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138A -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138A
KR20110136138A KR1020100055953A KR20100055953A KR20110136138A KR 20110136138 A KR20110136138 A KR 20110136138A KR 1020100055953 A KR1020100055953 A KR 1020100055953A KR 20100055953 A KR20100055953 A KR 20100055953A KR 20110136138 A KR20110136138 A KR 20110136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upport frame
wire
bottom pl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482B1 (ko
Inventor
이호찬
Original Assignee
(주)엠씨에스에스티기술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씨에스에스티기술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엠씨에스에스티기술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55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48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6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Abstract

지반을 하방으로 굴착하면서 지하바닥판을 순서대로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 지하바닥판을 와이어에 의하여 하강되는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탑-다운 방식에 의한 건축물 지하바닥판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거푸집 지지프레임이 상층 지하바닥판에 단순이 와이어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지 않고, 건축물의 골조에 해당하는 파일을 관통하여 파일을 따라 하강할 수 있도록 하고, 거푸집 지지프레임은 바닥판 거푸집의 바닥판 거푸집의 상하 높이를 세팅할 수 있도록 바닥판 거푸집을 지하는 부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지하바닥판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UNDERGROUN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WIRE ROPE AND CURING PANNEL FLAME}
본 발명은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반을 하방으로 굴착하면서 지하바닥판을 순서대로 시공하는 방법(탑-다운 공법)에 있어 지하바닥판을 와이어에 의하여 하강되는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탑-다운 방식에 의한 건축물 지하바닥판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물 시공 방법에 있어서, 소위 탑-다운(Top-Down) 시공 방법은 지하 바닥판을 상층에서 하층으로 순서대로 시공하는 방식을 따르게 된다.
도 1은 상기 지하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과 관련된 와이어를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지지틀(10) 및 거푸집(20)이 완성되면 기 시공된 상부층의 지하 바닥판(A, 슬라브) 아래의 토사의 굴착작업과 지반정지작업을 하여 하부층 지반정지 공정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하 바닥판 하부의 토사를 굴착 한 상태에서 지지틀(10)과 거푸집(20)은 현수부재(40, 와이어)로 인하여 시공된 슬라브에 지지 고정되어 있으므로 낙하되지 아니한다.
또한 다수의 현수부재(40)의 상부는 다수의 커넥터(50)에 조립되어 있으며, 커넥터(50)의 상단은 와이어(70)를 연결하되 와이어(70)는 지하 바닥판에 형성된 관통홀(90)을 관통하여 상부층 지하 바닥판에 설치된 와이어 하강 장치(60)인 삼각대(61) 내의 체인블록(62)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틀(10) 및 거푸집(20)은 와이어 하강용 장치(60)의 체인블록(62)을 조정하여 와이어(70)를 서서히 풀면서 지지틀(10)과 거푸집(20)을 하방으로 하강시켜 하부층의 정지된 지반에 안치시킨 후 거푸집(20)에 추가로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지하바닥판을 하방으로 연속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지지틀(10)과 거푸집(20)의 하강이 하강용 장치(60)에 의한 와이어만에 의하여 공중에 매달려 설치되도록 하기 때문에 하강 시 다소 불안정하여 매우 조심스러운 작업이 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지지틀(10)은 지하 바닥판의 두께를 조절할 수 없는 단순 지지틀(10)로 제작되어 건축물에 따라 두께를 변화시켜 가면서 재활용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탑-다운 공법으로 시공되는 지하바닥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하강시켜 설치할 수 있는 거푸집 지지프레임과 와이어를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제작함에 있어서 거푸집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지하바닥판의 두께 및 형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거푸집 지지프레임이 상층 지하바닥판에 단순이 와이어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지 않고, 건축물의 골조에 해당하는 파일을 관통하여 파일을 따라 하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거푸집 지지프레임은 바닥판 거푸집의 바닥판 거푸집의 상하 높이를 세팅할 수 있도록 바닥판 거푸집을 지하는 부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H형강을 포함하는 파일에 미리 설치된 거푸집 지지브라켓에 파일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거푸집 지지프레임이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 지지프레임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상기 거푸집 지지프레임에 하단이 고정되며 바닥판 콘크리트를 관통하여 바닥판 콘크리트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와이어를 와이어 하강장치에 장착시켜 거푸집 지지프레임이 와이어에 의하여 매달려 지지되도록 한 후 상기 지지브라겟을 제거하고,
상기 와이어 하강장치에 장착된 와이어를 풀어주면서 파일을 따라 거푸집 지지브라켓을 하강시켜 위치를 세팅한 후 거푸집 지지프레임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지하바닥판을 상층에서 하층으로 연속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푸집 지지프레임은
와이어의 하단이 고정되며 종 방향으로 다수 이격되어 설치된 횡방향 지지프레임;
