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136B1 - 지주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지주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136B1
KR100682136B1 KR1020050103596A KR20050103596A KR100682136B1 KR 100682136 B1 KR100682136 B1 KR 100682136B1 KR 1020050103596 A KR1020050103596 A KR 1020050103596A KR 20050103596 A KR20050103596 A KR 20050103596A KR 100682136 B1 KR100682136 B1 KR 10068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ight coupling
vertical
horizontal
clam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수현
백수곤
함영호
신상범
정준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발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2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scaffold members in end-to-side re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각도조절부재에 의한 좌우측 결합부의 벌림간격에 의해 수직 지주부재와 수평 지주부재를 결합 및 해제하도록 하여, 수직 지주부재와 수평 지주부재의 결합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하고, 결합시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수평 지주부재에 발생되는 부하를 수직 지주부재로 분산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꾀함과 동시에, 수직/수평 지주부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지주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체결편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환형 플랜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직 지주부재와, 상기 수직 지주부재의 환형 플랜지에 연결되어 체결되는 연결클램핑부재와, 상기 연결클램핑부재가 양끝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수평 지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클램핑부재는 일측단이 수평 지주부재에 연결되고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공간내로 삽입되어 일측 끝단이 힌지결합되고 타측 끝단이 환형플랜지에 접촉결합되는 좌/우측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에 수직삽입되어 좌우측 결합부에 접촉되고, 좌우측 결합부에 접촉되는 양측면이 테이퍼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좌우 대칭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지주, 파이프, 연결부재, 연결장치, 클램프

Description

지주 연결장치{Scissors type scaffolding joint devic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 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 결합부와 각도조절부의 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부 삽입에 따른 좌/우측 결합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 은 도 7 의 A-A 단면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다른 풀림상태를 보인 작동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상태를 보인 작동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직 지주부재 (110) : 환형 플랜지
(111) : 체결편 (200) : 연결클램핑부재
(210) : 지지부 (211) : 공간
(212) : 접촉대 (213) : 삽입홀
(214) : 힌지홀 (220) : 좌측 결합부
(221) : 몸체 (222) : 체결홀
(223) : 걸림턱 (224) : 좌조절홈
(230) : 우측 결합부 (231) : 몸체
(232) : 체결홀 (233) : 걸림턱
(234) : 좌조절홈 (240) : 각도조절부
(241) : 각도조절부 양측면 (242) : 걸림턱
(250) : 힌지 (300) : 수평지주부재
본 발명은 지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이퍼진 양측면을 구비하는 각도조절부재를 연결클램핑부재의 지지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수직결합하여 좌/우측 결합부의 좌우 회전이동에 의해 수직 지주부재와 수평 지주부재를 체결함으로써, 건설시공현장 또는 조선소 등에서 사용중인 조립식 비계와 같은 구조물이나,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물 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지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나 거푸집 또는 선박의 조립공정 등과 같은 일정 높이로 축조되는 시공현장에서는 시공 구조물의 높이에 맞는 지주관체를 클램프로 고정하고, 상기 지주관체의 양측으로 보강측관을 연결하여 지주관체를 튼튼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주장치는 수직 지주부재와, 수평지주부재 및 이를 연결하는 클램프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근래에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보 소 54-3407(1979년)호, 소 58-15587(1983년)에는 전술한 장치의 대체물이 제안되어 있으며, 이 개시된 발명은 주로 수직부재와 이 수직부재에 연결된 횡부재(그리고 대각선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수직부재는 주몸체로서의 강관부재와, 그리고 소정의 두께를 가진 강관부재의 축방향에 연하여 소정의 등간격으로 강관부재의 외주면에 용접된 다수의 환상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플랜지에는 부채꼴 형상의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본국 특허공보 소 54-3407(1979년)호의 계지부는 플랜지의 소재의 두께에 임의의 등각도로 절결부를 형성시켜서 구성된 것으로, 예컨대 90°간격으로 4개소의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횡부재(그리고 대각선부재)는 각각 주몸체로서의 소정의 길이를 가진 강관부재와, 이 강관부재의 양 끝단부에 고착된 연결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체는 플랜지의 상/하면과 대면하게 배설된 한쌍의 벽체를 구비하고, 이 각 벽면의 중앙부에는 쐐기를 삽착시키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쐐기는 상기한 삽입공에 삽입되어지며, 쐐기가 삽입공에 삽입될 시, 쐐기의 일 모서리는 상기한 삽입공의 개구모서리에 의해 압압되고, 다른 모서리는 플 랜지에 형성된 절결부의 내주면에 의해 압압된다.
