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273Y1 - 비계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비계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273Y1
KR200342273Y1 KR20-2003-0033822U KR20030033822U KR200342273Y1 KR 200342273 Y1 KR200342273 Y1 KR 200342273Y1 KR 20030033822 U KR20030033822 U KR 20030033822U KR 200342273 Y1 KR200342273 Y1 KR 200342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caffolding pipe
screw hole
scaffolding
connectio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을
Original Assignee
신현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을 filed Critical 신현을
Priority to KR20-2003-0033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2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0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ends of members only, e.g. for connecting members in end-to-end re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여 외압이나 비계파이프의 하중에 의하여 쉽게 변형내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비계파이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비계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구(30)는, 중간위치에 돌출되게 형성하는 걸림턱(31)과; 상기 걸림턱(31)의 상,하방향으로 비계파이프(32)의 내경(3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돌출시킨 삽입돌기(35)를 주강 또는 알루미늄합금재질로 주조성형하여 구비하는 한 쌍의 연결바디(36)와;
상기 일측 연결바디(36)의 걸림턱(31) 중심위치에 관통되게 형성하는 나사공(37)과; 상기 나사공(37)에 결합되어 연결바디(36)의 직경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조임볼트(38)와; 상기 조임볼트(38)의 후방에 단속돌기(P)를 가지고 연장되어 나사공(37) 대향측 연결바디(36) 걸림턱(31)에 형성되는 축곡(37-1)에 결합되는 맴돌이축(38-1)과; 상기 연결바디(36)의 연접되는 면의 요입홈(39) 상,하측에 구비되어 직경 확대와 축소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자세유지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계파이프 연결구{Connecting tool of pipe for scaffolding}
본 고안은 비계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이나 각종 구조물 구축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비계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개선한 비계파이프 연결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이나 교량 등과 같은 토목 및 건축 구조물 공사시에는 구조물 본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거나 외부공사를 위한 외부작업로 및 작업 중 이물질이나 작업도구등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강철재질의 파이프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설치하는 것이 비계이다.
이러한 비계의 설치는 여러개의 비계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 데 비계파이프의 특성상 무한정 긴 길이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고층의 건축물이나 구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그 높이에 따라 여러개의 비계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계파이프의 길이를 길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비계파이프 연결구이며, 종래에도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여러 종류의 비계파이프 연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를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비계파이프 연결구(1)는 중간위치에 걸림턱(2)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2)의 상,하방향으로는 비계파이프(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돌기(4,5)를 돌출시킨다.
상기 삽입돌기(4,5)에는 안내홈(6)과 걸림홈(7)으로 구성되는 개략 ㄴ형상의 단속구(8)를 형성하고, 상기 단속구(8)와 결합에 의하여 시건될 수 있도록 비계파이프(3)에는 양측에 돌출되는 걸림핀(9)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계파이프 연결구는 두께가 얇은 파이프를 이용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긴 길이의 비계파이프를 지탱하는 데 취약한 단점을 가지게 되며, 특히, 많은 수의 비계파이프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지 못함으로서 미약한 외압에도 쉽게 유동하기 때문에 이탈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긴 길이의 비계파이프가 유동할 경우 연결구의 연결지점이 하중전달의 중심이 되기 때문에 연결구가 쉽게 변형되는 것은 물론, 그로인한 연결구가 변형됨으로서 재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고, 무엇보다도 연결구의 변형이나 손상으로 인하여 비계의 붕괴위험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비계파이프 연결구를 주강(鑄鋼; Cast Steel)이나 알루미늄함금으로 주조성형하여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여 외압이나 비계파이프의 하중에 의하여 쉽게 변형내지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비계파이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단속수단을 일체로 더 구비하여 비계파이프 연결구의 품질과 내구성향상은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가장 큰 목적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비계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계파이프 연결구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계파이프 연결구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비계파이프 연결구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자세유지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비계파이프 연결구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자세유지수단을 도시한 다른예의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비계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연결구
31; 걸림턱
32; 비계파이프
35; 삽입돌기
36; 연결바디
37; 나사공
38; 조임볼트
40; 자세유지수단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비계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계파이프 연결구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계파이프 연결구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비계파이프 연결구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자세유지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비계파이프 연결구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자세유지수단을 도시한 다른예의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건축 및 구조물 공사시 사용되는 비계파이프를 긴 길이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연결구(30)를 개선하여 충분한 강성과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연결구(30)는 중간위치에 돌출된 걸림턱(31)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31)의 상,하방향으로는 비계파이프(32)의 내경(3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형상이 반원형인 삽입돌기(35)를 형성한 한 쌍의 연결바디(36)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바디(36)에 형성되는 일측의 걸림턱(31) 중심위치에는 관통되는 나사공(37)을 형성하여 조임볼트(38)를 결합하고, 상기 조임볼트(38)의 후방에 단속돌기(P)를 가지고 연장되는 맴돌이축(38-1)은 다른측의 걸림턱(31)에 형성되는 축공(37-1)에 결합되어 조임볼트(38)에 의하여 연결바디(36)의 직경이 확대 및 축소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연결바디(36)의 연접되는 면의 요입홈(39) 상,하측에는 연결바디(36)의 직경이 확대되고 축소되더라도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세유지수단(40)을 더 형성한다.
상기 자세유지수단(40)은 요입홈(39)의 상,하측 동일위치에 서로 엇갈려 연접되도록 위치결정돌기(41,42)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물론, 상기 자세유지수단(40)의 다른 예로서는 일측의 연결바디(36) 요입홈(39)에는 가이드관(43)을 형성하고, 다른 측의 연결바디(36) 요입홈(39)에는 가이드관(43)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바(44)를 구비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연결구(30)를 이용하여 비계파이프(32)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바디(36)의 중간위치에 돌출되는 일측의 걸림턱(31)을 관통하는 나사공(37)에 결합된 조임볼트(38)를 이용하여 연결구(30)의 직경을 최소화 한다.
이 경우에는 조임볼트(38)의 후방에 연장되는 맴돌이축(38-1)이 다른측의 걸림턱(31)에 형성되는 축공(37-1)에 결합되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상태에 있으므로 조임볼트(38)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한 쌍의 연결바디(36)의 간격이 좁아지고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맴돌이축(38-1)의 끝단부에 형성된 단속돌기(P)가 축공(37-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걸림되어 있어 쉽게 이탈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바디(36)의 상,하방으로 돌출된 삽입돌기(35)를 비계파이프(32)에 삽입시킨 후 다시 조임볼트(38)를 이용하여 연결구(30)의 직경을 확대시킴으로서 삽입돌기(35)의 외측면과 비계파이프(32)의 내경이 긴밀한 상태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연결이 완료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조임볼트(38)를 이용하여 연결구(30)의 직경을 축소하고 확대시킬 때에는 연결바디(36)의 연접위치의 요입홈(39) 상,하측에 더 구비되는 자세유지수단(40)에 의하여 연결구(30)가 흐트러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더욱 더 안정된 상태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비계파이프(32)의 연결상태를 강화할 수 있게된다.
즉, 자세유지수단(30)을 구성하는 위치결정돌기(41,42)의 경우에는 서로 엇갈인 위치서 연접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형태가 됨으로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고, 가이드관(43)과 가이드바(44)의 경우에는 가이드관(43)에 삽입된 가이드바(44)가 출입하는 형태가 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연결구(30)를 구성하는 삽입돌기(35)에 비계파이프(32)를 삽입한 상태에서 조임볼트(38)를 이용하여 쉽고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어 연결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경우 연결구(30) 자체를 주강이나 알루미늄합금재질로 주조성형하기 때문에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과 같은 외압에 의하여 유동하거나 변형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연결구(30) 자체를 상당한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서 연결된 비계파이프의 하단과 상단에 의한 집중적인 하중전도와 같은 누적피로에도 손상이나 변형의 우려가 없어 안정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비계파이프 연결구를 주강이나 알루미늄함금으로 주조성형하여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여 외압이나 비계파이프의 하중에 의하여 쉽게 변형내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비계파이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비계파이프 연결구의 품질과 내구성향상은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많은 고안이다.

