스크류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토류벽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일측판스프링 및 타측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전측과 후측 및 상부가 개방되고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타측 하부와 상기 타측사각파이프의 일측 하부가 각각 수용되는 하부연결몸체와; 상기 하부연결몸체와 상하대칭된 상태로 상기 하부연결몸체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고,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타측 상부와 상기 타측사각파이프의 일측 상부가 각각 수용되는 상부연결몸체와;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타측과 상기 타측사각파이프의 일측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연결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연결몸체의 내주면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하부밀림방지턱 및 상부밀림방지턱으로 구성되는 밀림방지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와 상기 밀림방지턱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연결몸체의 내부에 하부가 수용 및 상기 상부연결몸체의 내부에 상부가 수용되어 상기 연결부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는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노출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이 서로 상이하며, 복수개의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의 하부와 상부가 각각 상기 하부연결몸체의 내부와 상기 상부연결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의 일단부에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보강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연결부의 일측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타측 외주면과 상기 연결부의 일측 내주면 사이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타측사각파이프의 일측 외주면과 상기 연결부의 타측 내주면 사이에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일측사각파이프 및 상기 타측사각파이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패드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일측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일측경사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타측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타측경사부로 구성되는 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판스프링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잭스크류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플레이트의 일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측체결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일측상부체결판 및 일측하부체결판과, 상기 타측판스프링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잭스크류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플레이트의 타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타측체결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타측상부체결판 및 타측하부체결판으로 구성되는 체결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판의 일측에서 타측가지의 좌우폭과 상기 판스프링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이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체결부재는 상기 일측상부체결판과 일측하부체결판에서 각각 상기 일측잭스크류의 일측플레이트의 상부방향 및 상기 일측잭스크류의 일측플레이트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일측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수평관통하는 일측상부볼트부재 및 일측하부볼트부재와; 상기 일측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수평관통한 상태인 상기 일측상부볼트부재 및 상기 일측하부볼트부재와 각각 나사결합되는 일측상부너트부재 및 일측하부너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타측체결부재는 상기 타측상부체결판과 상기 타측하부체결판에서 각각 상기 타측잭스크류의 타측플레이트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잭스크류의 타측플레이트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타측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수평관통하는 타측상부볼트부재 및 타측하부볼트부재와; 상기 타측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수평관통한 상태인 상기 타측상부볼트부재 및 타측하부볼트부재와 각각 나사결합되는 타측상부너트부재 및 타측하부너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버팀보로서 사용되던 기존의 H빔에 비해 뒤틀림 강도가 더 강해 형태변형 및 파손우려가 없는 사각파이프를 통해 토류벽을 보다 안정적으로 높은효율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사각파이프 사이의 간격을 기존의 상기 H빔 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어 상기 사각파이프 사이에 가설기자재 등 다양한 종류의 운반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보다 넓은 면적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작업공간을 통해 운반대상물을 전달받을 수 있는 작업자들의 작업속도가 향상 및 공사기간이 단축됨과 더불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사각파이프의 일측사각파이프와 타측사각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통해 상기 토류벽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와 타측사각파이프를 효율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토류벽 사이에 조밀하게 설치될 수 밖에 없던 기존의 H빔의 개수에 비해 상기 토류벽 사이에 상기 사각파이프가 적은수로 넓은 간격으로 설치가능하여 자재사용량, 자재비 및 인건비 등의 전체 공사비가 현저히 절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복수의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로부터 각각 보강플랜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7은 사각파이프 및 보강플랜지가 결합된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가 연결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이탈방지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8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토류벽에 판스프링 및 체결판이 면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연결부에 경사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사각파이프(10), 연결부(20), 잭스크류(30) 및 판스프링(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사각파이프(10)는 토류벽 사이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되는 일측사각파이프(110) 및 타측사각파이프(120)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20)의 일측 내부에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이 수용 및 상기 연결부(20)의 타측 내부에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20)의 일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와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20)를 연결하게 된다.
