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865A -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 - Google Patents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35865A KR20170135865A KR1020177029746A KR20177029746A KR20170135865A KR 20170135865 A KR20170135865 A KR 20170135865A KR 1020177029746 A KR1020177029746 A KR 1020177029746A KR 20177029746 A KR20177029746 A KR 20177029746A KR 20170135865 A KR20170135865 A KR 201701358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joint
- diagonal
- horizontal
- fix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2—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scaffold members in end-to-side re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04G1/0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secured together by bolts or the like penetrating the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6—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for use with specially-shaped scaffold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부품에 의해 작업장에서 부품에 의해 조립되는 타입의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비계는, 수직방향 튜브(1); 상기 수직방향 튜브가 2개의 대칭적인 반원형 하프-노트(half-knots)에 의해 형성된 수평방향 또는 대각선 튜브와 만나는 지점인 노트(knots)(N); 수평방향 튜브(6); 하부 상에 볼트형 래치(9)를 갖는 수평방향 고정 수단(H); 대각선 튜브(21); 및 상기 대각선 튜브(21)의 각 단부 상에 위치된 대각선 고정 수단(D)을 함께 관절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은 각 작업 타입에 적용가능한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부품에 의해 작업장에서 조립되는 타입의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를 언급한다.
본 발명의 분야는 보조적 건축 요소 제조사, 특히 비계에 관한 것이다.
유사한 피스, 바아 및 조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일부의 분해가능한 비계에서도, 상이한 비계 형상에 관한 광범위한 배경기술이 있다.
이들 가운데에는 하기의 것이 언급될 수 있다.
문헌 WO0050708호는 빔 및 수평방향 바다에 의해 형성된 비계를 기술한다. 기둥은 그 길이를 따라 일련의 돌출부를 가져서, 상기 돌출부를 통해 유니언 16이 슬라이딩하는 것을 회피하는 일정한 거리에서 정상이 아니게 되므로, 수평방향 바아를 소정 위치에 유지한다. 이들 돌출부는 기둥 내의 노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는, 제안된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고정하지는 않지만, 수직방향 요소를 위한 구속 요소가 있으므로, 슬라이딩을 방지하고 그 형상이 전적으로 상이하다.
스페인특허 ES2321484T호는 비계 상에 개인적인 보호를 위한 장치를 언급한다. 이는 적어도 2개의 기둥과, 이들 기둥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러너로 형성된다. 상기 러너의 단부는 기둥으로의 커넥터를 구비한다. 결국, 이는 비계 기둥과의 해제가능한 연결을 위한 커플링 장치를 갖는다.
제안된 본 발명의 대각선 요소가 임의의 각도로 그리고 임의의 위치에서 충분히 이용될 수 있는 반면, 오래된 단일의 운동 및 전적으로 강성의 시스템이 있다.
특허 FR2977608호는 비계 플랫폼을 수평방향 바아로 조절하는 후크 형상의 장치를 개시한다. 이 발명은 튜브 구성요소, 예컨대 비계의 하부에서의 수평방향 베이스판 등의 단부에 그 조립을 위해 설계된 후크 장치를 언급하며, 이러한 후크 장치는 만곡된 후크부 및 조립된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돌발적인 분리를 회피하기 위해, 조립부(5)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상에서 긴 피스(10)(래치)가 고정부(4)의 개구(4)를 해제하는 수축된 위치와, 이러한 개구가 차단되는 펼친 위치 사이에서의 차단을 성취하도록 슬라이딩한다.
이는 제안된 특허에서와 유사한 기능을 갖지만, 전적으로 상이한 수행을 하는 시스템인데, 그 이유는 캐치의 스프링이 작용함에 따라 피스들 간의 커플링이 조인트 그리고 그 다음 클릭 내의 후크의 수직방향 슬라이딩 운동만을 필요로 한다. 다른 시스템과는 달리, 조립자에 의한 부차적인 작용이 필요 없고, 트리거, 레버 또는 웨지에 대한 조립자에 의한 임의의 운동 또는 활동이 없거나 또는 시스템의 임의의 이동부와 부딪히지 않는다.
미국특허 US8206052호는 모듈형 비계를 위한 커넥터를 개시한다. 상기 시스템은 비계를 따라 조인트에서 클램프를 결합하도록 설계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바아를 갖는다. 상기 바아의 단부에는, 로터리 캐치를 작동시키는 지점 둘레에서 피봇하는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로크를 갖는 강철 케이싱이 있다. 상기 단부는 컵 형상의 결합 요소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는 전방으로 놓이는 본 발명의 시스템과는 매우 상이한 키형 로크의 복잡한 시스템이며, 그 사용은 콘크리트, 시멘트, 페인트 등을 수반하는 작업에서 불가능하다.
또한, 이들 장치는 조립의 용이성 및 속도, 사용의 융통성, 안전성에 관한 특성과, 사용의 용이성으로 인한 것뿐만 아니라, 그 메커니즘의 단순성 내에서의 시스템의 안전성으로 인한 큰 발명적 기량을 갖는 조인트로 인해, 전체 조립에 근거한 신규성을 갖는다.
본 발명자는 현재의 발명에 의해 제공된 레이아웃을 포함하는 임의의 전술한 케이스, 또는 이러한 레이아웃이 암시하는 이점을 알지 못한다.
