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438B1 - 커튼월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튼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438B1
KR101341438B1 KR1020110083431A KR20110083431A KR101341438B1 KR 101341438 B1 KR101341438 B1 KR 101341438B1 KR 1020110083431 A KR1020110083431 A KR 1020110083431A KR 20110083431 A KR20110083431 A KR 20110083431A KR 101341438 B1 KR101341438 B1 KR 101341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wall
fixed
vertical
vertical memb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608A (ko
Inventor
이운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담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담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담은창
Priority to KR1020110083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43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5Connections of mullions and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튼월 시스템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부재; 상기 수직 부재의 선단에 각각 고정되는 커튼월; 상기 커튼월에 지지되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일단이 각각 지지되는 글래스 부재; 및 상기 수직 부재의 배치되는 각도에 따라서 회동하여 상기 수직 부재를 지지하는 조인트 장치;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튼월 시스템{CURTAINWALL SYSTEM}
본 발명은 커튼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한국 출원번호 10-2009-0050751, 스틸 커튼월은 단면상 직선인 180°평면에만 적용되는 단순한 평면에 사용되는 알루미늄과 스틸 금속을 결합 사용하는 기술이었다.
스틸 금속제는 강도가 24.414 Kg/mm2, 알루미늄 압출 자재 강도는 7.138 Kg/mm2에 비해 3배 이상 스틸 금속재가 우수하며, 인장 강도는 15 Kg/mm2로 알루미늄 압출 부재 5 Kg/mm2 에 비해 3배 우수하므로 이러한 구조적으로 우수한 스틸 금속 자재로 커튼월 제작하여 건축물의 1층 로비나 층높이가 10m 이상 중간의 스라브(Floor Slab) 고정 없이 단독으로 상부 하부 고정 철물만으로 건물, 빌딩 외부유리를 부착하는 비 내력벽인 커튼월에 설치 사례가 있으나 스틸 금속을 절단 용접하여 조합한(Built-up) 스틸커튼월에 유리부착에 필요한 형상을 제작하기에는 알루미늄 압출 부재에 비해 복잡하고 정밀하며 섬세한 형상의 제작이 한계가 있으므로 주로 단순한 평면, 입면상 180°인 직선에만 적용할 수 있었다.
다양한 각도의 평면디자인에 스틸 커튼월 적용이 어려운 스틸 자재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며 높은 층높이에 사용하다 보니 단면의 관성 모멘트가 H형, 사각박스형에 비해 불안정한 형상인 T형의 형재가 대부분으로 외부 풍 압력에 의한 스틸 커튼월 부자의 좌우 힘의 굴절 현상으로 휨 현상이 발생 되므로 이러한 좌굴을 방지하고자 T형의 스틸 금속의 두께(Thickness)를 높이는 과정에 제작 및 설치비 부담이 커졌다.
이러한 좌우 굴절현상을 방지하고자 종래의 기술 한국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002840000(20051027, 장력조절 부재를 사용하였으나 스틸바 및 장력조절 부재의 연결 구조되는 양단의 스페이스 볼트가 턴버클 형태로써 180°의 직선구간만 인장력구조로 결합 되는 기술이므로 다변화되는 각도의 건축물 외벽에 사용할 수가 없다.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09-0050751(20090609) 알루미늄 프레임과 스틸 구조재 결합형태의 커튼월 시스템 한국신용신안등록번호 2004002840000(20051027) 건축용 커튼월 구조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건물에 적용 가능한 커튼월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튼월 시스템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부재; 상기 수직 부재의 선단에 각각 고정되는 커튼월; 상기 커튼월에 지지되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일단이 각각 지지되는 글래스 부재; 및 상기 수직 부재의 배치되는 각도에 따라서 회동하여 상기 수직 부재를 지지하는 조인트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장치는, 상기 수직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힌지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부재;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수직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위치되는 상기 회동 부재에 그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수직 부재 사이의 각도에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장치는, 상기 수직 부재의 양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고정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고정 나사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에 대한 상기 지지 부재의 각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부재; 상기 수직 부재의 선단에 각각 고정되는 커튼월; 상기 커튼월에 지지되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일단이 각각 지지되는 글래스 부재; 및 상기 수직 부재의 배치되는 각도에 따라서 회동하여 상기 수직 부재를 지지하는 조인트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장치는, 상기 수직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고정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다축 방향으로 기설정된 범위에서 회동하는 볼 부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볼 부재를 지지하는 가스켓;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수직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위치되는 상기 볼 부재에 그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볼 부재는, 상기 수직 부재 사이의 각도에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장치는, 상기 수직 부재의 양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케이싱이 고정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고정 나사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에 대한 상기 케이싱의 각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글래스 부재는, 제1 및 제2홀더에 의하여 상기 커튼월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홀더는 상기 글래스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2홀더는 상기 커튼월에 고정되며, 상기 제1홀더는, 상기 제2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 시스템의 실시예에서는, 조인트 장치에 의하여 수직 부재가 다양한 각도 범위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 평면에 적용가능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튼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축용 커튼월 구조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단면도.
