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480B1 -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 Google Patents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480B1
KR102095480B1 KR1020180078312A KR20180078312A KR102095480B1 KR 102095480 B1 KR102095480 B1 KR 102095480B1 KR 1020180078312 A KR1020180078312 A KR 1020180078312A KR 20180078312 A KR20180078312 A KR 20180078312A KR 102095480 B1 KR102095480 B1 KR 102095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ink
plate
connection portion
suppor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086A (ko
Inventor
김현숙
김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우리안
쌍용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라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우리안, 쌍용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라,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우리안
Priority to KR1020180078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4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 공사에서 선행하중공법에 의한 버팀보 설치시 토류벽을 지지하는 버팀보를 쉽게 해체할 수 있도록 버팀보와 토류벽 사이에 위치하는 굴절지지대의 지지링크를 쉽게 고정 및 해체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안전성 향상이 가능한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는 일측면에 제1연결부가 돌출 형성된 판 형상의 제1지지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제1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링크; 일단이 상기 제1지지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링크;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연결부가 상기 제2지지링크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지지링크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를 제한하는 고정플레이트;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팀보용 굴절지지대{Foldable support for strut}
본 발명은 흙막이 공사에서 선행하중공법에 의한 버팀보 설치시 토류벽을 지지하는 버팀보를 쉽게 해체할 수 있도록 버팀보와 토류벽 사이에 위치하는 굴절지지대의 지지링크를 쉽게 고정 및 해체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안전성 향상이 가능한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에 대한 것이다.
각종 건설, 토목 현장의 터파기 공사시 토사 붕괴를 방지하고 변위를 억제하기 위해 흙막이를 설치함이 일반적이다.
흙막이 공사에서는 토류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기 위해 앵커 공법이나 버팀보 공법을 사용하는데, 도심지의 경우 인접 대지와의 간격이 좁아 앵커 공법보다는 버팀보 공법이 주로 이용된다.
상기 버팀보 공법은 토류벽 양측에 작용하는 토압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수평 버팀보로 토류벽을 지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버팀보는 토압에 의해 강한 축력을 받기 때문에, 축력 소산이 어려워 버팀보 해체시 버팀보를 절단하거나 수직 방향으로 충격력을 가해야 한다. 이에 따라 작업성 및 안전성이 매우 취약하고, 자재의 직접적인 손상으로 버팀보를 재사용하기 어려워 비경제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버팀보 설치시 선행하중잭을 이용하여 선행하중을 가하고 스크류잭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선행하중공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선행하중공법은 토압이 과도하게 작용하거나 장기간 존치로 인해 스크류잭에 부식 또는 변형 발생시 고정너트의 회전이 불가능해 버팀보를 해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버팀보를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는 굴절지지대를 이용한 버팀보 지지장치(100, 200)를 개발하였다(등록특허 제10-1303873호).
상기 등록기술은 굴절지지대(130, 230)의 지지링크를 서로 힌지 결합하여 접히도록 함으로써 길이를 축소시켜 간단하게 버팀보를 해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지지링크를 고정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140)를 이용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판(241)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쐐기(140)나 덮개판(241)은 고정 및 해체가 번거롭고, 자재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팀보 설치시 선행하중잭을 이용하여 선행하중을 가하고 스크류잭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선행하중공법에서, 토류벽을 지지하는 버팀보의 해체가 용이하여 작업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버팀보와 토류벽 사이에 위치하는 굴절지지대의 지지링크를 쉽게 고정 및 해체할 수 있고, 자재 관리가 편리한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일측면에 제1연결부가 돌출 형성된 판 형상의 제1지지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제1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링크; 일단이 상기 제1지지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링크;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연결부가 상기 제2지지링크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지지링크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를 제한하는 고정플레이트; 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지지링크의 측면에는 각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 제1지지링크, 제2지지링크 및 제2연결부가 일직선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돌출부가 고정플레이트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를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돌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 외측에서 로킹바가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어 고정플레이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일측면에 제1연결부가 돌출 형성된 판 형상의 제1지지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제1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링크; 일단이 상기 제1지지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링크;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연결부가 상기 제2지지링크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지지링크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를 제한하는 고정플레이트; 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지지링크의 측면에는 각각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 제1지지링크, 제2지지링크 및 제2연결부가 일직선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의 돌출부가 삽입공에 삽입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일측면에 제1연결부가 돌출 형성된 판 형상의 제1지지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제1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링크; 일단이 상기 제1지지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링크;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연결부가 상기 제2지지링크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지지링크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를 제한하는 고정플레이트; 