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326B1 -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 Google Patents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326B1
KR100642326B1 KR1020050135725A KR20050135725A KR100642326B1 KR 100642326 B1 KR100642326 B1 KR 100642326B1 KR 1020050135725 A KR1020050135725 A KR 1020050135725A KR 20050135725 A KR20050135725 A KR 20050135725A KR 100642326 B1 KR100642326 B1 KR 10064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ormwork
construction
strip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5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2Railings extensible or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벽체의 내벽면에 현장 타설되는 띠장의 양생과 상관없이 하부를 굴토할 수 있으며, 작업자에 의한 작업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은, 지하 콘크리트 벽체(4)의 내벽면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며 띠장 시공용 거푸집(7)을 지지하는 다수의 거푸집 지지부(110)와; 그리고, 상기 거푸집 지지부에 연장 형성되는 작업 난간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푸집 지지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앵커(111)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고 상부에 상기 띠장 시공용 거푸집이 고정되는 수평바(113), 일측 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앵커(114)를 통해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수평바에 고정되는 경사형 지지바(116)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업 난간부는, 상기 다수의 거푸집 지지부의 수평바의 타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바(121), 상기 수직바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 안전바(122) 및 상기 거푸집 지지부의 수평바 상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발판(123)으로 이루어진다.
탑다운, 띠장, 거푸집, 굴토, 브래킷, 난간

Description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A TEMPORARY APPARATUS FOR CONSTRUCTING GIRDER BY TOP-DOWN STYLE CONSTRUCTION METHOD}
도 1은 일반적인 탑다운 공법에 의한 골조의 시공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의 시공 상태도.
도 4a와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의 사시도와 측면도.
도 5a와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의 사시도와 측면도.
도 6a와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띠장, 100 : 띠장 시공용 가시설
110 : 거푸집 지지부, 111,114 : 앵커
112,115 : 벽체측 고정부, 113 : 수평바
116 : 경사형 지지바, 117 : 보강바
120 : 작업 난간부, 121 : 수직바
122 : 수평 안전바, 123 : 발판
124 : 클램프, 125 : 수평 연결바
126 : 체결구, 127 : 안착부
128 : 조임구,
본 발명은 탑다운 공법에 의한 건축물의 시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다운 공법에 의해 지하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 층간 구조물인 거더의 설치를위한 띠장을 현장 타설하더라도 양생과 상관없이 지하 굴토를 연속 진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하층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종래로부터 여러 가지의 시공법이 알려져 있으며 이를 분류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이들 을 지하구조물을 구축 시공하는 방향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크게 순타(順打)공법과 역타(逆打)공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첫째로 상기 순타공법은 기존으로부터 가장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던 방식으로서, 이는 지상으로부터 흙막이벽과 함께 스트러트(strut; 버팀대), 레이커, 어스앵커, 락 볼트 등과 같은 가설 지지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흙막이 벽이 붕괴되지 않게 지지된 상태로 기초 저면 레벨까지 지하 토공사를 완료한 다음 상기 가설 지지수단을 아래에서부터 해체해 나가면서 최저층부터 지상까지 구조물을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공법에 해당한다.