제안된 본 발명은 각 작업 타입에 적용가능한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부품에 의해 작업장에서 조립되는 타입의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를 언급한다.
제공된 시스템은 조인트의 위치에 관한 가요성을 제공하여 종래의 비계의 강성을 개선하는 한편, 조인트에서 부품을 고정 및 해제할 때 더 용이하게 성취하여 웨지 및 해머 시스템을 회피하도록 의도한다.
유사하게, 고정 및 해제 운동을 더 용이하게 함으로써 조립하는 자에게 더 큰 안전성을 제공하도록 의도한다.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는 하기로 이루어진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는 구조이다:
- 수직방향 튜브
- 조인트
- 수평방향 및 대각선 바아
- 수평방향 및 대각선 고정부
- 스피곳, 핀 및 슬리브와 같은 다양한 조절 재료, 및 풀 핸들(pull handles).
상기 조인트는 수직방향 [바아]가 수평방향 또는 대각선 바아와 함께 수렴하는 지점에 있다.
상기 시스템 구조체를 이루는 기본적인 부품은 하기와 같다.
- 수직방향 튜브로서, 상기 튜브의 회전축에 수직하며 상기 튜브의 외경을 감소시키고, 상기 튜브의 전체 길이를 통해 일정한 거리로 위치설정되는 노치를 제공하며, 각각의 노치는 임의의 노치에서 상기 튜브를 수용하는 조인트 피스의 고정을 허용하는 세트 길이를 갖는, 상기 수직방향 튜브.
유사하게, 상기 수직방향 튜브는 조인트의 내부 리브가 확고히 되는 전체적인 튜브를 따라 수직방향 그루브를 가짐으로써, 상기 조인트가 전술한 튜브의 노치 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조인트의 자유로운 회전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내부 리브 없는 조인트가 구상된다.
이러한 레이아웃은 상기 조인트의 위치에서 완전한 가요성을 허용한다.
상기 튜브의 단부에서, 스피곳(spigot)으로 불리는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또 다른 튜브가 삽입되어, 또 다른 수직방향 튜브와 연결하는 가이드로서 기능하여,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기 위해 비계의 구조체를 형성하는 상기 수직방향 튜브에 연속성을 제공한다.
상기 튜브 내에 위치된 상기 스피곳은 상기 튜브에 수직하는 핀에 의해 상기 튜브에 고정된다.
- 상기 조인트는 수직방향 [바아]가 수평방향 또는 대각선 바아와 함께 수렴하는 지점에 있다.
상기 조인트는 이중 원추형 헤드의 스크류를 구비한 그 각각의 슬리브에 의해 서로 관절 이음되어 결합하는 2개의 대칭적인 반원형의 세미-조인트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수직방향 튜브의 노치의 위치에서 상기 수직방향 튜브를 수용하는 원을 형성하여, 상기 노치의 내부 실린더의 직경과, 상기 튜브의 외경이 동일하고 상기 조인트의 내부 영역이 상기 수직방향 튜브의 그루브와의 위치 및 크기에서 일치하는 몇 개의 내측 돌출부를 가짐으로써, 일단 작업 위치에 설치되면 상기 조인트의 회전할 가능성이 없다.
상기 조인트는 내부의 동심 환상형 형상을 가져서 상측 원형 갭을 형성하므로, 후술되는 수직방향 고정부와 대각선 고정부의 후크들을 상기 원형 갭 내에 피팅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원형 갭의 벽은 평행하지 않아서,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와 대각선 고정부의 조립 및 분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상부를 향해 더 넓은 각도를 벽이 가지는 한편, 상기 영역이 그 하부 내에서 약간 더 좁고 완전한 조절을 위해 상기 후크와 상기 바디의 양자의 부품의 조절 부분의 사이즈와 일치한다.
상기 튜브의 노치는 일단 상기 조인트가 상기 튜브에 고정되기만 하면, 확고하게 보유되어 슬라이딩할 수 없는 방식으로 상기 조인트의 수직방향 운동을 방지한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수직방향 튜브가 상기 수평방향 및 대각선 튜브와 결합되게 하는 상기 비계 구조체의 일부이며, 구조적 조인트를 형성한다.
- 수평방향 튜브. 상기 수평방향 튜브는 그 단부에서 적절한 슬리브에 의해 헤더에 결합하도록 기능하는 일련의 관통 구멍이 보일 수 있으며, 상기 헤더는 적절한 수단을 통해 상기 조인트에 고정되게 하는 수평방향 고정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 각각은 상기 수평방향 튜브 자체의 각 단부에서 한계점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수평방향 튜브 사이의 임의의 운동을 방지하는 2개의 슬리브에 의해 고정된다.
- 수평방향 고정부.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는 상기 조인트의 상측 원형 갭 내에 피팅하도록 기능하는 후크를 갖고 2개의 슬리브에 의해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상기 수평방향 튜브를 그 바디 내에 맞게 피팅하는 그 전방부 상의 대칭적인 각기둥 형상의 피스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는 스프링의 작용 하에서 풀 핸들의 운동 영향으로 인해 이동하는 래치로서 그 하부에 캐치를 갖는다.
