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546B1 -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 - Google Patents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546B1
KR101117546B1 KR1020090076112A KR20090076112A KR101117546B1 KR 101117546 B1 KR101117546 B1 KR 101117546B1 KR 1020090076112 A KR1020090076112 A KR 1020090076112A KR 20090076112 A KR20090076112 A KR 20090076112A KR 101117546 B1 KR101117546 B1 KR 101117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quare steel
reinforcing member
brac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581A (ko
Inventor
김동준
이승원
김현숙
강창우
김광복
배수성
Original Assignee
(주)피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피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090076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5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8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도심지 굴착 공사에 적용되는 가설 흙막이 공법에 있어 사각강관으로 된 버팀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보강부재 및 이들 버팀보와 띠장 또는 잭써포트 간의 접합을 위한 접합보강부재를 이용한 사각강관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대향의 체결구조를 갖는 연결보강부재와 사각강관 버팀보와의 결합 및 띠장과의 결합이 가능한 접합보강부재를 각기 구비하여, 상기 연결보강부재를 통해서는 설치위치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버팀보를 앉혀 놓은 상태로 상호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접합보강부재를 통해서는 사각강관 버팀보와 띠장 또는 사각강관 버팀보와 잭써포트와의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인 체결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체결원리를 현실화시켜 버팀보의 설치위치에서 이를 거치 연결 및 해체가 가능하며, 구조적인 강성이 크게 보강된 연결보강부재 및 접합보강부재에 의해 시공 안정성이 크게 증대되므로 시공성과 안정성, 경제성 부분에서 탁월한 성능을 갖는 것이다.
사각강관, 띠장, 버팀보, 잭써포트, 연결보강부재, 접합보강부재,

Description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 {Structure for connecting and jointing square still supporting beam in temporary soil sheathing and reinforcing member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도심지 굴착 공사에 적용되는 가설 흙막이 공법에 있어 사각강관으로 된 버팀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보강부재 및 이들 버팀보와 띠장 또는 잭써포트 간의 접합을 위한 접합보강부재를 이용한 사각강관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대향 체결되는 형태의 연결보강부재를 통해 사각강관 버팀보의 설치위치에서 사각강관 버팀보 간의 용이한 연결이 가능한 것이고, 접합보강부재는 사각강관 버팀보와 띠장 또는 띠장에 결합된 잭써포트와의 안정적이고 용이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설 흙막이 공사에서의 사각강관 버팀보에 대한 시공 시간의 단축 및 연결 및 접합강도가 향상되게 한 것이다.
통상의 건설현장에서는 구조물 축조(토목/건축현장)를 위한 지반굴착시 굴착 배면의 토사 붕괴방지 및 변위억제를 위해 통상적인 방법으로 가설 흙막이 공사를 시행하게 되며 이때 굴착 배면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법을 적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버팀보 공법이나 앵커 공법 등을 적용하게 된다.
이때 버팀보 공법은 토류벽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고정된 띠장을 설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의 띠장을 가로지르는 다수의 버팀보를 설치하여 토류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도록 하는 공법으로서 H-Pile과 원형강관을 적용하는 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버팀보 공법은 마주보는 띠장의 간격에 따라 버팀보의 길이가 연장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가설 흙막이 공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H-Pile 버팀보 공법은 버팀보 간의 연결에 대한 문제점은 없으나, H-Pile의 강재 특성상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의 강성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강축과 약축이 존재하게 되며, 약축방향으로는 좌굴이 발생하여 H-Pile에 대한 변위가 발생하므로 굴착 배면에 대한 토압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좌굴을 예방하기 위해 약축 방향에 수평 및 수직의 보강재를 설치하는 보강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강재 사용량의 증가와 보강재 설치작업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H-Pile과는 달리 원형강관을 이용한 버팀보 공법은 약축과 강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약축에 대한 좌굴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약축 보강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H-Pile 공법과 같이 작업자가 버팀보를 밟고 다니며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전혀 수행할 수 없다.
