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246B1 -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246B1
KR102185246B1 KR1020190063424A KR20190063424A KR102185246B1 KR 102185246 B1 KR102185246 B1 KR 102185246B1 KR 1020190063424 A KR1020190063424 A KR 1020190063424A KR 20190063424 A KR20190063424 A KR 20190063424A KR 102185246 B1 KR102185246 B1 KR 102185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ssembly
brace
support beam
gir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최영선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최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최영선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20190063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띠장을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흙막이벽의 안쪽에 설치되는 띠장 조립체; 신축형의 체결가압부 및 상기 체결가압부에 연결되는 버팀보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띠장 조립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체결가압부를 통해 신축되어 상기 띠장 조립체를 지지하는 버팀보조립체; 및 상기 버팀보조립체를 상기 띠장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버팀보조립체가 연결되는 상기 띠장 조립체에 모멘트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버팀보조립체 단부에 상기 체결가압부에 의해 연결되는 가새단부; 상기 가새단부와 상기 버팀보조립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가새단부로부터 경사지게 분기되어 상기 띠장 조립체에 연결되는 가새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TEMPORARY RETAINING WALL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팀보조립체와 띠장조립체의 연결부위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감소시키고, 버팀보조립체가 설치되지 않는 띠장조립체의 중앙부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감소시키며, 버팀보조립체를 지지하는 보강지지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개착 터널, 지하철, 전력구, 통신구, 하수관거 등과 같이 지반을 소정의 깊이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굴착하고, 그 굴착지반의 내부 공간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건설공사가 종종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굴착된 지반면은 항상 토압(주동토압)에 의하여 붕괴되려하기 때문에, 통상은 H빔과 같은 수직 빔을 먼저 지반에 항타시켜 매설시킨 후, 지반을 굴착하면서 수직 빔 사이에 토류벽(흙막이벽)을 끼워 설치하는 방식으로 굴착지반 지보공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토류벽이 설치된 수직 빔에는 수평빔 형태의 띠장(통상 H 빔)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수직 빔을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시켜 줌으로서 수직 빔과 띠장이 격자형태의 구조체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
띠장과 띠장 사이에는 굴착지반을 가로질러 양단부가 띠장에 지지되어 역시 토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버팀보(Strut)를 설치하게 되는데, 통상 이도 역시 H 빔이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354857호)은 길이 방향의 단면 중심을 수직으로 지나는 수직축과 단면 중심을 수평으로 지나는 수평축에 대해 동일한 중심 거리를 갖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강관파이프와, 복수 개의 강관파이프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접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스티프너와, 복수개의 강관파이프의 양쪽 단부에 접합되어 있고, 관통된 복수개의 체결구멍을 갖는 연결플랜지를 포함하는 버팀보로서, 단면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축과 수평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강관파이프 단면이 대칭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게 되어 강축과 약축의 구별이 없어져 설치가 용이해지고, 또한 원형 강관이나 H 빔에 비해 단면 2차모 멘트(또는 단면계수)가 증가되어 휨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지만, 강재의 사용량이 많아 시공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강구조이기 때문에 압축력에 대한 버팀력이 약하여 고강도의 강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4857호(2014년 02월 11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중립축에 대칭되는 강관파이프 단면을 갖는 버팀보)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장치는, 버팀대와 띠장 연결부위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버팀대가 연결되는 띠장의 일부분이 변형되거나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장치는, 버팀대와 띠장의 연결부위를 보강하기 위해 별도의 보강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버팀대가 설치되지 않는 띠장의 중앙부에 모멘트가 증가되어 띠장이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버팀보조립체와 띠장조립체의 연결부위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감소시키고, 버팀보조립체가 설치되지 않는 띠장조립체의 중앙부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감소시키며, 버팀보조립체를 지지하는 보강지지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띠장을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흙막이벽의 안쪽에 설치되는 띠장 조립체; 신축형의 체결가압부 및 상기 체결가압부에 연결되는 버팀보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띠장 조립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체결가압부를 통해 신축되어 상기 띠장 조립체를 지지하는 버팀보조립체; 및 상기 버팀보조립체를 상기 띠장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버팀보조립체가 연결되는 상기 띠장 조립체에 모멘트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버팀보조립체 단부에 상기 체결가압부에 의해 연결되는 가새단부; 상기 가새단부와 상기 버팀보조립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가새단부로부터 경사지게 분기되어 상기 띠장 조립체에 연결되는 