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134B1 - 조립식 트러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트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134B1
KR102512134B1 KR1020200116784A KR20200116784A KR102512134B1 KR 102512134 B1 KR102512134 B1 KR 102512134B1 KR 1020200116784 A KR1020200116784 A KR 1020200116784A KR 20200116784 A KR20200116784 A KR 20200116784A KR 102512134 B1 KR102512134 B1 KR 102512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guide groove
prefabricated
bottom plat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4433A (ko
Inventor
한인호
Original Assignee
(주)미성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성이앤씨 filed Critical (주)미성이앤씨
Priority to KR1020200116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13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4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39Adjustable connections, e.g. using elongated slots or threaded adjustm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1Connections between closed section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조립식 트러스는 상호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2 면, 상기 제1 및 제2 면들에 연결되는 제3 면 및 제4 면을 갖는 제1 파이프 몸체, 상기 제3 및 제4 면들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며 종단면이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장공을 포함하는 제1 조립식 파이프; 상호 마주하는 제5 면 및 제6 면, 상기 제5 및 제6 면들에 연결되는 제7 면 및 제8 면을 갖는 제2 파이프 몸체, 상기 제7 및 제8 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며 종단면이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을 갖는 제2 조립식 파이프; 상기 장공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이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조립식 파이프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 너트를 수납한 상태로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를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들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및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1 조립식 파이프를 연결하는 제1 체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조립식 파이프를 연결하는 제2 체결 부재를 갖는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트러스{PREFABRICATED TRUSS}
본 발명은 조립식 트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 건축된 후 건물의 외벽은 다양한 종류의 패널 또는 석재로 마감된다.
또한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장을 마감하기 위해서는 벽체에 가로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격자 형태가 되도록 금속빔을 용접에 의하여 상호 연결하여 트러스 구조물을 형성하고, 트러스 구조물을 벽체 브라켓을 이용하여 벽체에 고정한 후 트러스 구조물의 전방에 단열재를 시공한 후 트러스 구조물에 결합된 상태로 단열재의 외부로 돌출된 석재 브라켓 들을 이용하여 석재 등을 마감한다.
최근 현장 용접 작업으로 인한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현장 용접을 최소화하는 무용접 트러스트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5-0072142호(공개일 : 2015.06.29.)에는 내,여진 성능이 향상된 건축용 무용접 트러스 구조물을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내,여진 성능이 향상된 건축용 무용접 트러스 구조물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고정 브라켓으로 고정하는 기술로 용접이 사용되지 않아 화재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내,여진 성능이 향상된 건축용 무용접 트러스 구조물은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를 고정 브라켓으로 고정하기 위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천공해야 하기 때문에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의 내구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공 현장에서 천공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 공기가 길어지게 되어 작업을 신속히 마무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2124755호, 조립식 무용접 트러스( 등록일 : 2020년 6월 15일)에는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세로홈이 형성되고 복수 개가 미리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세로지지대,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홈이 형성되고 복수 개가 상기 복수 개의 세로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가로지지대 및 상기 세로지지대와 상기 가로지지대를 연결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높이에 상기 가로지지대를 고정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세로홈 및 가로홈은 내면에 고정돌기가 돌출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조립식 무용접 트러스는 가로 지지대 및 세로 지지대를 상호 결합하기에 적합하지만 가로 지지대에 석재 브라켓을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세로 지지대의 세로홈에 벽체 브라켓 등이 밀착되게 배치될 경우 세로홈을 따라 움직이는 특이한 볼트가 벽체 브라켓에 의하여 이동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공개특허 제10-2015-0072142호, 내,여진 성능이 향상된 건축용 무용접 트러스 구조물 (공개일 : 2015.06.29.) 등록특허 제10-2124775호, 조립식 무용접 트러스 (등록일 : 2020년 6월 15일)
