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426B1 - 버팀보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버팀보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426B1
KR100958426B1 KR1020090057617A KR20090057617A KR100958426B1 KR 100958426 B1 KR100958426 B1 KR 100958426B1 KR 1020090057617 A KR1020090057617 A KR 1020090057617A KR 20090057617 A KR20090057617 A KR 20090057617A KR 100958426 B1 KR100958426 B1 KR 100958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nd
support beam
fixing
b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스틸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818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5842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스틸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스틸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09005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팀보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굴착된 지반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포스트파일 사이를 가로지르는 버팀보를 이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서포트빔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로서, 상기 고정밴드는, 버팀보를 그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한편 그 일측이 개구되어 있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양 개구단부에 외향 돌출되고 고장력 볼트로서 서포트빔에 결합 고정되는 지지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설치 시 작업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포스트파일, 서포트빔, 버팀보, 고정밴드

Description

버팀보용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support beam}
본 발명은 버팀보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흙막이 공사 시 설치되는 포스트파일과 강관버팀보를 고정밴드로서 신속하게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버팀보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 또는 건축공사에서 지하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지반을 굴착하여 지하공간을 활용하고 있으며, 지반 굴착 후 지반의 굴착면에는 건설 공사 중 발생되는 토압에 의해 지반이 붕괴되지 않도록 흙막이 벽체를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흙막이 벽체는 굴착면에 작용하는 토압의 크기, 현장 여건, 시공되는 구조물의 종류, 시공 공법 등에 따라 다양한 공법으로 시공되며, 이러한 흙막이 벽체의 시공 공법으로는 일반적으로 굴착된 지하공간에 임의 간격으로 포스트파일을 수직으로 세우고, 이웃한 포스트파일 사이에 다수의 토류판을 적층 삽입하여 굴착면의 흙벽 또는 암벽을 받침과 동시에 그 포스트파일을 굴착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벽과 벽 사이에 포스트파일을 가로지르는 다수의 버팀보를 설치하여 토압으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시공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굴착면의 양벽에 설치된 포스트파일을 가로지르는 버팀보에는 버팀보의 처짐이나 휨을 방지하기 위한 서포트빔과, 이 서포트빔에 버팀보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시공되었다.
도 1에는 이러한 종래의 포스트파일과 버팀보 및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굴착된 지반에 일정간격으로 "H"빔으로 형성된 다수의 포스트파일(1)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굴착면의 양벽면에 설치된 포스트파일(1) 사이를 가로지르는 버팀보(3)가 설치되어 포스트파일(1)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설치되어 이웃한 포스트파일(1) 사이에는 다수의 토류판(미도시)이 적층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굴착면의 흙벽 또는 암벽을 받쳐 지지하므로 흙벽이 돌출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팀보(3)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한 다수의 버팀보(3)를 상하로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설치된 버팀보(3)는 이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토압에 의해 처지거나 또는 휨 등의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기 위한 "H"빔으로 형성된 서포트빔(2)이 버팀보(3)를 받쳐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버팀보(3)는 서포트빔(2)에 U형 볼트(10)와 너트(11)로서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U형 볼트(10)는 전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 즉 통 상적인 전산볼트를 "U"자 형태로 구부려 형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U형 볼트(10)는 원형 강관의 버팀보(3) 외측면을 그 내부로 수용하여 감싼 상태로 설치된다.
