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848B1 -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 - Google Patents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848B1
KR102005848B1 KR1020190007521A KR20190007521A KR102005848B1 KR 102005848 B1 KR102005848 B1 KR 102005848B1 KR 1020190007521 A KR1020190007521 A KR 1020190007521A KR 20190007521 A KR20190007521 A KR 20190007521A KR 102005848 B1 KR102005848 B1 KR 102005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plate
horizontal
reinforcing material
stiff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종신
Original Assignee
진종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종신 filed Critical 진종신
Priority to KR1020190007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에 관한 것으로, 철탑본체를 구성하는 하부주주재에 하부수평보강재를 하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하고, 하부수평보강재에 하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에 의하여 하부경사보강재를 결합하며, 하부주주재에 상부수평보강재를 상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하고, 상부수평보강재에 상부경사보강재의 상단을 상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하며, 하부수평보강재에 상부경사보강재의 하단을 상부경사보강재 하단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함으로써 지진 등에 의한 강한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준 철탑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철탑을 철거하고 새로 설치하지 않고 유지 보수하는 차원에서 관리할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Earthquake resistant tower for power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분야 기술 중에서,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진 등에 의한 강한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준 철탑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철탑을 철거하고 새로 설치하지 않고 유지 보수하는 차원에서 관리할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는 철탑본체와 암으로 구성되는 철탑과, 암에 애자에 의하여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배전선으로 구성된다.
도 7은 종래의 일반적인 철탑을 보인 것으로, 철탑(10)은 철탑본체(11)와, 복수개의 암(12)으로 구성된다.
철탑본체(11)는 하단이 지중에 매설 고정되며 하단 사이의 간격이 상단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4개의 하부주주재(11a)와, 4개의 하부주주재(11a)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며 상하단 사이 간격이 동일한 상태로 수직으로 설치되는 4개의 상부주주재(11b)와, 하부주주재(11a)와 상부주주재(11b)를 보강하는 복수개의 수평재(11c)와 사재(11d)를 포함하며, 암(12)은 내측단이 상부주주재(11b)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암주재(12a)와, 내측단이 수평재(11c)에 고정되고 외측단이 암주재(12a)의 외측단에 고정되는 암조재(12b)와, 암주재(12a)와 암조재(12b)를 보강하는 암수직재(12c)와 암사재(12d)를 포함한다.
상기 철탑본체(11)를 구성하는 하부주주재(11a)와 상부주주재(11b) 수평재(11c)와 사재(11d) 및, 암(12)을 구성하는 암주재(12a)와 암조재(12b)와 암수직재(12c) 및 암사재(12d)는 앵글 형강으로 구성되며, 각 부재는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하부주주재(111)의 하단은 지반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에 고정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7-0057209호(2014.12.10. 공고) "송전 철탑의 낙뢰 방지 구조"에 상술한 바와 같은 철탑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철탑은 하부주주재와 상부주주재가 수평재, 사재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기는 하지만, 가장 큰 하중을 지탱하여야 하는 하부주주재가 단지 앵글 형강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진 등에 의한 강한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진 등에 의한 강한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철탑 구조에 관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7-0057209호(2014.12.10. 공고) "송전 철탑의 낙뢰 방지 구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 등에 의한 강한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준 철탑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철탑을 철거하고 새로 설치하지 않고 유지 보수하는 차원에서 관리할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철탑본체(110)와 철탑본체(11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암(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철탑본체(110)는 하단이 지중에 매설 고정되며 하단 사이의 간격이 상단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4개의 하부주주재(111)와, 4개의 하부주주재(111)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며 상하단 사이 간격이 동일한 상태로 수직으로 설치되는 4개의 상부주주재(112)와, 하부주주재(111)와 상부주주재(112)를 보강하는 복수개의 수평재(113)와 사재(114)를 포함하며, 상기 암(120)은 내측단이 상부주주재(111)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암주재(121)와, 내측단이 수평재(113)에 고정되고 외측단이 암주재(121)의 외측단에 고정되는 암조재(122)와, 암주재(121)와 암조재(122)를 보강하는 암수직재(123)와 암사재(124)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내측단이 결합되는 하부수평보강재(210)와;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내측단이 