도 6은 도 4의 B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 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E-E선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F부분의 확대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수직 부재(100)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다수개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부재(100)에는 다수개의 수평 부재(102)가 고정된다. 상기 수평 부재(102)는 상기 수직 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로 이격되게 다수개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평 부재(102)의 양단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수직 부재(100)의 양면이 각각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부재(100)의 양면에는 다수개의 플랜지(103)이 고정된다. 상기 플랜지(103)은,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03)의 일면은, 상기 수직 부재(100)의 일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03)의 타면에는 상기 수평 부재(102)의 저면이 지지 및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플랜지(103)의 타면에는 상기 수평 부재(102)의 고정을 위한 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플랜지(103)은 상기 수직 부재(100)의 양면에 상하로 이격되게 다수개가 고정된다.
상기 수직 부재(100)에는 제1 및 제2체결홀(111)(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홀(111)은 상기 수직 부재(100)의 선단에 후술할 커튼월(20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체결홀(111)은 상기 수직 부재(100)의 선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홀(112)은 후술할 조인트 장치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체결홀(112)은 상기 수직 부재(100)의 선단에서 이격되는 상기 수직 부재(100)의 일측을 관통한다.
상기 조인트 장치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수직 부재(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인트 장치가, 다양한 각도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기 수직 부재(100)를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인트 장치는, 브라켓(104), 지지 부재(105), 회동 부재(106) 및 연결 부재(107)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브라켓(104)은 상기 수직 부재(100)의 양면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직 부재(100)의 양면에 고정되는 상기 브라켓(104)은 1개의 제1고정 나사(502)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 나사(502)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체결홀(112)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 나사(502)의 양단은 상기 브라켓(104)이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04)의 외측으로 더 연장된다. 다만, 상기 브라켓(104)은, 상기 지지 부재(105)를 상기 수직 부재(1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필수적인 구성 요소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브라켓(104)은, 삭제되거나, 상기 지지 부재(105)와 일체로 성형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105)는, 상기 브라켓(104)에 각각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 부재(105)는, 상기 지지 부재(105)를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104)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2고정 나사(503)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104)에 대한 소정의 위치 또는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회동 부재(106)는, 상기 지지 부재(10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 부재(106)가 힌지핀(504)에 의하여 상기 지지 부재(105)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 즉 힌지 결합된다.
상기 연결 부재(107)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수직 부재(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위치되는 상기 회동 부재(106)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 부재(107)의 양단은 상기 회동 부재(106)에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107)의 양단이 상기 회동 부재(106)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직 부재(100)가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된다. 이때 상기 연결 부재(107)가 상기 회동 부재(106)에 결합되는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상기 수직 부재(100)가 기설정된 각도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인트 장치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부재(100)의 선단에는 커튼월(200)이 고정된다. 상기 커튼월(200)은, 후술할 글래스 부재(70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커튼월(200)에는 서로 인접하는 글래스 부재(701)의 양단이 지지된다.