한편, 이와 같이 설치되는 U형 볼트(10)의 양단부는 서포트빔(2)의 하면에 구비되는 "ㄱ"자 또는 "ㄷ"자 형상의 고정앵글(20)을 관통하여 너트(11)로서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U형 볼트(10)는 고정앵글(20) 없이 그 양단부가 직접 서포트빔(2)을 관통하여 서포트빔(2)의 하면에서 너트(11)로 체결될 수도 있지만, 서포트빔(2)의 강성 저하를 고려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고정앵글(20)을 구비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포트빔(2) 상에서 U형 볼트(10)에 의해 고정된 버팀보(3)의 유동 즉 구름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쐐기(30)가 버팀보(3) 양편의 서포트빔(2) 상에 용접 고정되어, 상기 쐐기(30)의 상면이 버팀보(3)의 양측 하면부를 받쳐 지지함으로써 서포트빔(2) 상에서 버팀보(3)의 구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쐐기(30)는 그 상면이 버팀보(3)의 외측면에 대응한 원호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버팀보(3)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이 서포트빔(2)과 버팀보(3)를 연결함에 있어 종래의 고정장치는 U형 볼트(1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앵글(20)과, 버팀보(3)의 구름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쐐기(30)가 서포트빔(2) 상에 용접 고정되어 설치됨으로써 U형 볼트(10) 이외에 이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앵글(20)과 쐐기(30) 등의 추가 부품으로 인해 설치 작업성 및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서포트빔(2) 상에서 버팀보(3)를 고정시키기 위한 U형 볼트(10)는 통상적인 전산볼트가 U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U형 볼트(10)는 고장력 볼트로는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강성 및 내구성이 약하다. 따라서, 너트(11)가 긴밀하게 체결되는 U형 볼트(10)는 그 양단부의 나사산이 자주 뭉개져 U형 볼트(10)의 재사용이 불가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서포트빔(2) 상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팀보(3)의 구름을 방지하기 위한 쐐기(30)가 용접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한번 사용된 서포트빔(2)은 재사용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굴착면의 흙막이 공사 시 설치되는 포스트파일과 버팀보를 "U"형 또는 "Ω"형의 고정밴드로서 신속하게 연결함으로써 종래의 고정앵글과 쐐기 등의 추가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설치 시의 작업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서포트빔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강한 강성으로 버팀보와 서포트빔을 연결하므로 안전성이 우수한 버팀보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고정밴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를 고장력 볼트로 구성함으로써 볼트의 재사용이 가능토록 한 버팀보용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은, 굴착된 지반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포스트파일 사이를 가로지르는 버팀보를 이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서포트빔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로서, 상기 고정밴드는, 버팀보를 그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한편 그 일측이 개구되어 있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양 개구단부에 외향 돌출되고 고장력 볼트로서 서포트빔에 결합 고정되는 지지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장력 볼트가 관통되는 지지플랜지에는 변형에 대한 버팀보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장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밴드는 분할된 한쌍으로 형성되고, 분할된 밴드부의 단부에는 외향 돌출된 결합플랜지가 형성되며, 양 결합플랜지는 고장력 볼트로서 결합 고정되거나 또는 분할된 밴드부의 양단부는 경첩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밴드는 "U"형 또는 "Ω"형 고정밴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Ω"형 고정밴드는 밴드부와 지지플랜지 사이에 보강용 쐐기가 일체로 형 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버팀보용 고정장치에 따르면, 버팀보를 서포트빔에 별도의 고정앵글과 쐐기 등의 추가 부품없이 고정밴드만으로 설치하여 고정함으로써 작업공수의 절감으로 인해 작업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서포트빔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고정밴드가 강한 강성으로 버팀보와 서포트빔을 연결하므로 안전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설치된 버팀보의 유동이 필요할 시는 "U"형 고정밴드를 사용하고, 버팀보의 유동이 필요없을 시는 "Ω"형 고정밴드를 사용함으로써 후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쐐기가 불필요하게 되어 설치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고장력 볼트로서 고정밴드를 결합시키는 한편 고정밴드를 서포트빔에 고정시킴으로써 볼트의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고정밴드와 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버팀보용 고정장치는, 굴착된 지반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포스트파일(1) 사이를 가로지르는 버팀보(3)를 이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서포트빔(2)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band)(100)(2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밴드(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팀보(3)를 그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한편 그 일측이 개구되어 있는 "U"형 밴드부(110)(110a)와, 상기 밴드부(110)(110a)의 양 개구단부에 외향 돌출되고 고장력 볼트(400)로서 서포트빔(2)에 결합 고정되는 지지플랜지(130)(130a)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부(110)(110a)는 버팀보(3)의 외경에 대응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밴드부(110)(110a)의 상하 폭은 버팀보(3)의 외경에 대응한 길이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팀보(3)가 밴드부(110)(110a)의 내측 3면과 서포트빔(2)의 상면에 각각 접한 상태로 밴드부(110)(110a) 내에 수용됨으로써 밴드부(110)(110a) 내에서 버팀보(3)의 유동을 방지한 상태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플랜지(130)(130a)에는 포스트파일(1)의 변형에 대해 버팀보(3)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버팀보(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장공(131)(131a)이 천공된다.