본 발명은 시공 환경에 따라 석재 브라켓을 트러스 구조에 결합하기 용이한 구조를 제공 및 시공 환경에 따라 벽체 브라켓이 트러스 구조의 일부를 가로막더라도 조립에 의한 트러스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조립식 트러스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조립식 트러스는 상호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2 면, 상기 제1 및 제2 면들에 연결되는 제3 면 및 제4 면을 갖는 제1 파이프 몸체, 상기 제3 및 제4 면들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며 종단면이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장공을 포함하는 제1 조립식 파이프; 상호 마주하는 제5 면 및 제6 면, 상기 제5 및 제6 면들에 연결되는 제7 면 및 제8 면을 갖는 제2 파이프 몸체, 상기 제7 및 제8 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며 종단면이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을 갖는 제2 조립식 파이프; 상기 장공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이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조립식 파이프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 너트를 수납한 상태로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를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들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및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1 조립식 파이프를 연결하는 제1 체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조립식 파이프를 연결하는 제2 체결 부재를 갖는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조립식 트러스의 상기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는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에서 이동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 상기 너트의 2개의 측면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제1 지지부, 상기 너트의 다른 2개의 측면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에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하게 형성된 제2 지지부,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와 마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의 개구로부터 돌출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은 상기 제2 지지부에 연결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조립식 트러스의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에 배치되는 제1 연결 브라켓부 및 상기 제7 면 또는 상기 제8 면에 배치되는 제2 연결 브라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브라켓부에는 상기 장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연결 브라켓부의 테두리로부터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 브라켓부에는 상기 제2 가이드 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2 연결 브라켓부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관통홀 형상을 갖는 제2 개구가 형성된다.
조립식 트러스의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상기 제3 및 제4 면들로부터 내부를 향해 지정된 길이로 개구 면적이 확장되도록 역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제1 홈부, 상기 제1 홈부의 단부들로부터 각각 개구 면적이 일정하게 지정된 길이로 연장되는 제2 홈부, 상기 제2 홈부들로부터 개구 면적이 감소되도록 각각 경사지게 연장되며 단부가 상호 연결되는 제3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제7 및 제8 면들로부터 내부를 향해 지정된 길이로 개구 면적이 확장되도록 역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제4 홈부, 상기 제4 홈부의 단부들로부터 각각 개구 면적이 일정하게 지정된 길이로 연장되는 제5 홈부, 상기 제5 홈부들로부터 개구 면적이 감소되도록 각각 경사지게 연장되며 단부가 상호 연결되는 제6 홈부를 포함한다.
조립식 트러스의 상기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의 상기 바닥판의 상면은 평탄하고,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은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의 바닥면에 접촉되게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조립식 트러스의 상기 너트는 육각 너트이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육각 너트의 인접한 2개의 측면들에 각각 접촉되는 절곡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육각 너트의 인접한 2개의 측면들에 각각 접촉되는 절곡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립식 트러스의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에는 상기 너트가 장착된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가 삽입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에는 L자형으로 절곡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브라켓이 배치되며, 상기 너트의 체결홀의 중심 및 상기 손잡이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브라켓의 테두리 및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의 중심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조립식 트러스의 상기 제1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조립식 파이프의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체결 볼트 및 상기 체결 볼트에 체결되는 체결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의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너트 및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한다.
조립식 트러스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갖는다.
조립식 트러스의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측정하였을 때 제1 및 제2 지지부들 및 상기 보강 부재의 높이는 상기 너트의 높이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트러스는 시공 환경에 따라 석재 브라켓을 트러스 구조에 결합하기 용이한 구조를 제공 및 시공 환경에 따라 브라켓이 트러스 구조의 일부를 가로막더라도 조립에 의한 트러스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트러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조립식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연결 브라켓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일부만 도시된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방향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A' 방향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및 석재를 고정하는 브라켓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트러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조립식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조립식 트러스(800)는 제1 조립식 파이프(100), 제2 조립식 파이프(200), 연결 브라켓(300),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400) 및 체결 부재(5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조립식 파이프(100)는 제1 파이프 몸체(150, 도 3 참조), 제1 가이드 홈(160) 및 장공(17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파이프 몸체(150)는 금속 소재로 제작되며, 속이 빈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이프 몸체(150)는 속이 빈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파이프 몸체(150)는 제1 면(110), 제2 면(120), 제3 면(130) 및 제4 면(140)을 갖는 속이 빈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면(110) 및 제2 면(120)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3 면(130) 및 제4 면(140)도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1 내지 제4 면(110,120,130,140)들은 상호 연결된다.