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와 제1지지링크, 제1지지링크와 제2지지링크 및 제2지지링크와 제2연결부는 각각 절점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상기 연결핀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 제1지지링크, 제2지지링크 및 제2연결부가 일직선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연결핀의 단부가 고정플레이트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결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 외측에서 로킹바가 상기 고정공에 삽입됨으로써 고정플레이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단은 제2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삽입공은 굴절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변형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일측면에 제1연결부가 돌출 형성된 판 형상의 제1지지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의 제1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링크; 일단이 상기 제1지지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링크;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연결부가 상기 제2지지링크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지지링크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를 제한하는 고정플레이트; 로 구성되되, 상기 제2지지링크의 측면에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대응되는 높이에 한 쌍의 걸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부, 제1지지링크, 제2지지링크 및 제2연결부가 일직선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가 제1연결부의 걸림부 사이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팀보 설치시 선행하중잭을 이용하여 선행하중을 가하고 스크류잭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선행하중공법에서 제1연결부와 제2지지링크의 측면에 고정플레이트를 착탈 가능하게 밀착 결합함으로써, 고정플레이트의 결합 여부에 따라 굴절지지대를 구성하는 제1, 2지지링크의 절점을 굴절시켜 굴절지지대의 길이를 축소시킴으로써 굴절지지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류벽을 지지하는 버팀보의 절단이나 선행하중잭의 스크류잭 길이를 축소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버팀보를 해체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자재의 손상이 거의 없어 굴절지지대를 재사용 가능하므로 경제성이 우수하며, 구성 및 작업이 간단하고 자재 관리가 편리하다.
도 1은 종래 쐐기에 의하여 지지링크가 고정된 굴절지지대를 이용한 버팀보 지지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덮개판에 의하여 지지링크가 고정된 굴절지지대를 이용한 버팀보 지지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와 버팀보, 띠장 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고정플레이트가 밀착 고정된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가 굴절되어 길이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와 로킹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굴절이 허용된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굴절이 제한된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와 버팀보, 띠장 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고정플레이트가 밀착 고정된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가 굴절되어 길이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는 일측면에 제1연결부(22)가 돌출 형성된 판 형상의 제1지지플레이트(21); 일단이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21)의 제1연결부(2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링크(23); 일단이 상기 제1지지링크(23)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링크(24);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연결부(26)가 상기 제2지지링크(24)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플레이트(25); 및 상기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를 제한하는 고정플레이트(2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흙막이 공사에서 선행하중공법에 의한 버팀보(1) 설치 등의 경우에 있어서, 토류벽을 지지하는 버팀보(1)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버팀보(1)와 토류벽 사이에 위치하는 굴절지지대(2)의 지지링크(23, 24)를 쉽게 고정 및 해체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재 관리가 편리한 버팀보용 굴절지지대(2)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는 제1지지플레이트(21), 제1지지링크(23), 제2지지링크(24), 제2지지플레이트(25) 및 고정플레이트(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편의상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21)는 버팀보(1)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2지지플레이트(25)는 띠장(4)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물론 역으로 제1지지플레이트(21)가 띠장(4)에 결합되고 제2지지플레이트(25)가 버팀보(1)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버팀보(1)의 타측 단부에는 잭킹수단(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잭킹수단(3)은 일반적인 스크류잭(screw jack)이나 선행하중잭(preloading jack)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버팀보(1)는 H 형강, 각형 강관, 원형 강관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21)는 판 형상으로, 일측면에 제1연결부(2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21)는 버팀보(1)의 일단에 볼트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2)는 제1지지플레이트(21)에 용접으로 결합하거나 주물 생산에 의해 상호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2)는 강성 보강을 위하여 측면에 복수의 보강리브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25)는 판 형상으로 구성 가능하며, 일측면에 제2연결부(26)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25)는 띠장(4)에 볼트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26)는 전면에 위치하는 제2지지링크(24)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2연결부(26)는 제2지지플레이트(25)에 용접 또는 주물 생산에 의해 상호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26)는 강성 보강을 위하여 측면에 복수의 보강리브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21)와 제2지지플레이트(25) 사이에는 제1지지링크(23)와 제2지지링크(24)가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링크(23)는 일단이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21)의 제1연결부(2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제2지지링크(24)는 일단이 상기 제1지지링크(23)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1연결부(22), 제1지지링크(23) 제2지지링크(24), 제2연결부(26)는 각각 복수의 판 부재를 상호 이격시켜 서로 절점에서 중첩되도록 형성 가능하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7)는 제1연결부(22)와 제2지지링크(24)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러므로 제1연결부(22)와 제2지지링크(24)는 외측판이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22)와 제1지지링크(23), 제1지지링크(23)와 제2지지링크(24) 및 제2지지링크(24)와 제2연결부(26)의 절점은 각각 연결핀(28)에 의해 힌지 결합 가능하다.