한편, 상기 장공(131)(131a)에는 고장력 볼트(400)가 관통되고, 이 고장력 볼트(400)는 서포트빔(2)을 관통하여 서포트빔(2)의 하면에서 너트(410)로서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밴드부(110)(110a)는 양편으로 분할된 한쌍으로 형성되고, 분할된 밴드부(110)(110a)의 단부에는 외향 돌출된 결합플랜지(120)(120a)가 형성되며, 양 결합플랜지(120)(120a)는 고장력 볼트(500)와 너트(510)로서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밴드부(110)(110a)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부(110)(110a)는 양편으로 분할된 한쌍으로 형성되되, 분할된 밴드부(110)(110a)의 각 단부에는 경첩(300)이 설치되어, 양 밴드부(110)(110a)가 경첩(300)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정밴드(100)는, 서포트빔(2) 위에 설치된 버팀보(3)의 외측면에 분할된 양 밴드부(110)(110a)를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하여 한 쌍의 밴드부(110)(110a) 내부에 버팀보(3)가 수용되도록 한다.
이때, 분할된 양 밴드부(110)(110a)의 상부에는 양 결합플랜지(120)(120a)가 서로 접한 상태가 되고, 하부의 지지플랜지(130)(130a)는 서포트빔(2) 위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버팀보(3) 상부 측에서 서로 접한 양 결합플랜지(120)(120a)는 고장력 볼트(500)와 너트(510)로서 상호 체결함으로써 분할된 양 밴드부(110)(110a)를 하나의 고정밴드(100)로서 결합시키고, 서포트빔(2) 위에 안착된 지지플랜지(130)(130a)에는 고장력 볼트(400)를 지지플랜지(130)(130a)의 장공(131)(131a)과 서포트빔(2)에 관통시킨 후, 서포트빔(2)의 하면에서 너트(410)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밴드(100)를 버팀보(3)의 외측면에 도 4에서와 같이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고정밴드(100)는 버팀보(3)가 토압에 의한 축방향력을 받을 때, 버팀보(3)가 상하방향으로 휘어지려는 변형을 억제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버팀보(3)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버팀보(3)를 고정시키는 고정밴드(100)는 지지플랜지(130)(130a)의 장공(131)(131a)에 의해서 포스트파일(1)에 횡방향으로 변형력이 작용할 때, 버팀보(3)가 장공(131)(131a)에 의해서 서포트빔(2) 상에서 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버팀보(3)의 변형이 방지되어 버팀보(3)와 포스트파일(1)의 동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밴드(100)에 사용된 고장력 볼트(400)(500)는 종래의 U형 볼트(10)보다 강한 강성과 내구성을 갖음으로써 이에 형성된 나사산의 뭉개짐이 최소화되므로 볼트(400)(50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되고, 종래에 사용되던 고정앵글(20)이나 쐐기(30) 등이 불필요하므로 설치 시 작업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만 설명키로 한다.
본 실시예의 버팀보용 고정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팀보(3)를 그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한편 그 일측이 개구되어 있는 "Ω"형 밴드부(210)(210a)와, 상기 밴드부(210)(210a)의 양 개구단부에 외향 돌출되고 고장력 볼트(400)로서 서포트빔(2)에 결합 고정되는 지지플랜지(230)(230a)를 포함한다.
상기 "Ω"형 밴드부(210)(210a)는 버팀보(3)의 외경에 대응한 내경으로 형성되는 한편 그 전 내측면이 버팀보(3)의 외측면에 접함으로써 전술한 "U"형 밴드부(110)(110a)보다 유격없이 버팀보(3)의 외측면을 더 많이 감쌀 수 있으므로, 그 내부에 수용된 버팀보(3)의 유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플랜지(230)(230a)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장력 볼트(400)가 관통되는 장공(231)(23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231)(231a)을 관통한 고장력 볼트(400)는 서포트빔(2)의 하면에서 너트(410)와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210)(210a) 역시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양편으로 분할된 한쌍으로 형성되고, 분할된 단부는 결합플랜지(220)(220a)와 고장력 볼트(500) 및 너트(510)를 통해 결합되거나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경첩(300)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분할된 양 밴드부(210)(210a)와 이에 각각 형성된 지지플랜지(230)(230a) 사이에는 "Ω"형 고정밴드(20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용 쐐기(240)(240a)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팀보(3)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밴드부(210)(210a)가 쐐기(240)(240a)를 통해 지지플랜지(230)(230a)의 상면에 지지됨으로써 보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고정밴드(200)는 전술한 실시예의 고정밴드(200)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설치됨으로써 이의 반복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포스트파일과 버팀보를 고정한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의 확대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다른 결합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스트파일 2 : 서포트빔
3 : 버팀보 10 : U형 볼트
20 : 고정앵글 30 : 쐐기
100 : U형 고정밴드 110,110a : 밴드부
120,120a : 결합플랜지 130,130a : 지지플랜지
131,131a : 장공 200 : Ω형 고정밴드
210,210a : 밴드부 220,220a : 결합플랜지
230,230a : 지지플랜지 231,231a : 장공
240,240a : 쐐기 300 : 경첩
400,500 : 볼트 410,510 : 너트