또한, 버팀보를 연결하기 위한 작업을 버팀보가 직접 설치되는 공중에서 수행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작업장에서 버팀보를 조립한 후 대형 크레인 등의 인양 장비에 의해 거대한 전체 버팀보 시스템을 설치위치에 거치하게 되며 해체시에도 동일과정을 역순으로 시행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항상 사고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원형강관을 이용한 버팀보 공법은 H-Pile 버팀보 공법과는 달리 볼트의 체결에 있어 볼트 또는 너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아니하므로 별도의 브라켓 장치나 연장 체결부 등을 추가로 구성하여 이들을 통해 상호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므로 부수적인 많은 사전 및 예비 작업을 요구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사전 및 예비작업은 공기의 지연은 물론 추가 인건비의 발생과 많은 량의 강재 사용으로 인해 공사비를 가중시키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상하 대향의 체결구조를 갖는 연결보강부재와 사각강관 버팀보와의 결합 및 띠장과의 결합이 가능한 접합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보강부재를 통해서는 설치위치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버팀보를 앉혀 놓은 상태로 상호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접합보강부재를 통해서는 사각강관 버팀보와 띠장 또는 사각강관 버팀보와 잭써포트와의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인 체결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일반적인 버팀보 공법이 갖고 있던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반굴착시 굴착 배면에 대하여 서로 마주하는 띠장 간에 결합되는 사각강관 버팀보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띠장 간의 거리에 따라 사각강관 버팀보를 연결하고자, 제1의 사각강관 버팀보의 일측단 하측으로 제1의 연결보강부재를 돌출되도록 결합 형성하고, 제1의 사각강관 버팀보에 연결되기 위한 제2의 사각강관 버팀보의 일측단 상측에는 제2의 연결보강부재가 돌출되도록 결합 형성하여, 제1의 사각강관 버팀보 상에 결합된 제1의 연결보강부재 상에 제2의 사각강관 버팀보의 단부를 얹혀 놓아 상 기 제1의 연결보강부재와 제2의 연결보강부재가 상,하로 대향되면 이들 제1의 연결보강부재와 제2의 연결보강부재를 체결 고정함에 따라 제1 및 제2의 사각강관 버팀보에 대한 연결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사각강관 버팀보의 단부를 띠장이나 잭써포트와 접합하고자, 사각강관 버팀보의 끝단부가 수용되는 삽입부를 갖는 접합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부와 사각강관 버팀보와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접합보강부재의 타측부는 띠장이나 잭써포트와 체결 형성함에 따라 사각강관 버팀보와 띠장 및 잭써포트가 접합보강부재를 통해 서로 접합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띠장 간에 설치되는 버팀보를 연결함에 있어 연결하고자 하는 버팀보의 일단을 연결보강부재 상에 앉혀 놓을 수 있어 버팀보에 대한 설치위치에서의 연결 및 해체가 가능한 것이고, 띠장 또는 띠장에 체결된 잭써포트와 사각강관으로 된 버팀보를 접합함에 있어서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버팀보의 연결부에 위치하는 연결보강부재 및 버팀보와 띠장 또는 버팀보와 잭써포트와의 접합부에 위치하는 접합보강부재에 작용하는 고도의 응력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보강 설계됨에 따라 이들 연결보강부재나 접합보강부재에 대한 좌굴 및 변형에 대한 예방이 가능하여 이들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강관 버팀보의 시공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강관 버팀보의 시공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시공구조에서 적용되는 사각강관 버팀보(10)(10')는 기존의 H-Pile과는 달리 강축과 약축이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약축에 대한 보강이 전혀 필요없는 것이고, 약축 보강을 위한 보강편을 덧대는 용접공정이나 브레이싱 설치로 인한 구조적, 경제적 문제가 전혀 없는 것이며, 원형강관과는 달리 작업자가 사각강관으로 된 버팀보(10)(10')의 상부면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각강관 버팀보(10)(10')는 굴착지에 기 설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형태의 띠장을 