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722B1 -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722B1
KR100812722B1 KR1020070072675A KR20070072675A KR100812722B1 KR 100812722 B1 KR100812722 B1 KR 100812722B1 KR 1020070072675 A KR1020070072675 A KR 1020070072675A KR 20070072675 A KR20070072675 A KR 20070072675A KR 100812722 B1 KR100812722 B1 KR 100812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pedestal
fixing
steel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253A (ko
Inventor
한만엽
Original Assignee
한만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6006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1272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만엽 filed Critical 한만엽
Priority to KR1020070072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722B1/ko
Publication of KR20070080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파일과 이를 받쳐주는 수평보에 짧은 받침대와 임의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강선 정착장치와 강선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거나 보강재를 설치함으로써, 수직파일과 수평보를 지지해주는 기존의 버팀보의 개수를 대폭적으로 줄임으로써 굴착중인 지하공간의 장애물을 없애줌으로서, 지하공간에서의 작업여건을 월등히 개선하고, 공사비 또한 대폭적인 절감이 가능한 혁신적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에서의 강선의 정착 장치 및 강선을 받쳐주는 받침대의 형상을 제시하였다.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Bracket and Support for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건설하고자 할 때 원 구조물이 건설되는 동안 굴착된 지반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공사 기간동안 지중에 설치되는 가시설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이치 빔과 같은 수직파일과 띠장과 같은 수평파일에 강선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싱을 가해줌으로써 수직파일을 지지해야 하는 버팀보의 개수를 대폭적으로 줄이는 가시설 공법으로서 기존의 설계와 시공방법을 대폭적으로 개선한 공법이다.
통상 기존의 지하철 공사나 건물의 지하층을 만들기 위하여 터파기를 하는 경우의 시공방법은, 우선 계획된 평면을 따라 설계 깊이까지 구멍을 뚫고, 수직파일을 설치한다. 수직파일의 설치가 끝나면, 부분적으로 굴착을 하고, 주형보와 복공판을 설치한다. 복공판의 설치가 끝나면 이후의 공사는 굴착작업과 굴착에 따른 버팀보의 설치가 반복되면서 공사가 진행된다. 따라서 이러한 가시설을 설계하기 위하여 굴착 단계별 토압과 버팀보에 작용하는 하중을 반복 계산하여, 최대값을 견딜 수 있도록 버팀보를 설치한다. 이런 방식으로 설계와 시공을 하다보니 버팀보의 개수가 많이 필요하게 되어, 대부분의 경우 2-3m 이내로 매우 촘촘하게 배치되며, 이렇게 촘촘하게 배치된 버팀보는 막장 내에서 건설자재의 운반이나, 중장비의 반입 및 공사 작업을 방해하는 매우 중대한 장애요인이 되고 있고, 추후 본 구조물이 설치될 때는 거푸집 작업이나 철근 작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본 구조물에 다수의 구멍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완성된 지하구조물의 방수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수직파일로는 강재 에이치 파일을 이용한 가시설 방법 이외에도 구멍 천공 후 콘크리트를 채워 넣는 콘크리트 파일을 사용하는 공법도 있고 강재 파일과 콘크리트 파일을 동시에 병행하여 사용하는 공법, 또는 쉬트파일을 사용하는 공법도 있으나, 지반에 구멍을 뚫은 뒤 파일로 벽면을 형성하여 지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기본 원리에는 큰 차이가 없다. 또한 프리플랙스보를 수직파일로 이용한 방법도 있으며, 쉬트파일에 에이치 파일을 붙여서 강성을 증가시키는 방법도 있다.