가새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버팀보조립체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띠장 조립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1버팀보; 및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띠장 조립체를 연결하여 지지하고, 상기 제1버팀보와 간격을 유지하는 제2버팀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버팀보의 단부와 상기 띠장 사이에는 체결가압부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새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가새단부는 제1힌지부에 의해 상기 띠장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버팀보의 단부와 상기 띠장 사이에는 체결가압부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새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가새단부는 제2힌지부에 의해 상기 띠장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새빔은, 상기 제1가새단부 또는 상기 제2가새단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띠장 조립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버팀보조립체를 지지하는 보강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지지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포스트파일; 복수 개의 상기 버팀보조립체를 동시에 지지하고, 상기 포스트파일에 고정되는 받침빔; 및 상기 받침빔에 대향되는 상기 띠장과 상기 받침빔을 연결하여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인장부는, 상기 받침빔과 상기 띠장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는 와이어로프; 상기 띠장 조립체에 설치되는 제1고리;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고리; 상기 제1고리와 상기 제2고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고리와 상기 제2고리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면서 상기 와이어로프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턴버클; 및 상기 제2고리와 연결되도록 상기 받침빔에 설치되는 제3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구역 테두리에 복수 개의 흙막이벽을 연속되게 시공하는 단계; (b) 복수 개의 상기 흙막이벽에 복수 개의 띠장을 연속되게 설치하여 띠장 조립체를 시공하는 단계; 및 (c)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거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띠장 조립체 사이에 버팀보조립체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버팀보조립체 단부에 체결가압부에 의해 연결되는 가새단부; 상기 가새단부와 상기 버팀보조립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가새단부로부터 경사지게 분기되어 상기 띠장 조립체에 연결되는 가새빔을 포함하는 연결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띠장 사이에 설치되는 제1버팀보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띠장 사이에 설치되는 제2버팀보를 지지하는 가새빔 및 힌지부를 구비하므로 버팀보가 연결되는 단부가 복수의 지점으로 분산되고, 버팀보의 단부와 띠장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버팀보와 띠장의 연결부위에 모멘트가 집중되면서 띠장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은, 버팀보와 버팀보 사이에 배치되는 띠장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감소시키는 변형방지부가 구비되므로 버팀보와 띠장의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모멘트를 분산시키면서 버팀보가 설치되지 않는 띠장에 모멘트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띠장의 변형 및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은, 버팀보를 지지하는 보강지지부에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제공하여 보강지지부의 위치가 이동되면서 버팀보 및 띠장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장부를 구비하므로 버팀보 및 띠장의 변형 또는 파손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인장부 연결구조사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와이어로프 연결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보팀보 연결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변형방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보강지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변형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버팀보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버팀보 설치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힌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에 발생되는 모멘트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인장부 연결구조사 도시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와이어로프 연결구조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보팀보 연결구조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변형방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보강지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변형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버팀보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버팀보 설치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은, 지반을 굴착할 때에 지반이 침하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굴착구역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연속되게 시공되는 흙막이벽과, 복수 개의 흙막이벽을 연결하여 지지하고,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는 띠장조립체(100)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띠장조립체(10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버팀보조립체와, 버팀보조립체를 지지하는 보강지지부(50)를 포함한다.
따라서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 지반을 굴착하면서 굴착구역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흙막이벽을 연속되게 시공하고, 다수 개의 흙막이벽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띠장조립체(100)가 설치된다.
