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405B1 - 낙하 방지용 안전 발판 - Google Patents

낙하 방지용 안전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405B1
KR102034405B1 KR1020190035342A KR20190035342A KR102034405B1 KR 102034405 B1 KR102034405 B1 KR 102034405B1 KR 1020190035342 A KR1020190035342 A KR 1020190035342A KR 20190035342 A KR20190035342 A KR 20190035342A KR 102034405 B1 KR102034405 B1 KR 102034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foreign matter
prevention wall
hing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희
Original Assignee
이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희 filed Critical 이중희
Priority to KR1020190035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발판은 이물질 낙하방지벽을 구비한 건설용 안전 발판으로서, 발판; 상기 발판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일정 높이로 기립된 이물질 낙하방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에 이물질 낙하방지벽을 추가하여 작업 공구와 같은 이물질이 발판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낙하 방지용 안전 발판{Safety Scaffold for Falling Preventing}
본 발명은 낙하 방지용 안전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안전 발판에 낙하방지벽을 추가하여 작업 공구와 같은 이물질이 발판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안전 발판은 일반적으로 공사장과 같은 높은 곳에서 작업자들이 작업하거나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해 놓은 발판이다. 이러한 건축용 안전 발판은 비계와 같은 지지물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건축 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안전 발판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안전 발판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이 형성되며, 우기 시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전 발판은 지지물에 용접되어 일체적으로 설치 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일체적으로 이루어지면 설치 공간이나 높이가 한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판에 연결고리 등을 구비하여 건물이나 지지물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건축용 안전 발판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 예로, 건축용 안전 발판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 특허 제 10-1608472호(발명의 명칭 : 생산 및 현장설치 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발판)는지지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가진 안전 발판으로서, 공사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 가능한 건축용 안전 발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요홈이 배열 형성되고, 요홈이 형성된 사이사이에는 미끄럼 방지공이 천공된 발판부와, 발판부의 전후 측에 덧대어져 용접되는 마구리부와, 발판부의 전후 양측에 부착되어 가설구조물을 이루는 파이프에 양측이 걸쳐지도록 연결고리가 전후 상호 대향되게 구비된 공지의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부는 상기 발판부 양단 측을 수용하여 용접 부착되는 커버형으로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연결고리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 및 연결고리를 장착하기 위한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는 마구리부의 설치공에 안내되어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부가 절곡 형성되되, 고정부에는 상기 결합공과 일치되어 리벳으로 관통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 양측에 부착되는 마구리부 중 어느 하나의 마구리부 전면에는 상기 파이프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록킹부재가 부착되되, 상기 록킹부재는, 마구리부 전면에 용접 부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전면에 관통되어 상방향으로 각도를 갖고 고정되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에 걸쳐져 원주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호형의 장홈 및 장홈이 형성된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파이프의 저부를 받치는 절곡부와, 절곡부 사이에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호형의 받침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및 현장설치 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가설 구조물의 파이프에 지지시키는 록킹부재를 포함하여 건설 작업 현장에서 안전 발판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판의 형태의 발판에 지지대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만 추가되어 작업 도구나 이물질이 발판의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벽이 있는 발판과 같은 구조로서 작업 도구나 이물질 등이 발판의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가질 수 있는 건축용 안전 발판이 개발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판에 이물질 낙하방지벽을 추가하여 작업 공구와 같은 이물질이 발판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 낙하방지벽에 유격거리를 주기 위한 슬릿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물질 낙하방지벽이 발판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 부위에 힌지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이물질 낙하방지벽이 탈착 가능하게 결함되도록 발판에 결합 홈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발판은, 발판; 상기 발판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일정 높이로 기립된 이물질 낙하방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과 상기 이물질 낙하방지벽의 결합 부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관통 절개된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슬릿의 높이에 대응되는 몸체를 구비한 패스너가 상기 슬릿에 체결되어, 상기 발판과 상기 이물질 낙하방지벽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이물질 낙하방지벽은, 상기 발판의 외측 부위에 설치된 힌지를 매개로 상기 발판에 접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전 발판은, 상기 이물질 낙하방지벽이 기립 회동 시, 상기 이물질 낙하방지벽의 기립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이물질 낙하방지벽은, 하방으로 연장된 결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발판은,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결합 홈을 구비하여, 상기 이물질 낙하방지벽이 상기 발판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발판에 의하면,
