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674B1 -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 Google Patents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674B1
KR101914674B1 KR1020160134072A KR20160134072A KR101914674B1 KR 101914674 B1 KR101914674 B1 KR 101914674B1 KR 1020160134072 A KR1020160134072 A KR 1020160134072A KR 20160134072 A KR20160134072 A KR 20160134072A KR 101914674 B1 KR101914674 B1 KR 101914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flange
web
coupled
reinforcing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845A (ko
Inventor
서경식
서지영
이태세
Original Assignee
서경식
서지영
(주)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식, 서지영, (주)핸스 filed Critical 서경식
Priority to KR1020160134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6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1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 상기 강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인접한 버팀보, 잭, 띠장, 측벽, 또는 중간말뚝과 같은 타 부재에 결합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에 결합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웨브와, 상기 웨브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플랜지에 평행한 제2플랜지를 포함하는 H형강; 및 상기 H형강의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웨브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는 제1보강웨브 및 제2보강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과, 상기 강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타 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제1플랜지, 웨브, 제2플랜지를 포함하는 H형강과, 제1보강웨브 및 제2보강웨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플랜지에는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를 형성함으로써, 강관과 타 부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하여 토압 등을 안전하게 지지하며, 결합부재를 기존의 규격화되어 생산되는 H형강 등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구비 가능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기간이 단축되어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Steel pipe strut with connection member}
본 실시예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 굴착시에는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흙막이 벽체와 중간 말뚝을 시공하고, 흙막이 벽체에 띠장과 받침보를 수평으로 설치한 후, 띠장에 버팀보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잭을 먼저 설치한 후 잭에 버팀보를 설치하여 토압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의 버팀보로 이전에는 H형강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축강성의 우수성 등으로 원형강관이나 사각강관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원형강관이나 사각강관의 경우 그 폐합단면으로 인하여 인접한 부재와의 결합이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 즉, 인접한 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내부 공간으로의 접근이 용이하지 아니하여 주로 강관의 외측에서 용접 또는 볼트결합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를 부가한 후 용접 또는 볼트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여전히 결합이 용이하지 아니하고 결합을 하더라도 충분한 결합강도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강관과 강관이 서로 맞대어 결합되는 경우 얇은 단부가 서로 맞댄 상태에서 축력이 가해지므로 충분한 축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축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마주하는 강관이 서로 어긋나거나 경사지게 되는 경우 특정 부위에 응력이 집중하게 되고 이 부위에서 국부적으로 파손이 발생하거나, 나아가 버팀보 자체가 붕괴에 이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959553호(도면 7a, 7b 참조)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본 출원인이 선 개발한 것으로써, 띠장(100)과; 상기 띠장에 결합된 제 1 강관 버팀보(200)와; 상기 띠장과 일측이 나사 결합되는 십자 보강판(310)과, 일측이 상기 십자 보강판의 타측과 강제 결합되는 제 1 기초판(320)과, 상기 제 1 기초판의 타측과 강제 결합되고 상기 제 1 강관 버팀보의 일측 하반구을 거치하며 제 5 관통홀이 형성된 제 1 하단밴드(330), 상기 제 1 기초판의 타측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 1 하단밴드에 거치된 제 1 강관 버팀보의 일측 상반구을 덮어씌우며 제 6 관통홀이 형성된 제 1 상단밴드(340)로 구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강관버팀보에 형성된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1 상단밴드에 형성된 제 6 관통홀을 일치시키고 상기 강관버팀보에 형성된 제 2 관통홀과 상기 제 1 하단밴드에 형성된 제 5 관통홀을 일치시켜서, 상기 제 6 관통홀과 제 1 관통홀 및 제 2 관통홀과 제 5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제 1 체결부재(3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청구항 1 참조), 또는 상기 제 1 강관 버팀보의 타측 끝단부에 제 3 및 제 4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강관 버팀보의 타측 하반구가 거치되고 제 