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679B1 - 패널 체결유닛 - Google Patents
패널 체결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7679B1 KR101247679B1 KR1020110059320A KR20110059320A KR101247679B1 KR 101247679 B1 KR101247679 B1 KR 101247679B1 KR 1020110059320 A KR1020110059320 A KR 1020110059320A KR 20110059320 A KR20110059320 A KR 20110059320A KR 101247679 B1 KR101247679 B1 KR 1012476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main frame
- wedge
- unit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7—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simultaneously tying two facing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패널 체결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패널 체결유닛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에 걸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 제1 패널의 둘레에 마련된 제1 프로파일에 삽입되도록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 제2 패널의 둘레에 마련된 제2 프로파일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의 타측에서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메인프레임에 대한 회전부의 결합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에 마련되는 간격조절부; 및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회전부의 일측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삽입되되, 삽입 진행에 따라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부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메인프레임이 제1 패널 및 제2 패널에 밀착되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는 결합 웨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패널 사이의 간격에 무관하게 이들 패널을 간편하게 체결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면서도 체결의 확실성을 보장할 수 있는 패널 체결유닛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패널 체결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패널 사이의 간격에 무관하게 이들 패널을 간편하게 체결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면서도 체결의 확실성을 보장할 수 있는 패널 체결유닛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기타의 고층건물을 건축할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제작된 다수의 패널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게 된다.
즉 다수의 패널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이러한 상태 하에서 패널들을 대향하도록 직립시켜 조성되는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됨에 따라 건축물을 이루는 벽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거푸집은 크게 갱폼과 유로폼으로 분류되는데, 여기서 갱폼은 철판으로 제작한 모든 폼을 말하며, 유로폼은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면은 합판으로 구성하고 합판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프로파일 및 멍에·장선재는 금속으로 구성하여 무게를 가볍게 한 거푸집을 말한다.
유로폼은 가로 600 mm, 세로 1200 mm로 규격화되어 마련되며,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여 최근 널리 이용 중에 있는 거푸집이다. 하지만 유로폼은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되어 생산되므로, 규격화된 유로폼의 크기에 맞지 않는 특정한 크기의 건축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시 요구되는 크기에 부합하도록 합판을 제작하고, 합판이 안착되는 프로파일부를 금속으로 마련하며, 프로파일부의 내측에 멍에재·장선재를 일체로 결합한 시스템 폼이 개발된 바 있다.
시스템 폼의 둘레에는 그루브가 형성된 프로파일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시스템 폼은 이러한 그루브에 삽입되는 돌기를 갖는 체결유닛에 의하여 상호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시스템 폼 체결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시스템 폼 체결유닛(1)은 사각 강관(2)과, 강관(2)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단(3)과, 강관(2)의 타측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단(4)과, 회전단(4)의 회전을 구속하는 핀(5)을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의 시스템 폼 체결유닛(1)은 한 쌍의 시스템 폼의 배면에 걸쳐 접촉되는 강관(2)의 일측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단(4)을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는 핀(5)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따르고 있는바, 이에 따라 체결유닛(1)을 체결하더라도 강관(2)이 시스템 폼의 배면에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시스템 폼 체결유닛(1)은 강관(2)이 시스템 폼의 배면에 밀착되지 못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타설시 한 쌍의 시스템 폼이 완전한 평면을 이루지 못하고 어느 하나 또는 한 쌍의 시스템 폼이 모두 조금씩 뒤쪽으로 밀림으로써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이 편평하게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시스템 폼 체결유닛(1)은 핀(5)이 상하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시스템 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의 설치작업 등에 있어 불편함을 끼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강관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핀을 끼우는 시스템 폼 체결유닛도 고안된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 폼 체결유닛은 강관의 내부에 굴곡지게 형성된 다수의 그루브를 마련하고 회전단의 이동핀이 이러한 그루브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단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함에 따라, 제작과정이 까다롭고 그루브의 마모시 회전단을 구속하는 힘이 약해지게 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시스템 폼 상호 간의 체결상태가 임의로 해체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모든 시스템 폼 체결유닛은 고정단과 회전단 사이의 간격이 고정됨에 따라 정형화되지 않은 크기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한 쌍의 시스템 폼 사이에 각목 등을 끼우는 경우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패널 사이의 간격에 무관하게 이들 패널을 간편하게 체결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면서도 체결의 확실성을 보장할 수 있는 패널 체결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에 걸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제1 패널의 둘레에 마련된 제1 프로파일에 삽입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제2 패널의 둘레에 마련된 제2 프로파일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한 상기 회전부의 결합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는 간격조절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부의 일측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삽입되되, 삽입 진행에 따라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에 밀착되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는 결합 웨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체결유닛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회전부는, 제1 회전바디; 상기 제1 회전바디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회전바디; 상기 결합 웨지가 삽입되기 위한 웨지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배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 회전바디 및 상기 제2 회전바디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디; 및 상기 결합 웨지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연결바디에 