상기 커튼월(200)은 연결 나사(500)에 의하여 상기 수직 부재(100)의 선단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튼월(200)에는 관통홀(211) 및 결합홀(212)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관통홀(211) 및 결합홀(212)은 상기 연결 나사(500)가 관통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 나사(500)가 상기 관통홀(211) 및 결합홀(212)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홀(11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직 부재(100)의 선단에 상기 커튼월(20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결 나사(500)의 헤드 부분은, 상기 결합홀(212)에 인접하는 상기 커튼월(200)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커튼월(200)에는 고정홈(21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13)은 후술할 실링 부재(4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수직 재부(100) 및 커튼월(200) 사이에는 이온화 방지 부재(300)가 위치된다. 상기 이온화 방지 부재(300)는, 상기 수직 부재(100) 및 커튼월(200) 사이의 이온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polyamide)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이온화 방지 부재(300)에는 상기 연결 나사(500)가 관통하는 관통홀(30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13)에는 실링 부재(40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실링 부재(400)는, 상기 커튼월(200)과 후술할 제1홀더(202)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커튼월(200)에 글래스 부재(701)는, 예를 들면, 복층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글래스 부재(701)는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홀더(202)(203)에 의하여 상기 커튼월(20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홀더(202)는 상기 글래스 부재(202)의 이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홀더(203)는 상기 커튼월(2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홀더(202)는,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600) 및 접착재(700)에 의하여 상기 글래스 부재(202)의 이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홀더(203)는, 상기 연결 나사(500)에 의하여 상기 커튼월(2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홀더(202)(203)는 회동 가능하게 서로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홀더(202)에 회동홈(2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홀더(203)에 회동 돌기(21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 돌기(214)가, 수직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홈(20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글래스 부재(701) 사이에는, 완충 부재(800) 및 코킹 부재(9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800) 및 코킹 부재(900)는, 실질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글래스 부재(701)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완충 부재(80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커튼월(200)에 대한 상기 글래스 부재(701)의 각도가 가변되더라도,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글래스 부재(701) 사이의 틈새를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킹 부재(900)는, 상기 완충 부재(800)의 외측에 해당하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글래스 부재(701) 사이의 틈새를 차폐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 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 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수직 부재(100)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지지 부재(105), 회동 부재(106) 및 연결 부재(107)가 동일한 가상의 축 상에 위치된다. 또한 글래스 부재(701)도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될 것이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평면에 따라서 상기 수직 부재(100)가 평행하게 위치되지 않고,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수직 부재(100) 사이의 각도에 따라서 상기 회동 부재(106)가 상기 지지 부재(105)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회동한다. 즉, 상기 지지 부재(105)와 회동 부재(106)가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된다. 이때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 부재(107)의 양단부가 상기 회동 부재(106)에 결합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직 부재(100)가 기설정된 각도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글래스 부재(701)도 서로 경사지게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될 것이다. 이때 제1홀더(202)가 제2홀더(203)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글래스 부재(701)가 기설정된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에서 커튼월(2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분해하여 보인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E-E선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1의 F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9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조인트 장치가 볼 조인트 형식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인트 장치가, 브라켓(104), 가스켓(506), 볼 부재(507), 케이싱(508), 및 연결 부재(108)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04) 및 연결 부재(108)는 실질적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싱(508)이 상기 브라켓(104)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볼 부재(507)은 상기 케이싱(508)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108)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볼 부재(508)는, 상기 가스켓(506)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다축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만큼 회전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비하여 보다 다양한 범위에서 상기 수직 부재(10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9)

  1.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부재(100);
    상기 수직 부재(100)의 선단에 각각 고정되는 커튼월(200);
    상기 커튼월(200)에 지지되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일단이 각각 지지되는 글래스 부재(701); 및
    상기 수직 부재(100)의 배치되는 각도에 따라서 회동하여 상기 수직 부재(100)를 지지하는 조인트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장치는,
    상기 수직 부재(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 부재(105);
    상기 지지 부재(105)에 대하여 힌지핀(50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부재(106);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수직 부재(100)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위치되는 상기 회동 부재(106)에 그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연결 부재(107); 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부재(106)는, 상기 수직 부재(100) 사이의 각도에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105)에 대하여 회동하는 커튼월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장치는, 상기 수직 부재(100)의 양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지지 부재(105)가 고정되는 브라켓(104)을 더 포함하는 커튼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105)는 상기 브라켓(104)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지지 부재(105)를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104)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고정 나사(503)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104)에 대한 상기 지지 부재(105)의 각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는 커튼월 시스템.
  5.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부재(100);
    상기 수직 부재(100)의 선단에 각각 고정되는 커튼월(200);
    상기 커튼월(200)에 지지되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일단이 각각 지지되는 글래스 부재(701); 및
    상기 수직 부재(100)의 배치되는 각도에 따라서 회동하여 상기 수직 부재(100)를 지지하는 조인트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장치는,
    상기 수직 부재(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고정되는 케이싱(508);
    상기 케이싱(508)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508)에 대하여 다축 방향으로 기설정된 범위에서 회동하는 볼 부재(507);
    상기 케이싱(508)의 내부에서 상기 볼 부재(507)를 지지하는 가스켓(506);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수직 부재(100)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위치되는 상기 볼 부재(507)에 그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연결 부재(107); 를 포함하고,
    상기 볼 부재(507)는, 상기 수직 부재(100) 사이의 각도에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105)에 대하여 회동하는 커튼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장치는, 상기 수직 부재(100)의 양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케이싱(508)이 고정되는 브라켓(104)을 더 포함하는 커튼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508)은 상기 브라켓(104)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케이싱(508)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104)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고정 나사(503)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104)에 대한 상기 케이싱(508)의 각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는 커튼월 시스템.