상기 캐치는 상기 조인트의 하부 상의 래치로서 작용하여,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가 상기 스프링의 압력으로 인해 상기 조인트를 언후킹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만 상기 캐치가 상기 풀 핸들의 이동에 의해 그 위치로부터 제거될 때 언후킹되게 한다.
상기 풀 핸들은 모떼기된 지점의 원통형 요소에 의해 형성되며, 그 상부에 짧은 거리로 분리된 2개의 육각형 돌출부를 나타낸다.
상기 스프링은 래치 효과를 갖도록 상기 캐치를 강제하는 기능을 하여,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로부터 튀어나와 상기 조인트 피스의 하부 상에 안착한다.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의 힘에 반대방향으로의 운동에 있는 상기 풀 핸들은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 내에 도입하는 상기 캐치를 제거하고, 이로써 상기 조인트에 수직하는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의 수직방향 운동에 의해 상기 조인트에 고정되는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를 제거하는 운동에 대한 가능성을 남겨둔다.
-대각선 튜브: 대향하는 수직방향 [바아]의 조인트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비계 구조체에서 경사진 위치를 갖는 튜브이며, 상기 비계의 부품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구조체를 보강하는 효과를 성취한다.
-대각선 고정부. 이들 대각선 튜브의 헤더는 비대칭적 각기둥형 피스에 의해 형성된 대각선 고정 부품에 의해 형성되고, 즉 상기 조인트와의 결합을 위한 그 전방부는 상기 대각선 튜브의 축에 대해 약 45°로 편향되고, 그 전방부 상에 상기 조인트의 상측 원형 갭 내에 피팅하는 후크를 갖고, 상기 대각선 튜브의 각도 간극을 완전히 허용하는 종래의 수평방향 핀에 의해 상기 대각선 튜브를 부착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대각선 고정부는 그 하부 상에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 즉 스프링의 작용 하에서 풀 핸들의 운동 영향으로 인해 이동하는 캐치에 의해 형성된 시스템과 유사한 상기 조인트로의 고정을 위한 시스템을 갖는다.
상기 대각선 튜브의 각 측부 상의 상기 대각선 고정부는 그 축으로서 슬리브의 세트를 갖는 상기 대각선 튜브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회전을 허용하는 2개의 슬리브 세트에 의해 상기 대각선 고정부의 최종 부분 상에 보유됨으로써 상기 튜브에 고정된다.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와 상기 대각선 고정부로의 상기 조인트의 결합 및 고정은 슬라이딩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 내의 만곡된 표면과, 상기 조인트의 내부 갭의 표면이 상기 표면 전체를 따라 접촉하고, 상기 표면의 만곡된 형상이 제공되면, 상기 조인트의 중앙 수직 축 둘레에서 수평방향 회전운동을 허용하여, 상기 표면들 사이의 임의의 접촉을 잃지 않고서 상기 조인트의 표면 위로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딩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상기 후크의 양자의 표면이 상기 내부 갭(3)의 표면과 접촉함에 따라 임의의 롤링 또는 피칭을 방지한다.
상기 수직방향 운동은 상기 핀의 작용에 의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와 상기 조인트 간의 이러한 유니언은 상기 조인트의 상부면을 따라 헤드가 슬라이딩하는 상태에서 수평방향 회전만을 허용하므로, 임의의 다른 타입의 운동을 방지한다.
상기 수평방향 및 대각선 [바아]의 헤드는 상기 튜브의 직경이 동일할 때마다 분리가능하고, 상호변경가능하여, 상기 헤드가 필요에 따라서 더 길거나 더 짧은 튜브를 위해 변경되게 하도록 하거나, 또는 손상된 부품을 대체하게 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전체 피스를 폐기하지 않고서 양호한 상태에 있는 부품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하기의 다이아그램을 첨부한다.
도 1은 작동 위치에서의 비계를 형성하는 메인 요소에 대한 등각도,
도 2는 도 1의 메인 요소에 대한 수직 절결도,
도 3은 바아(1)의 단면도,
도 4는 조인트(N)의 등각도,
도 5는 조인트(N)의 평면도,
도 6은 바아의 평면도,
도 7은 바아를 조인트에 고정하는 평면도,
도 8은 바아를 조인트에 고정하는 단면도,
도 9는 바아를 조인트에 고정하는 등각도,
도 10은 조인트에 대각선인 바아의 고정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풀 핸들의 등각도,
도 12는 대각선 조립체 내의 바아의 도면,
도 13은 스크류를 갖는 슬리브의 상부에 대한 단면도.
도 1은 작동 위치에서의 비계를 형성하는 메인 요소에 대한 등각도,
도 2는 도 1의 메인 요소에 대한 수직 절결도,
도 3은 바아(1)의 단면도,
도 4는 조인트(N)의 등각도,
도 5는 조인트(N)의 평면도,
도 6은 바아의 평면도,
도 7은 바아를 조인트에 고정하는 평면도,
도 8은 바아를 조인트에 고정하는 단면도,
도 9는 바아를 조인트에 고정하는 등각도,
도 10은 조인트에 대각선인 바아의 고정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풀 핸들의 등각도,
도 12는 대각선 조립체 내의 바아의 도면,
도 13은 스크류를 갖는 슬리브의 상부에 대한 단면도.