지하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한 가시설 공법 중 앞에서 언급된 버팀보가 없는 방법으로 어쓰앵커를 이용하여 강재 파일을 지지하는 공법이 있다. 이 방법은 파일의 뒷편 지반 속으로 경사구멍을 천공하여 강선이나 강봉을 삽입하고 삽입된 강봉의 끝 부분을 기계적인 방법이나 에폭시, 시멘트 그라우팅 등의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정착한 뒤, 강봉을 긴장하여 강재 파일을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시공된 가시설은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공사의 난이도가 개선되는 등의 장점이 있는 공법이다. 그러나 이 공법의 최대 단점은 이 공법이 복잡한 시내에서 적용될 경우, 거의 대부분의 경우 인접 사유지를 침범하게 되어 민원이 발생될 여지가 많다는 점이며, 공사비가 비싸다는 점도 큰 문제점의 하나이다.
실용신안20-258949에는 트러스를 이용하여 가시설에서 굴착단면의 중간을 지나가는 버팀보를 제거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깊이가 얕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데, 지표면 근처에 격자형으로 에이치빔을 이중으로 형성하고, 이들을 서로 수직재와 경사재로 보강하여 토압을 상부에 설치된 이들 2개 층의 트러스로서 받을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 방법은 지반 지지용 가시설의 버팀보 때문에 발생하는 굴착 및 본 구조물의 건설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굴착된 지반의 하부에 넓은 구조물이 들어가고 상부에는 좁은 구조물이 들어갈 경우에 편리한 공법으로 판단된다.
특허 10-188465와 실용신안 20-247053에는 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띠장의 보강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기 설치된 띠장 위에 추가로 띠장을 설치하여 강선을 긴장함으로써 버팀보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기술로서, 하나는 추가 띠장이 있는 경우이며, 다른 하나는 기존 에이치빔의 플랜지를 보강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버팀보의 간격을 넓히는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강선이 직선 배치되어 있어서, 토압에 의하여 띠장에 발생하는 포물선 형상의 모멘트 분포와 달리 일정한 크기의 부모멘트가 발생함으로써, 하중에 의한 모멘트와 그 분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보강되는 띠장의 길이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공사진행에 막대한 지장을 주고 공사비의 증가 원인이 되는 버팀보를 대폭적으로 줄이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지하에서의 공사 공간을 확보하고,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가시설 공법을 보다 효율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착장치 및 받침대의 형상과 배치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파일의 측면에, 복수의 받침대가 부착되는 띠장을 연결시키는 단계, 중간 부분이 커플러로 연결되는 강선의 양단부를, 상기 띠장의 측면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정착장치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강선을 상기 받침대의 단부에 접촉 지지시켜 긴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강선을 긴장시키는 단계는 강선에 설치된 커플러를 사용하여 프리스트레싱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공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파일의 측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받침대가 결합되는 띠장을 연결시키는 단계, 강선의 양단부를, 상기 띠장의 측면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정착장치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강선을 상기 받침대의 단부에 접촉 지지시켜 긴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강선을 긴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띠장의 중앙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받침대를 밀어 올려 프리스트레싱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공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파일의 측면에 연결되며 복수의 받침대가 부착된 띠장, 상기 띠장의 측면 또는 양단부에 설치되는 정착장치, 상기 정착장치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받침대의 단부에 접촉 지지되어 긴장되는 강선, 및 프리스트레싱을 가하도록 상기 강선에 구비된 커플러를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파일의 측면에 연결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받침대가 부착된 띠장, 상기 띠장의 측면 또는 양단부에 설치되는 정착장치, 및 상기 정착장치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받침대의 단부에 접촉 지지되어 긴정되는 강선을 포함하며, 상기 강선은 상기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띠장의 중앙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받침대를 밀어 올려 프리스트레싱이 가해진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받침대의 단부에는, 상기 띠장에 설치되는 버팀보의 외측으로 강선이 지나도록, 상기 버팀보의 단면폭보다 긴 강선받침대를 설치한다.
상기 받침대의 단부에는, 상기 띠장에 설치되는 버팀보의 외측으로 강선이 지나도록, 두 개의 강선 받침대가 띠장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한다.