1) 이물질 낙하방지벽을 구비함으로써, 작업 공구나 이물질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2) 슬릿에 패스너 결합을 함으로써 이물질 낙하방지벽이 유동성을 가져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3) 힌지를 추가함으로써, 이물질 낙하방지벽이 회동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접었다 펼 수 있고,
4) 발판에 결합 홈을 추가함으로써, 이물질 낙하방지벽을 발판에 쉽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 발판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 발판에 슬릿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 발판의 추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물질 낙하방지벽이 발판에 탈부착 되는 외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물질 낙하방지벽과 발판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이물질 낙하방지벽의 내측 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고정부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안전 발판에 스크린이 추가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스크린이 단차 구조로 이루어진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 발판(100)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건설용 안전 발판(100)은 발판(100)과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을 구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발판(100)은 공지의 건축용 발판(100)과 같거나 유사한 구조로 판의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발판(100)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배열로 형성된 홈이 구비되거나 홈이 발판(100)에 관통 형성되거나 일정한 배열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미끄럼 방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발판(100)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의 복수 개의 요홈(110)이 일정한 형태와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홈(110)의 형상은 원, 직사각형, 마름모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요홈(110)의 사이즈는 작업자의 발이나 작업 도구 등이 빠지지 않을 정도의 사이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발판(100)에는 클램프와 같은 고정 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발판(100)을 비계와 같은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발판(100)이 안정적으로 지지물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수단은 발판(100)에 일체적으로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트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발판(100)을 더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 발판(100)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발판(100)의 재질은 휨성과 강성을 고려하여 충분한 강도나 경도를 갖추어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는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과 같은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발판은 하중이 발판(100)의 전체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발판(100)에 구비된 홈을 통해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우기 시 비에 의한 미끄러움을 최대한 방지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며 작업할 수 있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은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발판(100)의 측벽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은 발판(100)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연장되어 발판(100)의 일 측단에 결합된다. 만일,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이 발판(1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면 틈이 생겨 사이로 물건이 빠질 위험이 있고, 발판(1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면 공간만 더 차지할 뿐 추가적인 기능이 없기 때문에 발판(100)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의 높이는 발판(100)의 폭의 길이와 1:3 내지 1:5의 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작업 공구나 이물질이 떨어질 위험이 있고,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이 너무 높게 형성되면 설치 비용이 비싸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발판(100)의 폭과 적당한 비율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은 발판에 다양한 결합 각도로 결합될 수 있는데, 수직으로 결합되면 틈이 생기지 않아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ㄴ자와 같은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은 작업 공구, 이물질 등이 밖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발판(100)은 이물질 낙하를 방지하면서 발판(100) 본연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 발판(100)에 슬릿(22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안전 발판(200)에는 슬릿(220)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은 발판(100)에 일체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금형을 새로 제작해야 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많이 들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작비용을 절약하기 위해서 이물질 낙하방지벽(200)과 발판(100)의 금형을 각각 제작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각 제작된 이물질 낙하방지벽(200)과 발판(100)을 패스너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패스너 결합을 위해 이물질 낙하방지벽(200)과 발판(100)의 결합 부위에는 체결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형성된 체결공(210)에는 패스너가 삽입 결합되어 이물질 낙하방지벽(200)과 발판(1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 낙하방지벽(200)과 발판(100)이 패스너를 매개로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면, 강한 바람과 같은 외부 충격에 안전 발판(100)이 흔들려서 위험한 작업 환경이 조성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술한 체결공(210)에 슬릿(220)을 추가적으로 형성하여 패스너가 유격거리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슬릿(220)은 좁고 길게 트여있는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삽입된 패스너가 슬릿(22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더불어, 슬릿(220)은 발판(100)의 외측면, 즉,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이 결합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발판(100)과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발판(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릿(220)을 