7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 2 하단밴드(410)와, 상기 제 2 하단밴드에 거치된 제 1 강관 버팀보의 타측 상반구를 덮어씌우고 제 8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 2 상단밴드(420)와, 일측이 상기 제 2 하단밴드에 강제 결합되고 상기 제 2 상단밴드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기초판(430)과, 상기 제 2 기초판의 타측에 강제 결합되고 제 9 관통홀이 형성된 제 3 하단밴드(440)와, 상기 제2 기초판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고 제 10 관통홀이 형성된 제 3 상단밴드(450)로 이루어진 이음부재와; 상기 이음부재의 제 3 하단밴드에 일측 하반구가 거치되고 상기 이음부재의 제 3 상단밴드에 일측 상반구가 덮어 씌워지는 제 2 강관 버팀보(800); 및 상기 제 1 강관 버팀보에 형성된 제 3 관통홀과 상기 제 2 상단밴드에 형성된 제 8 관통홀을 일치시키고, 제 1 강관 버팀보에 형성된 제 4 관통홀과 상기 제 2 하단밴드에 형성된 제 7 관통홀을 일치시켜서, 상기 제 8 관통홀과 제 3 관통홀 및 상기 제 4 관통홀과 제 7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제 3 체결부재(4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청구항 6 참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연결부재와 이음부재를 별개로 제작하여야 할 뿐 아니라, 강관의 연결되는 부위에 따라 완전히 상이한 구조인 연결부재와 이음부재를 각각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관과는 별개로 연결부재와 이음부재를 각각 제작한 후 보관 및 이송하여야 하므로 보관, 이송에 노력이 들고, 뿐만 아니라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팀보를 버팀보, 띠장, 잭 등에 연결하기 위해 버팀보, 띠장, 잭 등과 상기 연결부재 및 이음부재를 공중에서 서로 연결하면서 체결하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인,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601166호(도면 8a, 8b 참조) "간격조절이 가능한 강관버팀보 일체형 연결잭"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띠장(2)에 연결되는 연결판(10)과, 상기 연결판과 제1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반력판(11)과, 상기 반력판과 제2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강관버팀보에 연결되어 최대하중이 인가 시에 축하중을 지지하는 최대하중지지판(12)과, 상기 연결판에 고정되어 상기 반력판을 관통하고 최대하중시 상기 최대하중지지판까지 맞닿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상기 연결판에 인가된 축하중을 분산하여 상기 반력판에 전달하는 다수의 강봉(15)과, 상기 반력판과 상기 최대하중지지판에 상부와 하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강관버팀보(1)와 맞닿도록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반력판과 상기 최대하중지지판에 전달된 하중을 상기 강관버팀보로 전달하는 제1보강판(13)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 상기 반력판과 상기 최대하중지지판 사이에 제2보강판(30)을 상부와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제2보강판과 상기 제1보강판 사이는 볼트로 체결하되, 상기 볼트의 체결홀은 상기 볼트가 강관버팀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세장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가 상기 체결홀에서 이동한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상기 제2보강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2보강판의 상기 제1보강판에 대한 상대변위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상기 제1보강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조절이 가능한 강관버팀보 일체형 연결잭(청구항 1 참조)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종래기술인,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91480호(도면 9a, 9b 참조) "합성응력을 받는 강관버팀보 연결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양측의 강관에 각각 부착되는 좌우측의 측면보강기구(30), 상기 측면보강기구에 각각 연결되는 좌우측의 중앙연결기구(20), 상기 측면보강기구와 상기 중앙연결기구 사이의 설치되는 기초판(40), 상기 측면보강기구의 상부 일부와 상기 좌우측의 중앙연결기구의 상부 전체를 덮는 상부보강기구(10, 11), 및 상기 측면보강기구의 하부 일부와 상기 좌우측의 중앙연결기구의 하부 전체를 덮는 하부보강기구(10, 11)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보강기구는 수평부재로서 상단과 하단에 설치되는 판형태의 휨보강재(31)와, 수직부재로서 상기 상단과 하단의 휨보강재를 연결하는 세장형의 전단보강재(32)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연결기구는 수평부재로서 상하의 수평연결판(21)과 수직부재로서 수직연결판(22)과 십자형 전단보강연결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보강기구는 상기 좌측의 중앙연결기구의 상부의 수평연결판과 우측의 중앙연결기구의 상부의 수평연결판의 길이방향 전체를 덮는 1차보강판과, 상기 1차보강판의 길이방향 전체와 상기 좌우측의 측면보강기구의 상단의 휨보강재의 길이방향 일부를 덮는 2차보강판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2차보강판과 상기 1차보강판 사이에 형성되는 계단부에 상기 휨보강재(31)가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하부보강기구는 상기 좌측의 중앙연결기구의 하부의 수평연결판과 우측의 중앙연결기구의 하부의 수평연결판의 길이방향 전체를 덮는 1차보강판과, 상기 1차보강판의 길이방향 전체와 상기 좌우측의 측면보강기구의 하단의 휨보강재의 길이방향 일부를 덮는 2차보강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2차보강판과 상기 1차보강판 사이에 형성되는 계단부에 상기 휨보강재가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좌우측의 중앙연결기구의 수직연결판과 수직연결판 사이에는 전단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2차보강판과 상기 휨보강재의 사이에는 마찰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2차보강판과 상기 1차보강판과 상기 수평연결판 사이에는 인장접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응력을 