제1 가이드 홈(160)은 제3 면(130) 및 제4 면(140)에 상호 마주하게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홈(160)은 종단면 상에서 보았을 때 육각형 또는 육각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육각형 또는 육각형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 홈(160)은 제1 홈부(161), 제2 홈부(162) 및 제3 홈부(163)를 포함한다.
제1 홈부(161)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제1 홈부(161)는 제3 면(130) 및 제4 면(140)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3 면(130) 및 제4 면(140)에 일정한 폭을 갖는 긴 개구를 형성한다. 제1 홈부(161)는 제3 및 제4 면(130,140)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지정된 길이로 개구 면적이 연속하여 확장되도록 역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 홈부(162)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제2 홈부(162)는 역경사지게 배치된 제1 홈부(161)의 단부로부터 개구 면적이 일정하도록 지정된 길이로 연장된다.
제3 홈부(163)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제3 홈부(163)는 제2 홈부(162)의 단부로부터 개구 면적이 연속적으로 감소되도록 각각 연장되며, 제3 홈부(163)의 단부들은 상호 연결된다.
장공(170)은 제1 면(110) 및 제2 면(120)의 양쪽 단부에 한 쌍이 형성되며, 장공(170)은 상호 마주하는 제1 및 제2 면(110,120)들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장공(170)은 도 1에 도시된 연결 브라켓(300)에 체결 부재(500)가 결합되도록 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조립식 파이프(200)는 제1 파이프 몸체(250) 및 제2 가이드 홈(260)을 포함한다.
제2 파이프 몸체(250)는 금속 소재로 제작되며, 속이 빈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이프 몸체(250)는 속이 빈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파이프 몸체(250)는 제5 면(210), 제6 면(220), 제7 면(230) 및 제8 면(240)을 갖는 속이 빈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5 면(210) 및 제6 면(220)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7 면(230) 및 제8 면(240)도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5 내지 제8 면(210,220,230,240)들은 상호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가이드 홈(260)은 제7 면(230) 및 제8 면(240)에 각각 상호 마주하게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가이드홈(260)은 종단면 상에서 보았을 때 육각형 또는 육각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육각형 또는 육각형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제2 가이드 홈(260)은 제4 홈부(261), 제5 홈부(262) 및 제6 홈부(26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4 홈부(26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4 홈부(261)는 제7 면(230) 및 제8 면(240)에 일정한 폭을 갖는 긴 개구를 형성하며, 제4 홈부(261)는 제7 및 제8 면(230,240)들로부터 내부를 향해 지정된 길이로 개구 면적이 연속하여 확장되도록 역경사지게 형성된다.
제5 홈부(26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5 홈부(262)는 역경사지게 배치된 한 쌍의 제4 홈부(261)의 단부로부터 개구 면적이 일정하게 지정된 길이로 각각 연장된다.
제6 홈부(26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6 홈부(263)는 제5 홈부(262)의 단부로부터 개구 면적이 연속적으로 감소되도록 각각 연장되며, 제6 홈부(263)의 단부들은 상호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앞서 설명된 제1 조립식 파이프(100)는 지면에 대하여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앞서 설명된 제2 조립식 파이프(200)는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조립식 파이프(100,200)들은 각각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1 조립식 파이프(100)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160)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립식 파이프(100)에 석재(미도시)가 브라켓(600)을 매개로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조립식 파이프(100)의 장공(170) 및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제2 가이드 홈(260)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제1 및 제2 조립식 파이프(100,200)들은 연결 브라켓(30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도 5는 도 1의 연결 브라켓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결 브라켓(300)은 제1 및 제2 조립식 파이프(100,200)들을 용접 하지 않고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연결 브라켓(300)은, 예를 들어, 금속 소재로 제작되며, 연결 브라켓(300)은 제1 개구(310)를 갖는 제1 연결 브라켓부(320) 및 제2 개구(330)를 갖는 제2 연결 브라켓부(340)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브라켓부(320)는 제1 조립식 파이프(100)의 제1 또는 제2 면(110,120)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연결 브라켓부(340)는 제2 조립식 파이프(200)의 제7 및 제8 면(230,2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310)는 제1 연결 브라켓부(320)에 형성되며, 제1 개구(310)는 제1 조립식 파이프(100)에 형성된 장공(17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 개구(310)는 제1 연결 브라켓부(320)의 테두리로부터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개구(330)는 제2 연결 브라켓부(340)에 형성되며, 제2 개구(330)는 제2 가이드 홈(26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연결 브라켓부(340)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관통홀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개구(33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장공(oblong hol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일부만 도시된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방향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A' 방향 정면도이다.