제안된 본 발명은 각 작업 타입에 적용가능한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부품에 의해 작업장에서 조립되는 타입의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를 언급한다.
제공된 시스템은 조인트의 위치에 관한 가요성을 제공하여 종래의 비계의 강성을 개선하는 한편, 조인트에서 부품을 고정 및 해제할 때 더 용이하게 성취하여 웨지 및 해머 시스템을 회피하도록 의도한다.
유사하게, 고정 및 해제 운동을 더 용이하게 함으로써 조립하는 자에게 더 큰 안전성을 제공하도록 의도한다.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는 하기로 이루어진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는 구조이다:
- 수직방향 튜브(1),
- 조인트(N),
- 수평방향 바아(6) 및 대각선 조립체 바아(21),
- 수평방향(H) 및 대각선(D) 고정부
- 스피곳(4), 수직방향 핀(5) 및 슬리브(8)와 같은 다양한 조절 재료, 및 풀 핸들(10).
상기 조인트(N)는 수직방향 [바아]가 수평방향 또는 대각선 바아와 함께 수렴하는 지점에 있다.
상기 시스템 구조체를 이루는 기본적인 부품은 하기와 같다.
- 수직방향 튜브(1)로서, 상기 튜브의 회전축(22)에 수직하며 상기 튜브의 외경을 감소시키고, 상기 튜브(1)의 전체 길이를 통해 일정한 거리로 위치설정되는 노치(2)를 제공하며, 각각의 노치는 임의의 노치에서 상기 튜브를 수용하는 조인트부(N)의 고정을 허용하는 세트 길이를 갖는, 상기 수직방향 튜브.
유사하게, 상기 수직방향 튜브(1)는 조인트(N)의 내부 리브(14)가 확고히 되는 전체적인 튜브를 따라 수직방향 그루브(13)를 가짐으로써, 상기 조인트(N)가 전술한 튜브(1)의 노치(2) 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조인트(N)의 자유로운 회전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내부 리브 없는 조인트(N)가 구상된다.
이러한 레이아웃은 조인트(N)의 위치에서 완전한 가요성을 허용한다.
상기 튜브(1)의 단부에서, 스피곳(4)으로 불리는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또 다른 튜브(1)가 삽입되어, 또 다른 수직방향 튜브와 연결하는 가이드로서 기능하여,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기 위해 비계의 구조체를 형성하는 상기 수직방향 튜브에 연속성을 제공한다.
상기 튜브(1) 내에 위치된 상기 스피곳(4)은 상기 튜브(1)에 수직하는 핀(5)에 의해 상기 튜브에 고정된다.
- 조인트(N). 상기 조인트(N)는 수직방향 [바아]가 수평방향 또는 대각선 바아와 함께 수렴하는 지점에 있다.
상기 조인트는 이중 원추형 헤드의 스크류(16)를 구비한 그 각각의 슬리브(8)에 의해 서로 관절 이음되어 결합하는 2개의 대칭적인 반원형의 세미-조인트(N1, N2)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수직방향 튜브(1)의 노치(2)의 위치에서 상기 수직방향 튜브(1)를 수용하는 원을 형성하여, 상기 노치의 위치에서의 상기 튜브의 외경과, 상기 조인트(N)의 내부 실린더의 직경이 동일하고 상기 조인트(N)의 내부 영역이 상기 수직방향 튜브(1)의 그루브(13)와의 위치 및 크기에서 일치하는 몇 개의 내측 돌출부를 가짐으로써, 일단 작업 위치에 설치되면 상기 조인트(N)의 회전할 가능성이 없다.
상기 조인트(N)는 내부의 동심 환상형 형상을 가져서 상측 원형 갭(3)을 형성하므로, 후술되는 수직방향 고정부(H)와 대각선 고정부(D)의 후크(7)들을 상기 원형 갭(3) 내에 피팅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원형 갭(3)의 벽은 평행하지 않아서,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H)와 대각선 고정부(D)의 조립 및 분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상부를 향해 더 넓은 각도를 벽이 가지는 한편, 상기 영역이 그 하부 내에서 약간 더 좁고 완전한 조절을 위해 상기 후크(7)와 상기 바디의 양자의 부품의 조절 부분의 사이즈와 일치한다.
상기 튜브(1)의 노치(2)는 일단 상기 조인트(N)가 상기 튜브에 고정되기만 하면, 확고하게 보유되어 슬라이딩할 수 없는 방식으로 상기 조인트(N)의 수직방향 운동을 방지한다.
상기 조인트(N)는 상기 수직방향 튜브가 상기 수평방향 및 대각선 튜브와 결합되게 하는 상기 비계 구조체의 일부이며, 구조적 조인트를 형성한다.
- 수평방향 튜브. 상기 수평방향 튜브(6)는 그 단부에서 적절한 슬리브(8)에 의해 헤더에 결합하도록 기능하는 일련의 관통 구멍(12)이 보일 수 있으며, 상기 헤더는 적절한 수단을 통해 상기 조인트(N)에 고정되게 하는 수평방향 고정부(H)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H) 각각은 상기 수평방향 튜브(6) 자체의 각 단부에서 한계점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수평방향 튜브(6) 사이의 임의의 운동을 방지하는 2개의 슬리브(8)에 의해 고정된다.
