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509B1 - 플랜지보강 합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플랜지보강 합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지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7509B1 KR100997509B1 KR1020080102000A KR20080102000A KR100997509B1 KR 100997509 B1 KR100997509 B1 KR 100997509B1 KR 1020080102000 A KR1020080102000 A KR 1020080102000A KR 20080102000 A KR20080102000 A KR 20080102000A KR 100997509 B1 KR100997509 B1 KR 1009975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shaped steel
- reinforcement
- composite
- ten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1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1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16
- 239000000463 materials Substances 0.000 claims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3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2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Abstract
Description
Claims (8)
- 일 플랜지(111)와 웨브(112)로 구성되는 T형강(110);L형앵글, ㄷ형채널, 박스형관 중에서 선택되어 상기 T형강의 일 플랜지(111)와 웨브(112)가 만나는 두 모서리 각각에 폐쇄형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면서 T형강(110)에 밀착하게 고정 설치되되, T형강의 플랜지(111) 끝단보다 안으로 들어가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보강재(130);상기 보강재(130) 내부공간에 긴장된 상태로 배치되는 긴장재(140); 및,상기 긴장재(140)가 매입되게 보강재(130)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PC부분(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보강 합성부재.
- 양 플랜지(121)와 웨브(122)로 구성되는 H형강(120);L형앵글, ㄷ형채널, 박스형관 중에서 선택되어 상기 H형강의 일 플랜지(121)와 웨브(122)가 만나는 두 모서리 각각에 폐쇄형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면서 H형강(120)에 밀착하게 고정 설치되되, H형강의 플랜지(121) 끝단보다 안으로 들어가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보강재(130);상기 보강재(130) 내부공간에 긴장된 상태로 배치되는 긴장재(140); 및,상기 긴장재(140)가 매입되게 보강재(130)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PC부분(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보강 합성부재.
- 양 플랜지(121)와 웨브(122)로 구성되는 H형강(120);L형앵글, ㄷ형채널, 박스형관 중에서 선택되어 상기 H형강의 양 플랜지(121)와 웨브(122)가 만나는 네 모서리 각각에 폐쇄형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면서 H형강(120)에 밀착하게 고정 설치되되, H형강의 플랜지(121) 끝단보다 안으로 들어가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보강재(130);상기 보강재(130) 내부공간에 긴장된 상태로 배치되는 긴장재(140); 및,상기 긴장재(140)가 매입되게 보강재(130)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PC부분(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보강 합성부재.
- 제3항에서,서로 대면하게 위치한 두 보강재(130)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면서 설치되는 연결재(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연결재(160)는 플레이트, 앵글, 박스형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보강 합성부재.
- 제4항에서,상기 연결재(160)는 H형강(120)의 길이방향으로 트러스 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보강 합성부재.
-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지지구조로서,흙막이벽의 말뚝부재를 구성하도록 다수개가 띄엄띄엄 설치되며, 보강된 플랜지(111, 121) 표면이 지반굴착으로 노출하게 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랜지보강 합성부재(100);띄엄띄엄 배치된 상기 플랜지보강 합성부재(100)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플랜지보강 합성부재(100)와 함께 흙막이벽을 구성하며, 상기 플랜지보강 합성부재(100)에서 T형강 또는 H형강의 플랜지(111, 121) 내측에 걸리게 설치되어 지반굴착으로 표면이 노출하게 되는 널말뚝(200);상기 플랜지보강 합성부재(100)에서 지반굴착으로 노출된 T형강 또는 H형강의 플랜지(111, 121)에 밀착하게 설치되어 플랜지보강 합성부재(100)와 널말뚝(200)을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둘러싸게 되는 수평띠장(300); 및,상기 수평띠장(300)에 정착하도록 시공되어 토압을 지지하게 되는 토압지지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지구조.
- 제6항에서,상기 수평띠장(300)은, 2열로 이격 배치되는 단위유닛(310);과 2열의 단위유닛(310)을 연결하는 연결판(320);으로 구성되게 설치되며,상기 토압지지체(400)는, 선단이 수평띠장의 단위유닛(310) 사이에서 관입되어 널말뚝(200) 배후의 지반에 정착하는 한편 후단이 수평띠장의 연결판(320)에 정착하도록 시공되는 락볼트(rock bolt) 또는 어스앵커(earth anchor)임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지구조.