도 1,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400)는 너트(401)를 수납한 상태에서 제1 가이드 홈(160) 또는 제2 가이드 홈(26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160,260)들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400)는,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홈(160) 또는 제2 가이드 홈(260)의 일부가 다른 자재, 예를 들어, 연결 브라켓(300), 벽체 고정 브라켓(미도시), 석재 고정용 브라켓(600) 등에 의하여 가로막히더라도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160,260)의 내부에 삽입된 너트(401)를 지정된 위치로 정확하게 이송 및 지정된 위치에서 너트(401)에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식 트러스(800)의 조립 또는 시공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40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400)는 바닥판(410),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손잡이부(440) 및 보강 부재(450)를 포함한다.
바닥판(410)은, 예를 들어,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장방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판(410)은 제1 및 제2 가이드 홈(160,260)들의 내부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사이즈로 형성된다.
바닥판(410)의 상면(412)은, 예를 들어, 평탄한 평탄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닥판(410)의 하면(414)은,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 가이드 홈(160)의 제3 홈부(163) 또는 제2 가이드 홈(260)의 제6 홈부(263)에 접촉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410)의 하면(414)은 전체가 제3 홈부(163) 또는 제6 홈부(263)에 접촉 또는 하면(414)의 일부가 제3 홈부(163) 또는 제6 홈부(263)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판(410)의 하면(414)을 제3 홈부(163) 또는 제6 홈부(263)에 접촉되는 경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바닥판(410)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외부에서 인가된 힘에 의한 바닥판(4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바닥판(410)의 하면(414)에 바닥판(41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호 평행한 다수개의 홈들을 추가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바닥판(410)의 강도는 유지하면서 바닥판(410)의 하면(414)이 제1 가이드 홈(160)의 제3 홈부(163) 또는 제2 가이드 홈(260)의 제6 홈부(263)에 접촉되는 면적을 감소시켜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400)를 보다 부드럽게 이송시킬 수 있다.
바닥판(410)의 상면에는 너트(401)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너트(401)는, 예를 들어, 중앙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을 갖고 6개의 각진 측면들을 갖는 육각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너트(401)의 체결공과 대응하는 바닥판(410)의 상면(412)에는 너트(401)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의 단부가 너트(401)로부터 다소 돌출되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바닥판(410)에 배치되는 너트(401)가 바닥판(410)으로부터 이탈 및 너트(401)가 바닥판(410)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판(410)의 상면(412)에는 제1 지지부(420) 및 제2 지지부(430)가 형성된다.
제1 지지부(420)는 바닥판(410)에 배치되는 너트(401)의 적어도 2개의 측면들을 지지한다.
제1 지지부(420)는 너트(401)의 인접한 2개의 측면들과 접촉되는 절곡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지지부(420)는 바닥판(410)에 조립 또는 바닥판(4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420)는 약 120°의 각도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부(430)는 바닥판(410)에 배치되는 너트(401)의 다른 적어도 2개의 측면들을 지지한다.
제2 지지부(430)는 너트(401)의 2개의 측면들과 접촉되는 절곡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판(410)에 조립 또는 바닥판(4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430)는 약 120°의 각도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너트(401)는 제1 및 제2 지지부(420,430)들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꼭맞게 수납되며, 너트(401)는 제1 및 제2 지지부(420,430)들에 의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회전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지지부(420, 430)들은 너트(401)에 볼트가 결합될 때, 너트(401)가 볼트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너트(401) 및 볼트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공 시간을 단축시킨다.