상기 횡방향 지지프레임들의 양 측단 저면이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종방향수평재; 상기 하부 종방향수평재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하부 수평재 사이사이에 종방향으로 다수 이격되어 설치되며 수평 관통홀이 상하로 형성된 하부지지관; 상기 하부지지관에 삽입되며 하부수직관의 수평관통홀에 대응하여 형성된 수평관통홀에 체결된 고정볼트에 의하여 높이 조절되는 상부삽입관; 상기 상부삽입관 상면에 지지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종방향수평재;를 포함하는 거푸집지지틀;
상기 거푸집 지지틀과 횡방향 지지프레임 상면에 장창되며 와이어가 관통되어 설치된 바닥판 거푸집;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수직관 내부에 상부삽입관의 상하 삽입길이에 따라 바닥판 거푸집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 기둥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거푸집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된 지하바닥판 사이에는 추가로 바닥판 거푸집을 설치하고,상기 추가 바닥판 거푸집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지하바닥판 사이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설치하여 지하바닥판 전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파일을 따라 거푸집 지지프레임이 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각 지하층 시공에 있어 지하바닥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지하바닥판 두께를 임의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한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지하바닥판을 탑-다운 방식으로 시공하기 위한 시공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지지프레임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지지프레임의 설치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및 도 4e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바닥판 시공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은 크게 횡방향 지지프레임(110), 거푸집지지틀(120) 및 바닥판 거푸집(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은 도 3a 및 도 3b와 같이 건축물 골조에 해당하는 H형강에 의한 파일(30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이에 상기 파일(300)에 가이드되어 하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은 도 3a 및 도 3b와 같이 파일(300)이 관통될 수 있는 파일 지지홀(H)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먼저, 상기 횡방향 지지프레임(110)은 예컨대 ㄷ자형 채널부재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세팅되도록 한다.
이러한 횡방향 지지프레임(110)에는 와이어 관통홀(111)이 각각 형성되어 와이어(200)가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며 후술되는 바닥판 콘크리트(410,420)와 직접 접하지 않도록 와이어 세팅관(112)을 상기 와이어 관통홀(111)과 연통되도록 횡방향 지지프레임 상면에 먼저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 세팅관(112)을 와이어(200)가 관통하여 하부가 횡방향 지지프레임(110)의 저면에 체결너트 등에 의한 체결구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200)의 연장길이는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의 하강정도를 고려하여 일정한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하게 되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길이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와이어 관통홀(111) 및 와이어 세팅관(112)은 각 횡방향 지지프레임(110)마다 설치되며, 그 설치개수와 위치는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의 크기 및 작용하중을 고려하여 정하면 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각 횡방향 지지프레임(110)마다 와이어 관통홀(111) 및 와이어 세팅관(112)이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관통홀(111) 및 와이어 세팅관(112) 사이 횡방향 지지프레임(110) 상면에는 후술되는 바닥판 거푸집(1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거푸집 지지대(113)가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횡방향 지지프레임(110)은 횡방향으로 구속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으므로 이를 양 측단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거푸집지지틀(120)이다. 이에 횡방향 지지프레임(110)은 거푸집지지틀(120)에 얹어져 세팅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거푸집지지틀(120)은 크게 하부 종방향수평재(121), 하부수직관(122), 상부삽입관(123), 상부 종방향수평재(124), 중간경사재(125)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부 종방향수평재(121)는 사각 강관파이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횡방향 지지프레임(110)의 저면이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도 2a 및 도 2b에 의하면 횡방향 지지프레임(110)의 양 측단에 2개씩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함을 알 수 있으며 횡방향 지지프레임(110)과 하부 종방향수평재(121)는 서로 용접되어 구속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2개씩 양 측단에 설치된 하부 종방향수평재(121)들 상면에 횡방향 지지프레임(110)이 지지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종방향수평재(121) 상면에는 하부수직관(122)이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부수직관(122)도 역시 사각 강관파이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상부삽입관(123)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내경을 가지도록 하되 상기 상부삽입관(123)이 삽입되어 고정볼트(126)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횡방향관통홀(127)이 형성된다.
이러한 횡방향관통홀(127)은 하부수직관(122)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상부삽입관(123)이 높이를 달리하면서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삽입관(123)의 높이는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수직관(122)에 삽입되어 세팅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상부삽입관(123)이다.