받는 강관버팀보 연결구조체(청구항 1 참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개별부재들을 서로 연결 결합하여 구성하여야 하고,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울 분 아니라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은 각 기술들이 상정하고 있는 위치에만 적용할 수 있을 뿐, 그 외의 다른 버팀보, 띠장, 잭 등에 일반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인접부재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강도가 우수하며, 결합부위에 파손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강관이나 H형강과 같은 기존의 부재들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다양한 버팀보, 띠장, 잭 등에 연결이 가능하고, 체결작업이 용이하며, 버팀보와 연결부재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고 분실의 염려가 없는 강관 버팀보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59553호 특허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1166호 특허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1480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과, 상기 강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인접하는 타 부재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강도가 우수하며, 결합부위에 파손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강관이나 H형강과 같은 기존의 부재들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버팀보, 잭, 띠장, 측벽, 또는 중간말뚝 등과 같은 다양한 부재에 연결이 가능하고, 체결작업이 용이하며, 버팀보와 결합부재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고, 구르지 않아 적치시 안전하며, 분실의 염려가 없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 상기 강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인접한 버팀보, 잭, 띠장, 측벽, 또는 중간말뚝과 같은 타 부재에 결합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에 결합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이격 구비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는 H형강; 및 상기 H형강의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웨브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는 제1보강웨브 및 제2보강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결합구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는 상기 강관의 테두리, 또는 테두리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관의 단부 근처에 구비되는 인상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상구는 상기 강관의 내측에 구비되는 너트, 상기 강관을 관통하는 삽입구,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것으로 나사가 형성된 삽입핀, 상기 삽입핀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횡단면의 일부분만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관은 그 단부에 상기 결합부재가 덮는 폭만큼 절취된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절취된 요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홈부의 깊이는 상기 결합부재의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강관의 단부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관의 단부에 상기 웨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웨브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보강웨브 및 상기 제2보강웨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보강웨브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웨브절개홈 각각에 한 쌍의 웨브쐐기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보강웨브절개홈에 걸쳐서 보강웨브쐐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관의 단부에 상기 결합부재 한 쌍이 나란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과, 상기 강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인접하는 타 부재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강도가 우수하며, 결합부위에 파손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강관이나 H형강과 같은 기존의 부재들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버팀보, 잭, 띠장, 측벽, 또는 중간말뚝 등과 같은 다양한 부재에 연결이 가능하고, 체결작업이 용이하며, 버팀보와 결합부재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고, 구르지 않아 적치시 안전하며, 분실의 염려가 없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가 적용된 현장의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를 도시하는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를 도시하는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의 강관의 단부에 한 쌍의 결합부재가 나란히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내지 9는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이하 편의상 '버팀보'라고 칭할 수 있다)는, 강관(10)과, 상기 강관(10)의 단부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팀보는 결합부재(20)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타 부재와 볼트 등으로 신속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타 부재란 인접한 버팀보, 잭, 띠장, 측벽, 또는 중간말뚝 등을 의미하며, 이하 동일하다.