둘째, 역타공법은 지층의 변형 및 침하로 인한 주변 건축물의 위해가 발생되는 단점과 가설토류벽 설치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비로소 본 구조체 공사를 수행하게 되어 공사기간이 연장되는 등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명 탑다운(Top-Down) 공법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이는 지하 토공사를 수행해 나감과 동시에 지하층 본 구조물 공사를 병행함으로써 상기 시공된 지하층 구조물이 토공사 중에는 횡토압에 대한 버팀대의 역할을 하도록 하면서 지하 구조물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즉, 전술한 통상적인 순타공법과는 반대 방향으로 시공하여 내려가는 공법인 것으로, 토공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지하 연속벽과 지지기둥들을 설치하고, 단계별로 굴토작업과 지층슬라브의 설치작업을 반복하면서 역타설하여 지하구조부를 구축하는 한편, 지상에서는 지상구조부를 구축하는 작업을 병행하여서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지하층과 지상층 공사가 동시에 진행되어 공기 단축의 효과가 크며, 부지활용의 극대화로 지하층 최대면적의 시공이 가능하며, 지하층 굴착시 발생하는 붕 괴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오픈컷(Open Cut)공법으로는 계획하기 어려운 깊은 심도굴착, 협소한 대지, 인접건물이 많은 도심지 구간에서 민원발생을 줄이고 인접건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시공될 수 있는 방법으로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탑다운 공법은 지하층과 지상층 공사가 동시에 시공됨으로 공기단축의 효과가 키며 지하연속벽으로 지하외벽을 형성함으로 부지활용면에서 극대화가 가능하다. 또 지하연속벽으로 지하외벽을 형성함으로 차수성이 양호하고 강성이 크므로 변위 및 주변침하에 대한 영향을 무시할 수 있고, 지하층 슬래브로 토압 및 수압을 지지하므로 공법에서 발생하는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탑다운 공법의 철근공사 시공순서를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굴토 시작 - 띠장(1) 타설 - 플레이트(2) 부착 - 거더(3) 조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띠장(1)은 거더(3)의 기초인 것으로 콘크리트 벽체(4)의 타설 후 현장 타설로 시공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탑다운 공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띠장(1)은 굴토 후 굴토면(6)에 서포트(5)를 세워 거푸집(미도시)를 설치한 후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되는데, 띠장(1)의 양생이 완료되기 이전까지는 서포트(5)를 해체할 수 없으므로 그 다음 아래층의 시공을 위한 굴토작업을 진행하는데 오랜 시간(띠장(1)의 양생이 완료되기까지의 시간 대략 3~7일)이 소요되며, 결과적으로 지하 1개층을 시공할 때마다 띠장(1)의 양생을 위한 휴지기가 필요하므로 건 축물의 전체적인 시공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철근 공사시 띠장(1)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와 해체, 플레이트(2)의 부착, 거더(3) 조립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현장 내에는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탑다운 공법에 의한 건축물의 시공시 거더의 설치를 위한 띠장을 현장 타설로 시공하더라도 띠장의 양생을 기다리지 않고 다음 아래 층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다운 공법에 의한 철근 공사시 띠장 시공 등의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은, 띠장 타설용 거푸집을 지지하는 거푸집 지지부 및 작업자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작업 난간부로 이루어져 지하 콘크리트 벽체의 내벽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 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 실시예 1 >
도 2, 도 3a 및 도 3b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100)은, 지하 콘크리트 벽체(4)의 내벽면에 설치되어 띠장 거푸집(7)을 지지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작업 및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벽체(4)의 내벽면에 상호간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띠장 거푸집(7)을 지지하는 다수의 거푸집 지지부(110) 및 거주집 지지부(110)에 일체로 형성되며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 난간부(120)로 이루어진다.
거푸집 지지부(110)는 일측 단부에 앵커(111)를 매개로 하여 콘크리트 벽체(4)에 고정되는 판상의 벽체측 고정부(112)가 구비된 수평바(113) 및 일측에 콘크리트 벽체(4)에 앵커(114)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판상의 벽체측 고정부(115)를 가지며 타측은 수평바(113)에 연결되는 경사형 지지바(116)로 이루어진다.
거푸집 지지부(110)의 수평바(113)에는 띠장 거푸집(7)을 고정하기 위한 띠장 거푸집 고정구(130)가 설치된다. 띠장 거푸집 고정구(130)는 띠장 거푸집(7)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띠장 거푸집(7)이 길이가 긴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1보강재(7a), 제1보강재(7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제2보강재(7b) 및 제2보강재(7b)에 결합되며 타설면을 형성하는 패널(7c)로 이루어진 경우, 제1보강재(7a)를 감싸는 형태의 브래킷일 수 있다.
여기에, 수평바(113)와 경사형 지지바(116)를 연결함으로써 거푸집 지지부(11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하나 이상(도면에는 2개로 도시됨)의 보강바(11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강바(117)는 수평바(113)와 경사형 지지바(116)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하 양단부가 수평바(113)와 경사형 지지바(116)에 각각 관통 고정(용접 등)됨으로써 수평바(113)와 경사형 지지바(116)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이며, 관형으로 이루어져 띠장 거푸집 고정구(130)가 끼워 결합될 수 있다.
작업 난간부(120)는 수평바(113)의 타측 단부에 상부를 향해 입설된 수직바(121), 일렬로 배열된 수직바(121)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도면에는 2개로 도시됨)의 수평 안전바(122) 및 거푸집 지지부(110)의 수평바(113)에 조립되는 발판(123)으로 구성된다.
