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412A -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2412A KR20150102412A KR1020140024243A KR20140024243A KR20150102412A KR 20150102412 A KR20150102412 A KR 20150102412A KR 1020140024243 A KR1020140024243 A KR 1020140024243A KR 20140024243 A KR20140024243 A KR 20140024243A KR 20150102412 A KR20150102412 A KR 201501024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support
- retaining wall
- lattice
- shap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타공법에 의해 지하구조물을 구축할 때, 흙막이 벽체를 지지할 수 있는 슬래브를 역타로 먼저 시공한 후에 지하외벽을 순타에 의해 연속적으로 시공해주기 위하여 흙막이 벽체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는, 일정한 간격으로 H형강을 매립하여 시공되는 엄지말뚝과 상기 엄지말뚝들 사이의 토류벽으로 구성되는 흙막이 벽체 내에 지하구조물을 역타로 시공할 시에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는 배면토압을 슬래브에 전달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H형강의 플랜지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엄지말뚝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전달하는 역T형 지지대와, 인접하는 역T형 지재대들 사이에 역T형 지지대와 수직을 이루도록 거치되어 토류벽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전달하는 래티스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는, 일정한 간격으로 H형강을 매립하여 시공되는 엄지말뚝과 상기 엄지말뚝들 사이의 토류벽으로 구성되는 흙막이 벽체 내에 지하구조물을 역타로 시공할 시에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는 배면토압을 슬래브에 전달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H형강의 플랜지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엄지말뚝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전달하는 역T형 지지대와, 인접하는 역T형 지재대들 사이에 역T형 지지대와 수직을 이루도록 거치되어 토류벽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전달하는 래티스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역타공법에 의해 지하구조물을 구축할 때, 흙막이 벽체를 지지할 수 있는 슬래브를 역타로 먼저 시공한 후에 지하외벽을 순타에 의해 연속적으로 시공해주기 위하여 흙막이 벽체와 슬래브 사이에 구비되는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역타공법(Top-Down Method)은 흙막이 벽체를 구조체로 시공하고, 지반을 굴토하면서 슬래브 등의 지하구조물을 구축해가는 공법이다.
이러한 역타공법은 지하구조물의 구축과 동시에 순타에 의해 지상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어 공기가 대폭 감축되고, 역타에 의해 시공되는 보 및 슬래브와 같은 수평구조체가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기 때문에 별도의 버팀대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자재사용량을 감소시키는 등 시공의 용이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인접 건물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다른 공법에 비하여 현저히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도심지에서 가장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공법이다.
역타공법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시공은, 흙막이 벽체의 구축을 완료하고, 굴토를 시행하면서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보나 슬래브와 같은 수평구조체를 역타로 구축하는 단계를 반복 시행하여 기초바닥콘크리트까지 완성시킨 후, 상기 흙막이 벽체에 합벽되는 외벽을 기초바닥콘크리트부터 순타로 구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흙막이 벽체와 슬래브 사이에는 향후 순타로 타설될 외벽이나 기둥이 설치될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는 바, 상기 공간에서는 흙막이 벽체의 배면토압을 슬래브 등의 수평구조체에 전달하면서 향후 외벽 등의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구조의 흙막이 벽체 지지구조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는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지지공법용 논웨일 스트러트 시스템'을 특허 제1198286호로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에서 플랜지형강(RW11)에 의한 엄지말뚝(RW1)과 토류벽(RW2)으로 구축된 흙막이벽(RW)을 지지하기 위해 흙막이벽(RW)과 철근콘크리트 슬래브(S) 사이에 토압전달매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흙막이벽의 엄지말뚝(RW1)마다 플랜지형강(RW11)의 플랜지에 접합되어 흙막이벽(RW)에서 내밀어 나오도록 설치되는 메인스트러트(110); 상기 메인스트러트(110) 단부에 접합되어 슬래브(S)에 구속되는 것으로, 엔드플레이트로 마련되거나 메인스트러트(110) 상호 간을 연결하는 베어링보로 마련되는 지압판재(120); 상기 지압판재(120)에 접합되어 슬래브(S)에 매입 정착하는 스터드볼트(140); 흙막이벽의 토류벽(RW2)을 지지하여 메인스트러트(110)로 전달하도록 상기 메인스트러트(110)에 고정 설치되는 서브스트러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서브스트러트(150)는, 흙막이벽의 토류벽(RW2)에 근접한 위치에서 이웃하는 메인스트러트(110)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한편 필러(F)에 의해 흙막이벽의 토류벽(RW2)에 맞대게 설치되는 제1트러스현재(151); 상기 제1트러스현재(151)와 대면한 위치에서 이웃하는 메인스트러트(110)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제2트러스현재(152); 상기 제1트러스현재(151)와 제2트러스현재(152)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트러스웨브재(1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철골띠장을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공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하외벽만을 연속 순타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줄눈을 최소화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메인스트러트(110)가 슬래브(S)에 연속되는 반면, 서브스트러트(150)는 메인스트러트(1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슬래브(S)의 상면 위에 위치하게 되어, 흙막이 벽체의 엄지말뚝(RW1)을 통해 전달되는 토압은 메인스트러트(110)가 슬래브(S)에 직접 전달하나, 흙막이 벽체의 토류벽(RW2)을 통해 전달되는 토압은 먼저 서브스트러트(150)가 전달받은 후 이를 다시 메인스트러트(110)를 통해 슬래브(S)에 전달되도록 하고 있어, 흙막이 벽체의 배면토압에 대한 응력전달이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메인스트러트(110)쪽에 위치한 슬래브(S) 단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막음부재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고, 서브스트러트의 모든 현재는 형강재로 구성되어 중량이 크므로 서브스트러트의 설치시 양중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는 시공상의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을 보다 발전시켜 상기 선행기술이 가지는 효과를 그대로 가지면서, 흙막이 벽체의 