사각모양의 굴착구역 테두리를 따라 흙막이벽과 띠장조립체(100)가 설치되므로 굴착구역 테두리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띠장조립체(100)도 서로 연결되어 사각모양의 평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의 버팀보조립체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띠장조립체(10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1버팀보(30)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띠장조립체(10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2버팀보(30)를 포함한다.
제1버팀보(10)는, 띠장조립체(100)와 평행 또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제1버팀보(10)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며, 제2버팀보(30)는, 굴착구역의 모서리에 띠장조립체(100)와 경사지게 배치되고, 굴착구역 모서리에 3개의 제2버팀보(3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버팀보조립체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버팀보조립체는 지면과 버팀보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지지부(50)에 의해 버팀보조립체의 중앙부가 지면 측으로 처지는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보강지지부(50)는, 지면에 설치되는 포스트파일(52)과, 복수 개의 제1버팀보(10) 또는 복수 개의 제2버팀보(30)를 동시에 지지하고, 포스트파일(52)에 고정되는 받침빔(54)과, 받침빔(54)에 대향되는 띠장조립체(100)과 받침빔(54)을 연결하여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부(70)를 포함한다.
지면에 복수 개의 포스트파일(52)이 수직방향으로 시공되어 제1버팀보(10) 또는 제2버팀보(30) 측으로 연장되고, 복수 개의 포스트파일(52)의 상부를 연결하는 받침빔(54)이 설치된다.
받침빔(54)은 복수 개의 제1버팀보(10) 또는 제2버팀보(30)의 중앙부가 안착되어 제1버팀보(10) 또는 제2버팀보(30)의 중앙부가 하측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인장부(70)는, 받침빔(54)의 양단부를 띠장조립체(100) 방향으로 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여 받침빔(54) 및 버팀보가 하측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인장부(70)는, 받침빔(54)과 띠장조립체(100) 사이에 배치되는 와이어로프(72)와, 띠장조립체(100)에 설치되는 제1고리(74)와, 와이어로프(72)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고리(76)와, 제1고리(74)와 제2고리(76) 사이에 설치되고, 제1고리(74)와 제2고리(76)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면서 와이어로프(72)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턴버클(78)과, 제2고리(76)와 연결되도록 받침빔(54)에 설치되는 제3고리(77)를 포함한다.
와이어로프(72)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고리(74)가 설치되고, 띠장조립체(100)에 설치되는 제2고리(76)와 제1고리(74) 사이에는 턴버클(78)이 설치되며, 받침빔(54)의 단부에는 제3고리(77)가 설치되므로 제1고리(74) 내지 제3고리(77)와 턴버클(78)을 연속되게 연결한 후에 턴버클(78)을 조작하여 제1고리(74)와 제2고리(76) 사이의 간격을 좁히면 와이어로프(72)가 당겨지면서 받침빔(54)의 단부를 띠장조립체(100) 방향으로 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받침빔(54)의 양단부를 띠장조립체(100)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받침빔(54)이 포스트파일(52)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와이어로프(72)에 의해 당겨지면서 지지되므로 받침빔(54)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제1버팀보(10) 또는 제2버팀보(3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버팀보(10)의 단부와 띠장조립체(100) 사이에는 체결가압부(80)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새단부(12)가 구비되고, 제1가새단부(12)는 제1힌지부(16)에 의해 띠장조립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제1가새단부(12)와 띠장조립체(100)이 연결되는 부위에 모멘트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띠장조립체(10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버팀보(30)의 단부와 띠장조립체(100) 사이에는 체결가압부(80)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새단부(32)가 구비되고, 제2가새단부(32)는 제2힌지부(34)에 의해 띠장조립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제2가새단부(32)와 띠장조립체(100)이 연결되는 부위에 모멘트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띠장조립체(10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체결가압부(80)는, 제1버팀보(10) 또는 제2버팀보(30)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가새단부(12) 또는 제2가새단부(32)와 연결되는 볼트축(82)과, 볼트축(82)에 볼트결합되고, 제1버팀보(10) 또는 제2버팀보(30)에 구비되는 너트부재(8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버팀보(10) 또는 제2버팀보(30)를 띠장조립체(100)에 연결할 때에 제1가새단부(12) 또는 제2가새단부(32)를 띠장조립체(100)에 먼저 연결한 후에 제1가새단부(12) 또는 제2가새단부(32)의 외측 단부와 제1버팀보(10) 또는 제2버팀보(30)의 단부를 볼트축(82)과 너트부재(84)에 의해 연결하게 된다.