상기 정착장치는 상기 띠장의 단부 또는 측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용 강판과, 상기 지지용 강판에 부착되며 일부가 개구된 단면구조를 형성하는 정착용 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강선의 단부가 상기 정착용 강판을 관통하여 정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혁신적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용 정착장치 및 받침대는 긴장재를 사용하여 수직파일과 수평보에 프리스트레싱을 가할 경우, 적절한 보강판으로 인하여 원부재에 발생하게 되는 인장력 및 압축력을 견뎌낼 수 있고, 받침대의 종류와 형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서 각 받침대마다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긴장재가 버팀보를 피해서 긴장될 수 있도록 정착장치를 설치하여, 작용하는 토압 및 수압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혁신적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의 기본 개념을 실현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로 에이치형 강재를 사용하는 수평보(50: "띠장"이라고도 함)의 적절한 위치에 받침대(11)를 설치하고, 수평보의 양단 근처에는 정착장치(12)를 설치하여 강선(13)을 긴장하고 이렇게 보강된 수평보(50)를 양단에 위치한 버팀보(20)가 지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가 도 1에 제시되어 있다. 이 그림에서 혁신적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을 시공하기 위하여 추가된 부품은 받침대(11)와 정착장치(12) 및 강선(13)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받침대(11)는 에이치 빔이나 앵글 또는 각관 등 각종 철물 부재나 기타 압축하중을 받을 수 있는 부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고, 정착장치(12)는 원부재(50)가 대부분 강재이므로 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으로 생각되나 기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또한 긴장력을 가하는 긴장재(13)로는 통상적으로 강선이 사용되나 강선의 정착을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쐐기와 같은 별도의 부품이 필요한데, 이들 부품은 설치 및 철거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으므로, 타이 케이블이나 나사강봉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커플러(70)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한 경우도 있다. 또한 긴장재로는 최근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탄소섬유나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와 같은 고기능성 신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에는 수평보(50)에 받침대(11)와 정착장치(12)를 용접하여 부착하는 방법이 도시된 것이다. 수직 받침대(11)는 가능한 한 위치가 에이치파일(10)이 있는 위치와 일치시켜 주는 것이 수평보(50)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버팀보(20)도 제시된 도면과 같이 에이치파일(10)과 일치시켜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다.
도 2는 도 1에 제시된 받침대의 형상 및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본 도면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의 하단에는 평평한 판재(80)가 수평보(50)와의 부착을 편리하게 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 받침은 받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받침대의 상단에는 강선을 유도하기 위한 곡면을 갖고 있는 강선 받침(16)이 있다.
도 3은 길이 조절기능이 있는 나사부(18)가 있는 받침대(14)가 설치된 수평보의 일 실시예가 제시되어 있다. 나사부를 이용하여 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받침대 각각에 가하는 힘을 임의대로 조정해 줄 수 있다. 받침대(14)는 볼팅하여 수평보와 연결시켜 주는 방법이 제시되었고, 긴장재(13)의 긴장에 의한 강선 받침(16)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버텨주기 위해서 강선 받침 하부에 보강 부 재(16')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시에는 받침대가 설치되는 위치의 수평보의 하단에 보강강판을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제시된 받침대의 형상 및 수평보와의 부착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받침대에는 나사부(18)가 설치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받침대의 하부에 있는 평평한 판재(80)와 수평보를 볼트로 체결하여 받침대를 고정하였고, 긴장력이 가해졌을 경우 받침대에 작용하는 압축력이 수평보에 전달되는 압축하중 클 경우 보강하는 방법으로 수평보에 보강 강판(81)이 설치된 것이 도시되었다.