마련되는 웨지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웨지는, 상기 결합 웨지의 삽입시 타격수단을 사용하여 타격할 수 있도록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타격부; 상기 결합 웨지의 분리시 타격수단을 사용하여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타격부로부터 이격된 타단부에 마련되는 제2 타격부; 및 상기 제1 타격부 및 상기 제2 타격부를 상호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지 안내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를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연결바디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안내 웨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타격부 및 상기 제2 타격부는 각각 상기 웨지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결합 웨지의 전체적인 강성을 유지하면서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타격부 및 상기 제2 타격부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경사부로 마련되어 중앙 부분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간격조절공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 체결유닛은 상기 다수의 간격조절공 중 어느 하나의 간격조절공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를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간격조절공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헤드와, 상기 간격조절공을 따라 관통 삽입되되 상기 간격조절공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간격조절공 지름의 7/10 내지 9/10에 해당하는 지름을 가지는 바디를 포함하는 볼트;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간격조절공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 웨지의 삽입 초기에는 상기 회전부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삽입 완료시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웨지의 삽입 진행에 따라 상기 바디가 상기 간격조절공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부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ㄷ'자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제1 단위프레임; 및 'ㄷ'자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단위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 단위프레임을 포함하여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압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체결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는, 메인 커버; 및 상기 메인 커버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단위프레임 및 상기 제2 단위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단위프레임과 상기 제2 단위프레임이 결합된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삽입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프레임에 마련되는 간격조절부를 통해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패널 사이의 간격에 무관하게 이들 패널을 간편하게 체결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면서도 체결의 확실성을 보장할 수 있는 패널 체결유닛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시스템 폼 체결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체결유닛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체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의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체결유닛의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측에서 바라본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의 결합 웨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하측에서 바라본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의 결합 웨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결합 웨지의 삽입 진행에 따른 회전부의 회전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3은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에 각목이 개재된 경우에 있어서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이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체결유닛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체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의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체결유닛의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측에서 바라본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의 결합 웨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하측에서 바라본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의 결합 웨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결합 웨지의 삽입 진행에 따른 회전부의 회전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3은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에 각목이 개재된 경우에 있어서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이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체결유닛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체결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의 회전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체결유닛의 회전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상측에서 바라본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의 결합 웨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하측에서 바라본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의 결합 웨지의 사시도이며, 도 9는 결합 웨지의 삽입 진행에 따른 회전부의 회전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13은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에 각목이 개재된 경우에 있어서 도 2의 패널 체결유닛이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체결유닛(100)은 메인프레임(110)과,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120)와, 메인프레임(110)의 타측에서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40)와, 메인프레임(110)에 대한 회전부(140)의 결합위치를 결정하는 간격조절부(160)와, 회전부(140)의 회전운동을 단속하는 결합 웨지(170)와, 회전부(140)를 메인프레임(110)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180)와, 메인프레임(110)의 양측을 각각 덮는 한 쌍의 덮개(19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10)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의 배면에 걸쳐 배치되는 구성이다. 메인프레임(110)은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의 배면을 함께 지지하도록 마련되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더라도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이 편평한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결국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전체적으로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메인프레임(110)은 패널 체결유닛(100)의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중공형 사각 강관을 이용하여 마련되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메인프레임(110a)은 'ㄷ'자 단면형상을 갖는 제1 단위프레임(111a)과 제2 단위프레임(113a)을 결합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인프레임(110a)은 도 2에 도시된 메인프레임(110)의 외주면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외력에 저항할 수 있는 힘이 증대되는 장점을 가진다.
