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422A -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 Google Patents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422A
KR20150010422A KR20130085433A KR20130085433A KR20150010422A KR 20150010422 A KR20150010422 A KR 20150010422A KR 20130085433 A KR20130085433 A KR 20130085433A KR 20130085433 A KR20130085433 A KR 20130085433A KR 20150010422 A KR20150010422 A KR 20150010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tension
frame
horizontal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5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엽
Original Assignee
(주)써포텍
한만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써포텍, 한만엽 filed Critical (주)써포텍
Priority to KR20130085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0422A/ko
Priority to CN201480041068.2A priority patent/CN105431594A/zh
Priority to JP2016527946A priority patent/JP2016528407A/ja
Priority to PCT/KR2014/006599 priority patent/WO2015009126A1/ko
Publication of KR20150010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는, 서로 마주보는 흙막이 벽체의 사이를 가로지르게 배치되며, 상기 흙막이 벽체의 띠장에 연결되는 버팀보와, 일측은 상기 띠장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버팀보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각각 양측으로 벌어지게 설치되는 경사보와, 상기 버팀보의 외측에 설치되는 긴장부재와, 상기 버팀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긴장부재에 긴장력을 가하여 상기 버팀보에 발생되는 편심을 상쇄시키는 긴장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버팀보의 휘어짐이 예측되거나 발생되는 지점에 긴장력을 제공하여 버팀보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가설 흙막이 공사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Mid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본 발명은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버팀보의 휘어짐이 예측되거나 발생되는 지점에 긴장력을 제공하여 버팀보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가설 흙막이 공사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공사나 구조물의 축조를 위한 지반굴착시 굴착 배면의 토사 붕괴방지 및 변위억제를 통해 인접주변지반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가설 흙막이 공사를 시행한다.
특히, 최근 도심지 근접시공이 빈번함에 따라 지반 굴착으로 인한 인접지반의 침하 및 주변 건물의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설 흙막이 공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기존의 지하철 공사나 건물의 지하층을 만들기 위하여 터파기를 하는 경우의 시공방법은, 우선 계획된 평면을 따라 설계 깊이까지 구멍을 뚫고, 수직파일을 설치한다.
그 수직파일의 설치가 끝나면, 부분적으로 굴착을 하고, 주형보와 복공판을 설치하는데, 복공판의 설치가 끝나면 이후의 공사는 굴착작업과 굴착에 따른 버팀보의 설치가 반복되면서 공사가 진행된다.
따라서, 이러한 가시설을 설계하기 위하여 굴착 단계별 토압과 버팀보에 작용하는 하중을 반복 계산하여, 최대값을 견딜 수 있도록 버팀보를 설치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와 시공을 하다보니 버팀보의 개수가 많이 필요하게 되어, 대부분의 경우 2-3m 이내로 매우 촘촘하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촘촘하게 배치된 버팀보는 막장 내에서 건설자재의 운반이나, 중장비의 반입 및 공사 작업을 방해하는 매우 중대한 장애요인이 되고 있고, 추후 본 구조물이 설치될 때는 거푸집 작업이나 철근 작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본 구조물에 다수의 구멍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완성된 지하구조물의 방수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수직파일로는 강재 에이치 파일을 이용한 가시설 방법 이외에도 구멍 천공 후 콘크리트를 채워 넣는 콘크리트 파일을 사용하는 공법도 있고 강재 파일과 콘크리트 파일을 동시에 병행하여 사용하는 공법, 또는 쉬트파일을 사용하는 공법도 있으나, 지반에 구멍을 뚫은 뒤 파일로 벽면을 형성하여 지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기본 원리에는 큰 차이가 없다.
또한, 프리플랙스보를 수직파일로 이용한 방법도 있으며, 쉬트파일에 에이치 파일을 붙여서 강성을 증가시키는 방법도 있다.
한편, 지하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한 가시설 공법 중 앞에서 언급된 버팀보가 없는 방법으로 어쓰앵커를 이용하여 강재 파일을 지지하는 공법이 있다.