상기 연결핀(28)의 양측에는 오링을 결합하여 연결핀(28)이 힌지 결합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7)는 제1연결부(22)와 제1지지링크(23), 제1지지링크(23)와 제2지지링크(24) 및 제2지지링크(24)와 제2연결부(26)의 각 절점에서 부재의 상대회전변위를 제한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7)는 굴절지지대(2)의 회전면과 평행한 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7)는 제1연결부(22)와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부목과 같은 역할을 하여 제1지지링크(23)와 제2지지링크(24)의 회전을 억제한다.
즉, 고정플레이트(27)의 면내력에 의해 제1연결부(22)와 제2지지링크(24)의 회전이 억제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7)로 제1연결부(22)와 제2지지링크(24)만 고정하여 회전을 억제하면, 굴절지지대(2) 전체가 직선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7)는 제1연결부(22)와 제2지지링크(24)의 일측면에만 결합될 수도 있으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제1연결부(22)와 제2지지링크(24)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7)는 굴절지지대(2) 본체와 분리 가능하다. 그러므로 고정플레이트(27) 손상시 고정플레이트(27)만 쉽게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7)는 구성이 단순하여 자재비 부담이 적다.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를 이용하여 버팀보(1)를 설치하는 과정과 해체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버팀보(1)는 도 4, 도 7과 같이, 제1연결부(22)와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 고정플레이트(27)가 고정되어 굴절지지대(2)가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설치한다.
이때, 상기 굴절지지대(2)는 제1지지플레이트(21)가 버팀보(1)의 일측 단부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며, 버팀보(1)의 타측 단부에는 잭킹수단(3)이 결합된다.
상기 굴절지지대(2)의 제2지지플레이트(21)는 띠장(4)에 볼트 등으로 결합한다.
상기 잭킹수단(3)의 신장에 의하여 버팀보(1)가 토류벽을 가압 고정할 수 있다.
반대로, 버팀보(1)를 해체하는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굴절지지대(2)의 제2지지플레이트(25)와 띠장(4)을 결합한 볼트를 풀어 제거하고, 고정플레이트(27)를 제1연결부(22)와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서 제거한다. 그리고 제1지지링크(23)와 제2지지링크(24)의 절점을 굴절시켜 굴절지지대(2)의 길이를 Δ만큼 축소함으로써 굴절지지대(2)를 띠장(4)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한다.
상기 버팀보(1)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굴절지지대(2)가 이미 강한 축력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절점에서 횡방향으로 작은 외력만 가하더라도 제1지지링크(23)와 제2지지링크(24)의 절점이 쉽게 굴절된다.
이에 따라 버팀보(1)의 절단이나 잭킹수단(3)의 스크류잭 길이를 축소하지 않고도 버팀보(1)를 간단하게 해체할 수 있다.
아울러 자재 손상이 거의 없어 굴절지지대(2)를 재사용 가능하므로, 경제성이 우수하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는 각각 돌출부(221, 24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7)에는 상기 돌출부(221, 241)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27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22), 제1지지링크(23), 제2지지링크(24) 및 제2연결부(26)가 일직선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돌출부(221, 241)가 고정플레이트(27)의 삽입공(271)에 삽입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가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21, 241)가 고정플레이트(27)에 형성된 삽입공(271)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구성함으로써, 제2지지링크(24)의 회전을 제한하는 경우에 대한 제1실시예이다.