- 수평방향 고정부(H).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H)는 상기 조인트(N)의 상측 원형 갭(3) 내에 피팅하도록 기능하는 후크(7)를 갖고 2개의 슬리브(8)에 의해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상기 수평방향 튜브(6)를 그 바디 내에 맞게 피팅하는 그 전방부 상의 대칭적인 각기둥 형상의 피스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8)의 바디의 헤드(17)의 상부에 위치된 일련의 노치(18)에 의해 양자의 헤드의 내부 쓰레드(19) 내에 관통 스크류(16)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H)는 스프링(11)의 작용 하에서 풀 핸들(10)의 운동 영향으로 인해 이동하는 래치로서 그 하부에 캐치(9)를 갖는다.
상기 캐치(9)는 상기 조인트(N)의 하부 상의 래치로서 작용하여,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가 상기 스프링(11)의 압력으로 인해 상기 조인트를 언후킹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만 상기 캐치가 상기 풀 핸들(10)의 이동에 의해 그 위치로부터 제거될 때 언후킹되게 한다.
상기 풀 핸들(10)은 모떼기된 지점의 원통형 요소에 의해 형성되며, 그 상부에 짧은 거리로 분리된 2개의 육각형 돌출부를 나타낸다.
상기 스프링(11)은 래치 효과를 갖도록 상기 캐치(9)를 강제하는 기능을 하여,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H)로부터 튀어나와 상기 조인트(N) 피스의 하부 상에 안착한다.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H)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11)의 힘에 반대방향으로의 운동에 있는 상기 풀 핸들(10)은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H) 내에 도입하는 상기 캐치를 제거하고, 이로써 상기 조인트(N)에 수직하는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의 수직방향 운동에 의해 상기 조인트에 고정되는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H)를 제거하는 운동에 대한 가능성을 남겨둔다.
-대각선 튜브(21): 대향하는 수직방향 [바아]의 조인트(N)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비계 구조체에서 경사진 위치를 갖는 튜브이며, 상기 비계의 부품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구조체를 보강하는 효과를 성취한다.
-대각선 고정부(D). 이들 대각선 튜브(21)의 헤더는 비대칭적 각기둥형 피스에 의해 형성된 대각선 고정(D) 부품에 의해 형성되고, 즉 상기 조인트(N)와의 결합을 위한 그 전방부는 상기 대각선 튜브(21)의 축에 대해 약 45°로 편향되고, 그 전방부 상에 상기 조인트(N)의 상측 원형 갭(3) 내에 피팅하는 후크(7)를 갖고, 그 바디의 단부에서 상기 대각선 튜브(21)의 각도 간극을 완전히 허용하는 회전축(22)에 의해 상기 대각선 튜브(21)를 부착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대각선 고정부(D)는 그 하부 상에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 즉 스프링(11)의 작용 하에서 풀 핸들(10)의 운동 영향으로 인해 이동하는 캐치(9)에 의해 형성된 시스템과 유사한 상기 조인트(N)로의 고정을 위한 시스템을 갖는다.
상기 대각선 튜브(21)의 각 측부 상의 상기 대각선 고정부(D)는 그 축으로서 슬리브의 세트를 갖는 상기 대각선 튜브(21)와 상기 고정부(D) 사이의 회전을 허용하는 2개의 슬리브 세트에 의해 상기 대각선 고정부의 최종 부분 상에 보유됨으로써 상기 튜브에 고정된다.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H)와 상기 대각선 고정부(D)로의 상기 조인트(N)의 결합 및 고정은 슬라이딩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후크(7)는 상기 후크(7) 내의 만곡된 표면과, 상기 조인트(N)의 내부 갭의 표면이 상기 표면 전체를 따라 접촉하고, 상기 표면의 만곡된 형상이 제공되면, 상기 조인트의 중앙 수직 축 둘레에서 수평방향 회전운동을 허용하여, 상기 표면들 사이의 임의의 접촉을 잃지 않고서 상기 조인트(N)의 표면 위로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딩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상기 후크(7)의 양자의 표면이 상기 내부 갭(3)의 표면과 접촉함에 따라 임의의 롤링 또는 피칭을 방지한다.
상기 수직방향 운동은 상기 핀의 작용에 의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와 상기 조인트(N) 사이의 이러한 유니언은 상기 조인트(N)의 상부면을 따라 헤드가 슬라이딩하는 상태에서 수평방향 회전만을 허용하므로, 임의의 다른 타입의 운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회전 운동은, 상기 수직방향 튜브의 조인트(N)에 고정될 때, 상기 조인트(N)와 상기 대각선 고정부 사이에서 고정 또는 해제를 수행하기에 충분한 운동을 용이하게 허용하기에 충분한 플레이(play)를 갖는 방식으로, 상기 튜브에 관한 고정 위치가 얻어지게 한다.