이 방법은 파일의 뒷편 지반 속으로 경사구멍을 천공하여 강선이나 강봉을 삽입하고 삽입된 강봉의 끝 부분을 기계적인 방법이나 에폭시, 시멘트 그라우팅 등의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정착한 뒤, 강봉을 긴장하여 강재 파일을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시공된 가시설은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공사의 난이도가 개선되는 등의 장점이 있는 공법이다.
그러나, 이 공법의 최대 단점은 이 공법이 복잡한 시내에서 적용될 경우, 거의 대부분의 경우 인접 사유지를 침범하게 되어 민원이 발생될 여지가 많다는 점이며, 공사비가 비싸다는 점도 큰 문제점의 하나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8878호(발명의 명칭:강관 버팀보의 와이형 연결구조, 등록일자:2007.03.16)에는, 띠장에 미치는 힘을 분산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양측 띠장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2개의 강관 버팀보와, 상기 양측 띠장의 내측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는 2중강관 버팀보와, 상기 2개의 강관 버팀보와 2중강관 버팀보 사이에 위치되어 2개의 강관 버팀보와 2중강관 버팀보에 연결되는 연결체 및 상기 2개의 강관 버팀보와 2중강관 버팀보에 각각 접합되고 상기 연결체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연결체에 체결되는 기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강관 버팀보의 와이형 연결구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중강관 버팀보의 하중이 각각의 강관 버팀보에 분산될 수 있지ㄷ다.
그러나, 토압이 크게 발생되는 지역에서는 2중강관 버팀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2중강관 버팀보가 일측으로 휘어지는 비틀림이 발생되어 가설 흙막이 공사에 유익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2중강관 버팀보의 강성을 키우거나, 2중강관 버팀보를 병렬로 연결하는 방법이 간구되어 왔으나, 이러한 경우 2중강관 버팀보의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쳐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팀보의 휘어짐이 예측되거나 발생되는 지점에 긴장력을 제공하여 버팀보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가설 흙막이 공사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는, 서로 마주보는 흙막이 벽체의 사이를 가로지르게 배치되며, 상기 흙막이 벽체의 띠장에 연결되는 버팀보와, 일측은 상기 띠장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버팀보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각각 양측으로 벌어지게 설치되는 경사보와, 상기 버팀보의 외측에 설치되는 긴장부재와, 상기 버팀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긴장부재에 긴장력을 가하여 상기 버팀보에 발생되는 편심을 상쇄시키는 긴장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긴장부재는 상기 버팀보의 일측 또는 일측과 타측에 모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긴장부재는 상기 버팀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긴장부재는 상기 버팀보의 양단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팀보와 상기 경사보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2개의 플랜지와, 이 플랜지들 사이를 구비되는 웹을 포함하는 에이치빔(H-bea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버팀보의 단부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 단부에서 기울어져 연장되며, 상기 수평프레임과 삼각형을 이루는 경사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긴장선의 양측 단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2개의 플랜지 중 인접한 플랜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긴장선의 양측 단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2개의 플랜지 모두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내측 플랜지 또는 외측 플랜지와 맞닿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단부에 연속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웹에 맞닿는 수직부가 포함되는 엘형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내측 플랜지 또는 외측 플랜지 보다 더 길게 제작되어 노출되며, 상기 긴장선은 상기 수평부의 노출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버팀보의 휘어짐이 예측되거나 발생되는 지점에 긴장력을 제공하여 버팀보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가설 흙막이 공사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가 적용된 가설 흙막이 공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의 일측 외주면에 긴장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의 양측 외주면에 긴장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의 일측 외주면에 긴장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의 양측 외주면에 긴장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의 수평프레임 또는 경사프레임에 긴장선이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의 수평프레임 또는 경사프레임에 긴장선이 설치되는 방법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는, 버팀보(100), 경사보(200), 긴장부재(300) 및 긴장선(400)이 포함되며, 상기 버팀보(100), 경사보(200)와 후술할 연결부재(500)는 에이치빔(H-beam)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에이치빔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에이치빔은 단면이 H형상을 가지며,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는 부재로서,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한 쌍의 플랜지와, 한 쌍의 플랜지의 중앙을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가 적용된 가설 흙막이 공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구조는 직사각형 평면구조를 갖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를 위해 굴착된 부위의 내벽에는 흙막이 벽체가 시공되며, 이 흙막이 벽체의 내측에는 띠장(10)이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직사각형으로 굴착된 내벽들 중 길이가 긴변들 사이를 직각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내벽으로부터 전달되는 토압을 지지하는 버팀보(100)가 설치되되, 이 버팀보(1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띠장(10)과 연결구조를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양측에서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경사보(200)가 마련된다.