가로질러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의 띠장 간 폭이 단 하나의 버팀보가 갖고 있는 길이보다 긴 경우가 일반적일 것이므로 이때에는 적어도 2개 이 상의 사각강관 버팀보(10)(10')를 서로 연결 시공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의 사각강관 버팀보(10)를 설치하기 전에 제1의 연결보강부재(20)를 상기 제1의 사각강관 버팀보(10)의 단부 하측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한 상태로 1차적인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제2의 사각강관 버팀보(10') 역시 또 다른 제2의 연결보강부재(20')를 제2의 사각강관 버팀보(10')의 단부 상측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의 사각강관 버팀보(10)와의 연결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의 연결보강부재(20)(20')는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거나 사각강관의 절단 또는 주물 생산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사각강관 버팀보(10)(10')의 수평 외면이 맞닿는 수평부(24)(24')와 이들 수평부(24)(24')로부터 양측으로 절곡 형성된 수직부(23)(23')를 갖고 있고 상기 수직부(23)(23')의 끝단에는 수평의 결합플랜지(22)(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결합플랜지(22)(22')와 수평부(24)(24')에는 관통의 체결공(25)(25')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사각강관 버팀보(10)(10')의 끝단부에 체결공(11)(11')을 천공한 상태에서, 연결보강부재(20)(20')의 체결공(25)(25')과 상기 사각강관 버팀보(10)(10')의 체결공(11)(11')을 서로 일치시켜 이들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하측에 위치하는 연결보강부재(20)는 전체 길이에 대하여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만큼만 일측의 사각강관 버팀보(10)에 체결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돌출된 연결보강부재(20) 상에 얹혀지는 또 다른 사각 강관 버팀보(10')에는 상측에 위치하는 또 다른 연결보강부재(20')가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사각강관 버팀보(10)(10')의 대향 단부에 대하여 각기 상,하측에 체결된 상태의 연결보강부재(20)(20')의 결합플랜지(22)(22')를 서로 체결함에 따라 상기 사각강관 버팀보(10)(10')에 대한 연결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선행의 제1의 사각강관 버팀보(10)에 결합된 상태의 제1의 연결보강부재(20)는 제2의 사각강관 버팀보(10') 단부가 얹혀 질 수 있는 받침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상기 제2의 사각강관 버팀보(10')의 단부를 제1의 연결보강부재(20) 상에 올려놓아 임시 거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각강관 버팀보(10)(10')의 상부면을 작업자가 밟고 이동하여 상,하로 대향 위치하고 있는 제1의 연결보강부재(20)와 제2의 연결보강부재(20')의 결합플랜지(22)(22')를 체결공(25)(25')을 통해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서로 견고하게 체결하면 사각강관 버팀보(10)(10')에 대한 연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 작업을 역순으로 수행함에 따라 가설 흙막이 시설에서의 버팀보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사각강관 버팀보(10)(10')를 서로 연결 고정하고 있는 연결보강부재(20)(20') 간의 볼트와 너트를 풀어낸 후, 제2의 사각강관 버팀보(10')의 인양 제거 및 제1의 사각강관 버팀보(10)의 안양 제거를 통해 빠르고 효과적으로 사각강관 버팀보에 대한 해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크레인 등의 중장비에 의해 버팀보 시스템 전체를 설치위치에 거치하는 기존의 원형강관 설치방법과는 달리 설치위치에서 사각강관 버팀 보(10)(10')에 대한 직접 연결이나 해체가 가능하여 작업공정이 빨라지며 장비 대수나 크기도 작아질 수 있어 시공성이 개선되므로 작업 공기를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경제적 시공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의 연결보강부재(20)(20')는 전기한 바와 같이 사각강관 버팀보(10)(10')를 단순히 연결 지지하기 위한 역할뿐만 아니라, 이들 사각강관 버팀보(10)(10')의 연결부에 작용하는 고도의 응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자체의 좌굴이나 변형이 방지되도록 설계가 이루어진 것이다.