손잡이부(440)는 바닥판(410)의 상면(412)에 형성되며, 손잡이부(440)는 제2 지지부(43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손잡이부(440)는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160,260)에 의하여 형성된 슬릿 형상의 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손잡이부(440)는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160,260)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의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손잡이부(440) 중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160,26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부분은 손잡이부(440)의 폭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손잡이부(440)의 파손 및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400)가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160,260)의 내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보강 부재(450)는 손잡이부(440) 및 제2 지지부(430)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손잡이부(44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 부재(45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보강 부재(450)의 일측 단부는 손잡이부(440)의 일측에 형성되고, 보강 부재(450)의 타측 단부는 제2 지지부(430)에 형성된다. 보강 부재(450)의 하면은 바닥판(410)의 상면(41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보강 부재(450), 제1 지지부(420) 및 제2 지지부(430)의 높이는, 예를 들어, 바닥판(410)의 상면(412)으로부터 측정하였을 때 너트(401)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및 석재를 고정하는 브라켓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너트(401)의 체결공의 중심 및 손잡이부(44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D1)은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160,260)을 가로막고 있는 브라켓(600)의 측면 및 브라켓(600)에 형성된 장공의 중심 사이의 간격(D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너트(401)가 장착된 바닥판(410)을 사용자가 손잡이부(440)를 이용해 슬라이드 시키다 손잡이부(440)가 브라켓(600)의 테두리에 밀착될 경우, 너트(401)의 체결공의 중심은 브라켓(600)의 장공의 중심에 정확하게 정렬되고 사용자는 쉽고 빠르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610)를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160,260)의 내부에 배치된 너트(401)에 체결 및 너트(401)는 제1 가이드 홈(160)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체결 부재(500)는 제1 체결 부재(510) 및 제2 체결 부재(520)를 포함한다.
제1 체결 부재(510)는 제1 조립식 파이프(100)의 제1 및 제2 면(110,120)들의 장공(170)을 관통하는 체결 볼트(512) 및 체결 볼트(512)에 체결되는 체결 너트(514)를 포함한다.
제2 체결 부재(5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홈(260)의 내부에 배치된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400)에 장착된 너트(401)에 결합되는 볼트(52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장공 및 제1 가이드 홈을 갖는 제1 조립식 파이프 및 장공이 형성되지 않고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2 조립식 파이프를 연결 브라켓으로 상호 연결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장공 및 제1 가이드 홈을 갖는 제1 조립식 파이프들을 상호 수직하게 배치한 후 연결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장공 및 제1 가이드 홈을 갖는 제1 조립식 파이프 및 장공이 형성되지 않고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2 조립식 파이프를 연결 브라켓으로 상호 연결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2 조립식 파이프들을 상호 수직하게 배치한 후 연결 브라켓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시공 환경에 따라 석재 브라켓을 트러스 구조에 결합하기 용이한 구조를 제공 및 시공 환경에 따라 브라켓이 트러스 구조의 일부를 가로막더라도 조립에 의한 트러스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제1 조립식 파이프 200...제2 조립식 파이프
300...연결 브라켓 400...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500...체결 부재

Claims (10)

  1. 상호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2 면, 상기 제1 및 제2 면들에 연결되는 제3 면 및 제4 면을 갖는 제1 파이프 몸체, 상기 제3 및 제4 면들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며 종단면이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장공을 포함하는 제1 조립식 파이프;
    상호 마주하는 제5 면 및 제6 면, 상기 제5 및 제6 면들에 연결되는 제7 면 및 제8 면을 갖는 제2 파이프 몸체, 상기 제7 및 제8 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며 종단면이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을 갖는 제2 조립식 파이프;
    상기 장공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이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조립식 파이프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
    너트를 수납한 상태로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를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들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및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1 조립식 파이프를 연결하는 제1 체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2 조립식 파이프를 연결하는 제2 체결 부재를 갖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는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에서 이동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 상기 너트의 2개의 측면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제1 지지부, 상기 너트의 다른 2개의 측면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에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하게 형성된 제2 지지부,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와 마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홈들의 개구로부터 돌출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은 상기 제2 지지부에 