상기 띠장(10)은 굴착되는 터의 크기에 따라 단일 띠장 또는 겹띠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팀보(100)는 내벽으로부터 전달되는 토압이 지지되도록 길이방향의 중앙부에는 버팀보(100)의 양측 단부로 하중을 가하는 잭(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의 일측 외주면에 긴장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팀보(100)의 일측으로는 긴장부재(30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긴장부재(300)는 버팀보(100)의 길이방향 중앙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버팀보(100)의 일측 외주면에는 버팀보(100)의 길이방향으로 긴장선(40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긴장선(400)은 상기 긴장부재(300)에 의해 활시위가 당겨지듯 버팀보(100)에서 이격되어 팽팽하게 긴장되면서 긴장력이 발생되며, 긴장력은 버팀보(100) 방향으로 가력된다.
예컨대, 상기 버팀보(100)에 일측으로 변위가 발생되거나 발생이 예측될 경우 변위 발생지점에 긴장부재(300)와 긴장선(400)을 설치하면 상기 긴장부재(300)와 긴장선(400)에서 버팀보(100) 측으로 가력되는 긴장력을 이용하여 변위 발생지점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의 양측 외주면에 긴장부재(300)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팀보(100)의 양측 외주면에 변위가 발생되거나 발생이 우려되는 지점을 보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팀보(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변위가 광범위하게 발생되거나 발생이 우려되는 경우, 버팀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긴장부재(300)들을 설치하고, 긴장부재(300)를 긴장선(400)으로 가압하여 버팀보(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긴장력을 균일하게 가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버팀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개의 긴장부재(300)들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긴장부재(300)는 버팀보(100)에 변위가 발생 또는 예측되는 지점에서 가장 큰 높이를 갖고, 변위가 발생 또는 예측되지 않는 지점으로 갈수록 점점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버팀보(100)에 변위가 가장 크게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는 지점 또는 발생된 지점에 강한 긴장력을 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긴장력은 띠장(10)으로부터 버팀보(100)에 전달되는 토압에 의한 휘어짐을 상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버팀보(100)의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처짐이 발생되는 것을 상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팀보(100)의 양측 단부에는 경사보(20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버팀보(100)와 경사보(200)는 연결부재(500)를 매개로 결합되며, 연결부재(500)는 버팀보(100)의 단부와 연결되는 수평프레임(510)과, 이 수평프레임에 연결됨과 동시에 경사보(200)의 단부와 연결되는 경사프레임(5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팀보(100)와 경사보(200) 모두는 에이치빔으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에이치빔의 양측 단부는 단면이 평평하게 절단됨으로 인하여 버팀보(100)와 이 버팀보(100)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벌어지게 배치되는 경사보(200)를 직접 연결하기 곤란하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510)은 버팀보(100)의 단부와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경사프레임(520)은 경사보(200)의 단부와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며, 이러한 수평프레임(510)과 경사프레임(520)은 에이치빔으로 제작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프레임(520)은 수평프레임(510)의 양측 단부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연장형성되는데, 상기 수평프레임(510)과 경사프레임(520)은 대체로 삼각형, 정확하게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이룬다.
