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939B1 -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 Google Patents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939B1
KR100808939B1 KR1020060041453A KR20060041453A KR100808939B1 KR 100808939 B1 KR100808939 B1 KR 100808939B1 KR 1020060041453 A KR1020060041453 A KR 1020060041453A KR 20060041453 A KR20060041453 A KR 20060041453A KR 100808939 B1 KR100808939 B1 KR 100808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side post
post pile
fixing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9022A (ko
Inventor
진경석
Original Assignee
(주)써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써포텍 filed Critical (주)써포텍
Priority to KR1020060041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939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굴착면에 설치되는 지하 가시설의 보강 구조물에 있어서, 포스트 파일을 따라 강선이 배치되어 굴착 벽체면을 보강하는 트러스 프레임(40)을 구비하되, 상기 트러스 프레임(40)은 상기 강선(42)이 고정되어 안내되는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에 고정되어 안내되는 강선을 긴장하여 정착하는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을 구비하며,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의 하단부에는 상기 강선이 고정되는 강선 고정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의 중간부에는 상기 강선을 안내하는 다수의 강선 안내부(56)가 형성되며,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에는 상기 강선을 긴장하여 정착하는 다수의 강선 정착부(58)가 형성되어, 굴착 깊이에 따라 상기 강선의 정착위치를 변화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지하 굴착면을 효과적으로 보강하여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강선을 이용하여 굴착단계별로 프리스트레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wire-reinforced structure for underground pre-scaffolding system}
도1은 종래 지하 굴착 벽체면에 설치된 지하 가시설의 일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2는 지하 굴착면 벽체의 둔각 모서리에 적용된 본 발명에 의한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3은 도2의 강선 보강 구조물의 평면도,
도4는 도3의 강선 보강 구조물을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입면도,
도5는 도3의 강선 보강 구조물을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6은 도5에 표시된 C부의 상세도,
도7은 도4에 표시된 D부의 상세도,
도8은 도5에 표시된 E부의 상세도,
도9는 도5에 표시된 F부의 상세도,
도10은 도9에서 화살표 G-G선에 따라 바라본 도면,
도11은 도5에 표시된 H부의 상세도,
도12는 도11의 측면도,
도13은 도4에 표시된 J부의 상세도,
도14는 도5에 표시된 K부의 상세도,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경사버팀보를 강선으로 대치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중 지지보가 설치된 상태의 힘의 전달도,
도17은 도5의 자유물체도,
도18은 도15의 자유물체도,
도19는 강선이 3열로 설치되는 사각의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20은 현장측 포스트 파일이 2행으로 된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21은 도3의 평면도에서 보강대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22는 도21의 보강대 대신에 설치되는 턴버클 및 와이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23의 (a) 및 (b)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강선고정부와는 다른 강선고정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24는 도23의 강선고정부에 강선이 설치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25의 (a) 및 (b)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강선고정부와는 또 다른 강선고정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26은 도25의 강선고정부에 강선에 설치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트러스 프레임 42 : 강선
44 : 벽체측 포스트 파일 46 : 현장측 포스트 파일
48 : 가로보 50 : 경사보
52 : 수평보 54 : 강선 고정부
56 : 강선 안내부 58 : 강선 정착부
60 : 강선 임시 정착부 62 : 키커 블록
64 : 경사 버팀보 66, 68 : 잭
70 : 조인트 부재 72 : 하중 지지보
본 발명은 지하 굴착면에 설치되는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구조물을 건설할 경우에는, 우선 계획된 평면을 따라 설계 깊이까지 구멍을 파고 수직파일을 설치한 후, 부분적으로 굴착으로 하고, 주형보와 복공판을 설치한다. 복공판의 설치가 끝나면 굴착작업과 굴착에 따른 버팀보의 설치를 반복하면서 공사를 하게 된다. 이러한 버팀보는 굴착 단계별 토압과 작용하는 하중을 반복 계산하여 최대값을 견딜 수 있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대부분 2 ~ 3m 이내로 매우 촘촘하게 많은 수의 버팀보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많은 수의 버팀보는 막장 내에서 건설자재의 운반이나 중장비의 반입 및 공사 작업을 방 해하는 매우 중대한 장애 요인이 되고 있고, 본구조물이 설치될 때에는 거푸집 작업이나 철근 작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지하 가시설을 설치하는 공법을 개선한 일예로서, 직각 모서리부에 강선정착장치를 가지는 공법이 한국공개특허 제2003-0019937호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03-0019937호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변에는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 띠장(2)이 설치되고, 네 구석에는 이들 띠장들을 지지하는 트러스로 제작된 버팀보(4)가 설치되며, 상기 버팀보(4)의 뒤쪽으로는 구석 지지보(6)가 설치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띠장(2)은 3개의 삼각형 받침대(8)와 삼각형 정착장치(10) 및 이들 사이의 연결을 위한 연결용 받침대(12)로 구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삼각형 받침대(8)를 지지하기 위한 중간파일(14)을 구비하며, 이 중간파일(14)에 볼트나 용접으로 고정된 받침대 지지보(16)가 있어서, 가시설을 설치하는 작업을 할 때는 삼각형 받침대(8)를 받쳐주고, 가시설의 조립작업이 끝난 뒤 실시되는 프리스트레싱 작업시 발생할 수도 있는 수직방향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U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삼각형 받침대(8)와 받침대 지지보(14)를 연결하여 준다.