배면토압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의 전달을 명확하게 하여 지하구조물이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해주는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막음부재의 설치를 최소화하고 래티스 지지체의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래티스 지지체의 거치를 용이하게 하여 양중장비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한 간격으로 H형강을 매립하여 시공되는 엄지말뚝과 상기 엄지말뚝들 사이의 토류벽으로 구성되는 흙막이 벽체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지하구조물을 역타로 시공할 시에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는 배면토압을 슬래브에 전달해주기 위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는, 상기 H형강의 플랜지에 길이방향 일단부의 말단면이 접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어 엄지말뚝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전달하는 역T형 지지대와, 인접하는 역T형 지지대들 사이에 역T형 지지대와 수직을 이루도록 거치되어 토류벽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전달하는 래티스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래티스 지지체는, ㄴ자형 단면의 제1가로재, 상기 제1가로재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ㄴ자형 또는 ㅗ자형 단면을 가지는 제2가로재 및, 상기 제1가로재와 제2가로재 사이에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제1·2가로재를 연결해주는 래티스근으로 구성되는 단위부재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단위부재 2개가 마주보고 접합됨으로써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로재가 흙막이 벽체 측에 놓이도록 역T형 지지대 사이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래티스 지지체는 역T형 지지대의 하부플랜지 위에 거치되어 역T형 지지대와 래티스 지지체가 같은 높이 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래티스 지지체에 전달된 하중과 역T형 지지대에 전달된 하중이 슬래브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래티스근은 철근이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래티스 지지체의 제2가로재에는 데크거치용 브라켓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래티스 지지체의 제1가로재와 H형강의 플랜지 사이 및 제1가로재와 토류벽 사이에는 필러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는, 엄지말뚝의 지지수단과, 엄지말뚝 사이에 형성되는 토류벽의 지지수단의 하중전달방향을 일치시켜 하중이 직접 슬래브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하중전달을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는, 철근을 연속 절곡시킨 래티스근을 이용하여 래티스 지지체의 제작이 용이하고, 강재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키며, 충분한 공간확보로 지하외벽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정밀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는, 래티스 지지체를 구성하는 경사재로 형강재 대신 철근을 사용하므로 래티스 지지체의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고, 상기 래티스 지지체를 역T형 지지대의 하부플랜지에 단순 거치하여 별도의 양중장비의 없이 인력만으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는, 래티스 지지체의 제2가로재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엔드 플레이트의 기능을 겸하게 함으로써 엔드 플레이트의 설치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도록 하여 부재사용의 감소 및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작업의 간편화를 도모하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로서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지지공법용 논웨일 스트러트 시스템'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및 래티스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래티스 지지체의 타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흙막이 벽체와 상기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래티스 지지체 사이에 필러재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상기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래티스 지지체에 데크거치용 브라켓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및 래티스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래티스 지지체의 타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흙막이 벽체와 상기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래티스 지지체 사이에 필러재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상기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래티스 지지체에 데크거치용 브라켓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하구조물을 역타공법에 의해 시공할 때 보 및 슬래브와 같은 수평구조체를 흙막이 벽체에까지 시공하게 되면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는 데에는 유리하지만 이미 시공된 수평구조체 사이에 지하외벽의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하자가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흙막이 벽체와 수평구조체인 슬래브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지하외벽 콘크리트의 타설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상기 공간에 개방적인 수평의 지지구조를 설치함으로써 흙막이 벽체에서 작용하는 토압을 슬래브로 전달해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 공간에 설치되는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200)는, 일정한 간격으로 H형강(11)을 매립하여 시공되는 엄지말뚝(10)과 상기 엄지말뚝들 사이의 토류벽(20)으로 구성되는 흙막이 벽체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지하구조물을 역타로 시공할 때에 적용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200)가 설치된 모습과 상기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래티스 지지체(22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200)는, 상기 H형강(11)의 플랜지에 길이방향 일단부의 말단면이 접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어 엄지말뚝(10)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전달하는 역T형 지지대(210)와, 인접하는 역T형 지지대(210)들 사이에 역T형 지지대(210)와 수직을 이루도록 거치되어 토류벽(20)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전달하는 래티스 지지체(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역T형 지지대(210)는, 흙막이 벽체에 있어 토압의 주요한 지지부가 되는 엄지말뚝(10) H형강(11)의 플랜지에 그 일단이 부착되어 토압이 전달되는 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역T형 지지대(210)의 타단은 수평구조체인 슬래브(30)와 접한다.