일예로, 상기 연결부(2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연결몸체(210), 상부연결몸체(220) 및 밀림방지턱(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몸체(210)의 단면형상은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 하부의 단면형상 및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20)의 일측 하부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몸체(210)의 전측, 후측 및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몸체(210)의 일측 내부에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 하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몸체(210)의 타측 내부에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20)의 일측 하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몸체(210)의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에는 상기 하부연결몸체(2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플랜지(210a)가 상기 하부연결몸체(2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몸체(220)는 상기 하부연결몸체(210)와 상하대칭된 상태로 상기 하부연결몸체(2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부재(5)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몸체(220)의 단면형상은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 상부의 단면형상 및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20)의 일측 상부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몸체(220)의 일측 내부에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 상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몸체(220)의 타측 내부에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20)의 일측 상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몸체(220)의 전측 하부와 후측 하부에는 상기 상부연결몸체(2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플랜지(220a)가 상기 상부연결몸체(2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5)는 일예로, 크게, 볼트부재(5a)와 너트부재(5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5a)는 상기 상부연결몸체(220)의 플랜지(220a)와 상기 하부연결몸체(210)의 플랜지(210a)를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연결부(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5b)는 상기 상부연결몸체(220)의 플랜지(220a)와 상기 하부연결몸체(210)의 플랜지(210a)를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한 상기 볼트부재(5a)의 하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밀림방지턱(230)은 상기 연결부(20)의 일측 내부에 수용된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이 상기 연결부(20)의 타측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것을 방지 및 상기 연결부(20)의 타측 내부에 수용된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20)의 일측이 상기 연결부(20)의 일측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밀림방지턱(230)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 및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20)의 일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밀림방지턱(230)은 일예로, 크게, 상기 하부밀림방지턱(231)과 상부밀림방지턱(2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밀림방지턱(231)은 일예로, 장방형 형상 또는 상기 하부연결몸체(21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과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20)의 일측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연결몸체(20)의 내주면에 편심상태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밀림방지턱(231)은 상기 하부연결몸체(20)의 내주면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밀림방지턱(232)은 일예로, 장방형 형상 또는 상기 상부연결몸체(22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과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20)의 일측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연결몸체(220)의 내주면에 편심상태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토류벽 사이의 좌우간격 및 전후간격에 따라 상기 연결부(2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는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노출길이를 조절 및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이 상기 연결부(20)의 타측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가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과 상기 밀림방지턱(230)의 일측 사이에 위치하도록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의 하부는 상기 하부연결몸체(210)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고,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의 상부는 상기 상부연결몸체(220)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의 일측은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의 타측은 상기 밀림방지턱(230)의 일측과 접할 수 있다.
도 5는 복수의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로부터 각각 보강플랜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사시도이다.
상기 토류벽 사이의 좌우간격 및 전후간격에 따라 상기 연결부(2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는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노출길이(도 4의 E)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하게 위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는 복수개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복수개의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W1)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개의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 중 어느 하나의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의 하부와 상부가 각각 상기 하부연결몸체(210)의 내부와 상기 상부연결몸체(2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의 좌우폭(W1)이 커질수록 상기 연결부(2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는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노출길이(도 4의 E) 또한 커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의 좌우폭(W1)이 작아질수록 상기 연결부(2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는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노출길이(도 4의 E) 또한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외경크기 및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의 외경크기차이가 발생될 경우, 특히,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이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로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이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의 일측에 보다 안정적으로 면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의 일단부에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보강플랜지(51)가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플랜지(51)는 일예로, 사각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사각파이프 및 보강플랜지가 결합된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가 연결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50)의 일단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된 상기 보강플랜지(51)의 일측은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과 안정적으로 면접촉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이탈방지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8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흙막이 공사 중 상기 사각파이프(10)로 전달될 수 있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연결부(20)로부터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와 타측사각파이프(120)로 구성되는 상기 사각파이프(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패드(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패드(60)는 고무자석패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이탈방지패드(6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0)의 일측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 상부 외주면과 상기 연결부(20)의 일측 상부 내주면 사이 및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 하부 외주면과 상기 연결부(20)의 일측 하부 내주면 사이에 각각 수평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패드(60)는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 상부 외주면과 타측 하부 외주면에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상기 연결부(20)의 일측 상부 내주면과 일측 하부 내주면에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패드(60)는 상기 연결부(20)의 타측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20)의 일측 상부 외주면과 상기 연결부(20)의 타측 상부 내주면 사이 및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20)의 일측 하부 외주면과 상기 연결부(20)의 타측 하부 내주면 사이에 각각 수평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패드(60)는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20)의 일측 상부 외주면과 일측 하부 외주면에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상기 연결부(20)의 타측 상부 내주면과 타측 하부 내주면에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상기 이탈방지패드(60)와 상기 연결부(20) 사이의 마찰력 또는 상기 사각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상기 이탈방지패드(60)와 상기 사각파이프(10) 사이의 마찰력을 통해 상기 사각파이프(10)가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연결부(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른예로서, 상기 이탈방지패드(60)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타측 후면 외주면과 타측 전면 외주면에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연결부(20)의 일측 내측면 후측과 일측 내측면 전측에 각각 밀착고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패드(60)가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10)의 일측 후면 외주면과 일측 전면 외주면에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연결부(20)의 타측 내측면 후측과 타측 내측면 전측에 각각 밀착고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잭스크류(30)는 상기 사각파이프(10)와 상기 토류벽 사이에 구비되어 길이가 신축되는 것으로서, 크게,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잭스크류(310) 및 타측잭스크류(3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잭스크류(310)의 타측이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일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의 일측에 상기 일측잭스크류(310)가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잭스크류(320)의 일측이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20)의 타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타측사각파이프(120)의 타측에 상기 타측잭스크류(320)가 수평구비될 수 있다.