이에 따라 굴절지지대(2)가 길이 전체에 걸쳐 직선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7)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에 형성된 돌출부(221, 241)는 상하 한 쌍의 대칭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제1지지링크(23)와 제2지지링크(24)의 외측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지지링크(23)의 측면에도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21, 241)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고정공(223)이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27)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7)의 외측에서 로킹바(29)가 상기 고정공(223)에 삽입되어 고정플레이트(27)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21, 241)가 고정플레이트(27)에 형성된 삽입공(27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7)가 이탈되지 않고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21, 241)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고정공(223)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상기 돌출부(221, 241)가 고정플레이트(27)의 삽입공(271)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공(223)에 로킹바(29)를 삽입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와 로킹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는 각각 삽입공(222, 24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7)에는 상기 삽입공(222, 242)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부(272)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22), 제1지지링크(23), 제2지지링크(24) 및 제2연결부(26)가 일직선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7)의 돌출부(272)가 삽입공(222, 242)에 삽입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가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도 5,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는 반대로 돌출부(272)를 고정플레이트(27)에 형성하고,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에 삽입공(222, 242)을 형성하는 제2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공(222, 242)에 고정플레이트(27)의 돌출부(272)가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2지지링크(24)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굴절지지대(2)가 길이 전체에 걸쳐 직선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상기 굴절지지대(2)는 자재비가 비싼 제1, 2지지링크(23, 24)나 제1, 2연결부(22, 26)에 돌출된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공사비가 절감되고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7)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에 형성된 삽입공(222, 242)은 상하 한 쌍의 대칭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22)의 삽입공(222)에 삽입되는 돌출부(272')에는 상하로 고정공(273)을 형성하되, 제1연결부(22)의 상부에 위치하는 삽입공(222)의 상부에도 고정공(225)을 관통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공들(225, 273)에 로킹바(29)를 체결함으로써, 고정플레이트(27)의 위치를 잠금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플레이트(27)의 일단이 제2지지플레이트(25)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경우, 제1연결부(22)의 측면에 고리부를 돌출 형성하고 고정플레이트(27)에는 상기 고리부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플레이트(27)가 제1연결부(22)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7)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부에 로킹바(29)를 결합하여 고정플레이트(27)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22)와 제1지지링크(23), 제1지지링크(23)와 제2지지링크(24) 및 제2지지링크(24)와 제2연결부(26)는 각각 절점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핀(28)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7)에는 상기 연결핀(28)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27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22), 제1지지링크(23), 제2지지링크(24) 및 제2연결부(26)가 일직선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연결핀(28)의 단부가 고정플레이트(27)의 삽입공(271)에 삽입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가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도 5,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나 도 9, 도 10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돌출부(221, 241 또는 272)와 이에 대응되는 삽입공(271 또는 222, 242)의 형성 없이, 각 부재가 만나는 절점을 힌지 연결하는 연결핀(28)을 활용하여 고정플레이트(27)를 고정하는 경우에 대한 제3실시예이다.
이 경우, 각 부재가 만나는 절점부는 연결핀(28)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며, 각 연결핀(28)은 고정플레이트(27)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공(271)에 단부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연결핀(28)으로 각 부재의 상대회전변위가 제한되도록 잠금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핀(28)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고정공(281)이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27)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7) 외측에서 로킹바(29)가 상기 고정공(281)에 삽입됨으로써 고정플레이트(27)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플레이트(27)가 제1연결부(22)와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7)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핀(28)의 고정공(281)에 로킹바(29)를 삽입하여 고정플레이트(27)에 의한 고정 상태를 잠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플레이트(27)의 일단은 제2지지플레이트(25)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 가능하다.