도 5는 수평보에 버팀보가 설치된 기존의 가시설 구조물에 본 공법을 적용할 경우 사용이 가능한 방법으로 강선 받침대(16)를 길게 하여 강선이 버팀보 외측으로 지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받침대는 용접이나 볼트를 사용한 앞의 방법과는 달리 'ㄱ'자 볼트를 사용하여 수평보에 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정착장치(15)도 이미 설치된 버팀보와 간섭되지 않도록 수평보(50)의 양단부 측면에 각각 돌출되도록 용접등의 방식으로 일체화되고, 긴장재의 양단부가 그 양측의 정착장치(15)에 각각 고정되도록 정착되는 구조를 가지며, 받침대 하부보강방법은 중앙부의 받침대는 보강하지 않고 양측에 약간의 편심을 받는 받침대의 하부만 보강하는 실시예를 제시하였다. 여기서, ㄱ'자 볼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을 이용하여 받침대를 수평보(50)에 고정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으며, 그중 길이가 짧은 'ㄱ'자 볼트는 일단부가 수평보(50)의 평평한 판재(80)에 관통되어 너트로 체결되고, 절곡된 타단부는 수평보(50)의 상부 플랜지의 하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고정구조를 갖는다. 또한, 길이가 긴 'ㄱ'자 볼트의 경우에는, 일단부가 수평보(50)의 평평한 판재(80)에 관통되어 너트로 체결되고, 절곡된 타단부는 수평보(50)의 하부 플랜지의 하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고정구조를 가지며, 이 경우에는 그 'ㄱ'자 볼트의 중간 부위가 수평보(50)의 웨브 부위와 동일한 각도로 수평보(50)의 양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6은 도 5에 제시된 받침대의 형상 및 수평보와의 부착 방법에 관한 상세도이다. 받침대와 수평보와의 연결을 'ㄱ'자 볼트를 사용함으로써 수평보에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아도 설치가 가능한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이 고정장치는 또한 긴것과 짧은 것을 사용하여 수평보의 상하부 플랜지에 모두 고정이 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본 받침대가 일단 긴장이 되면 압축력만 주로 받으므로 받침대를 수평보에 고정하는데 커다란 힘을 필요로하는 용접이나 볼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능한 방법이다. 도 6에는 버팀보를 피하기 위해 강선 받침대(16)가 길게 설치된 형상과 이를 받쳐주기 위한 보강 부재(16')가 제시되어 있다.
도 7은 강선의 받침대(24)가 버팀보를 피하기 위하여 수평보를 양측면에 설치하는 방법이 제시된 것이며, 'ㄱ'자 볼트를 사용하고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받침대를 사용한다는 점은 앞서 설명한 도 5와 동일하게 나사부가 설치된 받침대를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ㄱ'자 볼트를 이용하되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을 이용하여 받침대를 수평보(50)에 고정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으며, 그중 길이가 짧은 'ㄱ'자 볼트는 일단부가 수평보(50)의 평평한 판재(80)에 관 통되어 너트로 체결되고, 절곡된 타단부는 수평보(50)의 상부 플랜지의 하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고정구조를 갖는다.
또한, 길이가 긴 'ㄱ'자 볼트의 경우에는, 일단부가 수평보(50)의 평평한 판재(80)에 관통되어 너트로 체결되고, 절곡된 타단부는 수평보(50)의 하부 플랜지의 하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고정구조를 가지며, 이 경우에는 그 'ㄱ'자 볼트의 중간 부위가 수평보(50)의 웨브 부위와 동일한 각도로 수평보(50)의 양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8은 도 7에 제시된 받침대의 형상 및 수평보와의 부착 방법에 관한 상세도이다. 받침대와 수평보와의 연결은 'ㄱ'자 볼트를 사용하였으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를 사용하였다. 도 8에는 강선 받침대가 수평보 측면에 설치되는 형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받침대들간에 평평한 판재(80)를 이용하여 연결한 단면을 제시하고 있다.