구비하여 패스너를 매개로 발판과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을 결합함으로써 슬릿(2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 완화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패스너 결합을 통해 발판(100)과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을 겸비하여, 발판(100)이나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이 파손되었을 때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 발판(100)의 추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같이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은 발판(100)에 수직으로 기립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힌지(230)를 매개로 발판(100)과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안전 발판(100)에는 힌지(230)와 고정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힌지(230)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힌지(230)는 발판(100)의 상면의 외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만일, 힌지(230)가 발판(100)의 상면에 형성되지 않으면 힌지(230)의 회동범위가 제한되어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을 발판(100)에 접하도록 접을 수 없는 문제가 있는데, 힌지(230)가 발판(100)의 상면에 형성되면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힌지(230)가 발판(100)에 결합되면 발판(100)의 상면으로 힌지(230)가 돌출되어 작업자의 발이 걸릴 우려가 있는데, 이물질 낙하방지벽(200)과 발판(100)에 힌지(230)가 결합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여 힌지(230)가 발판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은 발판(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양한 각도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은 발판(100)에 ㄴ자 형상으로 수직으로 결합되었을 때 가장 높이가 높게 되어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 발판(100)이 ㄴ자 형상이 되도록 힌지(230)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안전 발판(100)이 ㄴ자 형상이 되도록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고정부(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부(240)는 힌지(230)의 무한회동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240)의 일 실시예로서,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는 제 1 홈(241), 제 2 홈(242), 고정클립(2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홈(241) 상술한 힌지(230)의 제 1 봉(231)에 형성되는 홈이고, 제 2 홈(242)은 힌지(230)의 제 2 봉(232)에 형성되는 홈을 의미한다. 또한, 고정클립(243)은 제 1,2 홈(241,242)에 동시에 삽입되어 제 1,2 봉(231,232)을 고정 결합시킬 수 있는 클립을 의미한다. 이 때, 안전 발판(100)을 ㄴ자 형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제 1,2 홈(241,242)의 위치는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이 발판(100)에 수직으로 기립될 때, 즉, ㄴ자의 형상이 되었을 때 동일한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부(240)의 구성에 따라,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이 발판(100)에 결합되어 회동되다가 제 1,2 홈(241,242)의 위치가 일치할 때, 즉, 이물질 낙하방지벽(200)과 발판(100)이 ㄴ자 형상이 되었을 때 고정클립(243)을 제 1,2 홈(241,242)에 삽입함으로써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이 발판(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40)의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부(240)는 와이어(412), 고정고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와이어(412)가 연결될 수 있는 측벽이나 기둥에 와이어(412)를 연결하고 일정한 각도가 됐을 때 고정고리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힌지(230) 결합을 통해 발판(100)과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을 결합함으로써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을 쉽게 접고 펼 수 있어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을 접으면 발판(100)에 턱이 생길 우려가 있는데,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의 두께를 조절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이 발판(100)에 접혀 있을 때 발판(10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작업자가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에 걸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230) 부위에 고정부(240)를 결합함으로써 힌지(230)가 회동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여,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이 발판(100)에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이 발판(100)에 탈부착 되는 외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결합부(300)는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조이다. 더불어, 발판(100)의 결합 홈(310)은 발판(10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홈을 가진 구조로, 발판(100)과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의 결합 부위에 결합부(30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결합부(300)는 물리적인 외력을 통해 결합 홈(310)에 슬라이딩 방식의 탈착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발판(100)과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이 일체적으로 사출되는 구조에 비해 제작비용을 절감 할 수 있고, 공간이 절약되어 보관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물질 낙하방지벽(200)과 발판(100)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300)는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의 하단에 직접 위치할 수 있지만 도 5의 실시예로서 코어(320)를 매개로 결합 가능한 구조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은 코어(320)를 추가로 구비하는바, 이러한 코어(320)는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의 하단에서 결합 홈(310)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절곡 연장되어 있다. 이 코어(320)로 인해, 앞서 설명한 결합부(300)는 코어(32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결합부(300)는 코어(320)와 동일 폭이 아니라 이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데, 즉 결합부(300)는 코어(320)의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로 인해, 코어(320)와 결합부(300) 양 측면 사이에 각각 이격된 공간이 발생된다.