볼트축(82)은 제1버팀보(10) 또는 제2버팀보(30)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볼트축(82)의 출몰 작업은 너트부재(84)의 회전운동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제1버팀보(10) 또는 제2버팀보(30)와 제1가새단부(12) 또는 제2가새단부(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제1버팀보(10) 또는 제2버팀보(30)가 띠장조립체(100)을 지반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버팀보(10) 또는 제2버팀보(30) 사이의 간격에 변형방지부(90)가 설치되어 제1버팀보(10) 또는 제2버팀보(30)가 설치되지 않는 띠장조립체(100)의 중앙부에 모멘트가 집중되어 띠장조립체(10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변형방지부(90)는, 띠장조립체(100)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편(94)과, 한 쌍의 고정편(94) 사이에 설치되어 띠장조립체(100)의 중앙부를 양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가압력을 제공하면서 띠장조립체(100)의 중앙부가 굴착구역 내측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봉(92)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가새단부(12) 또는 제2가새단부(32)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띠장조립체(100)에 연결되는 가새빔(14)에 의해 분산되는 모멘트가 띠장조립체(100)의 중앙부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버팀보가 설치되지 않은 띠장조립체(100)의 중앙부가 굴착구역 내측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편(94)이 설치되는 띠장조립체(100)의 내벽에는 고정편(94)과 체결부재로 연결되는 보강패널(94a, 94b)이 구비되고, 보강패널(94a, 94b)은, 고정편(94)의 배면과 비교하여 폭이 좁게 형성되어 H빔으로 이루어지는 띠장조립체(100)의 배면에 제1보강판(94a) 및 제2보강판(94b)이 설치된다.
띠장조립체(100)의 내벽은 H빔을 이루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므로 제1보강판(94a)은 격벽의 일측에 배치되어 고정편(94)과 결합되고, 제2보강판(94b)은 격벽의 타측에 배치되어 고정편(94)과 결합된다.
따라서 H빔으로 이루어지는 띠장조립체(100)에 한 쌍의 고정편(94)이 2개의 제1보강판(94a) 및 2개의 제2보강판(94b)에 의해 결합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2버팀보(30)의 단부에는 제2가새단부(32)가 설치되고, 제2가새단부(32)는, 굴착구역의 모서리에 설치되므로 제2가새단부(32)와 띠장조립체(100)가 제2힌지부(34)에 의해 경사지게 연결되고, 띠장조립체(100)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가새단부(32)와 띠장조립체(100) 사이에 서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가새빔(14)과, 가새빔(14)과 비교하여 더 길게 형성되어 제2가새단부(32)와 띠장조립체(100)를 연결하는 보조가새빔(14a)이 설치되므로 띠장조립체(100)와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버팀보(30)를 제2가새단부(32), 가새빔(14) 및 보조가새빔(14a)에 의해 어느 특정 부위에 모멘트가 집중되지 않게 제2버팀보(30)와 띠장조립체(100)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시공방법은,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구역 테두리에 복수 개의 흙막이벽을 연속되게 시공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흙막이벽에 동시에 체결되어 지지하는 복수 개의 띠장조립체(100)을 연속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띠장조립체(100) 사이에 제1버팀보(10)를 설치하는 단계와, 제1버팀보(10)와 지면 사이에 제1버팀보(10)를 지지하는 보강지지부(50)를 설치하는 단계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띠장조립체(100) 사이에 제2버팀보(3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지반 굴착작업을 진행한 후에 굴착구역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흙막이벽을 연속되게 설치하고, 다수 개의 흙막이벽의 연결하는 띠장조립체(100)를 연속되게 설치한다.