역T형 지지대(210)의 단면이 뒤집어진 T자 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부가 수단이 없이 래티스 지지체(220)를 역T형 지지대(210) 위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래티스 지지체(220)가 역T형 지지대(210)의 하부플랜지에 거치되어 래티스 지지체(220), 역T형 지지대(210) 및 슬래브(30)가 같은 높이 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토압이 역T형 지지대(210) 및 래티스 지지체(220)를 통해 슬래브(30)로 직접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토압이 역T형 지지대(210) 및 래티스 지지체(220)의 축과 일치하게 전달되므로 역T형 지지대(210) 및 래티스 지지체(220)의 규격을 크게 할 필요가 없고, 지지구조(200)에 의해 전달된 하중에 의해 슬래브(30)에 편심이 발생하지 않아 슬래브(30)가 변형되지 않고 토압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력전달이 명확해 진다.
상기 래티스 지지체(220)는 보다 상세하게, ㄴ자형 단면의 제1가로재(221), 상기 제1가로재(221)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ㄴ자형 또는 ㅗ자형 단면을 가지는 제2가로재(222) 및, 상기 제1가로재(221)와 제2가로재(222) 사이에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제1·2가로재(221, 222)를 연결해주는 래티스근(223)으로 구성되는 단위부재(U)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단위부재(U) 2개가 마주보고 접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2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래티스 지지체(220)는 제1·2가로재(221, 222)가 모두 ㄴ자형 단면을 가지는 단위부재(U) 2개가 마주보고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도 3에는 상기 래티스 지지체(220)의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래티스 지지체(220)는 제1가로재(221)가 ㄴ자형 단면을 가지고 제2가로재(222)가 ㅗ자형 단면을 가지는 단위부재(U)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며,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래티스 지지체(220)는 제1가로재(221)가 ㄴ자형 단면을 가지고 제2가로재(222)가 ㅗ자형 단면을 가지는 단위부재(U) 하나와 제1·2가로재(221, 222)가 모두 ㄴ자형 단면을 가지는 단위부재(U) 하나가 마주보고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래티스 지지체(220)는 흙막이 벽체에서 작용하는 토압의 크기에 따라 단위부재(U)의 수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래티스 지지체(220)는 제1가로재(221)가 흙막이 벽체 측에 놓이도록 역T형 지지대(210) 사이에 거치된다.
상기 래티스 지지체(220)는 제1·2가로재 사이를 래티스근(223)이 연결해주기 때문에 자중이 적어 거치 작업시 별도의 양중장비 없이 인력으로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강재의 사용량이 적어 경제적이다. 또한, 래티스근(223)이 평면상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적기 때문에 지하외벽 수직철근의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선행기술인 논웨일 스트러트 시스템에서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래티스 지지체(220)의 슬래브(30) 측 말단은, 제2가로재(222)의 수직하게 형성된 부분에 의해 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엔드 플레이트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엔드 플레이트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거나 간편화 할 수 있다.
상기 래티스 지지체(220)가 두 개의 단위부재(U)로 이루어져 반폐쇄적인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단면성능이 우수하여 토압이 크게 작용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토압을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래티스 지지체(220)는 기성품인 앵글(221) 및 철근을 조립함으로써 제작이 가능하여 제작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래티스근(223)이 제1·2가로재에 의해 구획되는 단면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다.