수직바(121)는 거푸집 지지부(110)의 수평바(113)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며, 수평 안전바(122)는 수직바(121)에 클램프(124)(예컨대 한 쌍의 반원형 편의 일측이 힌지 결합된 구조)를 매개로 하여 조립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탑다운 공법에 의해 지하를 굴토한 후 띠장(1)의 시공 위치에 가시설(100)을 설치한다. 즉, 콘크리트 벽체(4)에 앵커(111,114)를 박아 벽체측 고정부(112,115)를 고정하고, 띠장 거푸집(7)을 띠장 거푸집 고정구(130)에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띠장(1)을 시공한다. 띠장(1)의 콘크리트 타설시 띠장(1)의 배부름 현상 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이볼트(8)(도 3a에 도시됨) 또는 속고지지대(9)(도 3b에 도시됨)를 설치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 난간부(120)의 발판(123)을 밟고 이동하면서 띠장 거푸집(7) 점검, 거더(미도시) 조립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시 수평 안전바(122)에 의해 작업자는 지하 공간으로 낙상하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띠장(1)의 콘크리트 타설시 띠장 거푸집(7)은 지하의 굴토면에 지지되지 않고 콘크리트 벽체(4)에 고정된 가시설(100)을 통해 굴토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곳에 뜬 상태이므로 띠장(1)의 콘크리트가 양생되지 이전에 그 지하 공간을 계속해서 굴토할 수 있다.
< 실시예 2 >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100)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거푸집 지지부(110) 및 작업 난간부(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동일하며, 단 거푸집 지지부(110)와 작업 난간부(1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푸집 지지부(110)는 수평바(113), 경사형 지지바(116) 및 보강부(117)로 이루어지며, 작업 난간부(120)는 수직바(121), 수직바(121)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며 거푸집 지지부(110)의 수평바(113)의 타단부에 삽입되는 수평 연결바(125)로 이루어지고, 거푸집 지지부(110)의 수평바(113)와 작업 난간부(120)의 수평 연결바(125)의 중첩부에는 체결구(126)가 체결되어 거푸집 지지부(110)와 수평 바(113)가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는 거푸집 지지부(110)와 작업 난간부(120)로 분할되어 보관과 운반 등의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개량으로서, 작업 난간부(120)가 거푸집 지지부(110)에 대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컨대, 거푸집 지지부(110)와 작업 난간부(120)는 체결구(126)를 통해 고정되는 것인데, 거푸집 지지부(110)의 수평바(113)에는 다단으로 다수(도면에는 3개로 도시됨)의 위치조절공(113a)이 형성되어 체결구(126)가 다단의 위치조절공(113a) 중 어느 하나와 작업 난간부(120)의 수평 연결바(125)에 형성된 체결공(125a)에 체결됨으로써 작업 난간부(120)가 거푸집 지지부(110)에 대해 길이 조절되는 것이다.
< 실시예 3 >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100)은, 전술한 실시예 2의 상태에서 작업 난간부(120)의 수직바(121) 및 수평 연결바(125)가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평 연결바(125)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125b)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25b)의 저부에는 안착부(127)(수직바(121)가 안착되는 모든 형태가 가능)가 형성된다. 이로써, 수직바(121)가 수평 연결바(125)의 관통공(125b)에 관통되면서 저면이 안착부(127)에 안착되어 수평 연결바(125)에 연결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수직바(121)가 안착부(127)에 견고하게 안착되도록 안착부(127)에는 수직바(121)를 안착부(127)에 조이는 조임구(128)가 채용된다. 조임구(128)는 안착부(127)에 나사 체결되어 전후진하는 조임봉(128a), 조임봉(128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조임봉(128a)의 전진에 의해 수직바(121)를 안착부(127)에 밀착시킴으로써 조이는 조임판(128b) 및 조임봉(128a)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조작노브(128c)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실시예 4 >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작업 난간부(120)가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고, 이를 위하여 거푸집 지지부(110)에는 보조 지지바(140)가 더 설치된다.