이와 같이, 일본국 특허공보 소 54-3407(1979년)호는 플랜지 계지부와 연결체의 선단부에서 양 벽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플랜지가 구비된 수직부재를 지주부재로 사용하고, 연결체가 고착된 횡부재를 수평부재 또는 보강부재와 같은 연결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한 지주부재와 두가지 형태로 되는 다수의 부재를 쐐기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 조립시켜서 조립식 비계 또는 거푸집의 지지편와 같은 소망의 가구조물을 임의의 장소에 세울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허 공보 소 58-15587(1983년)호에 개시된 장치는 플랜지의 외주연을 따라 지지편을 입설하여 굽도리형(plinth-link)으로 구성하고, 연결체는 그 선단부에 후크부를 형성하여 지지편과 착탈자재로 계합되고, 또한 상기한 연결체의 벽체에 쐐기를 삽착시키는 삽입공이 천설되도록 되어 있다. 즉, 연결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후크부가 플랜지의 지지편에 계합되고, 이를 쐐기 계합상태를 유지시키기 때문에 지주부재에 횡부재를 이 지주부재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연결시킬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국 특허공보 소 54-3407(1979년)호에 개시된 장치는 플랜지에 형성되는 계지부로서의 절결부가 그 형성개수에 제한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체의 연결위치가 상기한 절결부의 개수에 의하여 제한을 받게 되므로, 플랜지에 연결시킬 수 있는 횡부재의 개수 역시 제한을 받게되는 결함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계지부로서 절결부를 형성한 다수의 플랜지는 지주부재에 수직방향에 연하여 소정간격으로 상기한 지주부재에 외주면에 고정되어 배설되므로,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설된 상기한 플랜지에 형성된 절결부를 수직으로 볼 때에 상호 일열로 맞춰야 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허공보 소 54-3407(1979년)호와 소 58-15587(1983년)호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연결체가 플랜지에만 계합되는 것이어서, 횡부재에 수직부하가 걸릴시에는 응력이 플랜지의 측면에 집중되어서 플랜지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횡부재가 수직부재로 부터 이탈될 우려가 내포되어 있었다.
더우기, 상기한 장치들에 있어서, 쐐기를 연결체에 천설된 삽입공에 삽착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쐐기의 일 모서리가 삽입공의 내주면에 대하여 압압되고, 다른 모서리가 플랜지에 대하여 압압되므로, 쐐기를 삽착시에 플랜지에 손상을 입히는 경향이있기 때문에 이러한 플랜지가 설치된 수직부재를 반복해서 사용할 수 없는 등의 결합이 있었다.
또한, 공개특허 특1990-0010167 호와 같이, 다수의 플랜지가 각각의 지주부재의 수직방향에 연하여 간격을 두고 배설된 다수의 지주부재와, 양 끝단부에 각각 연결체가 고착된 다수의 연결부재와, 그리고 상기한 연결체에 삽착되는 쐐기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한 플랜지는 그 외주방향에 연하여 지지편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한 연결체는 각가 한쌍의 대향되는 벽면을 가진 중공체인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헐겁게 삽입되어 이동자재로운 후크를 구비하며 상기한 한 쌍의 벽면 및 상기한 후크에는 쐐기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내의 상기 후크 후방에는 후크를 바깥쪽으로 밀어부치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며, 상기한 후크는 그 선단부에 상 기한 플랜지의 지지편과 삽탈자재로 계합되는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계지부가 상기한 지지편과 대향되는 상태하에서 상기한 쐐기가 상기한 각각의 삽입공으로 삽착될 경우 상기한 후크는 후퇴되어 상기한 지지편과 상기한 계지부는 계합되고, 상기한 하우징의 한쌍의 벽면에 각각의 선단부는 바깥쪽으로 이동되어 상기한 지주부재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구성된 것도 있으나, 상기 공개특허 특1990-0010167 호의 경우, 플랜지와 후크가 쐐기에 의해 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나, 쐐기의 일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충격이 발생될 시 또는 수평 지주부재에 연결된 비계 등의 구조물에 충격이 발생될 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경사진 면을 따라 쐐기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플랜지와 후크의 체결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공개특허 특1990-0010167 호의 하우징내에는 쐐기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를 수직 지주방향(플랜지와 후크의 결합 해제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체가 더 설치되어 있어, 충격발생시 쐐기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각도조절부재에 의한 좌우측 결합부의 벌림간격에 의해 수직 지주부재와 수평 지주부재를 결합 및 해제하도록 하여, 수직 지주부재와 수평 지주부재의 결합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하고, 결합시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수평 지주부재에 발생되는 부하를 수직 지주부재로 분산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꾀함과 동시에, 수직/수평 지주부재의 수명 을 연장할 수 있는 지주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수직 지주부재의 임의의 위치 및 임의의 방향에 대하여 자유롭게 수평 지주부재를 연결하여 편리한 시공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 결합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체결편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환형 플랜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직 지주부재(100)와, 상기 수직 지주부재(100)의 환형 플랜지(110)에 연결되어 체결되는 연결클램핑부재(200)와, 상기 연결클램핑부재(200)가 양끝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수평 지주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클램핑부재(200)는 일측단이 수평 지주부재(300)에 연결되고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부의 공간(211)내로 삽입되어 일측 