연결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트러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에 배치되는 제1 연결 브라켓부 및 상기 제7 면 또는 상기 제8 면에 배치되는 제2 연결 브라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브라켓부에는 상기 장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연결 브라켓부의 테두리로부터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 브라켓부에는 상기 제2 가이드 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2 연결 브라켓부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관통홀 형상을 갖는 제2 개구가 형성된 조립식 트러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상기 제3 및 제4 면들로부터 내부를 향해 지정된 길이로 개구 면적이 확장되도록 역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제1 홈부, 상기 제1 홈부의 단부들로부터 각각 개구 면적이 일정하게 지정된 길이로 연장되는 제2 홈부, 상기 제2 홈부들로부터 개구 면적이 감소되도록 각각 경사지게 연장되며 단부가 상호 연결되는 제3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제7 및 제8 면들로부터 내부를 향해 지정된 길이로 개구 면적이 확장되도록 역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제4 홈부, 상기 제4 홈부의 단부들로부터 각각 개구 면적이 일정하게 지정된 길이로 연장되는 제5 홈부, 상기 제5 홈부들로부터 개구 면적이 감소되도록 각각 경사지게 연장되며 단부가 상호 연결되는 제6 홈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트러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의 상기 바닥판의 상면은 평탄하고,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은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의 바닥면에 접촉되게 경사면으로 형성된 조립식 트러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육각 너트이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육각 너트의 인접한 2개의 측면들에 각각 접촉되는 절곡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육각 너트의 인접한 2개의 측면들에 각각 접촉되는 절곡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 조립식 트러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에는 상기 너트가 장착된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가 삽입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에는 L자형으로 절곡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브라켓이 배치되며,
    상기 너트의 체결홀의 중심 및 상기 손잡이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브라켓의 테두리 및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의 중심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조립식 트러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조립식 파이프의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체결 볼트 및 상기 체결 볼트에 체결되는 체결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의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너트 및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조립식 트러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 홈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측정하였을 때 제1 및 제2 지지부들 및 상기 보강 부재의 높이는 상기 너트의 높이와 동일한 조립식 트러스.
KR1020200116784A 2020-09-11 2020-09-11 조립식 트러스 KR102512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784A KR102512134B1 (ko) 2020-09-11 2020-09-11 조립식 트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784A KR102512134B1 (ko) 2020-09-11 2020-09-11 조립식 트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433A KR20220034433A (ko) 2022-03-18
KR102512134B1 true KR102512134B1 (ko) 2023-03-21

Family

ID=8093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784A KR102512134B1 (ko) 2020-09-11 2020-09-11 조립식 트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1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789A (ja) * 2002-07-30 2004-02-26 Asmo Co Ltd フレーム構造
KR102124775B1 (ko) * 2019-09-30 2020-06-19 (주)미성이앤씨 조립식 무용접 트러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142A (ko) 2013-12-19 2015-06-2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여진 성능이 향상된 건축용 무용접 트러스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789A (ja) * 2002-07-30 2004-02-26 Asmo Co Ltd フレーム構造
KR102124775B1 (ko) * 2019-09-30 2020-06-19 (주)미성이앤씨 조립식 무용접 트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433A (ko)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9395B1 (ko) 조립식 트러스용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KR102512134B1 (ko) 조립식 트러스
EP1853774B2 (en) A construction element
JP6944348B2 (ja) 制震装置の取付構造
JP4118228B2 (ja)
US20070119843A1 (en) Wall framing system
JP3704317B2 (ja) 建築部材の継手具、建築物の軸組構造及び建築物の軸組工法
JP3980391B2 (ja) 木造建築物
JP6895080B2 (ja) 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21055525A (ja) 取付具及び壁構造
US20060185296A1 (en) Solid structure
KR102670673B1 (ko)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
KR200278531Y1 (ko) 건축물 마감판재를 지지하기 위한 골조틀의 결합구조
KR102478449B1 (ko) 내구성이 향상된 한옥 하부 구조물
JP2005232928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と梁との接合構造
JP3232151U (ja) 構造体
KR20190135784A (ko) 건축용 프레임 연결구
JP2020143502A (ja) 耐力壁
KR102615351B1 (ko) 건축용 커튼월의 트러스 연결장치
KR101313643B1 (ko) 패널 결합 수단
JP6440942B2 (ja) 鉄骨造建物のブレース使用耐力壁構造
KR102677133B1 (ko) 트위스트 철골 구조체
KR102627366B1 (ko) 무용접 찬넬 시스템
US20230047686A1 (en) Wood-steel composite structural beam
JP6974006B2 (ja) 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