즉, 상기의 연결보강부재(20)(20')의 내측에는 서로 마주하는 사각강관 버팀보(10)(10')의 끝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강격판(21)(21')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보강격판(21)(21')은 축방향으로 압축응력을 받는 버팀보의 연결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고, 연결보강부재(20)(20')에 대하여 사각강관 버팀보(10)(10')의 축방향 좌굴응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보강격판(21)(21')이 안전판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좌굴 및 변형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어 구조적 성능이 크게 개선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보강격판(21)(21')은 연결보강부재(20)(20')의 양측단에 형성된 결합플랜지(22)(22')의 강성을 증가시켜주는 역할 등을 수행하므로 결국 사각강관 버팀보(10)(10')의 구조적 강성 및 연결 성능을 크게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또한, 동일 형상을 갖고 제1의 사각강관 버팀보(10)와 제2의 사각강관 버팀보(10')의 대향 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대향 결합된 상태의 연결보강부재(20)(20')는 사각강관 버팀보(10)(10')를 일직선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 상,하의 연결보강부재(20)(20')에 형성된 결합플랜지(22)(22')가 서로 소정의 이격 간격을 갖도록 설계함에 따라 이들 상,하의 연결보강부재(20)(20')를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경우 연결보강부재(20)(20') 전체가 사각강관 버팀보(10)(10')의 외면을 가압하여 조여주는 작용을 하므로 결국 이들 상호 간의 결합력이 크게 증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연결보강부재(20)(20')의 결합플랜지(22)(22')와 수직부(23)(23')의 사이를 연결 고정하고 있는 다수의 보강편(26)(26') 역시 상기 연결보강부재(20)(20')에 대한 구조적이고 물리적인 강성을 증대시켜주어 연결보강부재(20)(20')에 대하여 작용하는 고도의 압축응력으로부터 좌굴이나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상기 결합플랜지(22)(22')에 대한 강성을 크게 증대시켜 상기 사각강관 버팀보(10)(10')를 더욱 견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연결보강부재(20)(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강판을 절곡 형성하거나 주물 형태로의 제작이 가능할 것이고, 적정 두께의 사각강관을 절단한 후 결합플랜지(22)(22')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의 보강격판(21)(21')은 중량 절감을 위해 중앙부에 살빼기 홈을 형성한 상태에서 이를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이미 가설된 띠장(40)과 사각강관 버팀보(10)(10')를 서로 직접 접합하거나 기존에 사용되는 잭써포트(50)과 결합하기 위한 접합보강부재(3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의 접합보강부재(30)는, 사각강관 버팀보(10)(10')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내폭을 갖는 사각의 삽입부(31)를 갖고 있고 삽입부(31)의 일측에는 보강재(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강재(32)의 끝단에는 체결판(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삽입부(31)와 체결판(33)에는 각각 사각강관 버팀보(10)(10') 및 띠장(40) 또는 잭써포트(50)와 서로 결합시키시 위한 체결공(34)(34')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삽입부(31)와 체결판(33)의 사이에는 보강재(32)의 외면에 해당하는 위치의 지지편(35)(35')이 사방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보강재(32)는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된 다면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다면체로 된 보강재(32)는 축방향에 작용하는 고도의 압축응력으로부터 효과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므로 상기 접합보강부재(30)의 물리적 강성을 크게 증대시키므로 좌굴이나 변형으로부터 안전한 것이고, 상기 지지편(35)(35') 역시 축방향으로의 압축응력으로부터 접합보강부재(30)의 좌굴이나 변형이 방지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고도의 물리적 강성을 갖는 접합보강부재(30)를 통해 사각강관 버팀보(10)(10')와 띠장(40) 또는 사각강관 버팀보(10)(10')과 잭써포트(50)와의 견고한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삽입부(31)는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거나 사각강관을 절단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어서 양측이 모두 개방되어 있을 것이므로 일측에 대한 마감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삽입부(31)와 동일한 폭과 넓이를 갖는 별도의 지지격판(36)을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보강재(32)와 지지 편(35)(35')은 상기 지지격판(36) 상에 용접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것이고, 상기 체결판(33)은 이와 같은 보강재(32)와 지지편(35)(35')의 끝단부에 용접 형성될 것이므로 결국 이들 삽입부(31)와 보강재(32) 및 체결판(33)과 지지편(35)(35') 그리고 지지격판(36)은 일체화된 연결 구조를 갖고 있어 구조적인 강성이 크게 증대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보강재(32)는 다면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체결판(33)과 지지격판(36)의 사이에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8각 기둥의 형상으로 제작하여 고정 형성함에 따라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는 것이 이상적인 것이고, 상기와 같은 8각의 사다리꼴 기둥의 평평한 측면부에 전기한 지지편(35)(35')을 덧대어 보강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접합보강부재(30)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고도의 압축응력으로부터 효과적인 지지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결보강부재(20)(20') 및 접합보강부재(30)를 통한 사각강관 버팀보(10)(10')에 대한 연결 및 접합 시공이 합리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데, 상기의 연결보강부재(20)(20') 및 접합보강부재(30)에 대하여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된 보강편(26)(26') 및 지지편(35)(35')은 버팀보 간의 연결이나 버팀보와 띠장 간의 접합 또는 버팀보와 잭써포트와의 접합과정에서 볼트 및 너트를 회전시켜 상호 간의 체결 작업을 수행하는데 간섭이 되기도 한다.