즉, 콘크리트의 타설에 따라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면압은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을 거쳐 메인프레임(110) 측으로 전달되는데 이에 따라 패널 체결유닛(100)을 반복사용하게 되면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의 연결지점에 해당하는 메인프레임(110)의 중앙 부분이 휘게 되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에 저항할 수 있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 3과 같이 메인프레임(110a)을 제1 단위프레임(111a) 및 제2 단위프레임(113a)으로 나누어 제작하고, 이들 단위프레임(111a, 113a)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외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메인프레임(110a)을 제작하는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110, 110a)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달리 한 쌍의 사각 강관을 상하로 접합하여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메인프레임(110, 110a)의 형상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부(120)는 제1 패널(P1)의 둘레에 마련된 제1 프로파일(P11)의 제1 그루브(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고정부(120)는 메인프레임(110)의 일측 상하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일단부에 돌기(121)가 형성되어 제1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부(140)는 메인프레임(110)의 타측에서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회전부(140)는 제1 회전바디(141)와, 제1 회전바디(14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회전바디(143)와, 제1 회전바디(141) 및 제2 회전바디(14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디(145)와, 연결바디(145)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웨지 안내부(147)를 포함한다.
제1 회전바디(141)는 메인프레임(110)의 상면에 배치되는 구성이고, 제2 회전바디(143)는 제1 회전바디(14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메인프레임(110)의 하면에 배치되는 구성이며, 연결바디(145)는 결합 웨지(170)가 삽입될 수 있는 웨지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메인프레임(110)의 배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 회전바디(141) 및 제2 회전바디(143)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제1 회전바디(141) 및 제2 회전바디(143)의 일단부에는 각각 돌기(141a, 143a)가 형성되어 제2 패널(P2)의 둘레에 마련된 제2 프로파일(P21)의 제2 그루브(P21a)에 삽입되거나 삽입해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회전바디(141) 및 제2 회전바디(143)에는 각각 관통공(141b, 143b)이 형성되며, 관통공(141b, 143b)을 따라서는 후술하는 결합부재(180)가 이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회전부(140) 전체를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웨지 안내부(14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디(145)의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웨지 안내부(147)는 후술하는 결합 웨지(170)의 경사부(175)에 대응하는 경사도를 갖는 안내 웨지로 마련된다.
결합 웨지(170)는 웨지 안내부(147)를 따라 안내되면서 웨지 삽입공간을 따라 삽입되며, 이에 따라 결합 웨지(170)는 메인프레임(110)을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의 배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충분한 힘을 발휘하면서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40)는 제1 회전바디(141) 및 제2 회전바디(143)와, 이를 상호 연결하는 힌지핀(HP)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회전부(140)는 구조가 단순한 장점을 가지는 반면 결합 웨지(170)의 삽입과정이 안내되지 못함에 따라 삽입과정이 조금 불편해질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메인프레임(110)의 전체적인 길이 또는 결합 웨지(170)의 전체적인 크기 등의 사항을 고려하여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회전부(140)를 사전에 선택하여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간격조절부(160)는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메인프레임(110)에 대한 회전부(140)의 결합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간격조절부(160)는 메인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간격조절공(160a, 160b, 160c, 160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정형화된 크기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닌 비 정형화된 크기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 사이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각목(SB, 도 13 참조)을 개재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간격조절부(160)는 바로 이러한 경우 서로 이격된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의 간격에 대응하여 메인프레임(110)에 대한 회전부(140)의 결합위치를 결정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각목(SB)이 개재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 회전부(140)는 첫 번째 간격조절공(160a)을 따라 체결되는 결합부재(180)에 의하여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되며, 각목(SB)이 개재되는 경우 회전부(140)는 다른 간격조절공(160c)을 따라 체결되는 결합부재(180)에 의하여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된다.
물론 간격조절공(160a, 160b, 160c, 160d)은 삽입되는 각목(SB)의 개수 또는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 또는 5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결합 웨지(170)는 메인프레임(1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웨지 삽입공간을 통해 삽입됨으로써 회전부(140)의 회전을 단속하는 구성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웨지(170)는 제1 타격부(171)와, 제1 타격부(17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 타격부(173)와, 제1 타격부(171) 및 제2 타격부(173)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175)를 포함한다.