Claims (3)

  1. 건축 및 구조물 공사시 사용되는 비계파이프를 긴 길이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연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는,
    중간위치에 돌출되게 형성하는 걸림턱(31)과;
    상기 걸림턱(31)의 상,하방향으로 비계파이프(32)의 내경(3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돌출시킨 삽입돌기(35)를 주강 또는 알루미늄합금재질로 주조성형하여 구비하는 한 쌍의 연결바디(36)와;
    상기 일측 연결바디(36)의 걸림턱(31) 중심위치에 관통되게 형성하는 나사공(37)과;
    상기 나사공(37)에 결합되어 연결바디(36)의 직경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조임볼트(38)와;
    상기 조임볼트(38)의 후방에 단속돌기(P)를 가지고 연장되어 나사공(37) 대향측 연결바디(36) 걸림턱(31)에 형성되는 축곡(37-1)에 결합되는 맴돌이축(38-1)과;
    상기 연결바디(36)의 연접되는 면의 요입홈(39) 상,하측에 구비되어 직경 확대와 축소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자세유지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파이프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유지수단(40)은 요입홈(39)의 상,하측 동일위치에 서로 엇갈린 상태에서 연접되도록 형성하는 위치결정돌기(41,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파이프 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유지수단(40)은 일측의 연결바디(36) 요입홈(39)에 형성하는 가이드관(43)과;
    다른 측의 연결바디(36) 요입홈(39)에 형성하여 가이드관(43)에 삽입되는 가이드바(44)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파이프 연결구.
KR20-2003-0033822U 2003-10-29 2003-10-29 비계파이프 연결구 KR200342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822U KR200342273Y1 (ko) 2003-10-29 2003-10-29 비계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822U KR200342273Y1 (ko) 2003-10-29 2003-10-29 비계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273Y1 true KR200342273Y1 (ko) 2004-02-18

Family

ID=4942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822U KR200342273Y1 (ko) 2003-10-29 2003-10-29 비계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2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1348Y1 (ko) 슬라이드식 안전발판
KR100997243B1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200342273Y1 (ko) 비계파이프 연결구
JP5563750B2 (ja) 取付け具
KR200402917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 타이볼트
KR20170135865A (ko)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
KR101908718B1 (ko) 슬리브 일체형 앵커볼트
KR101528913B1 (ko) 싱글레이어 스페이스 프레임
JP4621028B2 (ja) 足場板構造
KR100960943B1 (ko) 건설공사용 강관 비계.
JP404452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補強器具
KR200342274Y1 (ko) 비계파이프 연결구
KR200491199Y1 (ko) 외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KR200342272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KR200316091Y1 (ko) 교각 점검로의 결합구조
KR200397582Y1 (ko) 건축용 거푸집 간격유지구
KR102181982B1 (ko) 가설구조물용 발판
KR200405350Y1 (ko) 거푸집 연결장치
KR100949195B1 (ko) 이형철근의 정착구
JP2019060103A (ja) パイプ連結具
KR200179329Y1 (ko) 조립식 비계장치의 수평재용 연결구
JP4387848B2 (ja) 連結具用スペーサ
CN214089510U (zh) 一种多功能组合式模板体内拉杆系统
KR200267908Y1 (ko) 건축용 안전발판
CN216076275U (zh) 铝合金模板支护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