이는 도 5,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나 도 9, 도 10에 도시된 제2실시예는 물론 도 11, 도 12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경우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7)의 일단을 제2지지플레이트(25)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면, 고정플레이트(27)가 추락할 위험이 없어 안전하다. 아울러 고정플레이트(27)를 이용하여 제1, 2지지링크(23, 24)를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27)의 단부가 제2지지플레이트(25)에 고정되므로, 고정플레이트(27) 잠금시 제2지지플레이트(25)와 제2지지링크(24)의 상대회전변위도 제한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7)의 외측면에는 작업자가 손이나 공구로 고정플레이트(27)를 잡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275)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삽입공(222, 242, 271)은 굴절지지대(2)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변형이 허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버팀보(1)는 설치 상태에서 선행하중 또는 토압에 의해 축력을 받게 되고, 굴절지지대(2) 역시 축력을 받아 축 방향으로 축소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를 예로 들면, 상기 돌출부(221, 241)가 고정플레이트(27)의 삽입공(271)에 걸려 고정플레이트(27)의 해체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고정플레이트(27)의 삽입공(271)의 폭을 돌출부(221, 241)의 폭보다 길게 장공으로 형성함으로써, 길이 방향 변형에 대해 고정플레이트(27)의 설치 및 해체 작업에 영향이 없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고정플레이트(27)의 일단을 제2지지플레이트(25)에 힌지 결합한 경우, 고정플레이트(27)가 회전하면서 돌출부(221, 241)가 삽입공(271)에 삽입된다. 이 경우 삽입공(271)이 장공으로 형성되면, 돌출부(221, 241)가 고정플레이트(27)에 걸리지 않고 삽입공(271)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9, 도 10과 도 11, 도 12에 도시된 제2, 3실시예에서도 삽입공(222, 242, 271)을 굴절지지대(2)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으로 형성하여, 고정플레이트(27)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도 13은 굴절이 허용된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굴절이 제한된 본 발명 버팀보용 굴절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243)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22)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43)과 대응되는 높이에 한 쌍의 걸림부(224)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27)는 상기 가이드레일(243)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부(22), 제1지지링크(23), 제2지지링크(24) 및 제2연결부(26)가 일직선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7)가 제1연결부(22)의 걸림부(224) 사이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가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고정플레이트(27)를 슬라이딩 이동하여 고정하는 경우에 대한 제4실시예이다.
상기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24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43)은 단면을 ㄱ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고정플레이트(27)는 한 쌍의 ㄱ자 단면 형상의 가이드레일(243) 내측에 걸리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레일(243)은 제2지지링크(24)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굴절지지대(2)의 양측에서 고정플레이트(27)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3과 같이, 굴절지지대(2)의 굴절이 허용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레일(243)이 제2지지링크(24) 측으로 후퇴된 상태로 있다.
그리고 도 14와 같이, 굴절지지대(2)의 굴절이 제한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레일(243)이 제1연결부(22) 측으로 전진하여 제1연결부(22)와 제2지지링크(24)에 모두 걸쳐져 부재의 상대회전변위를 제한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22)의 걸림부(224)를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고 고정플레이트(27)의 외측면에도 고리부(274)를 결합하여, 로킹바(29)를 걸림부(224)와 고리부(274)에 삽입함으로써 고정플레이트(27)의 슬라이딩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 고리부(274)는 고정플레이트(27)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손잡이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7)는 와이어 등으로 제2지지링크(24)나 제2지지플레이트(25)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플레이트(27)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7)가 가이드레일(24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버팀보 2: 굴절지지대
21: 제1지지플레이트 22: 제1연결부
221: 돌출부 222: 삽입공
223: 고정공 224: 걸림부
225: 고정공 23: 제1지지링크
24: 제2지지링크 241: 돌출부
242: 삽입공 243: 가이드레일
25: 제2지지플레이트 26: 제2연결부
27: 고정플레이트 271: 삽입공
272, 272': 돌출부 273: 고정공
274: 고리부 275: 손잡이부
28: 연결핀 281: 고정공
29: 로킹바 3: 선행하중잭
4: 띠장

Claims (9)

  1. 일측면에 제1연결부(22)가 돌출 형성된 판 형상의 제1지지플레이트(21);
    일단이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21)의 제1연결부(2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링크(23);
    일단이 상기 제1지지링크(23)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링크(24);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연결부(26)가 상기 제2지지링크(24)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플레이트(25); 및
    상기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를 제한하는 고정플레이트(27); 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는 각각 돌출부(221, 24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7)에는 상기 돌출부(221, 241)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27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22), 제1지지링크(23), 제2지지링크(24) 및 제2연결부(26)가 일직선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돌출부(221, 241)가 고정플레이트(27)의 삽입공(271)에 삽입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돌출부(221, 241)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고정공(223)이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27)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7) 외측에서 로킹바(29)가 상기 고정공(223)에 삽입되어 고정플레이트(27)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4. 일측면에 제1연결부(22)가 돌출 형성된 판 형상의 제1지지플레이트(21);
    일단이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21)의 제1연결부(2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링크(23);
    일단이 상기 제1지지링크(23)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링크(24);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연결부(26)가 상기 제2지지링크(24)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플레이트(25); 및