이러한 상부삽입관(123)도 역시 사각 강관파이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하되, 하부수직관(122)에 상하로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도록 한다.
이에 역시 상부삽입관(123)에도 하부수직관(122)의 횡방향관통홀(127)에 대응하는 미도시된 횡방향 관통홀을 형성시켜 고정볼트(126)가 횡방향관통홀들(127)을 관통하여 미도시된 체결너트에 의하여 상부삽입관(123)이 하부수직관(122)에 높이를 달리하면서 세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거푸집 지지틀(120)에 있어 횡방향 지지프레임(110)의 좌측 측단에 대비하여 우측 측단의 상부삽입관(123)의 형성높이가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부삽입관의 세팅위치를 달리 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상부삽입관(123)의 상면에 상부 종방향수평재(124)가 하부 상부 종방향수평재(121)와 동일하게 사각 강관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부 종방향수평재(124)는 후술되는 바닥판거푸집(13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상부삽입관(123), 하부삽입관(122)을 통해 하부 종방향수평재(121)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부 종방향수평재(124)와 하부 종방향수평재(121) 사이에는 중간경사재(125)가 형성되며 이러한 중간경사재(125) 역시 사각 강관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하부수직관과 상부삽입관 사이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에 거푸집 지지틀(120)은 전체적으로 트러스 구조로 형성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상부 종방향수평재(124)와 하부 종방향수평재(121)는 트러수 부재로서 트러스의 상현재 및 하현재 역할을 하고, 중간경사재(125)는 사재 역할을 하도록 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형태는 자중감소 및 조립, 제작 설치의 용이성을 위한 구조형태라 할 수 있으며,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이 와이어에 의하여 하강되는 구조물에 있어 자중제한 및 설치와 제작 및 하강 시 파일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종방향수평재(124)와 횡방향 지지프레임(110) 상면에는 U형 단면의 바닥판 거푸집(130)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바닥판 거푸집(130)은 타설되는 바닥판 콘크리트를 수용하여 접하는 부위로써 전체적으로 U형으로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은 결국 바닥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하는 거푸집 기능을 가지되, 이러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은 도 3a 및 도 3b와 같이 파일(3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파일 삽입홀(H)이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파일 삽입홀(H)은 파일의 위치, 단면 형태를 고려하여 바닥판 거푸집(130)을 관통하여 횡방향 지지프레임(110) 사이로 파일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은 기본적으로 파일(300)을 따라 하강되도록 함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파일(300)은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에 있어 일종의 가이드 부재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의 중량 및 와이어에 의한 하강형태라는 점에서 하강의 안정성 및 시공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은 초기 세팅 시 파일(300)에 아무런 지지수단 없이 설치될 수 없으므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은 파일(300)에 미리 설치한 거푸집 지지브라켓(500)에 최초 세팅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은 파일(300)에 의하여 그 위치가 결정되므로 각 파일(300)을 관통하는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을 설치하되 각 거푸집 지지프레임(100) 사이에 형성되어야 하는 지하바닥판(410a,410b)은 추가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에 의하여 현장 타설되는 바닥판 콘크리트는 파일(300) 주변에 설치되는 지하바닥판 일부로써 먼저 시공되고 이러한 먼저 시공된 지하바닥판을 기준으로 지하바닥판 전체가 데크플레이트 등을 이용하여 설치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위에서 살펴본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은 각 지하층을 구성하는 지하바닥판을 상층에서 하층으로 순서대로 형성시키기 위한 구조물이므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을 파일(300)을 관통하도록 파일(300)마다 설치하여 상층 지하바닥판을 먼저 형성시키고, 이러한 상층 지하바닥판(400a)을 지지바닥판으로 하여 와이어(200)에 의하여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을 하강시키면서 지하바닥판을 각각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이러한 지하바닥판을 설치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4a와 같이 건축물의 파일(300)은 H형강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크기 등을 고려한 골조시스템상의 파일 설치 계획에 따라 다수의 파일(310,320,330,340,350,360)을 서로 이격시켜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파일(300)에는 위에서 살펴본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이 최통 세팅될 수 있도록 지지대 역할을 하는 거푸집 지지 브라켓(500)을 먼저 파일마다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 지지 브라켓(500)은 H형강과 같은 수평 지지브라켓(510)을 파일(300)의 플랜지에 각각 미도시된 앵커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수평 지지브라켓(510)의 양 단부 저면과 파일(300) 플랜지 사이에 경사 지지브라켓(520)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는 도 4b와 같이, 거푸집 지지 브라켓(500)에 지지되면서 파일 삽입홀(H)에 의하여 파일(300)을 관통하도록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을 안착시키되 이러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은 최초 세팅 시 각 구성부재를 조립하여 설치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은 좌측 파일(310,320,330)과 우측파일(340,350,360)에 종방향으로 다수 연장되어 접하도록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4c와 같이 안착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 사이사이에 미 도시된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바닥판 콘크리트(410)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게 되며, 이때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된 와이어 세팅관(112)이 바닥판 콘크리트(410)를 관통하도록 하여 바닥판 콘크리트(410)를 관통하는 와이어 세팅관(112)에 삽입된 와이어(200)가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바닥판 콘크리트(410)가 양생되어 경화되면 바닥판 콘크리트(410) 상면에 노출된 와이어(200)가 바닥판 콘크리트(410) 상면에 도 1b와 같은 와이어 하강용 장치(60, 미 도시)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이 와이어(200)에 의하여 상층 지하바닥판(410)에 매달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은 와이어(200)에 매달려 의하여 파일(300)을 따라 하강될 수 있도록 앞서 살펴본 거푸집 지지브라켓(500)을 제거하게 된다.