길이신축이 가능한 상기 잭스크류(30)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판스프링(40)은 상기 일측잭스크류(30)의 일측과 상기 타측잭스크류(40)의 타측에 각각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토류벽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일측판스프링(410) 및 타측판스프링(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일측판스프링(410)은 상기 일측잭스크류(30)의 일측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판스프링(420)은 상기 타측잭스크류(30)의 타측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토류벽에 판스프링 및 체결판이 면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다.
상기 일측판스프링(410)은 상기 일측잭스크류(310)에 의해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판스프링(410)과 마주보는 어느 하나의 토류벽(3)의 상부에 면접촉된 상태로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판스프링(420)은 상기 타측잭스크류(320)에 의해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판스프링(420)과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토류벽(3)의 상부에 면접촉된 상태로 밀착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판스프링(40)을 상기 잭스크류(30)에 용이하고 분리가능하게 체결시킴과 더불어 상기 판스프링(40)이 점차 일자형태로 펼쳐지면서 상기 토류벽(3)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들뜸 현상없이 안정적으로 면접촉된 상태로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판(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판(41)은 상기 판스프링(40)의 중간부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판스프링(40)의 중간부 상부와 중간부 하부에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판(41)이 상기 판스프링(40)과 함께 상기 토류벽(3)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들뜸현상없이 안정적으로 면접촉된 상태로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체결판(41)의 일측에서 타측가지의 좌우폭(W2)과 상기 판스프링(4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W3)은 서로 동일한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상기 체결판(41)은 일예로, 크게, 도 1, 도 2, 도 3,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상부체결판(411), 일측하부체결판(412), 타측상부체결판(413) 및 타측하부체결판(4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체결판(411)이 상기 일측판스프링(410)의 중간부 상부에 수직상태로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일측상부체결판(411)의 하부는 상기 일측판스프링(410)의 중간부 상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체결판(411)은 상기 일측잭스크류(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플레이트(311)의 일측면 상부 중간부에 일측체결부재(415)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하부체결판(412)이 상기 일측판스프링(410)의 중간부 하부에 수직상태로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일측하부체결판(412)의 상부는 상기 일측판스프링(410)의 중간부 하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하부체결판(412)은 상기 일측잭스크류(310)의 일측플레이트(311)의 일측면 하부 중간부에 일측체결부재(415)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체결판(413)이 상기 타측판스프링(420)의 중간부 상부에 수직상태로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타측상부체결판(413)의 하부는 상기 타측판스프링(420)의 중간부 상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체결판(413)은 상기 타측잭스크류(320)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플레이트(321)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 상부 중간부에 타측체결부재(416)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하부체결판(414)이 상기 타측판스프링(420)의 중간부 하부에 수직상태로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타측하부체결판(414)의 상부는 상기 타측판스프링(420)의 중간부 하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하부체결판(414)은 상기 타측잭스크류(320)의 타측플레이트(321)의 타측면 하부 중간부에 타측체결부재(416)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체결부재(415)은 일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상부볼트부재(415a), 일측하부볼트부재(415b), 일측상부너트부재(415c) 및 일측하부너트부재(415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볼트부재(415a)는 상기 일측상부체결판(411)의 상부에서 상기 일측잭스크류(310)의 일측플레이트(311)의 상부 중간부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어 상기 일측플레이트(311)의 상부 중간부를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볼트부재(415a)는 무두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일측상부볼트부재(415a)를 이룰 수 있는 무두볼트의 일측은 상기 일측상부체결판(411)의 상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하부볼트부재(415b)는 상기 일측하부체결판(412)의 하부에서 상기 일측잭스크류(310)의 일측플레이트(311)의 하부 중간부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어 상기 일측플레이트(311)의 하부 중간부를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일측하부볼트부재(415b)는 무두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일측하부볼트부재(415b)를 이룰 수 있는 무두볼트의 일측은 상기 일측하부체결판(412)의 하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너트부재(415c)와 상기 상기 일측하부너트부재(415d)는 상기 일측플레이트(311)의 상부 중간부와 하부 중간부를 각각 수평관통한 상기 일측상부볼트부재(415a)의 타측 및 상기 일측하부볼트부재(415b)의 타측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체결부재(416)는 