결합되는 상부수평보강재(220)와;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외측단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지반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주주재(111)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하부경사보강재(310)와;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의 외측단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부경사보강재(320)와;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내측단을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결합하는 하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400)과; 상기 하부경사보강재(310)의 상단을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외측단에 결합하는 하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500)과;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의 내측단을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결합하는 상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600)과; 상기 상부경사보강재(320)의 상단을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의 외측단에 결합하는 상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700)과; 상기 상부경사보강재(320)의 하단을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에 결합하는 상부경사보강재 하단결합수단(8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는 H형강(211)과, 상기 H형강(211)의 내측단에 용접되는 내측판(212) 및, 상기 H형강(211)의 외측단에 용접되는 외측판(2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는 H형강(221)과, H형강(221)의 내측단에 용접되는 내측판(222) 및, 상기 H형강(221)의 외측단에 용접되는 외측판(223)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경사보강재(310)는 H형강(311)과, 상기 H형강(311)의 상단에 용접되는 상단판(312) 및, 상기 H형강(311)의 하단에 용접되는 하단판(3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경사보강재(320)는 H형강(321)과, 상기 H형강(321)의 상단에 용접되는 상단판(322) 및, 상기 H형강(321)의 하단에 용접되는 하단판(323)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판(212, 222)은 H형강(211, 221)의 전후폭과 높이보다 큰 전후폭과 높이를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판(213, 223)은 H형강(211, 221)의 전후폭과 높이와 동일한 전후폭과 높이를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판(312, 322)과 하단판(313)은 H형강(311, 321)의 전후폭과 좌우폭과 동일한 전후폭과 좌우폭을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하단판(323)은 H형강(321)의 전후폭과 동일한 전후폭과 H형강(321)의 좌우폭보다 큰 좌우폭을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400)은 앵글 형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주주재(111)의 볼록부에 밀착되는 외측 앵글패드(410)와; 상기 외측 앵글패드(410)의 외면에 대응하여 내측에 형성되는 V홈(421)과,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평면부(422)를 가지는 외측 V블록(420)과; 앵글 형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주주재(111)의 오목부에 밀착되는 내측 앵글패드(430)와; 상기 내측 앵글패드(430)에 삽입되는 삼각부(441)와 내측에 형성되는 평면부(442)를 가지는 내측 삼각블록(440)과;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내측판(212)과 외측 V블록(420)과 외측 앵글패드(410)와 하부주주재(111)와 내측 앵글패드(430) 및 내측 삼각블록(44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트(451); 및 상기 볼트(451)에 체결되는 너트(45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500)은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외측판(212)과 하부경사보강재(310)의 외측면 상단부에 밀착되는 외측 결합판(510)과; 상기 외측 결합판(510)의 상반부와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외측판(213)을 관통하는 볼트(521)와, 상기 볼트(521)에 체결되는 너트(522)와; 상기 외측 결합판(510)의 하반부와 하부경사보강재(310)의 외측면을 관통하는 볼트(531)와 상기 볼트(531)에 체결되는 너트(532)와;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하면에 밀착되는 수평부(541)와, 하부경사보강재(3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경사부(542)를 가지는 내측 결합판(540)과; 상기 수평부(521)와 하부수평보강재(210)의 하면을 관통하는 볼트(551)와, 상기 볼트(551)에 체결되는 너트(552)와; 상기 경사부(542)와 하부경사보강재(310)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볼트(561)와, 상기 볼트(561)에 체결되는 너트(56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600)은 앵글 형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주주재(111)의 볼록부에 밀착되는 외측 앵글패드(610)와; 상기 외측 앵글패드(610)의 외면에 대응하여 외측에 형성되는 내측 V홈(621)과,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평면부(622)를 가지는 외측 V블록(620)과; 앵글 형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주주재(111)의 오목부에 밀착되는 내측 앵글패드(630)와; 상기 내측 앵글패드(630)에 삽입되는 삼각부(641)와 내측에 형성되는 평면부(642)를 가지는 내측 삼각블록(640)과;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의 내측판(222)과 외측 V블록(620)과 외측 앵글패드(610)와 하부주주재(111)와 내측 앵글패드(630) 및 내측 삼각블록(64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트(651); 및 상기 볼트(651)에 체결되는 너트(65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700)은 