이에 양생된 바닥판 콘크리트(410)에 의한 상층 지하바닥판(400a)을 먼저 형성시키게 된다.
물론 위와 같은 상층 지하바닥판(400a)을 시공하기 위하여 파일을 시공한 뒤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지반 굴토, 굴착 및 정지작업은 미리 선행될 것이다.
다음으로는 도 4d와 같이 상층 지하바닥판(410a)에 고정된 와이어(200)와 미도시된 와이어 하강용 장치를 이용하여 거푸집 지지프레임(100)들을 파일(300)을 따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이 하강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측 지하바닥판(400a)을 시공한 후 추가적인 지반 굴착 등의 작업이 선행될 것이다.
이에 상층 지하바닥판(410a) 아래에 예컨대 1층 지하바닥판(410b)을 형성시키는 위치에 맞추어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이 도달될 수 있도록 와어어(200)의 연장길이를 조정하면 된다.
다음으로는 도 4e와 같이 추가적인 바닥판 콘크리트(420)가 타설되며 역시 상기 바닥판 콘크리트(420)가 최종 양생되면 바닥판 콘크리트 사이에 추가적인 바닥판 콘크리트(420b)를 형성시켜 최종 1층 지하바닥판(410b)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로써, 1층 지하바닥판(410b)의 시공이 완료되면 그 하부 지반을 굴토, 굴착하여 다시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상층 지하바닥판(410a)에 설치한 와이어 하강용 장치의 와이어(200)를 상층 지하바닥판(410a)에 고정시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이 와이어에 의하여 상층 지하바닥판에 매달려 지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 하강용 장치만을 해체하여 완성된 상층 지하바닥판(410a) 상면으로부터 연장된 와이어(200)가 물려 장착되도록 하고, 상층 지하바닥판(410a)에 고정된 와이어 상단을 풀어주면서 와이어 하강용 장치를 이용하여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을 하방으로 다시 하강시키게 된다.
이에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여 각 지하바닥판을 각 층별로 시공하게 되면, 와이어와 와이어 하강용 장치,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을 해체하여 지상으로 반출시키게 된다.