상기 트러스 버팀보(4)는 두개의 삼각형 정착장치(10) 사이의 압축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긴장력이 작은 경우에 상기 삼각형 정착장치(10)로 상기 띠장(2)을 지지하는 강선(18)이 유압잭에 의해 긴장이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지하 굴착면의 모서리가 둔각일 경우에는 모서리가 직각인 경우보다 더욱 많은 버팀보가 사용되고 수평 및 수직 보강재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리고, 토압에 대한 굴착면의 보강이 필요한 경우, 단순한 트러스 형태만으로 구조물을 제작하고 있으므로 트러스 구조물의 내하력 이상으로 토압이 증가하면 트러스 구조물뿐만 아니라 지하벽체 또한 붕괴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 굴착면을 효과적으로 보강하여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강선을 이용하여 굴착단계별로 프리스트레싱을 효율적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하 굴착면에 설치되는 지하 가시설의 보강 구조물에 있어서, 포스트 파일을 따라 강선이 배치되어 굴착 벽체면을 보강하는 트러스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러스 프레임은 그 포스트 파일이 잭에 의해 상기 지하 가시설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트러스 프레임은 상기 강선이 고정되어 안내되는 벽체측 포스트 파일과,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에 고정되어 안내되는 강선을 긴장하여 정착하는 현장측 포스트 파일을 구비하되,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의 하단부에는 상기 강선이 고정되는 강선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의 중간부에는 상기 강선을 안내하는 다수의 강선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에는 상기 강선을 긴장하여 정착하는 다수의 강선 정착부가 형성되어, 굴착 깊이에 따라 상기 강선의 정착위치를 변화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의 상단부에는 굴착 초기에 강선을 임시로 정착하는 강선 임시 정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과 현장측 포스트 파일은, 잭에 의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가로보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한편 잭에 의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경사보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이 박힌 굴착 바닥면에는 키커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은 상기 키커 블록에 고정된 경사 버팀보에 의해 지지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경사 버팀보 없이 상기 경사보에 교차되게 강선이 설치되어 이 강선에 의해 버팀의 역활을 하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굴착 바닥면에 가까운 곳에 설치된 경사보는 잭이 제거되어 버팀의 역활만 하는 경사보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가로보와 경사보는 조인트 부재를 매개로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과 현장측 포스트 파일을 연결하고 있다.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과 지하 가시설을 잇는 잭 중에서 가로보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는 잭은 하중 지지보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 굴착면 벽체(20)의 둔각 모서리에 띠장 정착장치(22)(24)가 정착 연결부(26)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지하 가시설에 적용되는 강선 보강 구조물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강선 보강 구조물은 후술하는 포스트 파일이 잭(32)에 의해 상기 지하 가시설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띠장 정착장치(22)(24) 및 정착 연결부(26)는 직각 모서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구조물을 둔각 모서리부에 맞게 변형하여 설치하는 일반적인 구조물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3은 강선 보강 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4는 강선 보강 구조물을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입면도이고, 도5는 강선 보강 구조물을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선 보강 구조물은 포스트 파일을 따라 강선(42)이 배치되어 둔각 모서리부를 보강하는 트러스 프레임(40)을 가진다. 도3은 상기 강선(42)이 2열로 설치되는 사각의 트러스 프레임(40)으로 된 실시예이다.