상부수평보강재(220)의 외측판(223)과 상부경사보강재(320)의 외측면 상단부에 밀착되는 외측 결합판(710)과; 상기 외측 결합판(710)의 상반부와 상부수평보강재(220)의 외측판(223)을 관통하는 볼트(721)와, 상기 볼트(721)에 체결되는 너트(722)와; 상기 외측 결합판(710)의 하반부와 상부경사보강재(320)의 외측면을 관통하는 볼트(731)와, 상기 볼트(731)에 체결되는 너트(732)와;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의 하면에 밀착되는 수평부(741)와, 상부경사보강재(32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경사부(742)를 가지는 내측 결합판(740)과; 상기 수평부(721)와 상부수평보강재(220)의 하면을 관통하는 볼트(751)와, 상기 볼트(751)에 체결되는 너트(752)와; 상기 경사부(742)와 상부경사보강재(320)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볼트(761)와, 상기 볼트(761)에 체결되는 너트(76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경사보강재 하단결합수단(800)은 상기 상부경사보강재(320)의 하단판(323)과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상면을 관통하는 볼트(811)와, 상기 볼트(811)에 체결되는 너트(81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에 의하면 철탑본체를 구성하는 하부주주재에 하부수평보강재를 하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하고, 하부수평보강재에 하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에 의하여 하부경사보강재를 결합하며, 하부주주재에 상부수평보강재를 상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하고, 상부수평보강재에 상부경사보강재의 상단을 상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하며, 하부수평보강재에 상부경사보강재의 하단을 상부경사보강재 하단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함으로써 지진 등에 의한 강한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준 철탑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철탑을 철거하고 새로 설치하지 않고 유지 보수하는 차원에서 관리할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철탑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하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과 상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하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과 상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부경사보강재 하단결합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종래 배전선로의 철탑을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철탑(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탑본체(110)와 철탑본체(11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암(120)으로 구성된다.
철탑본체(110)는 하단이 지중에 매설 고정되며 하단 사이의 간격이 상단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4개의 하부주주재(111)와, 4개의 하부주주재(111)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며 상하단 사이 간격이 동일한 상태로 수직으로 설치되는 4개의 상부주주재(112)와, 하부주주재(111)와 상부주주재(112)를 보강하는 복수개의 수평재(113)와 사재(114)를 포함하며, 암(120)은 내측단이 상부주주재(111)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암주재(121)와, 내측단이 수평재(113)에 고정되고 외측단이 암주재(121)의 외측단에 고정되는 암조재(122)와, 암주재(121)와 암조재(122)를 보강하는 암수직재(123)와 암사재(124)를 포함한다.
상기 철탑본체(11)를 구성하는 하부주주재(111)와 상부주주재(112) 수평재(113)와 사재(114) 및, 암(120)을 구성하는 암주재(121)와 암조재(122)와 암수직재(123) 및 암사재(124)는 앵글 형강으로 구성되며, 각 부재는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하부주주재(111)의 하단은 지중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내측단이 결합되는 하부수평보강재(210)와,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내측단이 결합되는 상부수평보강재(220)와,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외측단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지반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주주재(111)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하부경사보강재(310)와,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의 외측단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부경사보강재(320)와,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내측단을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결합하는 하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400)과, 상기 하부경사보강재(310)의 상단을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외측단에 결합하는 하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500)과,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의 내측단을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결합하는 상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600)과, 상기 상부경사보강재(320)의 상단을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의 외측단에 결합하는 상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700)과, 상기 상부경사보강재(320)의 하단을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에 결합하는 상부경사보강재 하단결합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주주재(111)를 예컨대, 하단으로부터 제1 구간, 제2 구간, 제3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와 하부경사보강재(310)는 제1 구간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와 상부경사보강재(320)는 제2 및 제3 