상기 수평방향 및 대각선 [바아]의 헤드는 상기 튜브의 직경이 동일할 때마다 분리가능하고, 상호변경가능하여, 상기 헤드가 필요에 따라서 더 길거나 더 짧은 튜브를 위해 변경되게 하도록 하거나, 또는 손상된 부품을 대체하게 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전체 피스를 폐기하지 않고서 양호한 상태에 있는 부품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특성을 그 수행 방식과 함께 충분히 기술했지만, 첨부한 도면에 지시 및 제공된 레이아웃은 전술한 단락에서 확립되고 청구범위에서 요약된 그 기본적인 원리가 변경되지 않는 한 세부적인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1: 수직방향 튜브
2: 노치
3: 원형 갭
4: 유니언 스피곳
5: 수직방향 핀
6: 수평방향 튜브
H: 수직방향 고정부
7: 후크
8: 슬리브
9: 캐치
10: 풀 핸들
11: 스프링
12: 드릴 구멍
13: 수직방향 튜브의 종방향 그루빙
14: 조인트(N)의 내측 돌출부
15: 슬리브(8) 바디
16: 이중 단부의 나사산 형성된 스크류
17: 슬리브의 둥근 헤드
18: 슬리브(8) 헤드의 육각형 감소부
19: 슬리브 쓰레드
D: 대각선 고정부
21: 대각선 튜브
22: 회전축
2: 노치
3: 원형 갭
4: 유니언 스피곳
5: 수직방향 핀
6: 수평방향 튜브
H: 수직방향 고정부
7: 후크
8: 슬리브
9: 캐치
10: 풀 핸들
11: 스프링
12: 드릴 구멍
13: 수직방향 튜브의 종방향 그루빙
14: 조인트(N)의 내측 돌출부
15: 슬리브(8) 바디
16: 이중 단부의 나사산 형성된 스크류
17: 슬리브의 둥근 헤드
18: 슬리브(8) 헤드의 육각형 감소부
19: 슬리브 쓰레드
D: 대각선 고정부
21: 대각선 튜브
22: 회전축
Claims (3)
-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부품에 의해 작업장에서 조립되는 타입의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articulated dismountable modular scaffolding)에 있어서,
상기 비계는, 수직방향 튜브(1), 조인트(N), 수평방향 튜브(6), 수평방향 고정부(H), 대각선 튜브(21) 및 대각선 고정부(D)를 상호연결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수직방향 튜브(1)는, 튜브의 축에 수직하며 상기 튜브의 외부를 감소시키고, 상기 튜브(1)의 전체 길이를 통해 일정한 거리로 위치설정되는 노치(2)를 제공하며, 각각의 노치는 임의의 노치에서 상기 튜브를 수용하는 조인트(N) 피스의 고정을 허용하는 세트 길이를 갖고,
상기 튜브(1)의 단부에서, 스피곳(4)으로 불리는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또 다른 튜브가 삽입되어 또 다른 수직방향 튜브(1)와 연결하는 가이드로서 기능하여, 상기 튜브(1) 내에 위치된 상기 스피곳(4)이 상기 튜브(1)에 수직하는 핀(5)에 의해 상기 튜브(1)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요구되는 높이에 도달하기 위해 상기 비계의 구조체를 형성하는 상기 수직방향 튜브에 연속성을 제공하고,
상기 조인트(N)는 수직방향 바아가 2개의 대칭적인 반원형의 세미-조인트(N1, N2)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방향 또는 대각선 지점과 수렴하는 지점이고, 상기 2개의 대칭적인 반원형의 세미-조인트(N1, N2)는 이중 원추형 헤드의 스크류(16)를 구비한 각각의 슬리브(8)에 의해 서로 관절 이음되어 결합하여 상기 수직방향 튜브(1)의 노치(2)의 위치에서 상기 수직방향 튜브(1)를 수용하는 원을 형성하여, 상기 노치의 위치에서의 상기 튜브의 외경과, 상기 조인트(N)의 내부 원의 직경이 동일하고 상기 조인트(N)의 내부 영역이 상기 수직방향 튜브(1)의 그루브(13)와의 위치 및 크기에서 일치하는 몇 개의 내측 돌출부(14)를 갖고,
상기 조인트(N)는 내부의 동심 환상형 형상을 가져서 상측 원형 갭(3)을 형성하므로, 수직방향 고정부(H)와 대각선 고정부(D)의 후크(7)를 상기 원형 갭(3) 내에 피팅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튜브(1)의 노치(2)는 일단 상기 조인트(N)가 상기 튜브에 고정되기만 하면, 확고하게 보유되어 슬라이딩할 수 없는 방식으로 상기 조인트(N)의 수직방향 운동을 방지하고,
상기 노치(N)는 상기 수직방향 튜브가 상기 수평방향 및 대각선 튜브와 결합되게 하는 상기 비계 구조체의 일부이며, 구조적 조인트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방향 튜브(6)는 그 단부에서 적절한 슬리브(8)에 의해 헤더에 결합하도록 기능하는 일련의 관통 구멍(12)이 보일 수 있으며, 상기 헤더는 적절한 수단을 통해 상기 조인트(N)에 고정되게 하는 수평방향 고정부(H)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H) 각각은 상기 수평방향 튜브(6) 자체의 각 단부에서 한계점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수평방향 튜브(6) 사이의 임의의 운동을 방지하는 2개의 슬리브(8)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H)는 상기 조인트(N)의 상측 원형 갭(3) 내에 피팅하도록 기능하는 후크(7)를 갖고 2개의 슬리브(8)에 의해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상기 수평방향 튜브(6)를 그 바디 내에 맞게 피팅하는 그 전방부 상의 대칭적인 각기둥 형상의 피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8)의 바디의 헤드(17)의 상부 내에 위치된 일련의 노치(18)에 의해 양자의 헤드의 내부 쓰레드(19) 내에 관통 나사(16)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H)는 스프링(11)의 작용 하에서 풀 핸들(pull handle)(10)의 운동 영향으로 인해 이동하는 래치로서 그 하부에 캐치(9)를 갖고,
상기 캐치(9)는 상기 조인트(N)의 하부 상의 래치로서 작용하여,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가 상기 스프링(11)의 압력으로 인해 상기 조인트를 언후킹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만 상기 캐치가 상기 풀 핸들(10)의 이동에 의해 그 위치로부터 제거될 때 언후킹되게 하고,
상기 풀 핸들(10)은 모떼기된 지점의 원통형 요소에 의해 형성되며, 그 상부에 짧은 거리로 분리된 2개의 육각형 돌출부를 나타내고,
상기 스프링(11)은 래치 효과를 갖도록 상기 캐치(9)를 강제하는 기능을 하여,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H)로부터 튀어나와 상기 조인트(N) 피스의 하부 상에 안착하고,