상기 트러스 프레임(40)은, 상기 강선(42)이 고정되어 안내되는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에 고정되어 안내되는 강선(42)을 긴장하여 정착하는 현장측 포스트 파일(46)과,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을 수평으로 이어주는 다수의 가로보(48)와,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와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을 경사지게 이어주는 다수의 경사보(50)와, 상기 양측의 가로보(48)(48)을 연결하여 사각으로 프레임을 이루게 하는 수평보(5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보(50)의 배치방향은 강선(42)의 경사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으나, 경사보(50)의 배치방향이 강선(42)의 경사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강선(42)은 포스트 파일의 근입 정착을 위한 콘크리트나 토사, 지하수 등에 의한 부식 등의 유해요소로부터 보호하도록 피복강선으로 되어 있다.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은 H 비임으로 되어 있으며 굴착 바닥면에 박히게 되는데,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하단부에는 상기 강선(42)의 단부가 고정되는 강선고정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중간부에는 상기 강선(42)을 안내하는 다수의 강선 안내부(56)가 형성되며,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에는 상기 강선(42)을 긴장하여 정착하는 다수의 강선 정착부(58)가 형성되어, 굴착 깊이에 따라 상기 강선의 정착위치를 변화시키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상단부에는 굴착 초기에 강선을 임시로 정착하는 강선 임시 정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이 박힌 굴착 바닥면에는 키커 블록(62)이 설치되고,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은 상기 키커 블록(62)에 고정된 경사 버팀보(6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가로보(48)와 경사보(50)와 수평보(52)는 조인트 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 및 현장측 포스트 파일(46)과 함께 전체적으로 트러스 프레임(40)을 형성하게 되는데, 각 부재는 서로 볼트로 체결하여 조립한다. 상기 가로보(48)와 경사보(50)는 잭(66)(68)에 의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부재가 설치된 일예로서 도6은 도5에 표시된 C부의 상세도인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에 조인트 부재(70)가 도시하지 않은 볼트로 조립되고, 상 기 조인트 부재(70)에 도시하지 않은 볼트로 가로보(48), 수평보(52) 및 잭(68)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잭(68)은 도시하지 않는 볼트로 경사보(50)에 조립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부재(70)는 하나의 부재로 상기 가로보(48)와 경사보(50)와 수평보(52)를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은 도4에 표시된 D부의 상세도이고, 도8은 도5에 표시된 E부의 상세도로서, 상기 강선 고정부(54)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양측에 4줄씩 모두 8줄의 강선이 설치될 수 있는 구조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웨브(44a)의 양측에서 플랜지(44b) 사이에 베이스 플레이트(54a)가 보강 플레이트(54b) 및 보강 리브(54c)에 의해 보강되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4a)에는 강선(42)이 통과하는 구멍(54d)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4a)의 하측에는 강선(42)이 고정되는 정착구(54e)가 구비되어 커버 플레이트(54f)에 의해 덮어져 있다. 상기 강선(42)은 그 단부가 상기 정착구(54e)에 고정되어 상기 구멍(54d)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당겨져 배치된다.
상기 정착구(54e)는 공지의 정착구로 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54e)에는 강선(42)이 배치된 후 유해물질을 차단하도록 코킹을 실시하여 마감한다.
도9는 도5에 표시된 F부의 상세도이고, 도10은 도9에서 화살표 G-G선에 따라 바라본 도면으로서, 강선 안내부(56)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웨브(44a)의 양측에서 플랜지(44b)의 내측면에 베이스 플레이트(56a)가 고정되고, 상기 웨브(44a)에 밀착하여 보강 플레이트(56b)가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6a)에 원호판 형태의 안내판(56c)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안내판 (56c)의 타단부가 지지판(56d)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안내판(56c)의 타단부 외면에는 상기 강선(4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대(56e)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강선(42)은 상기 이탈방지대(56e)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안내판(56c)의 안내를 받아 상기 플랜지(44b)의 외측으로 빠져나와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에 구비된 강선 정착부(58)을 향해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도11은 도5에 표시된 H부의 상세도이고, 도12는 도11의 측면도로서, 상기 강선 정착부(58)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의 플랜지(46b)의 외측면에 베이스 플레이트(58a)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8a)에서 비스듬하게 정착판(58b)이 세워져 지지판(58c)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정착판(58b)의 외면에 상기 강선(42)이 당겨져 정착되는 정착구(58d)가 결합되어 있다.