구간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는 H형강(211)과, 상기 H형강(211)의 내측단에 용접되는 내측판(212) 및, 상기 H형강(211)의 외측단에 용접되는 외측판(2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는 H형강(221)과, H형강(221)의 내측단에 용접되는 내측판(222) 및, 상기 H형강(221)의 외측단에 용접되는 외측판(223)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경사보강재(310)는 H형강(311)과, 상기 H형강(311)의 상단에 용접되는 상단판(312) 및, 상기 H형강(311)의 하단에 용접되는 하단판(3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경사보강재(320)는 H형강(321)과, 상기 H형강(321)의 상단에 용접되는 상단판(322) 및, 상기 H형강(321)의 하단에 용접되는 하단판(3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판(212, 222)은 H형강(211, 221)의 전후폭과 높이보다 큰 전후폭과 높이를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판(213, 223)은 H형강(211, 221)의 전후폭과 높이와 동일한 전후폭과 높이를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단판(312, 322)과 하단판(313)은 H형강(311, 321)의 전후폭과 좌우폭과 동일한 전후폭과 좌우폭을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하단판(323)은 H형강(321)의 전후폭과 동일한 전후폭과 H형강(321)의 좌우폭보다 큰 좌우폭을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400)은 앵글 형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주주재(111)의 볼록부에 밀착되는 외측 앵글패드(410)와; 상기 외측 앵글패드(410)의 외면에 대응하여 내측에 형성되는 V홈(421)과,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평면부(422)를 가지는 외측 V블록(420)과, 앵글 형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주주재(111)의 오목부에 밀착되는 내측 앵글패드(430)와; 상기 내측 앵글패드(430)에 삽입되는 삼각부(441)와 내측에 형성되는 평면부(442)를 가지는 내측 삼각블록(440)과;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내측판(212)과 외측 V블록(420)과 외측 앵글패드(410)와 하부주주재(111)와 내측 앵글패드(430) 및 내측 삼각블록(44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트(451); 및 상기 볼트(451)에 체결되는 너트(4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외측 앵글패드(410)와 외측 V블록(420)은 용접에 의하여 일체화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앵글패드(430)와 내측 삼각블록(440)은 용접에 의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상기 하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500)은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외측판(212)과 하부경사보강재(310)의 외측면 상단부에 밀착되는 외측 결합판(510)과; 상기 외측 결합판(510)의 상반부와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외측판(213)을 관통하는 볼트(521)와, 상기 볼트(521)에 체결되는 너트(522)와; 상기 외측 결합판(510)의 하반부와 하부경사보강재(310)의 외측면을 관통하는 볼트(531)와 상기 볼트(531)에 체결되는 너트(532)와;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하면에 밀착되는 수평부(541)와, 하부경사보강재(3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경사부(542)를 가지는 내측 결합판(540)과; 상기 수평부(541)와 하부수평보강재(210)의 하면을 관통하는 볼트(551)와, 상기 볼트(551)에 체결되는 너트(552)와; 상기 경사부(542)와 하부경사보강재(310)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볼트(561)와, 상기 볼트(561)에 체결되는 너트(5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및 도 5 참조).
상기 상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600)은 앵글 형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주주재(111)의 볼록부에 밀착되는 외측 앵글패드(610)와; 상기 외측 앵글패드(610)의 외면에 대응하여 내측에 형성되는 V홈(621)과,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평면부(622)를 가지는 외측 V블록(620)과; 앵글 형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주주재(111)의 오목부에 밀착되는 내측 앵글패드(630)와; 상기 내측 앵글패드(630)에 삽입되는 삼각부(641)와 내측에 형성되는 평면부(642)를 가지는 내측 삼각블록(640)과;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의 내측판(222)과 외측 V블록(620)과 외측 앵글패드(610)와 하부주주재(111)와 내측 앵글패드(630) 및 내측 삼각블록(64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트(651); 및 상기 볼트(651)에 체결되는 너트(6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외측 앵글패드(610)와 외측 V블록(620)은 용접에 의하여 일체화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앵글패드(630)와 내측 삼각블록(640)은 용접에 의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상기 상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700)은 상부수평보강재(220)의 외측판(223)과 상부경사보강재(320)의 외측면 상단부에 밀착되는 외측 결합판(710)과; 상기 외측 결합판(710)의 상반부와 상부수평보강재(220)의 외측판(223)을 관통하는 볼트(721)와, 상기 볼트(721)에 체결되는 너트(722)와; 상기 외측 결합판(710)의 하반부와 상부경사보강재(320)의 외측면을 관통하는 볼트(731)와, 상기 볼트(731)에 체결되는 너트(732)와;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의 하면에 밀착되는 수평부(741)와, 상부경사보강재(32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경사부(742)를 가지는 내측 결합판(740)과; 상기 수평부(741)와 상부수평보강재(220)의 하면을 관통하는 볼트(751)와, 상기 볼트(751)에 체결되는 너트(752)와; 상기 경사부(742)와 상부경사보강재(320)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볼트(761)와, 상기 볼트(761)에 체결되는 너트(7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및 도 5 참조).