일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타측상부볼트부재(416a), 타측하부볼트부재(416b), 타측상부너트부재(416c) 및 타측하부너트부재(416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볼트부재(416a)는 상기 타측상부체결판(413)의 상부에서 상기 타측잭스크류(320)의 타측플레이트(321)의 상부 중간부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어 상기 타측플레이트(321)의 상부 중간부를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볼트부재(416a)는 무두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타측상부볼트부재(416a)를 이룰 수 있는 무두볼트의 타측은 상기 타측상부체결판(413)의 상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하부볼트부재(416b)는 상기 타측하부체결판(414)의 하부에서 상기 타측잭스크류(320)의 타측플레이트(321)의 하부 중간부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어 상기 타측플레이트(321)의 하부 중간부를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타측하부볼트부재(416a)는 무두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타측하부볼트부재(416a)를 이룰 수 있는 무두볼트의 타측은 상기 타측하부체결판(414)의 하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너트부재(416c)와 타측하부너트부재(416d)는 상기 타측플레이트(321)의 상부 중간부와 하부 중간부를 각각 수평관통한 상기 타측상부볼트부재(416a)의 일측 및 상기 타측하부볼트부재(416b)의 일측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버팀보로서 사용되던 기존의 H빔에 비해 뒤틀림 강도가 더 강해 형태변형 및 파손우려가 없는 상기 사각파이프(10)를 통해 상기 토류벽(3)을 보다 안정적으로 높은효율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사각파이프(10) 사이의 전후간격을 기존의 상기 H빔 사이의 전후간격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어 상기 사각파이프(10) 사이에 가설기자재 등 다양한 종류의 운반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보다 넓은 면적의 작업공간(도 11의 S)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작업공간(S)을 통해 운반대상물을 전달받을 수 있는 작업자들의 작업속도가 향상 및 공사기간이 단축됨과 더불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사각파이프(10)의 일측사각파이프(110)와 타측사각파이프(120)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20)를 통해 상기 토류벽(3)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일측사각파이프(110)와 타측사각파이프(120)를 효율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토류벽(3) 사이에 조밀하게 설치될 수 밖에 없던 기존의 H빔의 개수에 비해 상기 토류벽(3) 사이에 상기 사각파이프(10)가 적은수로 넓은 간격으로 설치가능하여 자재사용량, 자재비 및 인건비 등의 전체 공사비가 현저히 절약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3은 연결부에 경사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흙막이 공사 중 상기 사각파이프(10)로 전달될 수 있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연결부(20)로부터 상기 사각파이프(10)가 이탈된 경우, 상기 연결부(20)로부터 이탈된 상기 사각파이프(10)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연결부(2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사부(21)가 상기 연결부(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21)는 일예로, 도 13 내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경사부(211)와 타측경사부(2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경사부(211)는 일측하부경사부(211a)와 일측상부경사부(21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하부경사부(211a)는 상기 연결부(20)의 하부연결몸체(210)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20)의 하부연결몸체(210)의 일단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하부경사부(211a)는 상기 연결부(20)의 하부연결몸체(210)의 일단부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20)의 하부연결몸체(20)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사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경사부(211b)는 상기 연결부(20)의 상부연결몸체(220)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20)의 상부연결몸체(220)의 일단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경사부(211b)는 상기 연결부(20)의 상부연결몸체(220)의 일단부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20)의 상부연결몸체(220)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사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경사부(212)는 타측하부경사부(212a)와 타측상부경사부(21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하부경사부(212a)는 상기 연결부(20)의 하부연결몸체(210)의 타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20)의 하부연결몸체(210)의 타단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하부경사부(212a)는 상기 연결부(20)의 하부연결몸체(210)의 타단부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20)의 하부연결몸체(210)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사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경사부(212b)는 상기 연결부(20)의 상부연결몸체(220)의 타단부 둘레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20)의 상부연결몸체(220)의 타단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경사부(212b)는 상기 연결부(20)의 상부연결몸체(220)의 타단부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20)의 상부연결몸체(220)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사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10; 사각파이프, 20; 연결부,
30; 잭스크류, 40; 판스프링.