도 9는 수평보 윗면에 용접하여 설치되는 정착장치의 형상을 제시하고 있다. 플랜지 사이에 보강 강판(81)을 설치하고, 플랜지 측면에 지지용 강판(90)을 용접한 후 정착용 강판(93)을 지지용 강판(90)에 용접하여 고정한 뒤 강선(13)을 정착용 강판(93)에 관통하여 연결, 고정한다. 플랜지 면에 용접하는 정착장치는 수평보 뿐 아니라 수직 파일에도 같은 방법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0는 수평보의 측면에 실치된 정착장치를 일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다. 플랜지 사이에 정착용 보강 강판(81)을 끼우고 정착용 강판(93)이 달린 지지용 강판(90)과 용접시켜 일체 거동시키면서 강선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한다. 플랜 지 양 측면에 부착시키는 정착장치는 수평보 뿐만 아니라 수직 파일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1는 버팀보가 지나지 않는 수직 파일에 본 공법을 적용하는 일 실시예로서 본 구조물의 일부인 바닥 슬래브(60)가 먼저 건설되면 이 슬래브에 잭 서포터(65)를 설치하여 수직 파일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후 적절한 보강 강판판(81)을 받침대 하단 플랜지 사이에 설치하여 보강한 후 타이 케이블을 긴장시키는 방법이며, 앞서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착장치가 수평보(50)의 상면에 용접으로 일체화된 것으로, 플랜지 사이에 보강 강판(81)을 설치하고, 플랜지의 측면에 지지용 강판(90)을 용접한 후 정착용 강판(93)을 지지용 강판(90)에 용접하여 고정한 후에 강선(13)을 연결하여, 강선의 단부가 정착용 강판(93)을 관통하여 수평보(5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정착된다.
도 12는 버팀보가 지나는 수직 파일에 본 공법을 적용한 일 실시예로서 본 구조물의 일부인 바닥 슬래브(60)가 먼저 건설되면 이 슬래브에 잭 서포터(65)를 설치하여 수직 파일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후 적절한 보강 강판(81)을 볼팅으로 수직 파일에 연결하고 강선을 긴장시키는 방법이 도시된 것이며, 앞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하게 미리 설치된 버팀보와의 간섭없이, 수평보(50)의 양단부 측면에 각각 돌출된 정착장치(15)에 강선을 정착한 후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부(18)를 갖는 받침대(14)를 이용하여 강선(13)을 긴장시키는 것이다.
도 13은 수직파일에 본 공법을 적용하는 일 실시예로서 원부재의 플랜지 사이에 'ㄷ'채널(27)을 끼어 넣어 보강을 한 후 큰 압축력을 견디도록 하여 편심을 줄이는 단면 배치도이다. 그러므로 받침대(14)와 본구조물의 거리를 좁힐 수 있으므로 작업속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긴장재의 정착장치(15)는 'ㄷ'채널에 고정하거나 앞서 설명한 도 10에서와 같이, 정착장치를 수평보(50)의 플랜지 측면에 돌출되도록 지지용 강판(90)과 정착용 강판(93)을 서로 용접하여 스톱퍼의 기능을 갖는 단면 구조로 형성한 후에, 그 단면의 내부로 강선의 단부를 관통시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9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보(50)의 플랜지 상면에 지지용 강판(90)을 용접하고, 수평보(50)의 단부에 격벽 형태의 정착용 강판(93)을 같이 용접하여 스톱퍼의 기능을 갖는 단면 구조로 형성한 후에, 그 단면에 내부로 강선의 단부를 관통시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는 수평보나 수직파일에 본 공법을 적용하는 일 실시예로서 받침대(14) 각각을 얇고 긴 강판(96)에 힌지 상태(95)로 고정을 하고 강판의 한쪽 끝에는 얇은 강봉(97)과 'ㄷ'채널(98)을 설치하여 원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하여 받침대 또는 원부재가 변형을 일으켜 얇은 강봉(97)이 움직이게 되면 전류가 흐르는 'ㄷ'채널(98)에 닿게 되어 변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이치 빔을 사용한 받침대와 정착장치의 배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이치 빔을 사용한 받침대에 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와 정착장치의 배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에 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팀보가 지나는 수평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가 부착된 받침대와 정착장치의 배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에 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팀보가 지나는 수평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와 정착장치의 배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에 관한 상세도이다.