보조 지지바는 거푸집 지지부(110)와 작업 난간부(120)가 일체형이거나 분리 형인 것에 상관없이 모두 적용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거푸집 지지부(110)와 작업 난간부(120)가 분리형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보조 지지바(14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각각 거푸집 지지부(110)의 경사형 지지바(116)와 수평바(113)의 단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고, 도 6b에서처럼, 일측은 거푸집 지지부(110)의 경사형 지지바(116)에 연결되는 한편 타측은 작업 난간부(120)의 수평 연결바(125)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b에서처럼, 보조 지지바(140)가 거푸집 지지부(110)와 작업 난간부(120)에 연결되는 경우 작업 난간부(120)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임에 따라 보조 지지바 (140)는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본체(141) 및 본체(141)의 일측 이상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본체(141)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길이조절바(142)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필요시 보조 지지바(140)를 거푸집 지지부(110)에 설치하여 작업 난간부(120)에 가해지는 하중(작업자의 이동 하중 등)에 의해 작업 난간부(120)가 하부로 처지거나 거푸집 지지부(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도 6b의 경우 길이조절바(142)를 회전시켜 보조 지지바(14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작업 난간부(120)의 위치시 보조 지지바(14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 실시예 5 >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거푸집 지지부(110)의 수평바(113)에 수평부(151)와 수직부(152)를 갖는 발판 지지브래킷(150)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다수의 작업 난간부(120)의 높이가 다르더라도 발판(123)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발파 지지브래킷(150)의 수직부(152)에는 하나 이상(도면에는 2개로 도시됨)의 높이조절장공(153)이 형성되고, 수평바(113)에는 체결공(113a)이 형성되며, 높이조절장공(153)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체결구(154)를 체결공(113a)과 높이조절장공(153)에 체결함으로써가 발판 지지브래킷(15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에 의하면, 지하 층간 철골 구조물인 거더의 설치를 위하여 지하 콘크리트 벽체의 내벽면에 띠장을 현장 콘크리트 타설할 때 띠장 타설용 거푸집이 굴토면에 지지되지 않고 지하 콘크리트 벽체에 지지되어 띠장이 양생되지 이전에 띠장 하부의 지하를 계속해서 굴토할 수 있으므로 탑다운 공법에 의한 건축물의 시공기간이 단축된다.
그리고, 띠장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점검, 거더의 조립 등을 위한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제공되어 작업자가 난간부를 밟고 이동하면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일측 단부가 지하 콘크리트 벽체(4)에 앵커(111)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고 상부에 띠장 시공용 거푸집(7)이 고정되는 수평바(113), 일측 단부가 상기 지하 콘크리트 벽체에 앵커(114)를 통해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수평바에 고정되는 경사형 지지바(116)로 이루어져 상기 지하 콘크리트 벽체의 내벽면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지하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며 사익 띠장 시공용 거푸집을 지지하는 다수의 거푸집 지지부(110)와; 그리고,
    상기 거푸집 지지부의 수평바의 타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바(121), 상기 수직바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 안전바(122) 및 상기 거푸집 지지부의 수평바 상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발판(123)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하 콘크리트 벽체의 내벽면을 따라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 난간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지지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띠장 시공용 거푸집이 고정되는 띠장 거푸집 고정구(130)가 포함되어 상기 띠장 시공용 거푸집이 굴토면에 지지되지 않고 지하 콘크리트 벽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이서,
    상기 작업 난간부는, 상기 수평 연결바가 상기 거푸집 지지부의 수평바에 체결구(126)를 매개로 하여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하 양단부가 각각 상기 거푸집 지지부의 수평바와 경사형 지지바에 각각 고정되는 보강바(117)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난간부는 상기 거푸집 지지부에 대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지지부의 수평바에는 다단의 위치조절공(113a)이 형성되며, 상기 작업 난간부의 수평 연결바에는 상기 다단의 위치조절공과 연통되는 체결공(125a)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가 상기 다단의 위치조절공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작업 난간부가 위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난간부는 수직바는 상기 거푸집 지지부의 수평부 또는 상기 작업 난간부의 수평 연결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지지부의 수평부와 상기 작업 난간부의 수평 연결바에는 상기 수직바의 안착부(127)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수직바를 상기 안착부에 밀착 지지시키는 조임구(128)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9. 제 8 항에 있어서, 양단부가 상기 거푸집 지지부와 작업 난간부에 지지되는 보조 지지바(14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난간부에 형성되는 체결공,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는 상하 방향 길이방향의 높이조절장공(153)이 구비된 발판 지지브래킷(150), 상기 발판 지지브래킷의 높이조절장공과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구(15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KR1020050135725A 2005-12-30 2005-12-30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KR100642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725A KR100642326B1 (ko) 2005-12-30 2005-12-30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725A KR100642326B1 (ko) 2005-12-30 2005-12-30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2326B1 true KR100642326B1 (ko) 2006-11-02