즉, 사각강관 버팀보(10)(10')와 연결보강부재(20)(20')를 서로 체결함에 있어, 연결보강부재(20)(20')의 외측으로부터 체결공(25)(25')으로 끼워지는 볼트는 공구의 회전 조임에 방해를 받지 않을 것이나, 사각강관 버팀보(10)(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될 너트의 경우에는 손이 닿지 않거나 공구를 투입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을 것이고, 접합보강부재(30)와 띠장(40) 또는 잭써포트(50)를 접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볼트 또는 너트 중 하나의 요소는 상기의 보강편(26)(26')이나 지지편(35)(35')으로부터 간섭하여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될 것이다. 이는, 기존의 접합장치가 면 좌굴 발생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보강편 등을 추가할 수 없었던 주된 이유인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 등의 진입이나 접근이 어려운 부분에서는 도 8의 도시와 같은 별도의 고정너트(60)를 사용함에 따라 볼트(70)의 회전만으로도 상호 간의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의 고정너트(60)는 일측으로 끼움부(61)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끼움부(61)의 외면에는 간섭돌기(62)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의 진입 또는 접근이나 회전반경이 허락되지 않는 협소한 체결부에서는 사각강관 버팀보(10)(10')에 형성된 체결공(11)(11')이나 연결보강부재(20)(20')에 형성된 체결공(25)(25') 또는 접합보강부재(30)에 형성된 체결공(34)(34')으로 상기 고정너트(60)의 끼움부(61)를 강제로 가압 결합시 키면 상기의 고정너트(60)는 끼움부(61)의 간섭돌기(62)가 사각강관 버팀보(10)(10')의 체결공(11)(11')이나 연결보강부재(20)(20')의 체결공(25)(25') 또는 접합보강부재(30)(30')의 체결공(34)(34') 내면에 강제로 결합되면서 회전력이 억제된 상태로 고정될 것이므로 별도의 볼트(50) 만을 회전시켜 서로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기존의 체결방식으로 H-Pile 또는 원형강관 등에서는 사용되는 일반볼트를 이용하여 볼트구멍에 삽입 체결하려면 볼트 또는 너트 회전을 위한 공간 확보문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의 대안으로 원형강관 등에서는 다음과 같은 2가지 대안을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그 첫 번째 대안이 볼트구멍을 너트 대용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볼트구멍이 형성되는 부재의 두께가 20㎜이상 증가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의 다른 대안으로 적용되고 있는 또 다른 방법은 너트를 강관에 용접 등으로 결합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 역시 볼트 변형 발생 시 볼트 머리만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볼트의 해체가 불가능하여 원형강관을 절단해야하며 이로 인해 연결보강부재의 재사용이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 9의 도시와 같이 사각강관 버팀보(10)(10')와 연결보강부재(20)(20')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사각강관 버팀보(10)(10')와 접합보강부재(30)를 서로 접합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접합보강부재(30)와 띠장(40)을 접합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접합보강부재(30)와 잭써포트(50)를 접합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 서로 일치하는 체결구멍 중 어느 하나의 체결구 멍(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의 접근이나 회전이 어려운 위치의)에 상기의 고정너트(60)를 가압 고정한 상태에서 별도의 볼트(70)를 상호 간에 나사 결합시키면 어렵지 않게 견고한 결속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고정너트(60)는 해머 등의 타입력에 의해 임시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의 고정너트(60)가 불필요한 경우 타격에 의해 간편하게 분리 및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각강관 버팀보(10)(10')나 연결보강부재(20)(20') 또는 접합보강부재(30)를 본래의 형태 그대로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분리된 고정너트(60) 역시 외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고정너트(60)가 필요한 부분에서 재사용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합리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강관 버팀보의 시공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강관 버팀보의 시공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보강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보강부재에 의한 연결시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강관 버팀보의 접합보강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강관 버팀보의 접합보강부재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강관 버팀보의 접합보강부재에 의한 접합시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강관 버팀보의 체결을 위한 고정너트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보강부재의 체결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강관 버팀보의 접합보강부재의 체결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 사각강관 버팀보 11,11' : 체결공