이격공간(330)은 결합부(300)의 외측 면(312)에서 이격된 공간이며, 보조 이격공간(331)은 결합부(300)의 내측 면(311)에서 발생한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탈착 돌부(340)는 결합부(300)의 외측 면(312)에서 돌출된 것으로서, 결합부(300)의 외측 면(312)에서부터 이격공간(330)의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수평파트와, 수평파트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결합부(300)의 외측 면(312)의 일 측에 접하는 경사파트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수용 홈(350)은 결합 홈(300)의 외측 벽 일 측이 관통된 것으로, 결합부(300)의 탈착 돌부(340)와 상응하는 부위에 위치하여 탈착 돌부(340)를 수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수용 홈(350)은 사각형과, 삼각형 및,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되 탈착 돌부(340)의 형상과 상응한 형상을 갖는 것이 기본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결합부(300)와 결합 홈(310)의 결합 구조에 대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초기에 사용자가 결합 홈(310)에 결합부(300)를 장착 할 때, 탈착 돌부(340)가 결합 홈(310)의 외측 벽의 내면에 접촉 진입된다. 다시 말해, 탈착 돌부(340) 중 경사파트의 일부분이 결합 홈(310)의 외측 벽의 내면에 접촉 하강하면서 결합 홈(31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후, 누르는 힘이 지속되면서 결합부(300)가 결합 홈(310)에 삽입되면서 결합부(300)와 결합 홈(310)이 결합 관계를 가진다.
이 과정에서, 탈착 돌부(340)의 경사 파트가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결합 홈(310)의 내부로 진입할 때 수평파트 끝단이 결합 홈(310)의 외측 벽의 내면에 접하여 수평파트와 결합 홈(310) 사이에 반발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반발력으로 결합부(300)는 보조 이격공간(331) 방향으로 수평파트의 길이만큼 밀리는데 이와 동시에 경사파트는 결합 홈(310)의 외측 벽의 내면과 접촉한 상태로 하강되면서 경사방향을 따라 결합부(300)를 보조 이격공간(331)으로 자연스럽게 이동시키는 안내 역할을 한다.
코어(320)가 결합 홈(310)의 입구에 장착될 때 탈착 돌부(340)가 수용 홈(350) 주변에 위치하다가 탈착 돌부(340)가 수용 홈(350)으로 진입되어 결합부(300)와 결합 홈(31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300)와 결합 홈(310)이 결합된 이후, 작업자가 결합부(300)를 잡아당기면 수평파트가 수용 홈(350)의 상측 벽에 걸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이 쉽사리 결합 홈(3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탈착식 결합 구조는 마치 공지의 케이블타이와 같이 일 방향으로는 결합이 쉽고 타 방향으로는 분리가 어렵도록 함으로써 결합의 편의성과 견고한 결합 관계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의 내측 면(311)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의 내측 면(311)은 함입 섹션(341)과, 강화 섹션(342) 및, 함입 면(343)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함입 섹션(341)은 내측 면(311)의 둘레에 비해 일정 깊이로 함입되어 있는 부위이며, 내측 면(311)의 둘레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함입 섹션(341)은 결합부(300)를 발판(100)의 결합 홈(310)에서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300)를 결합 홈(3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탈착 돌부(340)가 수용 홈(350)에서 빠져나갈 정도의 힘이 가해져야 하는데 만일 탈착 돌부(340)의 대향 측, 즉 결합부(300)의 내측 면(311)이 뻣뻣한(rigid) 상태일 경우 탈착 돌부(340)를 수용 홈(350)에서 분리시키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을 발판(100)에서 분리하기 위한 충분한 힘이 주어질 때 함입 섹션(341)의 함입 구조의 도움으로 결합부(300)의 내측 면(311)이 발판 방향으로 일부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탈착 돌부(340)를 수용 홈(35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강화 섹션(342)은 함입 섹션(341)의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함입 섹션(341)의 둘레 상하 일 측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구조체이다.
이러한 강화 섹션(342)은 외력이 결합부(300)의 내측 면(311)에 집중 될 때 자칫 함입 섹션(341)의 함입 구조로 인해 결합부(300)가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즉, 강화 섹션(342)은 바람직하게 결합부(300)의 이동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적절히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강화 섹션(342)은 함입 섹션(341) 양단 사이를 수직 일직선 방향, 경사 방향 등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탈착 돌부(340)를 수용 홈(350)에서 분리하는 힘, 즉 측 방향으로 작용되는 외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함입 섹션(341)의 둘레 중앙 측 상하 부위를 연결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함입 섹션(341)은 함입된 바닥면, 즉 함입 면(343)이 결합부(3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그 두께가 감소하도록 테이퍼 처리되었다.