도 9는 도 1, 도 3에서 제시되었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의 플랜지 면에 용접되는 정착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10은 도 5, 도 7에서 제시되었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의 양옆으로 강선이나 타이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착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파일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와 정착장치를 설치한 배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팀보가 지나는 수직 파일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와 측면에 설치된 정착장치의 배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파일에 'ㄷ'채널을 끼어 넣어 작은 편심으로도 보다 큰 압축력을 견디도록 하는 배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에 하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받침대 또는 원부재의 변형을 전류를 통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직파일 11,14,24.... 받침대
12,15..... 정착장치 13.......... 긴장재
16........ 긴장재 받침대 17.......... 받침대 버팀 강판
18...... 높이 조절용 스크루 19.......... 스크루 조절 장치
20........ 버팀보 25..........토류판
27........ 'ㄷ' 채널 33.......... 볼트 및 'ㄱ'형 고리
50........ 수평보(띠장) 60.......... 슬래브 구조물
65........ 잭 서포터 70.......... 커플러
80........ 평평한 판재 81.......... 보강 강판
90........ 지지용 강판 93...........정착용 강판
95.......... 힌지 96........ 얇고 긴 강판
97.......... 얇은 강봉 98.... 전류 흐르는 'ㄷ' 채널
99.......... 전선

Claims (10)

  1.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파일의 측면에, 복수의 받침대가 부착되는 띠장을 연결시키는 단계,
    중간 부분이 커플러로 연결되는 강선의 양단부를, 상기 띠장의 측면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정착장치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강선을 상기 받침대의 단부에 접촉 지지시켜 긴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강선을 긴장시키는 단계는 강선에 설치된 커플러를 사용하여 프리스트레싱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공법.
  2.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파일의 측면에, 최 외측에는 강선을 고정되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설치하고 중간에는 높이조절으로 가력이 가능하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받침대가 결합되는 띠장을 연결시키는 단계,
    강선의 양단부를, 상기 띠장의 측면 또는 양단부에 설치된 정착장치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강선을 상기 받침대의 단부에 접촉 지지시켜 긴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강선을 긴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받침대들중 최외측에 설치된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강선을 고정되게 지지한 후, 상기 띠장의 중앙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받침대를 밀어 올려 프리스트레싱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공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단부에는, 상기 띠장에 설치되는 버팀보의 외측으로 강선이 지나도록, 상기 버팀보의 단면폭보다 긴 강선받침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공법.
  4.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단부에는, 상기 띠장에 설치되는 버팀보의 외측으로 강선이 지나도록, 두 개의 강선 받침대가 띠장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공법.
  5.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정착장치는 상기 띠장의 단부 또는 측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용 강판과, 상기 지지용 강판에 부착되며 일부가 개구된 단면구조를 형성하는 정착용 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강선의 단부가 상기 정착용 강판을 관통하여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공법.
  6.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파일의 측면에 연결되며 복수의 받침대가 부착된 띠장,
    상기 띠장의 측면 또는 양단부에 설치되는 정착장치,
    상기 정착장치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받침대의 단부에 접촉 지지되어 긴장되는 강선, 및
    프리스트레싱을 가하도록 상기 강선에 구비된 커플러를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7.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파일의 측면에 연결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받침대가 부착된 띠장,
    상기 띠장의 측면 또는 양단부에 설치되는 정착장치, 및
    상기 정착장치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받침대의 단부에 접촉 지지되어 긴장되는 강선을 포함하며, 상기 강선은 상기 받침대들중 최외측에 위치한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되게 지지되도록 한 후, 상기 띠장의 중앙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받침대를 밀어 올려 프리스트레싱이 가해진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단부에는, 상기 띠장에 설치되는 버팀보의 외측으로 강선이 지나도록, 상기 버팀보의 단면폭보다 긴 강선받침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단부에는, 상기 띠장에 설치되는 버팀보의 외측으로 강선이 지나도록, 두 개의 강선 받침대가 띠장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10.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착장치는 상기 띠장의 단부 또는 측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용 강판과, 상기 지지용 강판에 부착되며 일부가 개구된 단면구조를 형성하는 정착용 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강선의 단부가 상기 정착용 강판을 관통하여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KR1020070072675A 2007-07-20 2007-07-20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KR100812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675A KR100812722B1 (ko) 2007-07-20 2007-07-20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675A KR100812722B1 (ko) 2007-07-20 2007-07-20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618A Division KR100778137B1 (ko) 2002-10-07 2002-11-02 프리스트레스트 수평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253A KR20070080253A (ko) 2007-08-09