강관(10)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이며, 그 단면은 원형 형상(도 2 참조), 사각형 형상(도 3 참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강관(10)은 동일한 단면적인 H형강에 비해 휨강성이 우수하여 버팀보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강관(10)은 규격화된 강관 즉, 원형강관, 사각강관 등을 사용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결합부재(20)는 강관(10)의 단부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는 제1플랜지(22)와, 제1플랜지(22)와 이격 구비되는 제2플랜지(23)와, 상기 제1플랜지(22)와 제2플랜지(23)를 연결하는 웨브(24)를 포함하는 H형강일 수 있다.
즉, 결합부재(20)는 기존의 규격화되어 생산되는 H형강을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견고하고, 신속한 제작이 가능하며, 제작비용이 매우 절약될 수 있다. 또한, H형강은 구조가 단순하고 개방된 형상으로 인하여, 타 부재와의 결합은 볼트 체결만으로 가능하므로 체결이 신속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강관을 직접 맞대어 결합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강관의 국부적 파손과 붕괴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아니한다.
또한, 결합부재(20)는 제1플랜지(22)와 제2플랜지(23) 상호간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보강웨브(26)와, 제2보강웨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보강웨브(26)와 제2보강웨브는 H형강의 웨브(24)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제1플랜지(22)와 제2플랜지(23)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뿐 아니라, 웨브(24)에도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보강웨브(26)와 제2보강웨브는 제1플랜지(22), 제2플랜지(23) 및 웨브(24)의 3면에 용접 등으로 결합됨으로써, 웨브(24)의 휨을 억제하고, 동시에 제1플랜지(22)와 제2플랜지(23)를 상호 지지함으로써, 결합부재(20)의 강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플랜지(23)에는 복수의 결합구(28)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복수의 결합구(28)는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구멍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구(28)는 타 부재의 종류, 형상, 또는 결합구(28)의 제작 오차 등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그 전부 또는 일부를 일측으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20)는 제1플랜지(22)와 제2플랜지(23)의 사이에 복수의 지지바(2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지지바(29)는 양단이 제1플랜지(22)와 제2플랜지(23) 각각 용접 등으로 결합되어, 제1플랜지(22)와 제2플랜지(23) 상호간을 지지함으로써 결합부재(2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지지바(29)는 버팀보에 작용하는 축력에 잘 저항하도록 강관(10)의 테두리, 또는 테두리 근처의 내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관(10)의 양측 단부 근처에는 강관(10)의 인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인상구(30)를 구비할 수 있다. 인상구(30)는 강관(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너트(32)와, 상기 강관(10)을 관통하는 삽입구(33)와, 상기 삽입구(33)를 통해 상기 너트(32)에 결합되는 것으로 나사가 형성된 삽입핀(35)과, 상기 삽입핀(35)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링(3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상구(30)는 필요가 없는 경우 제거하거나, 필요한 경우에 설치할 수 있다
인상구(30)는 너트(32)가 없거나, 너트(32)와 삽입핀(35) 모두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인상구(30)는 링(36)만으로 강관(10)의 외측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인상구(30)는 회전가능하게 삽입핀(35)이나 강관(10)에 결합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접혀져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H형강은 강관(10)의 횡단면의 일부분만을 덮고 나머지를 개방된 상태로 둘 수 있다. 이는 기존의 강관과 기존의 H형강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경우 흔히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H형강이 강관(10)의 횡단면의 일부분만을 덮음으로써 상기 인상구(30)의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여, 인상구(30)를 필요한 경우에만 설치할 수 있다. 