이러한 함입 면(343)은 결합부(300)를 발판(100)에서 분리할 때 사용자가 억지로 결합부(300)를 잡아 비트는 경우가 많은바, 이 때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부위이기 때문에 파손의 우려가 따르는 함입 섹션(341), 특히 함입 섹션(341)의 상측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상술한 함입 섹션(341)의 본연의 탄성 제공 기능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함입 면(343)은 외력이 닿는 부위에 가까운 함입 섹션(341)의 상측은 두껍게, 그 하측은 얇게 처리하여 함입 섹션(341)의 내구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결합부(300)와 결합 홈(310)의 분리 시 결합부(300)가 밀려날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하면서 탄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고정부(24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240)의 추가 실시예로서 고정부(240)는 함입부(400)와 와인더(410) 및 걸림부(413)로 이루어져 이물질 낙하방지벽(200)과 발판(100)이 ㄴ자 형상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함입부(400)는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에서 힌지(230)가 결합된 위치와 대향 측, 즉, 이물질 낙하방지벽(200)과 발판(100)이 ㄴ자로 결합되었을 때,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의 상면에 일정 깊이로 함입되어 있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함입부(400)는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함입부(400)의 깊이는 후술할 와인더(410)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깊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이러한 함입부(400)의 도입구 중 일부에는 다른 입구보다 직경이 큰 확공 파트(42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확공 파트(420)는 후술할 와인더(410)가 결합될 수 있는 부위로서 다시 말해 와인더(410)가 함입부(400)를 따라 이동하다가 멈출 수 있는 부위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다음으로 와인더(410)는 함입부(400) 삽입되는 것으로서, 판스프링(411), 와이어(4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와인더(410)의 내부에는 판스프링(411)과 와이어(412)가 내재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인더(410)의 내부 공간에는 와이어(412)가 권취 처리된 판스프링(411)이 장착되며, 이와 같이 판스프링(411)에 와이어(412)를 권취 처리함으로써 판스프링(411)의 탄성에 의해 와이어(412)를 탄성 회전시킬 수 있다. 더불어, 와이어(412)는 주변의 기둥이나 벽에 연결하기 위해 고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412)는 고정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이 때 와이어(412)의 길이는 이물질 낙하방지벽(200)과 발판(100)이 수직으로 되었을 때 주변의 기둥이나 벽에 연결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와인더(410)는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감싸질 수 있으며, 그 사이즈는 확공 파트(420)에 결합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와인더(410)를 탄성을 가진 재질로 감싸면 와인더가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와인더가 딱딱한 재질로 형성되면 확공 파트에 고정되어 함입부 내부를 이동할 수 없는데, 와인더의 외피를 탄성을 가진 재질로 감싸면 작업자가 와인더를 수축시킬 수 있고, 수축된 와인더는 직경이 줄어들어 함임부의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나아가, 걸림부(413)는 고리, 줄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걸림부(413)는 기둥에 용이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리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걸림부(413)는 와이어(412)의 끝단, 즉, 판스프링(411)과 연결된 측과 반대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기둥에는 고리 형상을 가진 걸림부(413)를 걸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홈에 걸림부(41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한 도 7의 실시예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물질 낙하방지벽(200)과 발판(100)이 ㄴ자 형상이 되었을 때 걸림부(413)를 기둥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와이어(412)는 일정한 길이를 가져 걸림부(413)가 고정된 기둥에서 와이어의 길이에 대응되는 확공 파트(420)에 와인더(4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인더(410)는 외부가 탄성의 재질로 되어 있어 안전 발판의 고정 상태를 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을 접거나 다른 기둥에 걸어 고정하기 위해서 와인더(410)가 다른 확공 파트(420)에 결합되어야 하는데, 이 때, 신축성을 가진 와인더(410)는 수축이 가능하여 손쉽게 다른 확공 파트(420)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안전 발판(100)에 스크린(500)이 추가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스크린이 단차 구조로 이루어진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과 같이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이 발판(100)에 ㄴ자 형상으로 결합하게 되면 힌지(230)와 이물질 낙하방지벽(200) 사이, 힌지(230)와 발판(100) 사이 각각에 간극이 발생하게 되어 이물질이 빠져나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 8에서는 추가적으로 스크린(500)이 구비될 수 있다.