또한, 상기 경사보(200)의 양측 단부 중 경사프레임(520)과 연결되는 단부와 반대쪽에 위치한 단부, 정확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보(200)와 띠장(10)이 연결되는 부위에도 상기 연결부재(500)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또 다른 연결부재(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의 수평프레임 또는 경사프레임에 긴장선이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6 내지 도 7에는 긴장선(400)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긴장선(400)의 타측 단부는 일측 단부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긴장선(400)은 긴장부재(300)에 의해 긴장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510) 또는 경사프레임(520)에 고정되는데, 상기 긴장선(400)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5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수평프레임(510)과 경사프레임(520)은 각각 에이치빔으로 제작된다.
도 6에는 긴장선의 양측 단부가 2개의 플랜지 중 버팀보(100)와 인접한 플랜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긴장선의 양측 단부가 2개의 플랜지 모두를 관통하여 이격된 플랜지에 고정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6과 도 7의 긴장선(400)의 길이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선(400)이 이격된 플랜지(F)에 설치된 긴장선(400)이 갖는 긴장력이 더 커지게 될 것은 자명하다.
한편, 도 8 내지 도 9에는 상술한 도 6 내지 도 7에서 긴장선(400)이 플랜지에 설치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선(400)은 플랜지(F)를 관통한 후, 별도의 고정부재(20)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플랜지(F)(내측 플랜지 또는 외측 플랜지 중 어느 하나)와 웹(W)에 맞닿는 엘형프레임(700)이 구비되고, 이 엘형프레임(700)에는 긴장선(400)이 고정될 수 있는데, 엘형프레임(700)은 수평부(710)와 수직부(720)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710)는 수평프레임(510)과 경사프레임(520)의 플랜지(F)와 맞닿으며, 수직부(720)는 웹(W)에 맞닿는데, 이러한 수평부(710)는 맞닿는 플랜지(F)들보다 더 길게 제작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부(710)가 플랜지(F)들보다 더 길게 제작되면, 플랜지(F)의 외부로 노출되며, 이렇게 노출되는 부분에는 긴장선(40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긴장선(400)은 플랜지(F)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긴장선(400)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플랜지(F)에 타공을 형성하는 공정이 생략되므로 설치에 소모되는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7의 미설명 부호 30은 지지프레임이며, 이러한 지지프레임(30)은 버팀보(100)와 띠장(10) 사이에 설치되어 버팀보(100)에서 띠장(10)으로 전달되는 수직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띠장 20-고정부재
30-지지프레임
100-버팀보
200-경사보
300-긴장부재
400-긴장선
500, 500'-연결부재 510-수평프레임
520-경사프레임
700-엘형프레임 710-수평부
720-수직부
F-플랜지 W-웹

Claims (11)

  1. 서로 마주보는 흙막이 벽체의 사이를 가로지르게 배치되며, 상기 흙막이 벽체의 띠장에 연결되는 버팀보와,
    일측은 상기 띠장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버팀보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각각 양측으로 벌어지게 설치되는 경사보와,
    상기 버팀보의 외측에 설치되는 긴장부재와,
    상기 버팀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긴장부재에 긴장력을 가하여 상기 버팀보에 발생되는 편심을 상쇄시키는 긴장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긴장부재는 상기 버팀보의 일측 또는 일측과 타측에 모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긴장부재는 상기 버팀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긴장부재는 상기 버팀보의 양단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팀보와 상기 경사보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2개의 플랜지와, 이 플랜지들 사이를 구비되는 웹을 포함하는 에이치빔(H-be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버팀보의 단부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 단부에서 기울어져 연장되며, 상기 수평프레임과 삼각형을 이루는 경사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긴장선의 양측 단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2개의 플랜지 중 인접한 플랜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긴장선의 양측 단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2개의 플랜지 모두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버팀보.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내측 플랜지 또는 외측 플랜지와 맞닿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단부에 연속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웹에 맞닿는 수직부가 포함되는 엘형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버팀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내측 플랜지 또는 외측 플랜지 보다 더 길게 제작되어 노출되며,