KR100812722B1 true KR100812722B1 (ko) 2008-03-12

Family

ID=3860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675A KR100812722B1 (ko) 2007-07-20 2007-07-20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7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718B1 (ko) 2010-02-19 2010-09-02 (주)도원토건 긴장부재의 힌지결합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KR100979717B1 (ko) 2010-02-19 2010-09-02 (주)도원토건 나사결합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KR101137898B1 (ko) 2009-07-06 2012-05-02 김주연 프리스트레스 가시설 구조체
KR101525145B1 (ko) * 2013-11-25 2015-06-02 (주)써포텍 흙막이 가시설의 강선 정착용 띠장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321B1 (ko) * 2008-11-28 2009-07-17 이진경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합성띠장 시공방법
KR101298020B1 (ko) * 2010-09-14 2013-08-26 김성필 가설 토류벽 지지공법
KR20150010422A (ko) * 2013-07-19 2015-01-28 (주)써포텍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CN103711129B (zh) * 2013-11-25 2015-08-19 中冶天工上海十三冶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基坑支撑的顶紧装置
CN107740439B (zh) * 2017-10-11 2019-06-25 江苏士林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调节功能的管廊支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334A (ja) * 1986-07-11 1988-01-27 Shimizu Constr Co Ltd 山止工法における腹起し方法
JPH0223036U (ko) * 1988-07-26 1990-02-15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334A (ja) * 1986-07-11 1988-01-27 Shimizu Constr Co Ltd 山止工法における腹起し方法
JPH0223036U (ko) * 1988-07-26 1990-02-15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898B1 (ko) 2009-07-06 2012-05-02 김주연 프리스트레스 가시설 구조체
KR100979718B1 (ko) 2010-02-19 2010-09-02 (주)도원토건 긴장부재의 힌지결합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KR100979717B1 (ko) 2010-02-19 2010-09-02 (주)도원토건 나사결합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WO2011102675A2 (ko) * 2010-02-19 2011-08-25 (주)도원토건 나사결합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WO2011102675A3 (ko) * 2010-02-19 2012-02-02 (주)도원토건 나사결합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KR101525145B1 (ko) * 2013-11-25 2015-06-02 (주)써포텍 흙막이 가시설의 강선 정착용 띠장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253A (ko)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722B1 (ko)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KR100571102B1 (ko) 시공성이 개선된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의 장치
KR100633795B1 (ko) 장지간 조립식 띠장의 정착장치
KR100976847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KR101728700B1 (ko) 흙막이 가시설용 보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 구조
KR101124514B1 (ko) 강선에 신장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흙막이용 가시설거더 및 이의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KR100778137B1 (ko) 프리스트레스트 수평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KR100908321B1 (ko)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합성띠장 시공방법
WO2015009124A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버팀보 연결구조
KR100642326B1 (ko)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JP3958319B2 (ja) プレストレスト仮設工法
KR100808939B1 (ko)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KR102476068B1 (ko) 다방향 앵커 고정장치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31451A (ko) 혁신적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KR20110136138A (ko)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KR20230030532A (ko)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20230130783A (ko) 강선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
KR20150010422A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KR102039928B1 (ko) 내하력과 강성이 향상된 아치형 띠장 구조체
KR200308716Y1 (ko)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KR101298020B1 (ko) 가설 토류벽 지지공법
KR20020096596A (ko)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흙막이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띠장재
KR102065941B1 (ko) 엄지말뚝과 자립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0858712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연결장치
KR100604993B1 (ko) 강선이 도입된 단일 띠장의 강선 정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023

Effective date: 200907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926

Effective date: 200907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309

Effective date: 200907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903

Effective date: 20100512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609

Effective date: 2010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