스크린(500)은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힌지(230)를 감쌀 수 있는 정도의 사이즈를 가진다. 이러한 형태를 가진 스크린(500)이 안전 발판(100)에 추가적으로 구비되기 위해서는 발판(100)과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에 스크린(500)이 삽입될 수 있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발판(100)과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에는 세 개의 틈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틈은 제 1,2,3 틈(510,520,530)을 의미한다.
먼저, 제 1 틈(510)은 이물질 낙하방지벽(200)에 형성되는 틈으로, 힌지(230) 결합 부위와 가까운 쪽에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제 2 틈(520)은 발판(100)에 형성되는 틈으로, 힌지(230) 결합 부위와 가까운 쪽에 형성된다. 이 때, 제 2 틈(520)은 제 1 틈(510)으로 들어간 스크린(500)을 발판(100) 위쪽으로 다시 빼내어 스크린(500)이 힌지(230)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 3 틈(530)은 제 2 틈(520)과 약간의 이격된 공간을 가지며 발판에 형성되는 틈으로, 제 2 틈(520)을 통해 발판(100) 위로 나온 스크린(500)이 발판(100)아래쪽으로 빠지도록 해주는 틈이다. 여기서, 제 1,2,3 틈(510,520,530)의 크기는 스크린(500)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2,3 틈(510,520,530)에 삽입되는 스크린(500)은 도입 파트(531), 롤링 파트(532), 종단 파트(533)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입 파트(531)는 제 1 틈(510)으로 틀어가는 쪽의 스크린(500)을 의미하며, 스크린(500)의 끝단부터 제 1 틈(510)까지 연장된 부위이다. 다음으로, 롤링 파트(532)는 도입 파트(531)의 하단에서 제 2 틈(520)으로 인입된 부분까지를 의미하며, 다시 말해, 제 1 틈(510)으로 들어온 스크린(500)이 힌지(230)의 외측 부위를 감싸고 제 2 틈(520)으로 인입되는 부분까지를 말한다. 나아가, 종단 파트(533)는 롤링 파트(532)의 끝단에서부터 제 3 틈(530)으로 인입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여기서, 롤링 파트(532)는 힌지(230)의 외측 부위를 감싸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고 고정부(240)를 보조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종단 파트(533)는 스크린(500)이 발판(100)의 상면으로 나오지 않도록 발판(100)의 아래쪽으로 빠지게 하여 작업자가 작업할 때 발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스크린(500)에는 추가적으로 계단식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차 파트(5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 파트(540)는 스크린(500)의 롤링 파트(532)에서 힌지(230)를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 파트(540)의 단차 높이는 스크린(500)이 삽입되었을 때, 스크린(500)과 힌지(230) 사이의 이격된 거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단차 파트(540)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스크린(500)의 롤링 파트(532)와 힌지(230)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져 스크린(500)이 밖으로 심하게 돌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각각의 단차 파트(540)의 표면에는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 스토퍼 돌기(54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 돌기(543)는 각 단차 파트(540)의 표면에서 제 1 곡도(곡률 반경의 역수)로 단차 파트의 하방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라운딩지게 연장된 제 1 곡률부(541)와, 제 1 곡률부(541)의 단부에서 연장 방향을 전환하여 단차 파트(540)의 표면에 닿도록 제 2 곡도로서 볼록한 형태로 라운딩지게 연장된 제 2 곡률부(542)로 이루어지는데 이 때 제 1 곡도가 제 2 곡도보다 작다.