상기 상부경사보강재 하단결합수단(800)은 상기 상부경사보강재(320)의 하단판(323)과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상면을 관통하는 볼트(811)와, 상기 볼트(811)에 체결되는 너트(8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및 도 6 참조).
상기 각 볼트들이 관통되는 볼트관통공은 도면에는 도시하되 도면부호는 생략한다.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천공되는 볼트관통공을 제외한 볼트관통공은 공장에서 미리 천공한 상태로 현장에 운반하고, 하부주주재(111)에 천공되는 볼트관통공은 현장에서 천공한다.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볼트(451, 651)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공을 천공함에 있어서는 하부주주재(111)의 외측에 외측 앵글패드(410, 610)와 외측 V블록(420, 629)과 내측 앵글패드(430, 630)와 내측 삼각블록(440, 64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들 부재를 드릴 지그로 이용하여 천공함으로써 실수 없이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부수평보강재(220)의 길이는 하부경사보강재(3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부수평보강재(220)의 외측단에 결합되는 상부경사보강재(320)의 하단이 하부수평보강재(210) 상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복수개의 상부수평보강재(220)와 상부경사보강재(320)를 설치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수평보강재(220)의 길이를 하측에 위치하는 상부수평보강재(2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경사보강재(320)의 하단이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수평보강재(210) 상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는 먼저, 하부수평보강재(210)를 하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400)에 의하여 하부주주재(111)에 결합한 다음, 하부경사보강재(310)의 상단을 하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500)에 의하여 하부수평보강재(210)에 결합함과 아울러 하부경사보강재(310)의 하단을 지반에 고정하며, 상부수평보강재(220)를 상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600)에 의하여 하부주주재(111)에 결합한 다음, 상부경사보강재(320)의 상단을 상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700)에 의하여 상부수평보강재(220)에 결합하고, 상부경사보강재(320)의 하단을 상부경사보강재 하단결합수단(800)에 의하여 하부수평보강재(210)에 결합하는 순서로 시공할 수 있다.
이때, 하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400)에 의하여 하부수평보강재(210)를 하부주주재(111)에 결합함에 있어서는 하부주주재(111)의 외측에 외측 앵글패드(410)와 외측 V블록(420)을 순차 위치시키고, 하부주주재(111)의 내측에 내측 앵글패드(430)와 내측 삼각블록(440)을 순차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수평보강재(210)의 내측판(212)과 외측 V블록(420)과 외측 앵글패드(410)와 하부주주재(111)와 내측 앵글패드(430) 및 내측 삼각블록(440)에 복수개의 볼트(451)를 관통시키고, 내측 삼각블록(440)에서 돌출된 볼트(451)에 너트(452)를 체결한다.
하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400)에 의하여 상부수평보강재(220)를 하부주주재(111)에 결합함에 있어서는 하부주주재(111)의 외측에 외측 앵글패드(610)와 외측 V블록(620)을 순차 위치시키고, 하부주주재(111)의 내측에 내측 앵글패드(630)와 내측 삼각블록(640)을 순차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수평보강재(210)의 내측판(212)과 외측 V블록(620)과 외측 앵글패드(610)와 하부주주재(111)와 내측 앵글패드(630) 및 내측 삼각블록(640)에 복수개의 볼트(651)를 관통시키고, 내측 삼각블록(640)에서 돌출된 볼트(651)에 너트(652)를 체결한다.