20,20' : 연결보강부재 21,21' : 보강격판
22,22' : 결합플랜지 23,23' : 수직부
24,24' : 수평부 25,25' : 체결공
26,26' : 보강편
30 : 접합보강부재 31 : 삽입부
32 : 보강재 33 : 체결판
34,34' : 체결공 35,35' : 지지편
36 : 지지격판
40 : 띠장
50 : 잭써포트
60 : 고정너트 61 : 끼움부
62 : 간섭돌기
70 : 볼트

Claims (8)

  1. 연결하고자 하는 두 사각강관 버팀보 중 제1사각강관 버팀보의 일단부 하측에 결합되되 일부가 상기 제1사각강관 버팀보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연결보강부재와, 두 사각강관 버팀보 중 제2사각강관 버팀보의 일단부 상측에 결합되되 일부가 상기 제2사각강관 버팀보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연결보강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보강부재의 돌출된 부분에 상기 제2사각강관의 단부를 올려놓아 상기 제1,2연결보강부재가 상,하로 대향되면 상기 제1,2연결보강부재를 서로 체결 고정함에 의해 상기 두 사각강관 버팀보를 연결하는 연결보강부재; 및
    상기 사각강관 버팀보의 단부를 띠장이나 잭써포트에 결합하고자 상기 사각강관 버팀보의 단부에 고정되는 접합보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2연결보강부재는,
    상기 사각강관 버팀보의 수평면에 밀착되며, 체결공이 형성된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체결공이 형성된 수평의 결합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강관 버팀보와 상기 연결보강부재와의 체결, 상기 제1,2연결보강부재간의 체결, 상기 사각강관 버팀보와 상기 접합보강부재와의 체결, 및 상기 접합보강부재와 띠장 또는 잭써포트간의 체결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시공하며,
    서로 체결되는 상기 구성요소들 간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 중 체결시 손이나 공구의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에는 별도의 고정너트를 가압 고정하여 상기 볼트의 회전만으로 상호 간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고정너트의 외면에 간섭돌기가 형성된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를 상기 체결공에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강부재는 내면에 양측의 상기 수직부를 서로 연결하면서도 상기 수평부와 연결된 보강격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강부재는 상기 수직부와 결합플랜지를 연결하는 보강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76112A 2009-08-18 2009-08-18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 KR101117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112A KR101117546B1 (ko) 2009-08-18 2009-08-18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112A KR101117546B1 (ko) 2009-08-18 2009-08-18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477A Division KR20110096107A (ko) 2011-07-15 2011-07-15 사각강관 버팀보의 단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581A KR20110018581A (ko) 2011-02-24
KR101117546B1 true KR101117546B1 (ko) 2012-03-07

Family

ID=4377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112A KR101117546B1 (ko) 2009-08-18 2009-08-18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5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390B1 (ko) * 2013-06-14 2014-10-07 고형배 사각강관 띠장과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구조
KR101941818B1 (ko) 2018-05-08 2019-01-23 유승열 강관버팀보의 이음 및 결합구조체
KR20210136374A (ko) * 2020-05-07 2021-11-17 강용길 시트파일로 제조된 보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996A (ko) * 2011-05-27 2012-12-05 (주)피에스테크 흙막이 가시설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89149B1 (ko) * 2011-08-10 2013-07-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및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