도13은 도4에 표시된 J부의 상세도이고, 도14은 도5에 표시된 K부의 상세도로서, 상기 강선 임시 정착부(60)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강선 임시 정착부(60)는 양측에 4줄씩 모두 8줄의 강선이 설치될 수 있는 구조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상단에는 강선이 통과하는 구멍을 가진 베이스 플레이트(60a)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a)의 상면에는 강선이 임시로 정착되는 정착구(60b)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a)와 정착구(60b)를 일체화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콘 형태의 웨지가 삽입되게 한다.
상기 정착구(54e)(58d)(60b)는 콘 형태의 웨지에 의해 강선(42)을 고정 및 정착하는 구조이다.
상기 굴착 바닥면에 가까운 곳에 설치되는 경사보(50')는 잭이 제거되어 버팀의 역할만 하는 경사보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경사 버팀보(64)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보(50')에 교차되게 강선(42')이 설치되어 버팀의 역할을 하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강선(42')을 설치하는 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잭(32)(66)(68)은 유압잭 또는 스크류 잭이 설치될 수 있는데, 스크류 잭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지하 가시설을 잇는 잭(32) 중에서 가로보(48)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는 잭은 하중 지지보(72)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중 지지보(72)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가시설에 작용하는 토압이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에 직접 작용하게 되어 집중하중으로 인한 취약부가 발생하게 되지만, 상기 하중 지지보(72)를 설치하게 되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압에 의한 집중 하중이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에 등분포 하중으로 전달되어 근접한 가로보(48) 및 경사보(50)로 하중이 전달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은 다음과 같이 지면에서 지하로 굴착하면서 설치된다.
상기 포스트 파일, 즉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은 굴착공사가 진행되기 전에 강선(42)을 배치하여 미리 지정된 위치에서 지면 아래로 천공 후 삽입(항타 삽입)한다. 포스트 파일(44)(46)을 삽입한 후에는 천공된 구멍 의 바닥부터 일정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채워 넣어 포스트 파일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보통 굴착 바닥면(BT)이나 굴착 바닥면 상부에 시공하는 매트(바닥) 콘크리트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채워 넣는다.
그리고, 최초로 강선(42)의 하단은 상기 강선 고정부(54)에 고정되고, 강선(42)의 상단은 강선 임시 정착부(60)에 정착된다. 도5의 실시예에서는 2가닥씩 4단으로 강선이 설치되므로 8줄의 강선이 설치되고, 도15의 실시예에서는 2가닥씩 5단으로 강선이 설치되므로 10줄의 강선이 설치된다.
지면 아래로 굴착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와 현장측 포스트 파일(46) 사이에 가로보(48), 경사보(50)를 연결하여 조립하고, 양 벽체측 포스트 파일(44) 사이 및 양 현장측 포스트 파일(46) 사이에 수평보(52)를 연결하는 한편,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에 강선 정착부(58)를 설치한 후, 강선 임시 정착부(60)에 임시로 정착된 강선(42) 중에서 2가닥의 강선을 현장측 포스트 파일(46) 측으로 당겨서 강선 정착부(58)에 강선(42)의 상단을 정착하여, 지하굴착 벽체면을 보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잭(32)(66)(68)을 조절하여 포스트 파일 사이의 간격에 맞추면서 강선 보강 구조물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면 아래로 굴착작업을 진행하면서 가로보(48), 경사보(50), 수평보(52) 및 강선 정착부(58)를 단계적으로 설치하고, 임시 정착부(60)에 정착된 2가닥씩의 강선(42)을 단계적으로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측으로 당겨서 강선 정착부(58)에 정착함에 의해, 지하 굴착 벽체면을 보강한다.
굴착 바닥면 까지 굴착이 완료되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팀의 역활을 하는 경사보(50')을 설치하는 한편, 굴착 바닥면(BT)에는 키커 블록(62)을 설치하여 경사 버팀보(64)로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을 지지한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커 블록과 경사 버팀보 대신에 강선(42')로 대치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굴착 바닥면(BT)에 박힌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의 천공 구멍에는 콘크리트(CT)를 채워 견고히 고정한다. 도7 내지 도13에서 벽체측 포스트 파일(44) 또는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의 외측에 수직으로 표시한 점선은 지면 아래로 천공한 구멍을 나타낸다.