끝단이 힌지결합되고 타측 끝단이 환형플랜지에 접촉결합되는 좌/우측 결합부(220,230)와, 상기 지지부(210)에 수직삽입되어 좌우측 결합부에 접촉되고, 좌우측 결합부에 접촉되는 양측면이 테이퍼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좌우 대칭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각도조절부(2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환형플랜지(110)는 수직 지주부재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환형 플랜지의 외주면을 따라 체결편(111)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10)는 수평 지주부재(300)에 후면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좌/우측 결합부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일측(전면)이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고, 개방된 전면 상하부에 수직 지주부재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는 접촉대(212)를 구비하며, 상하부에 각도조절부(240)가 삽입/관통되는 삽입홀(213) 및 힌지(250)가 삽입설치되는 힌지홀(2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대(212)는 수직 지주부재와의 접촉면적을 더 크게 하기 위하여 상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접촉대(212)의 접촉에 의해 수평 지주부재(300)에 전달되는 하중이 수직 지주부재(100)로 분산하게 된다.
상기 좌/우측 결합부(220,230)는 일측끝단이 지지부(210)에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각도조절부(240)가 삽입되는 좌/우조절홈(224,234)이 형성된 몸체(221,231)와, 상기 몸체 일측끝단에 형성되어 힌지(250)가 삽입되는 체결홀(222,232)과, 상기 몸체 타측단에 환형플랜지의 체결편(111)과 결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턱(223,23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 결합부 몸체(221,231)에 형성된 좌/우조절홈(224,234)은 좌/우측 결합부의 일측면접촉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조절홈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결합부(220,230)에 각각 형성된 좌/우조절홈(224,234)은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좌/우측 결합부 몸체(221,231)의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결합부(220)에 형성된 좌조절홈(224)과 우측 결합부(230)에 형성된 우조절홈(234)은 개방된 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어, 좌/우측 결합부(220,230)의 일측면 접촉시 좌/우측 결합부의 좌/우조절홈은 하나의 조절홈을 형성 하게 된다.
즉, 상기 좌측 결합부(220)에는 좌조절홈(224)이 형성되고, 우측 결합부(230)에는 우조절홈(2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 결합부의 체결홀(222)의 하단면이 우측 결합부의 체결홀(232)의 상단면에 접촉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구비하며 형성되어 있어, 하나의 힌지(250)에 의해 좌/우측 결합부의 체결홀(222,232)이 지지부(210)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각도조절부(240)는 지지부의 삽입홀(213)을 경유하여 좌/우측 결합부의 좌/우조절홈(224,234)내로 삽입됨으로써, 일측단이 힌지결합된 좌/우측 결합부(220,230)의 벌림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양측면이 테이퍼진 경사면(241)을 구비한다. 즉, 상기 각도조절부(240)는 하부의 폭보다 상부의 폭이 더 크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 지지부(210)의 상단면에 접촉되는 걸림턱(242)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부의 삽입홀(213)내 삽입시, 걸림턱(242)이 상단면에 접촉되어 각도조절부가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좌/우 대칭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 결합부와 각도조절부의 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부 삽입에 따른 좌/우측 결합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도 7 의 A-A 단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좌/우측 결합부의 체결홀이 지지부의 공간부내로 삽입되어 힌지에 의해 지지부와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 이 조립되는 좌/우측 결합부는 각도조절부의 삽입시, 힌지를 중심으로 일측 끝단이 좌/우측으로 회전되게 된다. 즉, 지지부의 삽입홀을 통해 각도조절부가 삽입되면, 각도조절부는 지지부 공간내에 위치하는 좌/우측 결합부의 좌/우조절홈내로 삽입되고, 하부보다 넓은 폭을 구비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각도조절부의 좌우측 양측면에 의해 각도조절부가 하부방향으로 내려갈수록, 각도조절부 양측면과 좌우조절홈의 접촉에 의해 좌/우측 결합부의 좌/우조절홈 간격이 벌어지게 되므로, 좌/우측 결합부는 결국,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측 결합부의 끝단이 벌어지게 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다른 풀림상태를 보인 작동예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상태를 보인 작동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수직 지주부재와 수평지주부재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 수직 지주부재의 환형 플랜지가 수평 지주부재의 양측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연결클램핑부재내로 삽입되도록 지지부의 접촉대와 수직 지주부재를 접촉시키고, 상기 지지부의 삽입홀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각도조절부를 삽입한다. 이와 같이 각도조절부가 지지부의 삽입홀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삽입되면, 삽입되는 각도조절부가 좌/우측 결합부의 좌/우조절홈내로 삽입되게 되므로, 각도조절부의 테이퍼진 양측면에 의해 좌/우측 결합부가 힌지를 중심으로 끝단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좌/우측 결합부의 끝단 즉, 걸림턱이 형성된 좌/우측 결합부의 끝단이 좌/우측으로 벌어지게 되면, 2 포인트(point)에서 걸림턱이 환형플랜지의 체결편에 접촉되게 되므로, 좌/우측 결합부의 벌어지는 힘에 의해 환형플랜지와 연결클램핑 부재가 서로 체결되게 된다.