제1·2가로재(221, 222)를 연결해주는 래티스근(223)은, 토류벽(20)을 이루는 철근콘크리트 말뚝과 접하는 부분에 모서리 부분이 놓이도록 배치하여 토류벽(20)에 작용하는 토압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래티스 지지체(220)의 제1가로재(221)와 H형강(11)의 플랜지 사이 및 제1가로재(221)와 토류벽(20) 사이에는 필러재(2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류벽(20)은 현장에서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기 때문에 표면이 고르지 않아 토류벽(20)이 엄지말뚝(10)의 H형강(11)보다 흙막이 벽체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더 안쪽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래티스 지지체(220)와 H형강(11) 사이에는 간격이 있을 수 있는데, 상기 필러재(24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이 간격을 메워 H형강(11)에 작용하는 토압을 래티스 지지체(220)가 분담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러재(240)는 토류벽(20)과 제1가로재(221) 사이에도 설치되어 토류벽(20)에서 작용하는 토압이 정확하게 래티스 지지체(2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래티스근(223)은 짧은 철근 토막 다수 개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으나, 철근이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연속적으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철근을 절곡하여 래티스근(223)을 형성하는 경우, 철근 토막을 일일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해줄 필요가 없고 용접 개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래티스 지지체(22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래티스 지지체(220)의 제2가로재(222)에는 데크거치용 브라켓(23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래티스 지지체(220)에 데크거치용 브라켓(230)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슬래브(30)의 시공을 위한 데크 플레이트는 보통 보에 거치되지만 지하구조물 모서리 부분에 거치되는 데크 플레이트는 모서리 반대편의 두 변만이 보에 거치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할 수 있는데, 래티스 지지체(220)에 데크거치용 브라켓(230)을 더 설치하여 데크 플레이트(31)의 모든 변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크거치용 브라켓(230)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앵글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앵글 토막 다수 개를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강재를 절약하고 래티스 지지체(220)를 경량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래티스 지지체(220)의 제2가로재로서 ㅗ자형 단면을 가지는 부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수직한 부분의 일측에 래티스근(223)을 위치시키고 타측에 데크 플레이트를 거치할 수 있으므로 데크거치용 브라켓(230)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상기 데크거치용 브라켓(230)은, 슬래브(30)의 춤에 따라 설치되는 높이를 달리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엄지말뚝
11 : H형강
20 : 토류벽 30 : 슬래브
31 : 데크 플레이트
200 :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210 : 역T형 지지대
220 : 래티스 지지체 221 : 제1가로재
222 : 제2가로재 223 : 래티스근
230 : 데크거치용 브라켓 240 : 필러재
U : 단위부재
20 : 토류벽 30 : 슬래브
31 : 데크 플레이트
200 :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210 : 역T형 지지대
220 : 래티스 지지체 221 : 제1가로재
222 : 제2가로재 223 : 래티스근
230 : 데크거치용 브라켓 240 : 필러재
U : 단위부재
Claims (4)
- 일정한 간격으로 H형강(11)을 매립하여 시공되는 엄지말뚝(10)과 상기 엄지말뚝들 사이의 토류벽(20)으로 구성되는 흙막이 벽체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지하구조물을 역타로 시공할 시에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는 배면토압을 슬래브(30)에 전달해주기 위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200)는, 상기 H형강(11)의 플랜지에 길이방향 일단부의 말단면이 접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어 엄지말뚝(10)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전달하는 역T형 지지대(210)와, 인접하는 역T형 지지대(210)들 사이에 역T형 지지대(210)와 수직을 이루도록 거치되어 토류벽(20)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전달하는 래티스 지지체(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래티스 지지체(220)는, ㄴ자형 단면의 제1가로재(221), 상기 제1가로재(221)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ㄴ자형 또는 ㅗ자형 단면을 가지는 제2가로재(222) 및, 상기 제1가로재(221)와 제2가로재(222) 사이에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제1·2가로재(221, 222)를 연결해주는 래티스근(223)으로 구성되는 단위부재(U)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단위부재(U) 2개가 마주보고 접합됨으로써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로재(221)가 흙막이 벽체 측에 놓이도록 역T형 지지대(210) 사이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래티스 지지체(220)는 역T형 지지대(210)의 하부플랜지 위에 거치되어 역T형 지지대(210)와 래티스 지지체(220)가 같은 높이 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래티스 지지체(220)에 전달된 하중과 역T형 지지대(210)에 전달된 하중이 슬래브(3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티스근(223)은 철근이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티스 지지체(220)의 제2가로재(222)에는 데크거치용 브라켓(23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티스 지지체(220)의 제1가로재(221)와 H형강(11)의 플랜지 사이 및 제1가로재(221)와 토류벽(20) 사이에는 필러재(24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4243A KR20150102412A (ko) | 2014-02-28 | 2014-02-28 |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4243A KR20150102412A (ko) | 2014-02-28 | 2014-02-28 |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2412A true KR20150102412A (ko) | 2015-09-07 |