도17 및 도18은 포스트 파일과 각 부품들의 조립 및 강선의 재배치가 완료된 후, 작용 토압에 대하여 계산된 긴장력으로 강선을 긴장했을 경우에 트러스 구조물 전체의 자유물체도를 나타내는데, 도17은 도5의 자유물체도이고, 도18은 도15의 자유물체도이다. 표시한 바와 같이 강선의 긴장력에 의해 트러스 구조물 전체에 힘이 분포되고, 트러스 구조물은 벽체측으로 거동하려고 한다. 이러한 거동은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는 저항력으로 작용하여, 토압을 트러스 구조물 자체 내하력으로 지지하는 기존의 트러스 구조물보다 효과적인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강선 보강 구조물은,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선이 3열로 설치되는 사각의 트러스 프레임(140)으로 된 구조로 실시될 수도 있고,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이 2행으로 된 트러스 프레임(240)로 실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러스 프레임(40)에는 양측의 가로보(48)(48)을 연결하여 사각으로 프레임을 이루게 하는 수평보(52)를 구비하며, 상기 가로보(48)와 수평보(52)가 이루는 평면에는 강선 보강 구조물의 틀어짐을 방지하도록 경사방향으로 보강대(49)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보강대(49)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버클(T)로 연결된 와이어(W)로 대체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도23의 (a) 및 (b)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강선고정부(54)와는 다른 강선고정부(354)의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웨브(44a)의 양측에서 플랜지(44b)사이에 곡면 플레이트(354a)가 지지 플레이트(354b)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곡면 플레이트(354a)의 하측에는 강선(342 : 도23에 도시)이 통과하도록 웨브(44a)에 관통구멍(44a-1)이 형성되며, 상기 곡면 플레이트(354a)의 상측에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강선(342)을 안내하는 안내바(354c)가 상기 웨브(44a)의 양측에서 플랜지(44b)사이에 구비된 구조이다.
도24은 강선고정부(354)에 강선(342)이 설치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같이 강선(342)은 상기 관통구멍(44a-1)을 통과하여 상기 곡면 플레이트(354a)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감싸서 상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안내바(354c)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곡면 플레이트(354a)의 하측에서 강선(342)이 움직이지 않도록 공지의 클립(CL1)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도23 및 도24)는 별도의 정착구가 불필요하고 강선을 절단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도25의 (a) 및 (b)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강선고정부(54)와는 또 다른 강선고정부(454)의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웨브(44a) 의 양측에서 플랜지(44b)사이에 부채꼴 형태의 다수의 플레이트(454a)가 웨브(44a)의 수직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454a)의 하측에는 강선(442 : 도25에 도시)이 통과하도록 웨브(44a)에 관통구멍(44a-2)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354a)의 상측에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강선(442)을 안내하는 안내바(454b)가 상기 웨브(44a)의 양측에서 플랜지(44b) 사이에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플레이트(354a)에는 후술하는 클립 및 안내링이 설치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26은 강선고정부(454)에 강선(442)이 설치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같이 강선(442)은 상기 관통구멍(44a-2)을 통과하여 상기 플레이트(454a)의 측 외주면(두께면)에 밀착하여 감싸서 상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안내바(454b)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플레이트(454a)의 하측에서 강선(442)이 움직이지 않도록 공지의 클립(CL2)에 의해 고정되는 한편 상기 플레이트(454a)의 상부에서 안내고리(GR)에 의해 안내되어 강선(442)이 플레이트(454a)의 두께면에서 이탈하지 않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도25 및 도26)은 별도의 정착구가 불필요하고 강선을 절단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은, 굴착면에 둔각부가 있어 보강 스트럿이나 강재가 과도하게 설치되는 경우나, 최종 굴착면에 단차가 발생하여 굴착면에 설치되는 띠장이 폐합없이 거치되어 지지가 없는 경우나, 기존 어쓰 앵커(Earth-Anchor) 공법에서 부득이하게 벽면을 천공할 수 없어 띠장의 지지가 힘든 경우나, 현장 지반 조건이 열악하여 과토압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보강 이 필요한 경우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에 의하면, 지하 굴착면을 효과적으로 보강하여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강선을 이용하여 굴착단계별로 프리스트레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지하 굴착면에 설치되며, 포스트 파일(44, 46)을 따라 강선(42)이 배치되어 굴착 벽체면을 보강하는 트러스 프레임(40)을 구비하고 있는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프레임(40)은, 상기 강선(42)이 고정되어 안내되는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에 고정되어 안내되는 강선(42)을 긴장하여 정착하는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을 구비하되,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하단부에는 상기 강선이 고정되는 강선고정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의 중간부에는 상기 강선을 안내하는 다수의 강선 안내부(56)가 형성되며,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에는 상기 강선을 긴장하여 정착하는 다수의 강선 정착부(58)가 형성되어,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상단부에는 굴착 초기에 강선을 임시로 정착하는 강선 임시 정착부(60)가 형성되어, 굴착 깊이에 따라 상기 강선의 정착위치를 