즉, 강관(10)의 덮혀지지 않은 개방 부분을 통해서 너트(32)를 잡고, 링(36)을 회전시킴으로써 인상구(30)를 용이하게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 부분은 상기 강관(10)에 유입된 빗물 등을 용이하게 배출되게 함으로써, 강관(1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강관(10) 내측을 관찰할 수 있음으로써, 강관(10)의 사용가능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강관(10)의 단부에 결합부재(20)가 덮는 폭만큼 절취된 요홈부(12)를 형성하고, 이 요홈부(12)에 결합부재(20)가 삽입되어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20)의 측면이 강관(10) 단부의 돌출된 부분에 지지됨으로써, 결합부재(20)가 강관(10)에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요홈부(12)의 깊이는 H형강의 제1플랜지(22)의 두께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홈부(12)는 그 깊이를 결합부재(2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플랜지(23)를 강관(10)의 단부에 용접 결합함으로써, 결합부재(20)가 강관(10)에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강관(10)의 단부에는 H형강의 웨브(24)에 대응하는 위치, 즉 웨브(24)의 연장선상에 한 쌍의 웨브절개홈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웨브절개홈 각각에는 한 쌍의 웨브쐐기(14)를 각각 삽입하며, 웨브쐐기(14)는 웨브절개홈과 용접 등으로 결합되거나 웨브절개홈과 H형강의 제1플랜지(22) 모두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인접한 타부재로부터 가해지는 축하중은 제2플랜지(23), 웨브(24), 제1플랜지(22)를 거쳐 강관(10)에 전달된다. 이 경우 제1플랜지(22)를 통해 강관(10)의 단부에 전달되는 축하중은 웨브(24) 부분에서 가장 크고 웨브(24)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 웨브(24)부분에서 작용하는 큰 축하중을 상기 웨브쐐기(14)가 수용하여 강관(10) 웨브절개홈 전체에 넓게 전파함으로써 축하중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강웨브(26) 및 제2보강웨브에 대응하는 위치, 즉 제1보강웨브(26) 및 제2보강웨브의 연장선상에 한 쌍의 보강웨브절개홈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보강웨브절개홈에는 한 쌍의 보강웨브절개홈을 걸쳐서 보강웨브쐐기(16)를 삽입한 후, 용접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보강웨브쐐기(16)는 강관(10)의 한 쌍의 보강웨브절개홈에 걸쳐서 삽입된 후 용접 등으로 결합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1플랜지(22)와도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보강웨브쐐기(16)는 제1플랜지(22)를 지지함으로써, 결합부재(20)을 안정되게 지지함으로써 축하중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1플랜지(22)의 양측 단부로만 전해지는 축하중을 보강웨브쐐기(16)를 통해 강관(10)의 사방으로 전달하고, 동시에 제1보강웨브(26)와 제2보강웨브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H형강의 지나친 휨을 방지함으로써, 결국 결합부재(2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웨브쐐기(14)와 보강웨브쐐기(16)는 강관(10)의 단부에 요홈부(12)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도 2, 도 3과 같이 요홈부(12)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4, 도 5의 예의 경우 보강웨브절개홈이 구멍 형상이나, 도 2, 도 3의 예의 경우 보강웨브절개홈이 구멍이 아닌 절개되는 형상인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강관(10)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부재(20) 한 쌍을 나란히 결합할 수 있다. 즉, 강관(10)의 직경이 큰 경우, 강관(10)의 단부에 한 쌍의 결합부재(20)를 결합함으로써, 매우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버팀보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토압이 크게 작용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큰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강관
12: 요홈부
14: 웨브쐐기
16: 보강웨브쐐기
20: 결합부재
22: 제1플랜지
23: 제2플랜지
24: 웨브
26: 제1보강웨브
28: 결합구
29: 지지바
30: 인상구
32: 너트
33: 삽입구
35: 삽입핀
36: 링

Claims (10)

  1.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
    상기 강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인접한 버팀보, 잭, 띠장, 측벽, 또는 중간말뚝과 같은 타 부재에 결합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에 결합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이격 구비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는 H형강; 및 상기 H형강의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웨브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는 제1보강웨브 및 제2보강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횡단면의 일부분만을 덮고,
    상기 강관은 그 단부에 상기 결합부재가 덮는 폭만큼 절취된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절취된 요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구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강관의 테두리, 또는 테두리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관의 단부 근처에 구비되는 인상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상구는 상기 강관의 내측에 구비되는 너트, 상기 강관을 관통하는 삽입구,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것으로 나사가 형성된 삽입핀, 상기 삽입핀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의 깊이는 상기 결합부재의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강관의 단부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관의 단부에 상기 웨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웨브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보강웨브 및 상기 제2보강웨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보강웨브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웨브절개홈 각각에 한 쌍의 웨브쐐기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보강웨브절개홈에 걸쳐서 보강웨브쐐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10. 