- 제7항에서,상기 수평띠장(300)은, 두 플랜지보강 합성부재(100)를 격간(隔間)식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플랜지보강 합성부재(100)와 널말뚝(200)을 불연속적으로 둘러싸게 되는 한편 아래·위로 배치된 수평띠장(300)끼리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지지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2000A KR100997509B1 (ko) | 2008-10-17 | 2008-10-17 | 플랜지보강 합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지지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2000A KR100997509B1 (ko) | 2008-10-17 | 2008-10-17 | 플랜지보강 합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지지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2830A KR20100042830A (ko) | 2010-04-27 |
KR100997509B1 true KR100997509B1 (ko) | 2010-11-30 |
Family
ID=4221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2000A KR100997509B1 (ko) | 2008-10-17 | 2008-10-17 | 플랜지보강 합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지지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750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0074B1 (ko) * | 2011-03-21 | 2011-12-29 | 황문삼 | 버팀보 수직간격을 증대시키기 위한 맞춤형 단면확장의 엄지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
KR101468101B1 (ko) * | 2012-11-30 | 2014-12-02 | 쌍용건설 주식회사 | 사선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
KR101661512B1 (ko) * | 2016-01-28 | 2016-09-30 | 이은숙 | 장지간 주형보 제작을 위한 연결부 보강장치가 형성된 에이치빔 구조물 및 보강공법 |
KR101736746B1 (ko) | 2016-07-06 | 2017-05-17 | 이은숙 | 장지간 주형보 제작을 위한 연결부 보강장치가 형성된 에이치빔 구조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5723B1 (ko) * | 2011-05-06 | 2014-01-27 | 최시덕 | 피시강선을 이용한 간이흙막이 공법 |
CN105804092A (zh) * | 2016-05-03 | 2016-07-27 | 泰兴市第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 一种深基坑桩锚支护装置 |
KR102047897B1 (ko) * | 2018-08-08 | 2019-12-02 | (주)우진건설 |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
KR102003203B1 (ko) * | 2018-10-30 | 2019-07-25 | (주)우진건설 | 보강 구조를 갖는 띠장 조립체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2688Y1 (ko) | 1999-12-24 | 2000-05-15 | 주식회사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 내화구조가 구비된 철골구조물용 h형강 |
KR200333102Y1 (ko) | 2003-09-01 | 2003-11-12 | 주식회사 한일엔텍 | 보강판이 결합된 에이치 빔 |
JP2004190318A (ja) | 2002-12-11 | 2004-07-08 | Taisei Corp | ガイド管固定構造 |
-
2008
- 2008-10-17 KR KR1020080102000A patent/KR1009975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2688Y1 (ko) | 1999-12-24 | 2000-05-15 | 주식회사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 내화구조가 구비된 철골구조물용 h형강 |
JP2004190318A (ja) | 2002-12-11 | 2004-07-08 | Taisei Corp | ガイド管固定構造 |
KR200333102Y1 (ko) | 2003-09-01 | 2003-11-12 | 주식회사 한일엔텍 | 보강판이 결합된 에이치 빔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0074B1 (ko) * | 2011-03-21 | 2011-12-29 | 황문삼 | 버팀보 수직간격을 증대시키기 위한 맞춤형 단면확장의 엄지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
KR101468101B1 (ko) * | 2012-11-30 | 2014-12-02 | 쌍용건설 주식회사 | 사선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
KR101661512B1 (ko) * | 2016-01-28 | 2016-09-30 | 이은숙 | 장지간 주형보 제작을 위한 연결부 보강장치가 형성된 에이치빔 구조물 및 보강공법 |
KR101736746B1 (ko) | 2016-07-06 | 2017-05-17 | 이은숙 | 장지간 주형보 제작을 위한 연결부 보강장치가 형성된 에이치빔 구조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2830A (ko) | 2010-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60340855A1 (en) |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 |
KR100976847B1 (ko) |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 |
JP4960969B2 (ja) | 仮土留装置 | |
JP4942759B2 (ja) | 腹起こし固定具 | |
KR100866162B1 (ko) | 의자형 자립식 흙막이벽의 시공방법 | |
JP4279739B2 (ja) | 既存建物の耐震補強方法と耐震壁 | |
KR100860478B1 (ko) | 철골구조물의 보 | |
JP2007138472A (ja) | 鉄筋コンクリート造ラーメン構造の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 |
KR100743832B1 (ko) | 프리플렉스 거더와 일체식교대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
JP4094043B2 (ja) | プレストレスト仮設構造物 | |
JP2000513773A (ja) | トンネル、地下通路、地下駐車場などを構築する地下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並びにその構造のためのプレハブ部材 | |
KR101186062B1 (ko) |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과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262889B1 (ko)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겹띠장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방법 | |
KR100633796B1 (ko) |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 |
KR100886445B1 (ko) | 소일 탱크 형태의 흙막이 | |
KR101377327B1 (ko) |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 |
KR101329440B1 (ko) | 연결용 엔클로저를 포함하는 강관버팀보 | |
KR20110032687A (ko) |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부 시공방법 | |
JP2009516109A5 (ko) | ||
KR20100138122A (ko) |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을 포함하는 지중 아치 라멘식 구조물의 기초부 및 이 시공 방법 | |
US20030233798A1 (en) | Post-tensioned, below-grade concrete foundation system | |
KR101149895B1 (ko) | 터널 필라부 보강블록 | |
KR101308575B1 (ko) | 띠장-버팀보 일체형 세그먼트 | |
KR100993777B1 (ko)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
KR20060092552A (ko) | 현장타설파일을 이용한 무지보 하향골조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