이와 같이 스크린(500)을 안전 발판(100)에 삽입함으로써, 힌지(230)에 의해 발생하는 간극 사이로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롤링 파트(532)의 힌지(230)를 향한 면에 단차 파트(540)를 형성함으로써, 스크린(500)이 쉽게 돌아가지 않도록 방지해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스토퍼 돌기(543)가 하방을 향하면서도 너무 뾰족하지 않게 단차 파트(540)의 표면에서 힌지(230)를 향한 형상을 가져, 뾰족한 구조에 비해 힌지(230)를 마모 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낙하방지벽을 구비한 건설용 안전 발판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발판 110: 요홈
200: 이물질 낙하방지벽 210: 체결공
220: 슬릿 230: 힌지
231: 제 1 봉 232: 제 2 봉
233: 힌지축 240: 고정부
241: 제 1 홈 242: 제 2 홈
243: 고정클립 300: 결합부
310: 결합 홈 311: 내측 면
312: 외측 면 320: 코어
330: 이격공간 331: 보조 이격공간
340: 탈착 돌부 341: 함입 섹션
342: 강화 섹션 343: 함입 면
350: 수용 홈 400: 함입부
410: 와인더 411: 판스프링
412: 와이어 413: 걸림부
414: 외피 420: 확공 파트
500: 스크린 510: 제 1 틈
520: 제 2 틈 530: 제 3 틈
531: 도입 파트 532: 롤링 파트
533: 종단 파트 540: 단차 파트
541: 제 1 곡률부 542: 제 2 곡률부
543: 스토퍼 돌기

Claims (11)

  1. 이물질 낙하방지벽을 구비한 건설용 안전 발판으로서,
    발판;
    상기 발판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일정 높이로 기립된 것으로서, 하방으로 연장된 결합부를 구비한 이물질 낙하방지벽;을 포함하되,
    상기 발판은,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결합 홈을 구비하여, 상기 이물질 낙하방지벽이 상기 발판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물질 낙하방지벽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 홈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절곡 연장된 코어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코어의 저면 사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외측 면과 상기 코어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되며,
    상기 결합부의 외측 면에는, 상기 결합부의 외측 면과 상기 코어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연장된 탈착 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홈의 외측 벽에는, 상기 탈착 돌부를 수용하도록 수용 홈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발판.
  2. 이물질 낙하방지벽을 구비한 건설용 안전 발판으로서,
    발판;
    상기 발판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일정 높이로 기립된 것으로서, 상기 발판의 외측 부위에 설치된 힌지를 매개로 상기 발판에 접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물질 낙하방지벽;
    상기 이물질 낙하방지벽이 기립 회동 시, 상기 이물질 낙하방지벽의 기립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힌지에 결합된 대향 측 끝단 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입 형성된 함입부와,
    상기 함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함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으로서, 끝단에 걸림부가 장착된 와이어를 판스프링에 권취 처리한 적어도 하나의 와인더로 이루어져,
    상기 이물질 낙하방지벽이 기립 회동 시, 상기 발판 외측 주변에서 기립 형성되어 상기 발판 외측과 결합된 기둥에 상기 와이어를 상기 와인더에서 푼 다음 상기 걸림부를 상기 기둥에 걸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발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 면은,
    둘레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일정 깊이로 함입된 함입 섹션과,
    상기 함입 섹션의 상하 일 측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강화 섹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발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 파트의 함입 면은,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경사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발판.
  8. 삭제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는,
    상기 함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함입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복수 개의 확공 파트를 구비하고,
    상기 와인더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외피에 감싸여, 상기 외피의 탄성에 의해 신축되면서 상기 확공 파트에 결합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발판.
  10. 이물질 낙하방지벽을 구비한 건설용 안전 발판으로서,
    발판;
    상기 발판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일정 높이로 기립된 것으로서, 상기 발판의 외측 부위에 설치된 힌지를 매개로 상기 발판에 접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물질 낙하방지벽;
    상기 이물질 낙하방지벽이 기립 회동 시, 상기 이물질 낙하방지벽의 기립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되,
    상기 이물질 낙하방지벽과 상기 힌지 사이에는, 제 1 틈이 절개 형성되고,
    상기 힌지와 상기 발판 사이에는, 제 2 틈이 절개 형성되며,
    상기 제 2 틈에서 상기 힌지 대향 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기 발판의 일 영역에는, 제 3 틈이 절개 형성되고,
    상기 낙하방지벽의 내측 면에는,
    상기 낙하방지벽의 일 측에서 상기 제 1 틈까지 연장된 도입 파트와, 상기 도입 파트의 하단에서 상기 제 1 틈으로 인입되어 상기 힌지에서 상기 발판 대향 측 외측 부위를 감싼 다음 상기 제 2 틈으로 인입된 롤링 파트와, 상기 롤링 파트의 단부에서 상기 제 3 틈으로 인입된 종단 파트로 이루어진 스크린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발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파트에서 상기 힌지를 향한 면에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되면서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복수 개의 단차 파트를 구비하되,
    제 1 곡도로서 하방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라운딩지게 연장된 제 1 곡률부와, 상기 제 1 곡률부의 단부에서 연장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단차 파트의 표면에 닿도록 상기 제 1 곡도보다 큰 제 2 곡도로서 라운딩지게 연장된 제 2 곡률부를 구비한 상태로 돌출된 스토퍼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발판.