청구항 1, 2, 4, 5, 8,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의 단부에 상기 결합부재 한 쌍이 나란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20160134072A 2016-10-17 2016-10-17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1914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072A KR101914674B1 (ko) 2016-10-17 2016-10-17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072A KR101914674B1 (ko) 2016-10-17 2016-10-17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45A KR20180041845A (ko) 2018-04-25
KR101914674B1 true KR101914674B1 (ko) 2018-11-06

Family

ID=6208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072A KR101914674B1 (ko) 2016-10-17 2016-10-17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6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616B (zh) * 2018-09-13 2023-11-10 广州宏途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钢管支撑与型钢连接用的接头
CN110565652A (zh) * 2019-09-30 2019-12-13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狭长型基坑可伸缩钢管横撑结构及支撑换撑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816A (ja) * 2001-05-25 2002-12-04 Yoshida Kouzou Design:Kk 定着装置及び防護柵
KR101448390B1 (ko) * 2013-06-14 2014-10-07 고형배 사각강관 띠장과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구조
KR101591480B1 (ko) * 2015-10-21 2016-02-03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합성응력을 받는 강관버팀보 연결구조체
CN205604254U (zh) * 2016-05-03 2016-09-28 东通岩土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基坑钢支撑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816A (ja) * 2001-05-25 2002-12-04 Yoshida Kouzou Design:Kk 定着装置及び防護柵
KR101448390B1 (ko) * 2013-06-14 2014-10-07 고형배 사각강관 띠장과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구조
KR101591480B1 (ko) * 2015-10-21 2016-02-03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합성응력을 받는 강관버팀보 연결구조체
CN205604254U (zh) * 2016-05-03 2016-09-28 东通岩土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基坑钢支撑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45A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79620A1 (en) Joining System and Use of this System
KR102066926B1 (ko)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
KR101914674B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1591480B1 (ko) 합성응력을 받는 강관버팀보 연결구조체
KR101618798B1 (ko)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KR101915013B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1285704B1 (ko) 철근 연결용 커넥터
KR101611252B1 (ko) 골조 모듈러 구조물
KR20160137705A (ko) Cft기둥의 합성거더 접합구조
JP2007297861A (ja) 橋脚と杭との接合部構造
KR102054706B1 (ko) 하이브리드 비계 구조물, 이를 위한 일체형 연결구
KR101556858B1 (ko) 가새 플레이트 보강용 좌굴방지 브라켓
KR101042240B1 (ko)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JPH059977A (ja) 座屈拘束筋かい部材
JP2007113302A (ja) 合成梁構造
KR101915014B1 (ko)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1254983B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KR101869262B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01914679B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JP7231925B2 (ja) 仮設足場用連結構造体
KR101513598B1 (ko)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KR101885145B1 (ko) Src와 pc를 이용한 기둥과 보의 설치 구조
KR101289374B1 (ko) 구조물용 조인트
KR100627231B1 (ko) 조립식 구조물용 강재 연결구
KR200466790Y1 (ko) 조립식 천막의 빔 간격유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