Claims (10)

  1. 토류벽 사이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되는 일측사각파이프 및 타측사각파이프로 구성되는 사각파이프와;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타측과 상기 타측사각파이프의 일측이 각각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와 상기 타측사각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일측과 상기 타측사각파이프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잭스크류 및 타측잭스크류로 구성되는 잭스크류와;
    상기 일측잭스크류의 일측과 상기 타측잭스크류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토류벽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일측판스프링 및 타측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전측과 후측 및 상부가 개방되고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타측 하부와 상기 타측사각파이프의 일측 하부가 각각 수용되는 하부연결몸체와;
    상기 하부연결몸체와 상하대칭된 상태로 상기 하부연결몸체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고,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타측 상부와 상기 타측사각파이프의 일측 상부가 각각 수용되는 상부연결몸체와;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타측과 상기 타측사각파이프의 일측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연결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연결몸체의 내주면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하부밀림방지턱 및 상부밀림방지턱으로 구성되는 밀림방지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와 상기 밀림방지턱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연결몸체의 내부에 하부가 수용 및 상기 상부연결몸체의 내부에 상부가 수용되어 상기 연결부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는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노출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이 서로 상이하며,
    복수개의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의 하부와 상부가 각각 상기 하부연결몸체의 내부와 상기 상부연결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의 일단부에 상기 길이조절용 사각파이프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보강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측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일측사각파이프의 타측 외주면과 상기 연결부의 일측 내주면 사이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타측사각파이프의 일측 외주면과 상기 연결부의 타측 내주면 사이에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일측사각파이프 및 상기 타측사각파이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패드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일측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일측경사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타측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타측경사부로 구성되는 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판스프링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잭스크류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플레이트의 일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측체결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일측상부체결판 및 일측하부체결판과, 상기 타측판스프링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잭스크류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플레이트의 타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타측체결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타측상부체결판 및 타측하부체결판으로 구성되는 체결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의 일측에서 타측가지의 좌우폭과 상기 판스프링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체결부재는 상기 일측상부체결판과 일측하부체결판에서 각각 상기 일측잭스크류의 일측플레이트의 상부방향 및 상기 일측잭스크류의 일측플레이트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일측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수평관통하는 일측상부볼트부재 및 일측하부볼트부재와;
    상기 일측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수평관통한 상태인 상기 일측상부볼트부재 및 상기 일측하부볼트부재와 각각 나사결합되는 일측상부너트부재 및 일측하부너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타측체결부재는 상기 타측상부체결판과 상기 타측하부체결판에서 각각 상기 타측잭스크류의 타측플레이트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잭스크류의 타측플레이트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타측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수평관통하는 타측상부볼트부재 및 타측하부볼트부재와;
    상기 타측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수평관통한 상태인 상기 타측상부볼트부재 및 타측하부볼트부재와 각각 나사결합되는 타측상부너트부재 및 타측하부너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KR1020220077240A 2022-06-24 2022-06-24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KR20240000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240A KR20240000726A (ko) 2022-06-24 2022-06-24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240A KR20240000726A (ko) 2022-06-24 2022-06-24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726A true KR20240000726A (ko) 2024-01-03

Family

ID=8953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240A KR20240000726A (ko) 2022-06-24 2022-06-24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7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672B1 (ko) 2015-05-13 2016-03-03 박광호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672B1 (ko) 2015-05-13 2016-03-03 박광호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417B2 (en) Corner connection for temporary shoring
KR102127896B1 (ko) 오거 드릴 가이드 부싱 및 오거 드릴 가이드 부싱을 이용한 말뚝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KR20120140318A (ko) 에이치 형강용 가변 스티프너 잭
US3782126A (en) Stressed skin safety trenching box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100733719B1 (ko) 길이조정형 강관 버팀보
US11242750B2 (en) Adjustable lattice girder
KR200409942Y1 (ko) 용이한 설치구조를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스트러트받침부재
KR100648409B1 (ko) 가설 흙막이 공법
KR102275450B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의 커버 밴드 및 이를 갖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
KR102410374B1 (ko) 간격 및 곡률 변경이 용이한 흙막이 구조체
KR20240000726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버팀보 구조
KR100646178B1 (ko) 강관 가시설 공법
KR102008991B1 (ko) 복수 띠장을 이용한 버팀보 지지 시스템
KR20130038461A (ko) 흙막이 파일용 가변지지기구
KR102172692B1 (ko) 흙막이 띠장 스티프너
KR20190105941A (ko) 강관 버팀보의 받침부재 및 이를 갖는 강관 버팀보의 받침기구
KR102185246B1 (ko)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07510B1 (ko) 흙막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2005848B1 (ko)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
KR101933635B1 (ko) 띠장의 보강구조체
KR200436405Y1 (ko) 버팀보 보강용 브레이싱 서포트 체결구조
KR102602635B1 (ko) 띠장에 대한 내력 휨모멘트 보강구조를 가지는 흙막이 벽체
KR102352294B1 (ko) 버팀보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버팀보 연결장치
KR20050110777A (ko) 삽입구조를 이용한 버팀보의 연결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