제1 타격부(171)는 결합 웨지(170)의 삽입시 망치 등의 타격수단을 사용하여 이를 타격할 수 있도록 결합 웨지(170)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며, 제2 타격부(173)는 결합 웨지(170)의 분리시 망치 등의 타격수단을 사용하여 이를 타격할 수 있도록 결합 웨지(170)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제1 타격부(171) 및 제2 타격부(173)는 각각 웨지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HH1, HH2)를 갖도록 마련되는데, 이는 결합 웨지(170)를 메인프레임(110)에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회전부(140)를 메인프레임(110)에 결합시키면 결합 웨지(170)가 웨지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결합 웨지(170)를 따로 보관하고 필요시에만 이를 웨지 삽입공간에 끼우는 방식에 따라 패널 체결유닛(100)을 사용하게 되면 결합 웨지(170)의 분실 위험이 그만큼 높아지게 되는바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타격부(171) 및 제2 타격부(173)의 높이(HH1, HH2)를 조절하도록 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1 타격부(171) 및 제2 타격부(173)의 높이(HH1, HH2)는 변경될 수도 있다.
경사부(175)는 결합 웨지(17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제1 타격부(171) 및 제2 타격부(173)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경사부(175)는 제1 타격부(171)의 일측 및 제2 타격부(173)의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제1 경사부(175a)와, 제1 타격부(171)의 타측 및 제2 타격부(173)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는 제2 경사부(175b)를 포함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즉, 제1 경사부(175a) 및 제2 경사부(175b)의 사이에는 부재가 채워지지 않은 중공부(175c)가 형성된다.
중공부(175c)는 제1 타격부(171) 및 제2 타격부(173)가 마련된 지점을 제외한 제1 경사부(175a) 및 제2 경사부(175b)가 마련된 결합 웨지(170)의 중앙부분에만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는 결합 웨지(170)의 전체적인 강성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즉, 타격수단이 타격하는 제1 타격부(171) 및 제2 타격부(173)에는 많은 힘이 급격하게 가해지게 되므로 중공부(175c)를 형성시키지 않도록 하며, 그다지 큰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사부(175)가 형성된 지점에만 중공부(175c)를 형성시킴으로써 결합 웨지(170)의 전체적인 강성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무게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결합부재(180)는 다수의 간격조절공(160a, 160b, 160c, 160d)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삽입되어 회전부(140)를 메인프레임(110)에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결합부재(180)는 헤드(182) 및 바디(183)를 갖는 볼트(181)와, 간격조절공(160a, 160b, 160c, 160d)을 따라 삽입되어 메인프레임(11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바디(183)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너트(1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182)는 간격조절공(160a, 160b, 160c, 160d)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마련되며, 너트(184) 또한 간격조절공(160a, 160b, 160c, 160d)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마련되어 회전부(140)가 메인프레임(11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바디(183)는 특별한 크기로 조절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바디(183)는 간격조절공(160a, 160b, 160c, 160d) 지름의 7/10 내지 9/10에 해당하는 지름을 갖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바디(183)의 지름을 특정하는 것은 바디(183)의 기능에 따른 것이다. 즉, 결합 웨지(170)의 삽입 초기에는 회전부(140)가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바디(183)가 간격조절공(160a, 160b, 160c, 160d)에 의해 특별한 구속을 받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 웨지(170)의 삽입 완료시에는 바디(183)가 간격조절공(160a, 160b, 160c, 160d)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하면서(도 11 참조) 메인프레임(110)을 압박하여 메인프레임(110)이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의 배면에 밀착될 수 하기 위해 바디(183)의 지름을 특정한다.
한편, 덮개(190)는 메인프레임(110)의 양측을 덮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은 내부가 빈 중공 강관을 사용하여 마련되는바 메인프레임(110)의 내부 중공부분으로는 빗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상존하게 된다.
메인프레임(110)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면 금속성 부재인 메인프레임(110)이 부식될 가능성이 커지며, 이물질이 유입되면 이를 제거하는 작업을 별도로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덮개(190)를 마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사각 강관을 사용하여 메인프레임(110)을 마련하는 경우 덮개(190)는 메인프레임(110)의 양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사각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이에 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프레임(111a) 및 제2 단위프레임(113a)을 사용하여 메인프레임(110a)을 마련하는 경우 덮개(190a)는 메인프레임(110a)의 양측을 덮는 메인 커버(191a)와, 메인 커버(191a)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 리브(193a)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삽입 리브(193a)는 제1 단위프레임(111a) 및 제2 단위프레임(113a)이 결합된 형상에 대응되도록 메인 커버(191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며, 특히 삽입 리브(193a)의 수용홈(193b)에는 제1 단위프레임(111a) 및 제2 단위프레임(113a)의 결합부분이 삽입됨으로써 덮개(190a)가 메인프레임(110a)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패널 체결유닛(100)의 사용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하도록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을 배치한 후에는 패널(P1, P2)의 길이방향을 따라 패널 체결유닛(100)을 체결함으로써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을 체결하게 된다.
