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583B1 -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583B1
KR102549583B1 KR1020220101938A KR20220101938A KR102549583B1 KR 102549583 B1 KR102549583 B1 KR 102549583B1 KR 1020220101938 A KR1020220101938 A KR 1020220101938A KR 20220101938 A KR20220101938 A KR 20220101938A KR 102549583 B1 KR102549583 B1 KR 102549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upporting
supporting member
groove
coupled
lateral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회근
Original Assignee
강한종합건설 주식회사
양회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한종합건설 주식회사, 양회근 filed Critical 강한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2Shores or struts; Chocks non-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3Supports therefor, e.g. trip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이 양단에 지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하중지지부재; 상기 수직하중지지부재의 측면에 결합되어 건물의 상부구조물과 연결되거나 하부구조물에 연결되어 지지력을 보강해주는 측방하중지지부재;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와 수직하중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하중지지부재는, 측면에 오목한 요홈과, 상기 요홈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요홈의 양 측벽을 수평관통하여 결합되며 종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연결축핀과, 상기 요홈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축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착탈부재와,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의 일단에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착탈부재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되 자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Supporting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with improved constructability}
본 발명은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에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토목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용 구조물 지지장치는, 지하도 및 지하철, 아파트 지하주차장 등의 건설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 양생작업을 할 때에 콘크리트 타설 전이나 또는 타설 후 콘크리트 양생기간 중에 콘크리트의 하중을 받쳐주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토목 및 건축용 기구이다.
특히, 토목 및 건축용 구조물 지지장치는, 고하중에 견디며, 진동하중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으며, 운전 조작을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지닌다.
종래의 토목 및 건축용 구조물 지지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형강(1)의 상면 수직으로 토목 및 건축용 구조물 지지장치(10)가 볼트로 결합되며, 상기 토목 및 건축용 구조물 지지장치(10)의 상부로는 수직형강(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직형강(2)의 양쪽 측면에는 수직형강(2)을 지지하는 지지형강(3)이 토목 및 건축용 구조물 지지장치(10)에 의하여 수평형강(1)에서 수직형강(2)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형강(3)은 수직형강(2)과 수평형강(1)에 브래킷(4)으로 각각 결합된다.
지지형강(3)은 수직형강(2)과 수평형강(1) 사이에서 경사지게 설치됨으로 수직형강(2)과 수평형강(1)과 결합되는 부위의 지지형강(3)은 경사지게 절단되어 브래킷(4)에 결합된다.
지지형강(3)을 지탱하는 토목 및 건축용 구조물 지지장치(10)는 수평형강(1)과 수직형강(2)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지지형강(3)과 지지형강(3)사이에는 볼트 체결하여 양측의 지지형강(3)과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핸들을 조작하여 토목 및 건축용 구조물 지지장치(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지지형강의 절단된 부위가 수평형강(1)과 수직형강의 지정된 부위에 맞도록 하여 브래킷(4)으로 결합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종래의 토목 및 건축용 구조물 지지장치는 터널의 천정이나 각종 공사현장에서 외벽을 떠받치는 형강(H beam)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지지형강의 각도를 변경하거나 지지하려는 대상물이 상부 또는 하부에 있을수 있으므로 위치변경을 하여야 하나 이러한 각도 또는 설치 위치의 변동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9-0022114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직하중지지부재의 지지력을 보강하도록 양측에 측방하중지지부재를 경사지게 장착하여 상부 또는 하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되 측방하중지지부재를 상향 경사지게 또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각도 변경이 가능하면서 수직하중지지부재와 측방하중지지부재의 연결부의 고정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이 양단에 지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하중지지부재; 상기 수직하중지지부재의 측면에 결합되어 건물의 상부구조물과 연결되거나 하부구조물에 연결되어 지지력을 보강해주는 측방하중지지부재;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와 수직하중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하중지지부재는, 측면에 오목한 요홈과, 상기 요홈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요홈의 양 측벽을 수평관통하여 결합되며 종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연결축핀과, 상기 요홈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축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착탈부재와,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의 일단에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착탈부재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되 자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연결축핀이 삽입되도록 측면 일단에 절개되어 절개홈이 형성되고, 절개홈에 통하며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축핀이 내측 상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체결홈부; 상기 배면에 상부면에 통하도록 내부에 인입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끼움홈부;로 구성되고, 상기 끼움홈부는 배면에 통하도록 절개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의 양측으로 직각되게 내입 형성되는 레일홈으로 이루어져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끼움홈부의 레일홈에 삽입되는 끼움블럭과, 상기 끼움블럭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끼움블럭에 대해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는 착탈부재와 소정의 사잇각을 갖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는 측방하중지지부재의 단부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이 끼움블럭에 힌지 결합되어 측방하중지지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블럭은 상부블럭과 하부블럭이 맞대어져 결합되고, 상기 상부블럭의 하단 및 하부블럭의 상단에는 각기 힌지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는 단부에 연결된 힌지축이 끼움블럭의 힌지결합홈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하중지지부재의 지지력을 보강하도록 양측에 측방하중지지부재를 경사지게 장착하여 상부 또는 하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되 측방하중지지부재를 상향 경사지게 또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각도 변경이 가능하면서 수직하중지지부재와 측방하중지지부재의 연결부의 고정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연결부'를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고정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착탈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착탈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착탈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고정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토목 및 건축용 구조물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연결부'를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고정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착탈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착탈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착탈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의 '고정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는,
건물의 상부구조물(T1)과 하부구조물(T2)이 양단에 지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하중지지부재(300);
수직하중지지부재(300)의 측면에 결합되어 건물의 상부구조물(T1)과 연결되거나 하부구조물(T2)에 연결되어 지지력을 보강해주는 측방하중지지부재(400);
측방하중지지부재(400)와 수직하중지지부재(300)를 연결하는 연결부(500);를 포함한다.