상기 대각선 튜브(21)는 중공형 튜브이며, 그 단부에서 상기 헤드에 결합하도록 적절한 핀(5)에 의해 기능하는 일련의 관통 구멍(12)이 보일 수 있고, 상기 헤더는 적절한 수단을 통해 상기 조인트(N)에 고정되게 하는 수평방향 고정부(H)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H)는 상기 대각선 튜브(21)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대각선 고정부(D)의 후방 원형부에서, 상기 고정부들과 상기 대각선 튜브(21) 사이의 운동을 방지하지 않는 2개의 관통 슬리브(8)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대각선 튜브(6)의 각 단부에 위치된 상기 대각선 고정부(D)는 비대칭적 각기둥형 피스에 의해 형성되고, 즉 상기 조인트(N)와의 결합을 위한 그 전방부는 상기 대각선 튜브(21)의 축에 대해 약 45°로 편향되고, 그 전방부 상에 상기 조인트(N)의 상측 원형 갭(3) 내에 피팅하는 후크(7)를 갖고, 그 바디의 단부에서 상기 대각선 튜브(21)의 각도 간극을 완전히 허용하는 종래의 수평방향 핀에 의해 상기 대각선 튜브(21)를 부착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대각선 고정부(D)는 그 하부 상에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 즉 캐치(9)에 의해 형성된 시스템과 유사한 상기 조인트(N)로의 고정을 위한 시스템을 갖고, 즉 스프링(11)의 작용 하에서 풀 핸들(10)의 운동 영향으로 인해 이동하고,
상기 대각선 튜브(21)의 각 측부 상의 상기 대각선 고정부(D)는 그 축으로서 슬리브의 세트를 갖는 상기 대각선 튜브(21)와 상기 고정부(D) 사이의 회전을 허용하는 2개의 슬리브 세트에 의해 상기 대각선 고정부의 최종 부분 상에 보유됨으로써 상기 튜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 튜브(1) 위에서 상기 조인트(N)의 자유로운 회전을 요구하는 경우에 내부 리브(14) 없는 조인트(N)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갭(3)의 벽이 평행하지 않아서, 상기 수평방향 고정부(H)와 대각선 고정부(D)의 조립 및 분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상부를 향해 더 넓은 각도를 벽이 가지는 한편, 상기 영역이 그 하부 내에서 약간 더 좁고 완전한 조절을 위해 상기 후크(7)와 상기 바디 양자의 조절 부분의 사이즈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SP201530341 | 2015-03-17 | ||
ES201530341A ES2587453B1 (es) | 2015-03-17 | 2015-03-17 | Andamio modular desmontable articulado |
PCT/ES2016/070159 WO2016146871A1 (es) | 2015-03-17 | 2016-03-14 | Andamio modular desmontable articulado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5865A true KR20170135865A (ko) | 2017-12-08 |
Family
ID=5691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9746A KR20170135865A (ko) | 2015-03-17 | 2016-03-14 |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066440A1 (ko) |
JP (1) | JP2018510280A (ko) |
KR (1) | KR20170135865A (ko) |
CA (1) | CA2979935A1 (ko) |
ES (1) | ES2587453B1 (ko) |
WO (1) | WO201614687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7457A (ko) * | 2018-02-12 | 2019-08-21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접이식 시스템 동바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95504B1 (en) | 2018-07-19 | 2021-05-04 | David S. Cook | Scaffold stabilizer |
US11326936B2 (en) | 2020-03-02 | 2022-05-10 |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 Topside distributed acoustic sensing interrogation of subsea wells with a single optical waveguide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258549A2 (en) * | 1974-01-18 | 1975-08-18 | Abdellatif Ala | Coupling for construction elements of shelving - has U-shaped with openings in arms receiving element locking pin |
DE2822676C2 (de) * | 1978-05-24 | 1982-08-19 | Eberhard 7129 Güglingen Layher | Verbindungsvorrichtung für Gerüstelemente |
EP0032402B1 (en) * | 1980-01-15 | 1984-03-21 | SGB public limited company | A scaffolding system |
DE8112653U1 (de) * | 1981-04-29 | 1981-11-05 | Layher, Eberhard, 7129 Güglingen | "geruestelement" |
US4439052A (en) * | 1981-06-11 | 1984-03-27 | Stallningsgruppen I Goteborg Aktiebolag | Device for coupling together laterally directed scaffold elements to uprights in a scaffold or the like |
SE443601B (sv) * | 1982-04-22 | 1986-03-03 | Bo Allan Hjelm | Stellningssystem med inskjutbara skarvstycken och spiror med invendiga styrflensar for skarvstyckena |
WO1988003212A1 (en) * | 1986-10-28 | 1988-05-05 | Lubeca Contruction Systems Pty. Ltd. | Scaffolding system |