Family
ID=5424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4243A KR20150102412A (ko) | 2014-02-28 | 2014-02-28 |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02412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0437B1 (ko) * | 2019-04-29 | 2020-02-21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지하벽체 시공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CN111980031A (zh) * | 2020-08-11 | 2020-11-24 | 中铁七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 一种深基坑施工安全防护装置 |
KR102254717B1 (ko) | 2020-06-26 | 2021-05-24 | 국방과학연구소 | 초소형 웨어러블 유도탄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초소형 웨어러블 유도탄 |
KR20210088850A (ko) * | 2020-01-07 | 2021-07-15 | (주)한국건설공법 |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
KR102324184B1 (ko) | 2020-06-26 | 2021-11-09 | 국방과학연구소 | 초소형 웨어러블 유도탄 구동장치 |
KR102680017B1 (ko) * | 2023-01-04 | 2024-07-01 | 김기철 | 가시설용 버팀 구조물 |
-
2014
- 2014-02-28 KR KR1020140024243A patent/KR2015010241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0437B1 (ko) * | 2019-04-29 | 2020-02-21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지하벽체 시공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KR20210088850A (ko) * | 2020-01-07 | 2021-07-15 | (주)한국건설공법 |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
KR102254717B1 (ko) | 2020-06-26 | 2021-05-24 | 국방과학연구소 | 초소형 웨어러블 유도탄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초소형 웨어러블 유도탄 |
KR102324184B1 (ko) | 2020-06-26 | 2021-11-09 | 국방과학연구소 | 초소형 웨어러블 유도탄 구동장치 |
CN111980031A (zh) * | 2020-08-11 | 2020-11-24 | 中铁七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 一种深基坑施工安全防护装置 |
KR102680017B1 (ko) * | 2023-01-04 | 2024-07-01 | 김기철 | 가시설용 버팀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102412A (ko) |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공법용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 |
KR100938918B1 (ko) |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해 채널에 의한 나뭇가지형 스틸프레임을 이용한 역타공법 | |
KR102208793B1 (ko) | 주열식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48272B1 (ko) | 미끄럼 골거푸집(scf)을 활용한 지하실 하향공법 | |
US10036130B2 (en) | Slab bridge structure | |
KR101600845B1 (ko) | 건축용 수평구조프레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건축물의 시공방법 | |
KR101146758B1 (ko) | 횡방향 스트럿부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 |
KR101278687B1 (ko) | 박스형 추진 강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20090114863A (ko) | 병렬 연결형 추진 강관 및 그를 이용한 지중 구조체의시공방법 | |
KR101255027B1 (ko) |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 |
KR102181805B1 (ko) | 무조인트 교량의 수직벽체형 블록 조립유닛 및 이를 이용한 무조인트 교량 조립 시공방법 | |
KR101136240B1 (ko) | 거푸집 및 지하외벽 수직철근 겸용 철재수직토류판과 그 지지구조 | |
KR101631447B1 (ko) | 콘크리트 충진 강관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 |
KR20140065918A (ko) | Upc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 |
KR101200994B1 (ko) | 분리형 좌대와 띠장 지점조절용 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지지 구조 및 흙막이 지지 공법 | |
JP6477565B2 (ja) | 既設鋼矢板壁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 |
KR101034853B1 (ko) | 흙막이벽의 전면 지지를 통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요철표면 대응형 거푸집 | |
JP2016528407A (ja) | 土留め仮施設工事用撓み防止切梁 | |
KR101426155B1 (ko) | 수평재의 강재거더와 수직재의 연결부 접합면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수평재의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물 | |
RU108473U1 (ru) |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 |
KR101485563B1 (ko) | 건축용 수평구조프레임 구조 | |
KR102080437B1 (ko) | 지하벽체 시공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047943B1 (ko) | 보강설비가 구비된 확장인도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58982B1 (ko) |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층간 보 및 그 시공방법 | |
KR20090042395A (ko) | 옹벽과 이의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24 Effective date: 2016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