Family

ID=3764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725A KR100642326B1 (ko) 2005-12-30 2005-12-30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32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846B1 (ko) 2009-03-20 2011-09-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용 거푸집 지지장치 및 거푸집 지지구조
CN104018656A (zh) * 2014-06-19 2014-09-03 中兴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预制外墙的脚手架施工方法
CN104088453A (zh) * 2014-04-15 2014-10-08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脚手架边缘支撑结构及其使用方法
CN112376880A (zh) * 2020-10-29 2021-02-19 福建建工装配式建筑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平叠合结构的装配式施工平台
KR102355982B1 (ko) * 2021-07-30 2022-02-08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건축비계용 안전발판 결합형 작업지지대
KR102355983B1 (ko) * 2021-07-30 2022-02-08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건축비계용 안전발판 결합형 연장 작업지지대
KR20240000329U (ko) * 2022-08-16 2024-02-23 박상우 건축물 슬라브 서포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420Y1 (ko) 2003-07-22 2003-12-11 최순기 거푸집의 발판설치장치
KR200376519Y1 (ko) 2004-11-16 2005-03-11 박무용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조립식 브라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420Y1 (ko) 2003-07-22 2003-12-11 최순기 거푸집의 발판설치장치
KR200376519Y1 (ko) 2004-11-16 2005-03-11 박무용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조립식 브라켓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4138540000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846B1 (ko) 2009-03-20 2011-09-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용 거푸집 지지장치 및 거푸집 지지구조
CN104088453A (zh) * 2014-04-15 2014-10-08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脚手架边缘支撑结构及其使用方法
CN104018656A (zh) * 2014-06-19 2014-09-03 中兴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预制外墙的脚手架施工方法
CN112376880A (zh) * 2020-10-29 2021-02-19 福建建工装配式建筑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平叠合结构的装配式施工平台
KR102355982B1 (ko) * 2021-07-30 2022-02-08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건축비계용 안전발판 결합형 작업지지대
KR102355983B1 (ko) * 2021-07-30 2022-02-08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건축비계용 안전발판 결합형 연장 작업지지대
KR20240000329U (ko) * 2022-08-16 2024-02-23 박상우 건축물 슬라브 서포트 장치
KR200498669Y1 (ko) * 2022-08-16 2024-12-27 박상우 건축물 슬라브 서포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102B1 (ko) 시공성이 개선된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의 장치
CN109706939B (zh) 深基坑预应力组合钢支撑及施工方法
KR102035995B1 (ko) 가설버팀보를 이용한 역타 공법용 바닥지지틀 지보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CN113216980A (zh) 复杂软弱围岩浅埋偏压隧道及施工方法
CN113818562A (zh) 装配式框架结构的施工方法
KR100633795B1 (ko) 장지간 조립식 띠장의 정착장치
KR100642326B1 (ko)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KR100778137B1 (ko) 프리스트레스트 수평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CN114775622A (zh) 紧邻建构筑物施工空间受限异形深基坑施工方法
CN113417300A (zh) 边坡支护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808939B1 (ko)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KR20220063797A (ko) 인장 응력이 적용된 h형강을 이용한 지하옹벽 철거 공법
US7144200B2 (en) Innovative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JPH0996197A (ja) 支保壁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263526Y1 (ko) 매달아 내려치고 되올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
KR200383309Y1 (ko) 슬러리 벽이 적용된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구조체
KR200294830Y1 (ko) 거푸집용 비계의 지지구조
JPH0996194A (ja) 支保壁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H08158341A (ja) 杭と梁との接合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構造物の施工方法
CN215106001U (zh) 大跨度预制梁结构
CN214887064U (zh) 复杂软弱围岩浅埋偏压隧道施工结构
KR20010019079A (ko) 간이 역타설 옹벽 축조용 프리캐스트 강말뚝
KR102108622B1 (ko) 공기단축형 가설 스트럿 지지 구조
KR101028695B1 (ko) 지하 역타 공법에서 철골 또는 강관 기둥과 결합되는피씨보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