이후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띠장조립체(100) 사이에는 한 쌍의 제1버팀보(10)를 설치하고, 서로 인정하게 배치되는 띠장조립체(100) 사이에는 3개의 제2버팀보(30)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하여 사각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굴착구역에 11자 모양으로 한 쌍의 제1버팀보(10)가 설치되고, 굴착구역의 모서리마다 3개의 제2버팀보(30)가 설치되어 흙막이벽 및 띠장조립체(100)을 지지하면서 굴착구역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에, 제1버팀보(10) 및 제2버팀보(30)가 지반 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반과 제1버팀보(10) 또는 제2버팀보(30) 사이에 보강지지부(50)를 설치하며, 보강지지부(50)를 설치하는 단계는, 지면에 설치되는 포스트파일(52)과, 복수 개의 제1버팀보(10) 또는 복수 개의 제2버팀보(30)를 동시에 지지하고, 포스트파일(52)에 고정되는 받침빔(54)과, 받침빔(54)에 대향되는 띠장조립체(100)와 받침빔(54)을 연결하여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부(70)를 포함하는 보강지지부(50)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의 힌지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에 발생되는 모멘트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은, 가새빔(14), 힌지부(16, 116, 216) 및 변형방지부(90)가 구비되지 않는 종래기술의 띠장조립체(100)에 발생되는 모멘트와, 가새빔(14)이 설치되는 띠장조립체(100)에 발생되는 모멘트와, 가새빔(14) 및 힌지부(16, 116, 216)가 설치되는 띠장조립체(100)에 발생되는 모멘트와, 가새빔(14), 힌지부(16, 116, 216) 및 변형방지부(90)가 설치되는 띠장조립체(100)에 발생되는 모멘트 변화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새빔(14)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가새단부(12, 32)와 띠장조립체(100)의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모멘트가 일정량 감소함을 알 수 있고, 힌지부(16, 116, 216) 및 변형방지부(90)가 추가로 설치될 때마다 가새단부(12, 32)와 띠장조립체(100)의 연결부위에 집중되는 모멘트가 띠장조립체(100) 전체로 분산되면서 어느 한 지점에 모멘트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새단부(12, 32)와 띠장조립체(100)이 연결되는 부위에 모멘트가 집중되지 않아 토압에 의해 띠장조립체(100)과 버팀보(10, 30)의 연결부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실시예의 힌지부(116)는, 서로 대향되는 띠장조립체(10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포개지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버팀보(10, 30)가 연결되는 부위에 모멘트가 집중되는 경우에 힌지부(116)에 의해 띠장조립체(100)의 연결부위가 곡선 모양으로 변형되면서 버팀보(10, 30) 연결부위로 집중되는 모멘트를 측 방향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또한, 제3실시예의 힌지부(216)는, 서도 대향되게 배치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띠장조립체(10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홀부와, 복수 개의 체결홀부에 대향되는 복수 개의 연결홀부(216b, 216c, 216d)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연결홀부(216b, 216c, 216d)는 단계적으로 길이가 길어지는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연결홀부(216b, 216c, 216d)는, 제1홀부(216b), 제2홀부(216c) 및 제3홀부(216d)로 이루어지며, 제1홀부(216b)로부터 제3홀부(216d)까지 단계적으로 장공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므로 띠장조립체(100) 연결부위에 모멘트가 집중되는 경우에 연결홀부(216b, 216c, 216d)와 체결홀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띠장의 연결부위가 곡선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어 띠장조립체(100)과 버팀보(10, 30)의 연결부위에 모멘트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버팀보조립체와 띠장조립체의 연결부위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감소시키고, 버팀보조립체가 설치되지 않는 띠장조립체의 중앙부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감소시키며, 버팀보조립체를 지지하는 보강지지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제1버팀보 12 : 제1가새단부
14 : 가새빔 16 : 제1힌지부
30 : 제2버팀보 32 : 제2가새단부
34 : 제2힌지부 50 : 보강지지부
52 : 포스트파일 54 : 받침빔
70 : 인장부 72 : 와이어로프
74 : 제1고리 76 : 제2고리
77 : 제3고리 78 : 턴버클
80 : 체결가압부 82 : 볼트축
84 : 너트부재 90 : 변형방지부
92 : 지지봉 94 : 고정편

Claims (6)

  1. 2개 이상의 띠장을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흙막이벽의 안쪽에 설치되는 띠장 조립체;
    신축형의 체결가압부 및 상기 체결가압부에 연결되는 버팀보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띠장 조립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체결가압부를 통해 신축되어 상기 띠장 조립체를 지지하는 버팀보조립체; 및
    상기 버팀보조립체를 상기 띠장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버팀보조립체가 연결되는 상기 띠장 조립체에 모멘트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버팀보조립체 단부에 상기 체결가압부에 의해 연결되는 가새단부;