Claims (7)

  1. 굴착된 지반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포스트파일(1) 사이를 가로지르는 버팀보(3)를 이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서포트빔(2)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로서,
    상기 고정밴드는, 버팀보(3)를 그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한편 그 일측이 개구되어 있는 밴드부(210,210a)와;
    상기 밴드부(210,210a)의 양 개구단부에 외향 돌출되고 고장력 볼트(400)로서 서포트빔(2)에 결합 고정되는 지지플랜지(230,2130a)를 포함한 "Ω"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장력 볼트(400)가 관통되는 지지플랜지(230,230a)에는 변형에 대한 버팀보(3)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장공(232,231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밴드는 분할된 한쌍으로 형성되고, 분할된 밴드부(210,210a)의 단부에는 외향 돌출된 결합플랜지(220,220a)가 형성되며, 양 결합플랜지(220,220a)는 고장력 볼트(500)로서 결합 고정되거나 또는 경첩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밴드부(210,210a)와 지지플랜지(230,2130a) 사이에 보강용 쐐기(240,240a)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057617A 2009-06-26 2009-06-26 버팀보용 고정장치 KR100958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617A KR100958426B1 (ko) 2009-06-26 2009-06-26 버팀보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617A KR100958426B1 (ko) 2009-06-26 2009-06-26 버팀보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426B1 true KR100958426B1 (ko) 2010-05-18

Family

ID=4228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617A KR100958426B1 (ko) 2009-06-26 2009-06-26 버팀보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4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669A1 (ko) * 2011-05-27 2012-12-06 (주)피에스테크 흙막이 가시설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829245B1 (ko) * 2017-06-09 2018-02-14 우경기술주식회사 합성파일구조
KR20190057554A (ko) * 2017-11-20 2019-05-29 주식회사 엠스틸인터내셔널 좌굴방지를 위한 강관버팀보 및 띠장의 연결구조
KR20210000234U (ko) * 2019-07-22 2021-02-01 강승구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CN114922198A (zh) * 2022-06-10 2022-08-19 济南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一种基坑阳角支护方法及基坑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4686U (ja) * 1991-12-19 1993-07-23 株式会社クボタ ダクタイル管の管受け台
KR200261444Y1 (ko) * 2001-10-30 2002-01-23 김대식 개량 경첩형 파이프 지지구
JP2005106279A (ja) * 2004-03-15 2005-04-21 Mikami Seisakusho:Kk 配管等固定具
JP2008121741A (ja) 2006-11-09 2008-05-29 Mesco Inc 配管用固定部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4686U (ja) * 1991-12-19 1993-07-23 株式会社クボタ ダクタイル管の管受け台
KR200261444Y1 (ko) * 2001-10-30 2002-01-23 김대식 개량 경첩형 파이프 지지구
JP2005106279A (ja) * 2004-03-15 2005-04-21 Mikami Seisakusho:Kk 配管等固定具
JP2008121741A (ja) 2006-11-09 2008-05-29 Mesco Inc 配管用固定部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669A1 (ko) * 2011-05-27 2012-12-06 (주)피에스테크 흙막이 가시설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829245B1 (ko) * 2017-06-09 2018-02-14 우경기술주식회사 합성파일구조
KR20190057554A (ko) * 2017-11-20 2019-05-29 주식회사 엠스틸인터내셔널 좌굴방지를 위한 강관버팀보 및 띠장의 연결구조
KR102152471B1 (ko) * 2017-11-20 2020-09-04 주식회사 엠스틸인터내셔널 좌굴방지를 위한 강관버팀보 및 띠장의 연결구조
KR20210000234U (ko) * 2019-07-22 2021-02-01 강승구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KR200493426Y1 (ko) 2019-07-22 2021-03-29 강승구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CN114922198A (zh) * 2022-06-10 2022-08-19 济南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一种基坑阳角支护方法及基坑施工方法
CN114922198B (zh) * 2022-06-10 2024-03-15 济南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一种基坑阳角支护方法及基坑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965B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EP1954884A1 (en) Apparatus for fixing a wale
KR101308575B1 (ko) 띠장-버팀보 일체형 세그먼트
KR101357775B1 (ko)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버팀보 연결장치
KR100958426B1 (ko) 버팀보용 고정장치
KR100998253B1 (ko)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
KR20120055236A (ko) 조립식 버팀보 연결 구조체
KR100777212B1 (ko) 버팀보 조인트
KR20110129657A (ko) 프레임 구조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200414056Y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KR100584701B1 (ko) 가설 흙막이 공법
KR101026583B1 (ko) 토류벽체 지지용 띠장재
KR100945655B1 (ko) 강결형 강관버팀보와 중간말뚝 연결구조
KR102266931B1 (ko) 지하 흙막이 공사용 강관 버팀보 이음장치
KR20190142547A (ko) 개량된 흙막이 띠장 프리스트레스 공법
KR20120131996A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85246B1 (ko)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27475B1 (ko) 띠장 연결장치
KR102039928B1 (ko) 내하력과 강성이 향상된 아치형 띠장 구조체
KR101958768B1 (ko) 보강봉을 가지는 버팀보를 이용한 토류판 시공 구조물
KR102307510B1 (ko) 흙막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1664668B1 (ko)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KR200436405Y1 (ko) 버팀보 보강용 브레이싱 서포트 체결구조
KR102353188B1 (ko) 버팀보 고정구조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5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1118

Effective date: 2016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