상기 하부경사보강재(310)의 하단을 지반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하부주주재(111)의 하단을 지반에 고정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지반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에 고정할 수 있다.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은 통상적으로 하부주주재(111)의 하단을 지반에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주주재(111)에 하부수평보강재(210)를 하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400)에 의하여 결합하고, 하부경사보강재(310)의 상단을 하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500)에 의하여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외측단에 결합함과 아울러 하부경사보강재(310)의 하단을 지반에 고정하며, 하부주주재(111)에 상부수평보강재(220)를 상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600)에 의하여 결합하고, 상부경사보강재(320)의 상단을 상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700)에 의하여 상부수평보강재(220)의 외측단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부경사보강재(320)의 하단을 상부경사보강재 하단결합수단(800)에 의하여 하부수평보강재(210)에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앵글 형강으로 구성된 하부주주재(111)를 보강할 수 있으므로 지진 등에 의한 강한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철탑(100)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주주재(111)에 하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400)을 구성하는 볼트(451)가 관통할 수 있는 볼트관통공과, 상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600)을 구성하는 볼트(651)가 관통될 수 있는 볼트관통공을 천공하는 것만으로써 기존 설치되어 있는 철탑에도 적용할 수 있어 기존 철탑을 철거하고 새로 설치하지 않고 유지 보수하는 차원에서 관리할 수 있으므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철탑 110 : 철탑본체
111 : 하부주주재 112 : 상부주주재
210 : 하부수평보강재 220 : 상부수평보강재
310 : 하부경사보강재 320 : 상부경사보강재
400 : 하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
410 : 외측 앵글패드 420 : 외측 V블록
430 : 내측 앵글패드 440 : 내측 삼각블록
500 : 하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
510 : 외측 결합판 540 : 내측 결합판
600 : 상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
610 : 외측 앵글패드 620 : 외측 V블록
430 : 내측 앵글패드 440 : 내측 삼각블록
700 : 상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
710 : 외측 결합판 740 : 내측 결합판
800 : 상부경사보강재 하단결합수단

Claims (1)

  1. 철탑본체(110)와 철탑본체(11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암(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철탑본체(110)는 하단이 지중에 매설 고정되며 하단 사이의 간격이 상단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4개의 하부주주재(111)와, 4개의 하부주주재(111)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며 상하단 사이 간격이 동일한 상태로 수직으로 설치되는 4개의 상부주주재(112)와, 하부주주재(111)와 상부주주재(112)를 보강하는 복수개의 수평재(113)와 사재(114)를 포함하며, 상기 암(120)은 내측단이 상부주주재(111)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암주재(121)와, 내측단이 수평재(113)에 고정되고 외측단이 암주재(121)의 외측단에 고정되는 암조재(122)와, 암주재(121)와 암조재(122)를 보강하는 암수직재(123)와 암사재(124)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내측단이 결합되는 하부수평보강재(210)와;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내측단이 결합되는 상부수평보강재(220)와;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외측단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지반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주주재(111)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하부경사보강재(310)와;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의 외측단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부경사보강재(320)와;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내측단을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결합하는 하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400)과;
    상기 하부경사보강재(310)의 상단을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외측단에 결합하는 하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500)과;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의 내측단을 상기 하부주주재(111)에 결합하는 상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600)과;
    상기 상부경사보강재(320)의 상단을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의 외측단에 결합하는 상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700)과;