즉, 상기 좌/우측 결합부는 각도조절부의 삽입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와 같은 벌어짐의 힘에 의해 환형 플랜지의 체결편에 연결클램핑부재의 좌/우측 결합부가 접촉되어 수직 지주부재와 수평 지주부재가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테이퍼진 양측면을 구비하는 각도조절부의 삽입에 의해 좌/우측 결합부의 끝단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환형플랜지에 접촉 결합되어 수평 지주부재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연결클램핑부재가 수직 지주부재의 환형플랜지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수직/수평 지주부재의 자유로운 결합이 가능하고, 견고한 결합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체결편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환형 플랜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직 지주부재와,
    상기 수직 지주부재의 환형 플랜지에 연결되어 체결되는 연결클램핑부재와,
    상기 연결클램핑부재가 양끝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수평 지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클램핑부재는 일측단이 수평 지주부재에 연결되고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공간내로 삽입되어 일측 끝단이 힌지결합되고 타측 끝단이 환형플랜지에 접촉결합되는 좌/우측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에 수직삽입되어 좌우측 결합부에 접촉되고, 좌우측 결합부에 접촉되는 양측면이 테이퍼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좌우 대칭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결합부는 각도조절부가 삽입되는 좌/우측 조절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끝단에 형성되어 힌지가 삽입되는 체결홀과, 상기 몸체 타측단에 환형플랜지의 체결편과 결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턱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 결합부 몸체에 형성된 좌/우조절홈은 좌/우측 결합부의 일측면 접촉시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조절홈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연결장치.
KR1020050103596A 2005-11-01 2005-11-01 지주 연결장치 KR10068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596A KR100682136B1 (ko) 2005-11-01 2005-11-01 지주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596A KR100682136B1 (ko) 2005-11-01 2005-11-01 지주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136B1 true KR100682136B1 (ko) 2007-02-12

Family

ID=3810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596A KR100682136B1 (ko) 2005-11-01 2005-11-01 지주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4669A (zh) * 2012-06-24 2012-10-03 郑德春 碗扣式脚手架用横杆插片及其安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4669A (zh) * 2012-06-24 2012-10-03 郑德春 碗扣式脚手架用横杆插片及其安装方法
CN102704669B (zh) * 2012-06-24 2015-09-30 郑德春 碗扣式脚手架用横杆插片的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033B1 (ko) 지주의 연결방법 및 지주장치
JP5926573B2 (ja) 柱材の連結方法、建物ユニット、柱材の連結構造及びジョイントピンセット
JP3216562U (ja) 仮設足場用連結構造体
KR101702272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KR101905363B1 (ko) 계량된 수평비계를 이용한 건축용 비계장치
KR100682136B1 (ko) 지주 연결장치
JP2010019055A (ja) クランプ機構
JP4040802B2 (ja) 結合装置
US5918700A (en) Scaffolding component
KR20170135865A (ko)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
KR20070008141A (ko) 지주 연결장치
EP3315691A1 (en) Scaffolding for buildings and industrial buildings with a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uprights and guard rails supporting a planking floor
KR200205940Y1 (ko) 거푸집 작업용 발판지지대
KR102167960B1 (ko) 구조 개선된 보강구조물이 적용된 교량용 강관 거더
KR101004204B1 (ko) 강관 비계용 수평재 연결구
KR100383890B1 (ko) 비계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강교 가설방법
KR100903442B1 (ko) 안전 난간의 지지 구조물
KR100960943B1 (ko) 건설공사용 강관 비계.
KR200342272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KR20070010476A (ko) 비계 연결장치
JP2002276152A (ja) 鋼管足場の連結部
JP2007218076A (ja) 連結金具,受け金具及び建築用接合金具
KR200340007Y1 (ko)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KR200342284Y1 (ko)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KR200175311Y1 (ko) 고하중용 비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