    상기 긴장선은 상기 수평부의 노출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KR20130085433A 2013-07-19 2013-07-19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KR20150010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5433A KR20150010422A (ko) 2013-07-19 2013-07-19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CN201480041068.2A CN105431594A (zh) 2013-07-19 2014-07-21 挡土墙临时设施施工用的防弯曲撑杆
JP2016527946A JP2016528407A (ja) 2013-07-19 2014-07-21 土留め仮施設工事用撓み防止切梁
PCT/KR2014/006599 WO2015009126A1 (ko) 2013-07-19 2014-07-21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5433A KR20150010422A (ko) 2013-07-19 2013-07-19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422A true KR20150010422A (ko) 2015-01-28

Family

ID=5234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5433A KR20150010422A (ko) 2013-07-19 2013-07-19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6528407A (ko)
KR (1) KR20150010422A (ko)
CN (1) CN105431594A (ko)
WO (1) WO2015009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3173A (zh) * 2016-07-15 2016-10-12 中铁十七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地铁站施工主体围护结构
KR101962538B1 (ko) * 2017-07-06 2019-03-26 주식회사 대덕 안강망용 닻
CN108049412B (zh) * 2017-11-22 2019-11-26 东通岩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坑型钢内支撑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5522B2 (ja) * 2000-09-05 2006-01-18 鹿島建設株式会社 スライド式切梁支保工のコーナー火打ち切梁架設装置
KR20040031451A (ko) * 2002-10-07 2004-04-13 한만엽 혁신적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KR100720321B1 (ko) * 2005-04-19 2007-05-25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작용하중에 따라 발생되는 변위와 반력을 직접회복 및상쇄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싱크로나이즈지지시스템 및 이의설치방법
KR100633796B1 (ko) * 2005-11-16 2006-10-16 (주)써포텍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WO2007058464A1 (en) * 2005-11-16 2007-05-24 Supportec Co., Ltd. Temporary soil sheathing apparatus
KR100812722B1 (ko) * 2007-07-20 2008-03-12 한만엽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CN202755370U (zh) * 2012-09-26 2013-02-27 上海新强劲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提高基坑钢支撑刚度和稳定性的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28407A (ja) 2016-09-15
WO2015009126A1 (ko) 2015-01-22
CN105431594A (zh)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509B1 (ko) 플랜지보강 합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지지구조
KR101329440B1 (ko) 연결용 엔클로저를 포함하는 강관버팀보
KR20190036591A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KR100633796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US20060070803A1 (en)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KR100698878B1 (ko) 강관 버팀보의 와이형 연결구조
KR100998253B1 (ko)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
KR20080005109A (ko) 수평 아치형 구조재에 의한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 및이를 시공하는 방법
JP2016528406A (ja) 土留め仮施設工事の切梁連結構造
KR100642341B1 (ko) 흙막이 토류벽 보강용 파일부재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101599327B1 (ko)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20150102412A (ko)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KR101136240B1 (ko) 거푸집 및 지하외벽 수직철근 겸용 철재수직토류판과 그 지지구조
KR20150010422A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KR101061516B1 (ko) 아치형 강판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구조
KR101136895B1 (ko) 아치형 띠장 구조체
KR101300078B1 (ko) 흙막이 파일용 가변지지기구
JP5427044B2 (ja) 深礎工用土留の構築方法および深礎工用土留構造
KR20040039523A (ko) 혁신적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용 정착장치 및 받침대
KR20100001516A (ko) 가설 흙막이 공법에 있어서의 사각강관으로 된 버팀보와경사버팀재의 연결구조
KR101284514B1 (ko) 에이치형강의 플랜지 좌굴 방지를 위한 스티프너
KR20090017771A (ko) 지하실 외벽과 격리 시공하는 '시'형띠장 흙막이공법(='시'형띠장 흙막이공법)
KR200387344Y1 (ko) 흙막이 구조물의 버팀대 설치구조
KR102039928B1 (ko) 내하력과 강성이 향상된 아치형 띠장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55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221

Effective date: 2017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