즉,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에 걸쳐 메인프레임(110)이 배치되도록 하는데 고정부(120)는 제1 패널(P1)의 제1 그루브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 회전부(140)는 결합 웨지(170)를 충분히 삽입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된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치 등의 타격수단을 사용하여 결합 웨지(170)의 제1 타격부(171)를 타격하게 되면 결합 웨지(170)가 웨지 삽입공간을 따라 점진적으로 삽입되게 되는데, 이때 결합 웨지(170)의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부(140)가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제2 패널(P2)의 제2 그루브(P21a)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패널 체결유닛(100)은 결합 웨지(170)의 삽입 진행에 따라 회전부(140)가 자연스럽게 제2 그루브(P21a)에 삽입되게 되므로 작업의 편의가 도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부(140)에 마련된 웨지 안내부(147)에 따라 결합 웨지(170)의 전체적인 삽입과정이 안내되어 작업의 편의가 도모된다.
이와 함께, 결합 웨지(170)를 삽입하기 위해 제1 타격부(171)를 타격하는 힘은 결합 웨지(170)를 미는 힘(F1)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메인프레임(110)이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에 밀착되도록 하는 힘(F2)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힘(F2)에 따라 결합부재(180)를 구성하는 바디(183)는 간격조절공(160a, 160b, 160c, 160d)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회전부(140)의 회전을 단속하게 된다.
종래의 체결유닛과 같이 수직핀을 사용하여 회전단을 구속하게 되면 전술한 힘 중 메인프레임(110)이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에 밀착되도록 하는 힘(F2)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바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완전한 평면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실시예의 패널 체결유닛(100)은 이러한 밀착되도록 하는 힘(F2)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게 되므로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완전한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결합 웨지(170)가 끝까지 삽입되면 메인프레임(110)은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에 따라 면압이 발생하더라도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이 편평한 평면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패널 체결유닛(100)을 사용하여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을 체결한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패널 체결유닛(100)을 분리하게 된다.
이때 결합 웨지(170)의 망치 등을 사용하여 제2 타격부(173)를 타격하게 되면 결합 웨지(170)가 분리됨과 동시에 회전부(140)가 결합 웨지(170)의 분리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회전함으로써 제2 패널(P2)의 제2 그루브(P21a)로부터 삽입해제될 수 있게 된다.
비 정형화된 크기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 사이에 각목(SB)을 개재시키는 경우에는 메인프레임(110)에 대한 회전부(140)의 결합위치만을 변경한 후 전술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패널(P1, P2)을 결합하거나 결합해제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패널 체결유닛(100)은 메인프레임(110)에 마련되는 간격조절부(160)를 통해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패널(P1, P2) 사이의 간격에 무관하게 이들 패널(P1, P2)을 간편하게 체결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면서도 체결의 확실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패널 체결유닛 110 : 메인프레임
120 : 고정부 140 : 회전부
160 : 간격조절부 170 : 결합 웨지
180 : 결합부재 190 : 덮개
120 : 고정부 140 : 회전부
160 : 간격조절부 170 : 결합 웨지
180 : 결합부재 190 : 덮개
Claims (9)
-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에 걸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제1 패널의 둘레에 마련된 제1 프로파일에 삽입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제2 패널의 둘레에 마련된 제2 프로파일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한 상기 회전부의 결합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의 간격조절공이 형성되는 간격조절부;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부의 일측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삽입되되, 삽입 진행에 따라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에 밀착되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는 결합 웨지; 및
상기 다수의 간격조절공 중 어느 하나의 간격조절공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를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간격조절공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헤드와, 상기 간격조절공을 따라 관통 삽입되되 상기 간격조절공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간격조절공 지름의 7/10 내지 9/10에 해당하는 지름을 가지는 바디를 포함하는 볼트;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간격조절공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 웨지의 삽입 초기에는 상기 회전부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삽입 완료시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웨지의 삽입 진행에 따라 상기 바디가 상기 간격조절공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체결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제1 회전바디;
상기 제1 회전바디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회전바디;