KR200471055Y1 (ko) * 2011-09-27 2014-01-29 윤희정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KR101322122B1 (ko) * 2011-12-01 2013-10-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버팀보용 강관 이음장치,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지지용 강관 버팀보 및 그 버팀보의 시공방법
KR101357775B1 (ko) * 2012-04-04 2014-02-04 (주)피에스테크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버팀보 연결장치
KR101502772B1 (ko) * 2013-05-20 2015-03-18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압축력을 받는 부재와 부재의 연결재
WO2016003208A1 (ko) * 2014-07-04 2016-01-07 (주)피에스테크 강관 버팀보를 이용한 가설 흙막이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811002B1 (ko) 2015-09-24 2018-01-09 주식회사 스틸텍 버팀보용 강관 연결장치
KR102108622B1 (ko) 2018-04-05 2020-05-07 (주)대우건설 공기단축형 가설 스트럿 지지 구조
CN108677965B (zh) * 2018-05-25 2020-05-12 云南建投基础工程有限责任公司 基坑装配式钢支撑可调加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607794A (zh) * 2019-10-22 2019-12-24 山西省工业设备安装集团有限公司 一种复合式深基坑支护维稳安全结构
KR102615438B1 (ko) * 2021-08-04 2023-12-19 자이에스앤디 주식회사 강관버팀보에 사용하는 연결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4543A (ja) 2000-02-02 2001-08-10 East Japan Railway Co 継材用仕口
KR100733719B1 (ko) 2006-02-15 2007-07-04 (주)핸스건설 길이조정형 강관 버팀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4543A (ja) 2000-02-02 2001-08-10 East Japan Railway Co 継材用仕口
KR100733719B1 (ko) 2006-02-15 2007-07-04 (주)핸스건설 길이조정형 강관 버팀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390B1 (ko) * 2013-06-14 2014-10-07 고형배 사각강관 띠장과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구조
KR101941818B1 (ko) 2018-05-08 2019-01-23 유승열 강관버팀보의 이음 및 결합구조체
KR20210136374A (ko) * 2020-05-07 2021-11-17 강용길 시트파일로 제조된 보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2421264B1 (ko) * 2020-05-07 2022-07-14 강용길 시트파일로 제조된 보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581A (ko)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546B1 (ko)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
KR101357775B1 (ko)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버팀보 연결장치
KR100917833B1 (ko) 기둥 축조용 거푸집 고정 구조
KR102066926B1 (ko)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
KR200381589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101289149B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및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
KR102012883B1 (ko)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322020B1 (ko) 마찰접합형 강관 버팀보용 연결장치,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지지용 강관 버팀보 및 그 버팀보의 시공방법
KR101097841B1 (ko) 일체형 기둥 웨일러
KR20120104798A (ko) 버팀보 중앙연결장치
JP2005282339A (ja) 中空鋼管鉄塔の添接l形材による補強構造
JP3564669B2 (ja) 配筋スペーサ及び基礎杭工法
JP2927402B2 (ja) コンクリート建造物の柱・梁接合部構造
KR101325383B1 (ko) 강관 버팀보 연결 구조
KR200386881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JP4386804B2 (ja) 既設鉄塔の耐震補強構造
CN211776455U (zh) 一种可移动式轨道围挡
JP4528177B2 (ja) 床形成方法および床形成構造
JP2005248487A (ja) 中空鋼管鉄塔の添接丸材による補強構造
KR101359159B1 (ko) 흙막이벽 지지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부재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벽 지지용 강관 버팀보의 이음구조
JP6736830B2 (ja) 地下躯体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構築物の建替工法
JP2008163697A (ja) 型枠構造
KR102552341B1 (ko) 에너지 소산형 c형 댐퍼를 이용한 pc 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8127825A (ja) 柱と梁の接合方法
KR200249532Y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