    상기 상부경사보강재(320)의 하단을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에 결합하는 상부경사보강재 하단결합수단(8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는 H형강(211)과, 상기 H형강(211)의 내측단에 용접되는 내측판(212) 및, 상기 H형강(211)의 외측단에 용접되는 외측판(2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는 H형강(221)과, H형강(221)의 내측단에 용접되는 내측판(222) 및, 상기 H형강(221)의 외측단에 용접되는 외측판(223)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경사보강재(310)는 H형강(311)과, 상기 H형강(311)의 상단에 용접되는 상단판(312) 및, 상기 H형강(311)의 하단에 용접되는 하단판(3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경사보강재(320)는 H형강(321)과, 상기 H형강(321)의 상단에 용접되는 상단판(322) 및, 상기 H형강(321)의 하단에 용접되는 하단판(323)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판(212, 222)은 H형강(211, 221)의 전후폭과 높이보다 큰 전후폭과 높이를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판(213, 223)은 H형강(211, 221)의 전후폭과 높이와 동일한 전후폭과 높이를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판(312, 322)과 하단판(313)은 H형강(311, 321)의 전후폭과 좌우폭과 동일한 전후폭과 좌우폭을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하단판(323)은 H형강(321)의 전후폭과 동일한 전후폭과 H형강(321)의 좌우폭보다 큰 좌우폭을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400)은 앵글 형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주주재(111)의 볼록부에 밀착되는 외측 앵글패드(410)와; 상기 외측 앵글패드(410)의 외면에 대응하여 내측에 형성되는 V홈(421)과,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평면부(422)를 가지는 외측 V블록(420)과; 앵글 형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주주재(111)의 오목부에 밀착되는 내측 앵글패드(430)와; 상기 내측 앵글패드(430)에 삽입되는 삼각부(441)와 내측에 형성되는 평면부(442)를 가지는 내측 삼각블록(440)과;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내측판(212)과 외측 V블록(420)과 외측 앵글패드(410)와 하부주주재(111)와 내측 앵글패드(430) 및 내측 삼각블록(44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트(451); 및 상기 볼트(451)에 체결되는 너트(45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500)은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외측판(212)과 하부경사보강재(310)의 외측면 상단부에 밀착되는 외측 결합판(510)과; 상기 외측 결합판(510)의 상반부와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외측판(213)을 관통하는 볼트(521)와, 상기 볼트(521)에 체결되는 너트(522)와; 상기 외측 결합판(510)의 하반부와 하부경사보강재(310)의 외측면을 관통하는 볼트(531)와 상기 볼트(531)에 체결되는 너트(532)와; 상기 하부수평보강재(210)의 하면에 밀착되는 수평부(541)와, 하부경사보강재(3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경사부(542)를 가지는 내측 결합판(540)과; 상기 수평부(541)와 하부수평보강재(210)의 하면을 관통하는 볼트(551)와, 상기 볼트(551)에 체결되는 너트(552)와; 상기 경사부(542)와 하부경사보강재(310)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볼트(561)와, 상기 볼트(561)에 체결되는 너트(56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수평보강재 결합수단(600)은 앵글 형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주주재(111)의 볼록부에 밀착되는 외측 앵글패드(610)와; 상기 외측 앵글패드(610)의 외면에 대응하여 내측에 형성되는 V홈(621)과,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평면부(622)를 가지는 외측 V블록(620)과; 앵글 형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주주재(111)의 오목부에 밀착되는 내측 앵글패드(630)와; 상기 내측 앵글패드(630)에 삽입되는 삼각부(641)와 내측에 형성되는 평면부(642)를 가지는 내측 삼각블록(640)과;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의 내측판(222)과 외측 V블록(620)과 외측 앵글패드(610)와 하부주주재(111)와 내측 앵글패드(630) 및 내측 삼각블록(64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트(651); 및 상기 볼트(651)에 체결되는 너트(65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경사보강재 상단결합수단(700)은 상부수평보강재(220)의 외측판(223)과 상부경사보강재(320)의 외측면 상단부에 밀착되는 외측 결합판(710)과; 상기 외측 결합판(710)의 상반부와 상부수평보강재(220)의 외측판(223)을 관통하는 볼트(721)와, 상기 볼트(721)에 체결되는 너트(722)와; 상기 외측 결합판(710)의 하반부와 상부경사보강재(320)의 외측면을 관통하는 볼트(731)와, 상기 볼트(731)에 체결되는 너트(732)와; 상기 상부수평보강재(220)의 하면에 밀착되는 수평부(741)와, 상부경사보강재(32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경사부(742)를 가지는 내측 결합판(740)과; 상기 수평부(741)와 상부수평보강재(220)의 하면을 관통하는 볼트(751)와, 상기 볼트(751)에 체결되는 너트(752)와; 상기 경사부(742)와 상부경사보강재(320)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볼트(761)와, 상기 볼트(761)에 체결되는 너트(76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경사보강재 하단결합수단(800)은 상기 상부경사보강재(320)의 하단판(323)과 하부수평보강재(210)의 상면을 관통하는 볼트(811)와, 상기 볼트(811)에 체결되는 너트(81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