수직하중지지부재(300)는, 철재빔으로 이루어져 단면이 'H'형상이므로 측면에 오목한 요홈(320)이 형성되고, 요홈(320)의 양측에 측벽(340)이 대칭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500)는,
수직하중지지부재(300)의 요홈(320)의 양 측벽(340)을 수평관통하여 결합되며 종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연결축핀(360)과,
요홈(320)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축핀(36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600)와,
고정부재(6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4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착탈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400)의 일단에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착탈부재(700)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되 자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측방하중지지부재(400)가 힌지축(420)을 중심으로 360°회전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600)는 도 3을 참조하면,
육면체로 된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하중지지부재(300)의 요홈(320)에 삽입되는 몸체(610);
상기 수직하중지지부재(300)의 연결축핀(360)이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610)의 일측면에는 내부를 향해 수평으로 절개되어 절개홈(621)이 형성되고, 절개홈(621)에 통하며 타원형으로 파내어져 형성되어 연결축핀(360)이 내측 상부에 걸리도록 하는 체결홈부(620);
상기 몸체(610)의 상부면으로부터 내부까지 일정깊이로 절개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끼움홈부(640);로 구성된다.
끼움홈부(640)는 몸체(610)의 타측면에 통하도록 절개되는 슬롯(642)과, 상기 슬롯(642)의 양측으로 직각되게 내입 형성되는 레일홈(644)으로 이루어져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끼움홈부(640)에 측방하중지지부재(400)의 단부에 형성된 착탈부재(700)가 끼움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착탈부재(700)는, 상기 끼움홈부(640)의 레일홈(644)에 삽입되는 끼움블럭(720)과, 상기 끼움블럭(720)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4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커넥터(740);를 포함하며, 단면이 '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740)는 끼움블럭(720)에 대해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400)는 착탈부재(700)의 커넥터(740)와 소정의 사잇각(θ)을 갖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소정의 사잇각(θ)은 45° 내지 60°일 수 있고, 측방하중지지부재(400)가 건물의 상부구조물(T1)에 상단이 밀착되어 지지력을 보강해줄 수 있다.
한편 커넥터(740)는 측방하중지지부재(400)의 단부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힌지축(4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힌지축(420)이 끼움블럭(720)에 힌지 결합되어 측방하중지지부재(4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측방하중지지부재(400)의 회전은 360°회전될 수 있으므로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끼움블럭(720)은
상부블럭(722)과 하부블럭(724)이 맞대어져 결합되고, 상부블럭(722)과 하부블럭(724)을 관통하여 볼트(726)가 체결된다.
상부블럭(722)의 하단 및 하부블럭(724)의 상단에는 각기 힌지결합홈(730a,730b)이 형성된다. 힌지결합홈(730a,730b)은 반호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하 힌지결합홈(730a,730b)이 맞대어져 원형의 힌지결합홈(730)이 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원형의 힌지결합홈(730)에 측방하중지지부재(400)의 단부에 연결된 힌지축(420)이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재(600)의 끼움홈부(640)에 결합된 끼움블럭(720)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수단(200)은, 끼움홈부(640)에 결합된 바디(100)와, 바디(100)의 측벽(120)에 형성된 블록(150)에 끼움결합되는 록킹작동부(250)와, 상기 바디(100)의 측벽(120)에 내장되어 록킹작동부(250)에 의해 결합 또는 해제작동되는 스토퍼부(270)를 포함한다.
바디(100)의 측벽(120)에 관통되어 결합홈(123)이 형성된다.
스토퍼부(270)는 결합홈(123)에 삽입되어 끼움블럭(720)의 측면에 밀착되는 헤드(271)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결합홈(123)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외주면에 환턱(273)이 형성된 가압샤프트(272)와, 상기 결합홈(123)에 삽입되며 가압샤프트(27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환턱(273)에 지지되며 가압샤프트(272)를 바디(100)의 측벽(120)의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27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작동부(250)는 블록(150)의 관통홀(152)에 끼움결합되어 바디(100)의 측벽(120)과 평행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가압샤프트(272)의 타단에 접촉되어 미는힘을 발휘하는 돌기(251)가 형성된 푸쉬로드(252)와, 상기 푸쉬로드(252)의 단부에 결합되며 바디(100)의 측면 외측에 지지되는 탄성체(254)를 포함한다.