    상기 가새단부와 상기 버팀보조립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가새단부로부터 경사지게 분기되어 상기 띠장 조립체에 연결되는 가새빔을 포함하고,
    상기 버팀보조립체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띠장 조립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1버팀보; 및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띠장 조립체를 연결하여 지지하고, 상기 제1버팀보와 간격을 유지하는 제2버팀보를 포함하고,
    상기 버팀보조립체를 지지하는 보강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지지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포스트파일;
    복수 개의 상기 버팀보조립체를 동시에 지지하고, 상기 포스트파일에 고정되는 받침빔; 및
    상기 받침빔에 대향되는 상기 띠장과 상기 받침빔을 연결하여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부를 포함하고,
    지면에 복수 개의 상기 포스트파일(52)이 수직방향으로 시공되어 상기 제1버팀보(10) 또는 상기 제2버팀보(30) 측으로 연장되고, 복수 개의 상기 포스트파일(52)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기 받침빔(54)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빔(54)은 복수 개의 상기 제1버팀보(10) 또는 상기 제2버팀보(30)의 중앙부가 안착되어 상기 제1버팀보(10) 또는 상기 제2버팀보(30)의 중앙부가 하측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인장부(70)는, 상기 받침빔(54)의 양단부를 상기 띠장조립체(100) 방향으로 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받침빔(54) 및 상기 버팀보조립체가 하측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팀보의 단부와 상기 띠장 사이에는 체결가압부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새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가새단부는 제1힌지부에 의해 상기 띠장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버팀보의 단부와 상기 띠장 사이에는 체결가압부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새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가새단부는 제2힌지부에 의해 상기 띠장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새빔은, 상기 제1가새단부 또는 상기 제2가새단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띠장 조립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는,
    상기 받침빔과 상기 띠장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는 와이어로프;
    상기 띠장 조립체에 설치되는 제1고리;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고리;
    상기 제1고리와 상기 제2고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고리와 상기 제2고리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면서 상기 와이어로프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턴버클; 및
    상기 제2고리와 연결되도록 상기 받침빔에 설치되는 제3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6. (a)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구역 테두리에 복수 개의 흙막이벽을 연속되게 시공하는 단계;
    (b) 복수 개의 상기 흙막이벽에 복수 개의 띠장을 연속되게 설치하여 띠장 조립체를 시공하는 단계; 및
    (c)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거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띠장 조립체 사이에 버팀보조립체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버팀보조립체 단부에 체결가압부에 의해 연결되는 가새단부;
    상기 가새단부와 상기 버팀보조립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가새단부로부터 경사지게 분기되어 상기 띠장 조립체에 연결되는 가새빔을 포함하는 연결부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버팀보조립체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띠장 조립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1버팀보; 및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띠장 조립체를 연결하여 지지하고, 상기 제1버팀보와 간격을 유지하는 제2버팀보를 포함하고,
    상기 버팀보조립체를 지지하는 보강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지지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포스트파일;
    복수 개의 상기 버팀보조립체를 동시에 지지하고, 상기 포스트파일에 고정되는 받침빔; 및
    상기 받침빔에 대향되는 상기 띠장과 상기 받침빔을 연결하여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부를 포함하고,
    지면에 복수 개의 상기 포스트파일(52)이 수직방향으로 시공되어 상기 제1버팀보(10) 또는 상기 제2버팀보(30) 측으로 연장되고, 복수 개의 상기 포스트파일(52)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기 받침빔(54)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빔(54)은 복수 개의 상기 제1버팀보(10) 또는 상기 제2버팀보(30)의 중앙부가 안착되어 상기 제1버팀보(10) 또는 상기 제2버팀보(30)의 중앙부가 하측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인장부(70)는, 상기 받침빔(54)의 양단부를 상기 띠장조립체(100) 방향으로 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받침빔(54) 및 상기 버팀보조립체가 하측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시공방법.