DE8806128U1 (de) * | 1988-05-09 | 1988-07-28 | Rose, Udo, 4836 Herzebrock | Kupplungsvorrichtung für Riegel von Schalungsgerüsten |
US5028164A (en) * | 1990-09-13 | 1991-07-02 | Williams Joe W | Scaffold connection |
FR2676786A1 (fr) * | 1991-05-22 | 1992-11-27 | Seror Alain | Dispositif d'assemblage pour tubes. |
DE9420917U1 (de) * | 1994-12-30 | 1995-04-27 | Günter Rux GmbH, 58135 Hagen | Rohrgerüst, dessen Ständer Teller tragen |
DE19918131A1 (de) * | 1999-04-21 | 2000-10-26 | Plettac Ag | Haltevorrichtung aus gestanztem und gebogenem Blech |
US6481912B2 (en) * | 2001-03-29 | 2002-11-19 | Lung Ching Shih | Prop connecting ring |
CA2634573C (en) * | 2008-06-10 | 2011-05-24 | Peter J. Rogers | Modular scaffold system |
FR2953543A1 (fr) * | 2009-12-07 | 2011-06-10 | Alain Francois Metailie | Plancher-echafaudage a clavetage automatique |
US9303417B2 (en) * | 2011-01-25 | 2016-04-05 | Next Generation Scaffold Services, Inc. | Dual latching horizontal scaffold member |
US20120219354A1 (en) * | 2011-02-24 | 2012-08-30 | Bauer Ryan E | Cup-lock coupler clamp for detachably attaching at any elevation on a vertical tube of the cup-lock scaffold system |
CN102704670B (zh) * | 2012-06-24 | 2014-05-07 | 郑德春 | 碗扣式脚手架用下碗扣及其安装方法 |
NL2012924B1 (nl) * | 2014-06-02 | 2016-06-09 | Scafom Holding B V | Steigerkoppeling alsmede steigersysteem. |
-
2015
- 2015-03-17 ES ES201530341A patent/ES2587453B1/es active Active
-
2016
- 2016-03-14 CA CA2979935A patent/CA297993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03-14 KR KR1020177029746A patent/KR20170135865A/ko unknown
- 2016-03-14 US US15/558,207 patent/US2018006644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03-14 WO PCT/ES2016/070159 patent/WO2016146871A1/es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3-14 JP JP2017567551A patent/JP2018510280A/ja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7457A (ko) * | 2018-02-12 | 2019-08-21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접이식 시스템 동바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46871A1 (es) | 2016-09-22 |
JP2018510280A (ja) | 2018-04-12 |
US20180066440A1 (en) | 2018-03-08 |
ES2587453A1 (es) | 2016-10-24 |
ES2587453B1 (es) | 2017-08-01 |
CA2979935A1 (en) | 2016-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60012151B1 (ko) | 연결핀 | |
US11655846B2 (en) | Snap nut concrete anchor assembly | |
US8393439B2 (en) | Scaffold system and method | |
JP4991994B2 (ja) | 形材要素連結体 | |
MX2012009560A (es) | Sistema de anclaje de encofrado de hormigon. | |
WO2006009777A1 (en) | Roof support truss | |
KR20170135865A (ko) |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 | |
EP0655538B1 (en) | A length-adjustable support | |
US8915686B2 (en) | Unitary, strike, drop-in anchor for concrete and the like | |
UA111057C2 (uk) | Затискач і опалубна система для бетонування, що має принаймні один затискач | |
JP6716508B2 (ja) | 棒材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構造を使用した仮設足場 | |
EP0004179B1 (en) | Tubular scaffolding coupling | |
KR20170099590A (ko) | 슬리브 일체형 앵커볼트 | |
JP2005188722A (ja) | ドリフトピン | |
KR20090006264U (ko) |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 |
KR100932529B1 (ko) | 거푸집 지지용 수평틀 어셈블리 | |
KR101659285B1 (ko) | 갱폼 연결장치 | |
JP4878889B2 (ja) | 補強金物 | |
KR102549583B1 (ko) |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 | |
KR20050030404A (ko) | 동바리 조립용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동바리 시스템 | |
KR100682136B1 (ko) | 지주 연결장치 | |
KR20070010476A (ko) | 비계 연결장치 | |
JP3841677B2 (ja) | 構造体の継ぎ手装置 | |
KR20030072278A (ko) | 구조물 공사용 비계연결구의 로커 | |
KR200342273Y1 (ko) | 비계파이프 연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