변화시키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프레임(40)은 그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이 잭(32)에 의해 상기 지하 가시설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은, 잭(66)에 의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가로보(48)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한편 잭(68)에 의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경사보(5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이 박힌 굴착 바닥면에는 키커 블록(62)이 설치되고,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은 상기 키커 블록에 고정된 경사 버팀보(64)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지하 가시설을 잇는 잭(32) 중에서 가로보(48)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는 잭은 하중 지지보(72)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48)와 경사보(50)는 조인트 부재(70)를 매개로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을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8. 청구항 4에 있어서,
    트러스 프레임(40)에는 양측의 가로보(48)(48)을 연결하여 사각으로 프레임을 이루게 하는 수평보(52)를 구비하며, 상기 가로보(48)와 수평보(52)가 이루는 평면에는 강선 보강 구조물의 틀어짐을 방지하도록 경사방향으로 보강대(4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보강 구조물.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사보(50)의 배치방향이 강선(42)의 경사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보강 구조물.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70)는 하나의 부재로 상기 가로보(48)와 경사보(50)와 수평보(52)를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보강 구조물.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강선고정부(54)는,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플랜지(44b) 사이에 베이스 플레이트(54a)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4a)에는 강선(42)이 통과하는 구멍(54d)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4a)의 하측에는 강선(42)이 고정되는 정착구(54e)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보강 구조물.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강선 고정부는,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플랜지(44b) 사이에 곡면 플레이트(354a)가 지지 플레이트(354b)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곡면 플레이트(354a)의 하측에는 강선(342)이 통과하도록 웨브(44a)에 관통구멍(44a-1)이 형성되며, 상기 곡면 플레이트(354a)의 상측에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강선(342)을 안내하는 안내바(354c)가 플랜지(44b) 사이에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보강 구조물.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강선 고정부는,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플랜지(44b) 사이에 부채꼴 형태의 다수의 플레이트(454a)가 웨브(44a)의 수직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454a)의 하측에는 강선(442)이 통과하도록 웨브(44a)에 관통구멍(44a-2)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354a)의 상측에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강선(442)을 안내하는 안내바(454b)가 플랜지(44b) 사이에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보강 구조물.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강선 안내부(56)는,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플랜지(44b)의 내측면에 베이스 플레이트(56a)가 고정되고,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웨브(44a)에 밀착하여 보강 플레이트(56b)가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6a)에 원호판 형태의 안내판(56c)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안내판(56c)의 타단부가 지지판(56d)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안내판(56c)의 타단부 외면에는 상기 강선(4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대(56e)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보강 구조물.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강선 정착부(58)는,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의 플랜지(46b)의 외측면에 베이스 플레이트(58a)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8a)에서 비스듬하게 정착판(58b)이 세워져 지지판(58c)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정착판(58b)의 외면에 상기 강선(42)이 당겨져 정착되는 정착구(58d)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보강 구조물.
  1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강선 임시 정착부(60)는,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상단에 강선이 통과하는 구멍을 가진 베이스 플레이트(60a)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a) 의 상면에는 강선이 임시로 정착되는 정착구(60b)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보강 구조물.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강선 임시 정착부(6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a)에는 콘 형태의 웨지가 삽입되게 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a)와 정착구(60b)가 일체화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보강 구조물.