KR1020190063424A 2019-05-29 2019-05-29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85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424A KR102185246B1 (ko) 2019-05-29 2019-05-29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424A KR102185246B1 (ko) 2019-05-29 2019-05-29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246B1 true KR102185246B1 (ko) 2020-12-01

Family

ID=7379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424A KR102185246B1 (ko) 2019-05-29 2019-05-29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2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726A (ko) *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가우리안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666A (ko) * 2004-02-23 2004-04-01 곽찬열 강관 가시설 공법
KR100812338B1 (ko) * 2006-09-11 2008-03-11 김일 흙막이 벽체의 선행하중 재하 시스템
KR20170074508A (ko) * 2015-12-22 2017-06-30 주식회사 장평건설 자립식 jp 흙막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1955852B1 (ko) * 2018-04-11 2019-03-07 오진욱 흙막이 가지설용 버팀보 및 지주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666A (ko) * 2004-02-23 2004-04-01 곽찬열 강관 가시설 공법
KR100812338B1 (ko) * 2006-09-11 2008-03-11 김일 흙막이 벽체의 선행하중 재하 시스템
KR20170074508A (ko) * 2015-12-22 2017-06-30 주식회사 장평건설 자립식 jp 흙막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1955852B1 (ko) * 2018-04-11 2019-03-07 오진욱 흙막이 가지설용 버팀보 및 지주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726A (ko) *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가우리안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KR102611776B1 (ko) * 2021-05-17 2023-12-08 주식회사 가우리안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440B1 (ko) 연결용 엔클로저를 포함하는 강관버팀보
KR100633796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KR100698878B1 (ko) 강관 버팀보의 와이형 연결구조
KR100998253B1 (ko)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
KR200414056Y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100733719B1 (ko) 길이조정형 강관 버팀보
KR100584701B1 (ko) 가설 흙막이 공법
KR102185246B1 (ko)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94677B1 (ko)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및 이의시공방법
KR100958426B1 (ko) 버팀보용 고정장치
KR101103909B1 (ko) 토류벽체 지지용 띠장재
KR101026583B1 (ko) 토류벽체 지지용 띠장재
KR100648409B1 (ko) 가설 흙막이 공법
KR102000675B1 (ko)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KR100477195B1 (ko)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흙막이 공법용 단띠장재
KR20100001516A (ko) 가설 흙막이 공법에 있어서의 사각강관으로 된 버팀보와경사버팀재의 연결구조
KR200492883Y1 (ko) 토류판
KR20190142547A (ko) 개량된 흙막이 띠장 프리스트레스 공법
KR200247053Y1 (ko)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흙막이 공법용 띠장재
KR20130038461A (ko) 흙막이 파일용 가변지지기구
KR101997850B1 (ko) 지주 강도가 보강된 가설 펜스
KR20020096596A (ko)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흙막이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띠장재
KR102039928B1 (ko) 내하력과 강성이 향상된 아치형 띠장 구조체
KR20150010422A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