상기 결합 웨지가 삽입되기 위한 웨지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배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 회전바디 및 상기 제2 회전바디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디; 및
상기 결합 웨지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연결바디에 마련되는 웨지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체결유닛.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웨지는,
상기 결합 웨지의 삽입시 타격수단을 사용하여 타격할 수 있도록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타격부;
상기 결합 웨지의 분리시 타격수단을 사용하여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타격부로부터 이격된 타단부에 마련되는 제2 타격부; 및
상기 제1 타격부 및 상기 제2 타격부를 상호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체결유닛.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안내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를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연결바디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안내 웨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체결유닛.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격부 및 상기 제2 타격부는 각각 상기 웨지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결합 웨지의 전체적인 강성을 유지하면서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타격부 및 상기 제2 타격부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경사부로 마련되어 중앙 부분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체결유닛.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9320A KR101247679B1 (ko) | 2011-06-18 | 2011-06-18 | 패널 체결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9320A KR101247679B1 (ko) | 2011-06-18 | 2011-06-18 | 패널 체결유닛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9490A KR20120139490A (ko) | 2012-12-27 |
KR101247679B1 true KR101247679B1 (ko) | 2013-04-01 |
Family
ID=4790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9320A KR101247679B1 (ko) | 2011-06-18 | 2011-06-18 | 패널 체결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767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8438B1 (ko) | 2023-07-06 | 2023-11-06 | 김정숙 | 패널 체결부재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73350B (zh) * | 2022-04-18 | 2023-09-26 | 重庆拓达建设(集团)有限公司 | 用于高层建筑的组合式铝模板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2840U (ja) * | 1993-12-31 | 1995-08-11 | 岡部株式会社 | 枠付パネルの連結用クランプ |
KR100274302B1 (ko) * | 1992-02-27 | 2000-12-15 | 브로스트 바바라 | 성형판넬의 에지부 연결용 클램프 |
KR20020047184A (ko) * | 1999-09-23 | 2002-06-21 | 아루투어 슈보에러 | 턴버클 장치 |
-
2011
- 2011-06-18 KR KR1020110059320A patent/KR1012476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4302B1 (ko) * | 1992-02-27 | 2000-12-15 | 브로스트 바바라 | 성형판넬의 에지부 연결용 클램프 |
JPH0742840U (ja) * | 1993-12-31 | 1995-08-11 | 岡部株式会社 | 枠付パネルの連結用クランプ |
KR20020047184A (ko) * | 1999-09-23 | 2002-06-21 | 아루투어 슈보에러 | 턴버클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8438B1 (ko) | 2023-07-06 | 2023-11-06 | 김정숙 | 패널 체결부재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9490A (ko) | 2012-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7243B1 (ko) |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 |
KR101791819B1 (ko) |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둥의 안정성을 높인 강판프레임 콘크리트 내진보강공법 | |
KR100985865B1 (ko) | 해체 시공성이 향상된 드롭헤드 기능을 갖는 서포터 및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 |
KR200436827Y1 (ko) | 시공성이 우수한 유로폼용 고정구 | |
KR200436231Y1 (ko) |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 |
KR101279811B1 (ko) | 패널지지 어셈블리 | |
JP2014105425A (ja) | 補強壁施工方法 | |
KR101247679B1 (ko) | 패널 체결유닛 | |
KR100739920B1 (ko) | 기둥과 보의 복합 구조물 | |
KR101948812B1 (ko) |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
JP2014185441A (ja) | 補強壁施工方法 | |
KR101142879B1 (ko) | 슬라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 |
KR101458875B1 (ko) | 플레이트-각관 조립철골보에 의한 슬림플로어 합성구조 | |
JP4945428B2 (ja) | 補強構造 | |
KR101891322B1 (ko) |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 |
KR101152588B1 (ko) | 에스알씨 기둥용 상단판넬 | |
JP5501106B2 (ja) | 外付けブレース使用耐震補強構造および耐震補強方法 | |
JP5442365B2 (ja) | 補強梁接合金物 | |
JP4903110B2 (ja) | 開口補強ユニットおよび布基礎 | |
JP3983491B2 (ja) | 断熱pcコンクリート板の製造方法 | |
KR101295632B1 (ko) | 패널 지지 어셈블리 | |
JP5004918B2 (ja) | 化粧用プレート部材兼用型枠構造 | |
KR101210895B1 (ko) | 체결 및 해체의 편의성이 향상된 써포터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판넬 지지모듈 | |
KR100452976B1 (ko) |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스틸플레이트 보강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 |
JP3172859U (ja) | プラスチック型枠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