푸쉬로드(252)는 바디(100)의 측벽과 평행한 소정 길이의 봉체이며, 푸쉬로드(252)의 외주면에는 바디(100)의 측벽(120)을 향해 돌기(251)가 형성되는데 돌기(251)는 경사면과 단턱을 갖는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푸쉬로드(252)는 전후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게 되고, 돌기(251)의 경사면이 가압샤프트(272)를 누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푸쉬로드(252)를 밀면 돌기(251)의 경사면이 가압샤프트(272)를 밀게되고, 가압샤프트(272)는 내측으로 밀리면서 헤드(271)가 끼움블럭(720)의 측면에 밀착되므로 고정상태가 될 수 있다(도 9의 (b)참조).
이와 반대로 푸쉬로드(252)를 당겨 후진시키면 돌기(251)가 가압샤프트(272)로부터 이격되고, 스프링(27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샤프트(272)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헤드(271)가 끼움블럭(72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다(도 9의 (a)참조).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 고정수단 250 ; 록킹작동부
300 : 수직하중지지부재 320 : 요홈
340 : 측벽 400 : 측방하중지지부재
360 : 연결축핀 500 : 연결부
600 : 고정부재 620 : 체결홈부
640 : 끼움홈부 642 ; 슬롯
644 : 레일홈 700 : 착탈부재
720 : 끼움블럭 740 : 커넥터

Claims (3)

  1. 건물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이 양단에 지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하중지지부재;
    상기 수직하중지지부재의 측면에 결합되어 건물의 상부구조물과 연결되거나 하부구조물에 연결되어 지지력을 보강해주는 측방하중지지부재;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와 수직하중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하중지지부재는, 측면에 오목한 요홈과, 상기 요홈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요홈의 양 측벽을 수평관통하여 결합되며 종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연결축핀과,
    상기 요홈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축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착탈부재와,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의 일단에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착탈부재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되 자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하중지지부재의 요홈에 삽입되는 몸체;
    상기 수직하중지지부재의 연결축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는 내부를 향해 수평으로 절개되어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에 통하며 타원형으로 파내어져 형성되어 연결축핀이 내측 상부에 걸리도록 하는 체결홈부;
    상기 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내부까지 절개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끼움홈부;로 구성되고,
    상기 끼움홈부는, 몸체의 타측면에 통하도록 절개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의 양측으로 직각되게 내입 형성되는 레일홈으로 이루어져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끼움홈부의 레일홈에 삽입되는 끼움블럭과, 상기 끼움블럭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끼움블럭에 대해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는 착탈부재와 소정의 사잇각을 갖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측방하중지지부재의 단부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이 끼움블럭에 힌지 결합되어 측방하중지지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끼움블럭은,
    상부블럭과 하부블럭이 맞대어져 결합되고,
    상기 상부블럭의 하단 및 하부블럭의 상단에는 각기 힌지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방하중지지부재는 단부에 연결된 힌지축이 끼움블럭의 힌지결합홈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
KR1020220101938A 2022-08-16 2022-08-16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 KR102549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938A KR102549583B1 (ko) 2022-08-16 2022-08-16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938A KR102549583B1 (ko) 2022-08-16 2022-08-16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583B1 true KR102549583B1 (ko) 2023-06-29

Family

ID=8694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938A KR102549583B1 (ko) 2022-08-16 2022-08-16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5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114U (ko) 1999-03-03 1999-06-25 송영근 스크류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114U (ko) 1999-03-03 1999-06-25 송영근 스크류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243B1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101310595B1 (ko) 갱폼
KR101484258B1 (ko) 에이치빔 변형방지용 스티프너
KR102549583B1 (ko)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
KR100888209B1 (ko) 알루미늄폼 거푸집 지지용 지지바 고정장치
US8920252B2 (en) Frame structure for stage erection
KR101467197B1 (ko) 유동형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물 시공방법
KR102071983B1 (ko) 확장형 두부 정착구가 구비된 마이크로파일
KR20150003683U (ko) 와이어로프용 조이너
KR20170135865A (ko)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
KR101142879B1 (ko) 슬라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CN111356810B (zh) 阳台安装
JP2005155196A (ja) 受け金具,建築用接合金具及び建築用木部材の接合方法
KR102459395B1 (ko) 조립식 트러스용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JP6707019B2 (ja) 傾斜面用作業架台
KR101171822B1 (ko) 드롭어셈블리
KR101914674B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2269457B1 (ko) 조립가능한 건축용 패널 체결 장치
KR102034405B1 (ko) 낙하 방지용 안전 발판
KR102135481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JP7231925B2 (ja) 仮設足場用連結構造体
KR101247679B1 (ko) 패널 체결유닛
JP5543323B2 (ja) 吊り足場支持金具
KR102512134B1 (ko) 조립식 트러스
KR102525111B1 (ko) 접속구가 구비된 벽체 거푸집 수직도 조절용 파이프 서포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