    상기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를 제한하는 고정플레이트(27); 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는 각각 삽입공(222, 24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7)에는 상기 삽입공(222, 242)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부(272)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22), 제1지지링크(23), 제2지지링크(24) 및 제2연결부(26)가 일직선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7)의 돌출부(272)가 삽입공(222, 242)에 삽입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5. 일측면에 제1연결부(22)가 돌출 형성된 판 형상의 제1지지플레이트(21);
    일단이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21)의 제1연결부(2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링크(23);
    일단이 상기 제1지지링크(23)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링크(24);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연결부(26)가 상기 제2지지링크(24)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플레이트(25); 및
    상기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를 제한하는 고정플레이트(27); 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22)와 제1지지링크(23), 제1지지링크(23)와 제2지지링크(24) 및 제2지지링크(24)와 제2연결부(26)는 각각 절점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핀(28)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7)에는 상기 연결핀(28)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27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22), 제1지지링크(23), 제2지지링크(24) 및 제2연결부(26)가 일직선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연결핀(28)의 단부가 고정플레이트(27)의 삽입공(271)에 삽입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6. 제5항에서,
    상기 연결핀(28)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고정공(281)이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27)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7) 외측에서 로킹바(29)가 상기 고정공(281)에 삽입됨으로써 고정플레이트(27)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7. 제1항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7)의 일단은 제2지지플레이트(25)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삽입공(222, 242, 271)은 굴절지지대(2)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변형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9. 일측면에 제1연결부(22)가 돌출 형성된 판 형상의 제1지지플레이트(21);
    일단이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21)의 제1연결부(2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링크(23);
    일단이 상기 제1지지링크(23)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링크(24);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연결부(26)가 상기 제2지지링크(24)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플레이트(25); 및
    상기 제1연결부(22) 및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어 각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를 제한하는 고정플레이트(27); 로 구성되되,
    상기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243)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22)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43)과 대응되는 높이에 한 쌍의 걸림부(224)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27)는 상기 가이드레일(243)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부(22), 제1지지링크(23), 제2지지링크(24) 및 제2연결부(26)가 일직선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7)가 제1연결부(22)의 걸림부(224) 사이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절점에서 상대회전변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KR1020180078312A 2018-07-05 2018-07-05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KR102095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312A KR102095480B1 (ko) 2018-07-05 2018-07-05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312A KR102095480B1 (ko) 2018-07-05 2018-07-05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86A KR20200005086A (ko) 2020-01-15
KR102095480B1 true KR102095480B1 (ko) 2020-03-31

Family

ID=6915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312A KR102095480B1 (ko) 2018-07-05 2018-07-05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4668B (zh) * 2022-09-15 2024-05-24 广东美伦环境建设有限公司 一种园林绿化工程支护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873B1 (ko) * 2011-11-23 2013-09-04 (주)피에스테크 굴절지지대를 이용한 버팀보 지지장치
KR101481076B1 (ko) * 2013-05-10 2015-01-13 이경진 버팀보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86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49009A1 (zh) 一种装配式钢筋桁架楼承板
KR101117546B1 (ko)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
KR20130002122U (ko)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JPH02178442A (ja) 支柱の連結方法及び支柱装置
KR101357775B1 (ko)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버팀보 연결장치
KR101883413B1 (ko) 지지용 브라켓 설치구조
KR102095480B1 (ko) 버팀보용 굴절지지대
KR101289563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비계용 안전발판
JP6498075B2 (ja) 鉄骨構造物の張出通路
KR101811001B1 (ko) 작업 발판을 구비하는 원형 강관 버팀보
KR20160059275A (ko) 지중 관로 시공을 위한 조립식 흙막이 안전시설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시공 공법
KR101142879B1 (ko) 슬라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JP2019157531A (ja) 支持フレームおよび荷受けステージの設置方法
JP4131467B2 (ja) トンネル支保構造およびトンネル支保工法
CN108756211B (zh) 一种施工用铝模板
KR200443476Y1 (ko) 벽체 지지용 구조체
CA3139184A1 (en) Strut connector
KR20130011846A (ko) 건축공사용 동바리 결합체
KR101843979B1 (ko) 기존도로 또는 도로진입 토공과의 접속을 위한 가설교량의 범용적 가변 거더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KR102001638B1 (ko) 전단-휨 보강재를 구비한 강관버팀보 연결재
KR102178790B1 (ko) 합벽지지대
KR200492207Y1 (ko) 유로폼 지지 구조
KR102549583B1 (ko)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
JP7258664B2 (ja) 作業足場及びフランジ設置部材
KR101104701B1 (ko) 배수로 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