KR1020190035342A 2019-03-27 2019-03-27 낙하 방지용 안전 발판 KR10203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342A KR102034405B1 (ko) 2019-03-27 2019-03-27 낙하 방지용 안전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342A KR102034405B1 (ko) 2019-03-27 2019-03-27 낙하 방지용 안전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405B1 true KR102034405B1 (ko) 2019-10-18

Family

ID=6846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342A KR102034405B1 (ko) 2019-03-27 2019-03-27 낙하 방지용 안전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77360A (zh) * 2023-01-09 2023-04-18 江苏悦达绿色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安全施工平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192A (ja) * 1994-10-27 1996-05-21 Tatsuo Ono 足場板
JPH0913660A (ja) * 1995-06-30 1997-01-14 Tatsuo Ono 足場板
JP3135198U (ja) * 2007-06-25 2007-09-06 宮本工業株式会社 建築用足場
JP2011038306A (ja) * 2009-08-11 2011-02-24 Koyo Shinwa Kk 建築用足場における落下防止具
KR20130092165A (ko) * 2012-02-10 2013-08-2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접이식 폭목 발판
KR20180053827A (ko) * 2016-11-14 2018-05-24 일우건설산업 주식회사 걸이형 난간 서포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192A (ja) * 1994-10-27 1996-05-21 Tatsuo Ono 足場板
JPH0913660A (ja) * 1995-06-30 1997-01-14 Tatsuo Ono 足場板
JP3135198U (ja) * 2007-06-25 2007-09-06 宮本工業株式会社 建築用足場
JP2011038306A (ja) * 2009-08-11 2011-02-24 Koyo Shinwa Kk 建築用足場における落下防止具
KR20130092165A (ko) * 2012-02-10 2013-08-2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접이식 폭목 발판
KR20180053827A (ko) * 2016-11-14 2018-05-24 일우건설산업 주식회사 걸이형 난간 서포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35198 U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77360A (zh) * 2023-01-09 2023-04-18 江苏悦达绿色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安全施工平台
CN115977360B (zh) * 2023-01-09 2023-10-20 江苏悦达绿色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安全施工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9364C2 (ru) Система опалубки для бетонных плит
JPH0468416B2 (ko)
JPH0842163A (ja) サポート
KR102034405B1 (ko) 낙하 방지용 안전 발판
KR101205611B1 (ko) 전주용 안전 네트
JP5384092B2 (ja) 仮設構造体用架設部材
KR102497770B1 (ko)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KR101618703B1 (ko) 건축용 바닥슬래브 거푸집패널
KR101811001B1 (ko) 작업 발판을 구비하는 원형 강관 버팀보
JP2020180461A (ja) 日除け
KR101050493B1 (ko) 수직 거푸집 지지용 거푸집지지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한 매립 콘 장치, 이를 이용한 거푸집지지 조립체의 설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시공방법
JP5594678B2 (ja) 貯槽用足場部材
KR20110024153A (ko) 건축용 서포터
KR101142879B1 (ko) 슬라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2420849B1 (ko)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KR102061877B1 (ko) 건축 공사를 위한 안전 난간 구조물 시공 방법
CN110043066B (zh) 一种建筑用可调支架
KR101253030B1 (ko)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KR101986057B1 (ko) 안전난간대
JPH0742843U (ja) 折畳式朝顔装置
JP2021008743A (ja) 簡易設置型の日除け
JP6723882B2 (ja) 仮設足場の幅木材
JP2010180635A (ja) 電柱用梯子
KR200459397Y1 (ko) 갱 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지지브라켓 구조
KR200300595Y1 (ko) 안전발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