이로써 최종 원하는 지하바닥판을 안정적으로 원하는 층수만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100: 거푸집 지지 프레임
110: 횡방향 지지 프레임
120: 거푸집 지지틀
121: 종방향수평재
122: 하부수직관
123: 상부삽입관
124: 상부 종방향수평재
125: 중간경사재
126: 고정볼트
127: 횡방향 관통홀
130: 바닥판 거푸집
200: 와이어
300,310,320,330,340,350,360: 파일
400a,400b: 상층 및 하층 지하바닥판
410,420: 바닥판 콘크리트(상층 및 하층)
500: 거푸집 지지브라켓
510: 수평 지지브라켓, 520: 경사 지지브라켓푸집

Claims (3)

  1. H형강을 포함하는 파일에 미리 설치된 거푸집 지지브라켓에 파일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거푸집 지지프레임이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 지지프레임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상기 거푸집 지지프레임에 하단이 고정되며 바닥판 콘크리트를 관통하여 바닥판 콘크리트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와이어를 와이어 하강장치에 장착시켜 거푸집 지지프레임이 와이어에 의하여 매달려 지지되도록 한 후 상기 지지브라겟을 제거하고,
    상기 와이어 하강장치에 장착된 와이어를 풀어주면서 파일을 따라 거푸집 지지브라켓을 하강시켜 위치를 세팅한 후 거푸집 지지프레임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지하바닥판을 상층에서 하층으로 연속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지지프레임은
    와이어의 하단이 고정되며 종 방향으로 다수 이격되어 설치된 횡방향 지지프레임;
    상기 횡방향 지지프레임들의 양 측단 저면이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종방향수평재; 상기 하부 종방향수평재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하부 수평재 사이사이에 종방향으로 다수 이격되어 설치되며 수평 관통홀이 상하로 형성된 하부지지관; 상기 하부지지관에 삽입되며 하부수직관의 수평관통홀에 대응하여 형성된 수평관통홀에 체결된 고정볼트에 의하여 높이 조절되는 상부삽입관; 상기 상부삽입관 상면에 지지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종방향수평재; 및 상부 종방향수평재(124)와 하부 종방향수평재(121) 사이에 종방향으로 하부수직관과 상부삽입관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중간경사재(125)를 포함하는 거푸집지지틀; 및
    상기 거푸집 지지틀과 횡방향 지지프레임 상면에 장창되며 와이어가 관통되어 설치된 바닥판 거푸집;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수직관 내부에 상부삽입관의 상하 삽입길이에 따라 바닥판 거푸집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둥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거푸집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된 지하바닥판 사이에는 추가로 바닥판 거푸집을 설치하고,상기 추가 바닥판 거푸집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지하바닥판 사이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설치하여 지하바닥판 전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KR1020100055953A 2010-06-14 2010-06-14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KR101250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953A KR101250482B1 (ko) 2010-06-14 2010-06-14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953A KR101250482B1 (ko) 2010-06-14 2010-06-14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138A true KR20110136138A (ko) 2011-12-21
KR101250482B1 KR101250482B1 (ko) 2013-04-03

Family

ID=4550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953A KR101250482B1 (ko) 2010-06-14 2010-06-14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4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229A (ko) * 2017-01-12 2018-07-20 삼성물산 주식회사 천정 리프트 업 시공 방법
CN112921821A (zh) * 2021-03-25 2021-06-08 成都城投建筑工程有限公司 盖梁分节预制拼装湿接缝施工结构及其施工方法
KR20220153333A (ko) *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066B1 (ko) * 2014-03-12 2014-10-15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조립식 트러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493B1 (ko) * 2005-07-27 2007-03-16 황기수 브라켓 지지되는 가설구조체를 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는역타설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229A (ko) * 2017-01-12 2018-07-20 삼성물산 주식회사 천정 리프트 업 시공 방법
CN112921821A (zh) * 2021-03-25 2021-06-08 成都城投建筑工程有限公司 盖梁分节预制拼装湿接缝施工结构及其施工方法
KR20220153333A (ko) *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482B1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679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및 공법
KR101107567B1 (ko) Rc 구조물 역타 공법을 위한 보구조체와 수직 강재부재의 접합장치, 전용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12722B1 (ko)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CN113605443B (zh) 一种高低跨混凝土底板施工结构及其方法
KR101250482B1 (ko)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KR101414155B1 (ko) 선반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흙막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97106B1 (ko) 임플란트식 파일압입구가 이식된 슬래브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철골기둥 시공방법
KR100778137B1 (ko) 프리스트레스트 수평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JP7189001B2 (ja) 建物の基礎の構築方法
KR102555541B1 (ko) 깊은 굴착의 단계별 지보를 위한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35796B1 (ko) 지하구조물의 현수식 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지보 역타설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CN112779923A (zh) 一种高边坡上建筑工程的桩基础结构及其施工工艺
KR102254227B1 (ko) Pc 말뚝캡이 구비된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650134B1 (ko) 지지대 조기 해체 공법
KR101627658B1 (ko) 전단키 일체형 파일빔 및 이를 이용한 복합형 교량 시공방법
KR100799336B1 (ko) 상·하 분리형 지지방식의 무지주 역타설 거푸집공법용거푸집 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 역타설 거푸집공법
KR101106799B1 (ko) 탑 다운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JP5056534B2 (ja) 水勾配床の構造物据付け方法
KR101298399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100679986B1 (ko) 무량판 데크 설치용 현수식 지지 거더의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역타설 공법
CN215367367U (zh) 一种高边坡上建筑工程的桩基础结构
KR102613254B1 (ko) 자립 정착형 엄지 말뚝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
KR102197109B1 (ko) 임플란트식 파일압입구가 이식된 슬래브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RU190916U1 (ru) Подземное сооружение
KR101692151B1 (ko) 측압지지보 겸용 데크 지지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