KR1020060041453A 2006-05-09 2006-05-09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KR100808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53A KR100808939B1 (ko) 2006-05-09 2006-05-09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53A KR100808939B1 (ko) 2006-05-09 2006-05-09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022A KR20070109022A (ko) 2007-11-15
KR100808939B1 true KR100808939B1 (ko) 2008-03-03

Family

ID=3906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453A KR100808939B1 (ko) 2006-05-09 2006-05-09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9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454B1 (ko) * 2017-04-28 2017-11-09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자립식 흙막이 시공공법
KR102435451B1 (ko) * 2021-05-12 2022-08-22 이기환 레이커 보강구조를 구비한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059B1 (ko) * 2019-01-31 2019-07-22 주식회사 스페이스테크놀로지 자립식 흙막이 가시설 및 이를 이용한 자립식 옹벽 시공방법
CN112942365A (zh) * 2021-01-29 2021-06-11 江苏三力岩土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大跨度深基坑预应力钢支撑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4825A (ja) 1987-06-04 1988-12-13 Takenaka Komuten Co Ltd プレストレス山止め用鋼製親杭
JPH03194039A (ja) * 1989-12-21 1991-08-23 Shimizu Corp トラス梁の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JP2002227204A (ja) 2001-01-29 2002-08-14 Maeda Corp 掘削部の山留め工法
KR20040011113A (ko) * 2002-07-29 2004-02-05 김정민 가설 흙막이 공법
KR20040051182A (ko) * 2002-12-12 2004-06-18 (주)피에스테크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가설 흙막이 공법 및 그 파일
KR20050010616A (ko) * 2003-07-21 2005-01-28 김정균 건축용 흙막이 횡트러스 버팀 공법 및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4825A (ja) 1987-06-04 1988-12-13 Takenaka Komuten Co Ltd プレストレス山止め用鋼製親杭
JPH03194039A (ja) * 1989-12-21 1991-08-23 Shimizu Corp トラス梁の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JP2002227204A (ja) 2001-01-29 2002-08-14 Maeda Corp 掘削部の山留め工法
KR20040011113A (ko) * 2002-07-29 2004-02-05 김정민 가설 흙막이 공법
KR20040051182A (ko) * 2002-12-12 2004-06-18 (주)피에스테크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가설 흙막이 공법 및 그 파일
KR20050010616A (ko) * 2003-07-21 2005-01-28 김정균 건축용 흙막이 횡트러스 버팀 공법 및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454B1 (ko) * 2017-04-28 2017-11-09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자립식 흙막이 시공공법
KR102435451B1 (ko) * 2021-05-12 2022-08-22 이기환 레이커 보강구조를 구비한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022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6181B1 (en) Composit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KR100571102B1 (ko) 시공성이 개선된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의 장치
KR100633795B1 (ko) 장지간 조립식 띠장의 정착장치
KR100633796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KR100855098B1 (ko)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공법
WO2007058463A1 (en) Apparatus for fixing a wale
KR100812722B1 (ko)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JP4333801B2 (ja) 永久アンカーが施工された壁構造の構築方法、永久アンカーが施工された壁構造
KR100726984B1 (ko) 흙막이 가설시스템
KR100808939B1 (ko)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CN113417300B (zh) 边坡支护系统及其施工方法
KR102201159B1 (ko) 캡유닛과 보강기둥을 이용한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JP4123058B2 (ja) 永久アンカーが施工された壁構造の構築方法、永久アンカーが施工された壁構造
KR100642326B1 (ko)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KR20120109418A (ko) 지주식 흙막이 공법
US5301918A (en) Form assembly for construction of concrete culverts
KR20100001516A (ko) 가설 흙막이 공법에 있어서의 사각강관으로 된 버팀보와경사버팀재의 연결구조
US7144200B2 (en) Innovative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KR20040039523A (ko) 혁신적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용 정착장치 및 받침대
KR100746593B1 (ko) 지지선과 선행하중 버팀보를 이용한 가설 토류벽 지지공법
KR102039928B1 (ko) 내하력과 강성이 향상된 아치형 띠장 구조체
KR101958768B1 (ko) 보강봉을 가지는 버팀보를 이용한 토류판 시공 구조물
KR100858712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연결장치
KR101483865B1 (ko)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KR100604993B1 (ko) 강선이 도입된 단일 띠장의 강선 정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