KR1020190007521A 2019-01-21 2019-01-21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 KR102005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521A KR102005848B1 (ko) 2019-01-21 2019-01-21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521A KR102005848B1 (ko) 2019-01-21 2019-01-21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848B1 true KR102005848B1 (ko) 2019-10-08

Family

ID=6820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521A KR102005848B1 (ko) 2019-01-21 2019-01-21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737B1 (ko) * 2020-05-14 2020-11-05 주식회사 에이스이디씨 초고압 가공송전선로 송전철탑의 내진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390A (ko) * 2010-03-08 2011-09-16 (주)대광산업 철탑 허리 지지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19784B1 (ko) * 2011-07-01 2013-10-18 주식회사 남강엔지니어링 철탑 보강구조 및 보강방법
JP2014084653A (ja) * 2012-10-24 2014-05-1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鉄塔の補強構造
KR20170057209A (ko) 2017-05-12 2017-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움직임 탐색시 효율적인 움직임 벡터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JP6383532B2 (ja) * 2013-10-25 2018-08-2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既存構造物の免震化方法
KR101885294B1 (ko) * 2018-01-02 2018-09-10 황두영 내진성이 향상된 송전탑
KR101914008B1 (ko) * 2018-05-10 2018-10-31 변문석 상호 체결 방식의 연결브래킷을 포함하는 철골 건축구조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390A (ko) * 2010-03-08 2011-09-16 (주)대광산업 철탑 허리 지지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19784B1 (ko) * 2011-07-01 2013-10-18 주식회사 남강엔지니어링 철탑 보강구조 및 보강방법
JP2014084653A (ja) * 2012-10-24 2014-05-1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鉄塔の補強構造
JP6383532B2 (ja) * 2013-10-25 2018-08-2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既存構造物の免震化方法
KR20170057209A (ko) 2017-05-12 2017-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움직임 탐색시 효율적인 움직임 벡터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1885294B1 (ko) * 2018-01-02 2018-09-10 황두영 내진성이 향상된 송전탑
KR101914008B1 (ko) * 2018-05-10 2018-10-31 변문석 상호 체결 방식의 연결브래킷을 포함하는 철골 건축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737B1 (ko) * 2020-05-14 2020-11-05 주식회사 에이스이디씨 초고압 가공송전선로 송전철탑의 내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440B1 (ko) 연결용 엔클로저를 포함하는 강관버팀보
KR101595702B1 (ko) 보강브릿지가 구비된 강판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10889A (ko) 강관삽입형 띠장 및 버팀보
KR100599245B1 (ko) 건축기초 공사용 측토압 버팀용 토류판 구조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102005848B1 (ko)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
KR20180137268A (ko)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200409942Y1 (ko) 용이한 설치구조를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스트러트받침부재
KR100869764B1 (ko)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
KR101742438B1 (ko) 교대-말뚝 결합부에 회전수용장치를 갖는 일체식 교대교량
AU2019230746B2 (en) Cover band of steel pipe strut connector, steel pipe strut connector having same, and steel pipe strut assembly
KR101528248B1 (ko) 사각 격자지보 및 이를 이용한 터널 굴착면의 보강 공법
KR101653890B1 (ko) 터널 안정화를 위한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의 시공 방법
KR102170177B1 (ko) 전주 근가
KR102008991B1 (ko) 복수 띠장을 이용한 버팀보 지지 시스템
KR20120067402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현장타설 콘크리트 기초판의 접합구조
KR100261973B1 (ko) 암반 붕괴 방지용 락볼트 연계 보강장치 및연계 고정방법
KR101983650B1 (ko)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
KR102130519B1 (ko) 어스앙카용 띠장부재
KR20150010422A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KR101997850B1 (ko) 지주 강도가 보강된 가설 펜스
JP2004116124A (ja) 鉄塔の基礎構造
CN220057985U (zh) 玻璃纤维筋处的围檩加固结构
KR102047897B1 (ko)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JP6449115B2 (ja) 耐震構造および耐震化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