  8.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글래스 부재(701)는, 제1 및 제2홀더(202)(203)에 의하여 상기 커튼월(20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는 커튼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202)는 상기 글래스 부재(701)에 고정되고,
    상기 제2홀더(203)는 상기 커튼월(200)에 고정되며,
    상기 제1홀더(202)는, 상기 제2홀더(20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튼월 시스템.
KR1020110083431A 2011-08-22 2011-08-22 커튼월 시스템 KR101341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31A KR101341438B1 (ko) 2011-08-22 2011-08-22 커튼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31A KR101341438B1 (ko) 2011-08-22 2011-08-22 커튼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608A KR20110100608A (ko) 2011-09-14
KR101341438B1 true KR101341438B1 (ko) 2014-01-02

Family

ID=4495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431A KR101341438B1 (ko) 2011-08-22 2011-08-22 커튼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4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1473A (zh) * 2013-10-09 2014-01-29 王君 一种建筑幕墙明框装饰条安装构件
KR20160055478A (ko) * 2014-11-10 2016-05-18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CN110725452A (zh) * 2019-10-10 2020-01-24 广州市众志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幕墙及其干挂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665B1 (ko) * 2011-12-07 2013-03-18 김한정 롤 포밍 프레임 및 스틸평철을 이용한 커튼월 구조물
CN105525709B (zh) * 2016-01-27 2018-04-17 南京奥捷墙体材料有限公司 幕墙防水结构及具有防水结构的grc幕墙板和幕墙
CN106088428A (zh) * 2016-08-12 2016-11-09 广西建工集团第四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建筑幕墙安装的组合角码及其安装方法
CN106337518A (zh) * 2016-11-02 2017-01-18 华东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自由曲面采光顶玻璃夹具
CN112282151B (zh) * 2020-11-06 2022-11-08 广州金霸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型材幕墙结构及其组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202A (ja) * 2000-01-07 2001-07-17 Niyuusuto:Kk カーテンウォ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202A (ja) * 2000-01-07 2001-07-17 Niyuusuto:Kk カーテンウォー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1473A (zh) * 2013-10-09 2014-01-29 王君 一种建筑幕墙明框装饰条安装构件
KR20160055478A (ko) * 2014-11-10 2016-05-18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KR101708466B1 (ko) * 2014-11-10 2017-02-21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CN110725452A (zh) * 2019-10-10 2020-01-24 广州市众志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幕墙及其干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608A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438B1 (ko) 커튼월 시스템
CN111021603B (zh) 一种建筑装饰幕墙
KR20130075240A (ko) 무용접형 롤포밍 스틸 커튼월 시스템
KR101137228B1 (ko) 건물 외벽용 유리 보강장치
JP4565473B2 (ja) サッシ取付用金具及びサッシ
JP2016017387A (ja) 開口枠構造
JP6140912B1 (ja) 仮設足場用取付金具
KR100676862B1 (ko) 방음펜스
KR10225121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복합패널 조립체
JP737082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取付構造
KR101256884B1 (ko) 커튼월용 앵커장치
KR20120065106A (ko) 튜브 캐리어가 적용된 커튼월의 일체형 루버 결합구조
JP6670183B2 (ja) 方立取付構造およびサッシ
CN209742628U (zh) 一种装配式轻钢龙骨门框
KR20210012131A (ko) 커튼 월의 프레임과 유리의 연결구조
RU2340747C1 (ru) Кронштейн для крепления навесной панели облицовки здания
JP6718238B2 (ja) 外装ルーバーの取付構造
KR20180080542A (ko) 강성과 단열성이 향상된 커튼월
CN219158243U (zh) 一种装配式墙面阴角安装件
KR101245833B1 (ko) 슬라이딩방식의 레일 캐리어가 적용된 커튼월의 일체형 루버 결합구조
KR101033131B1 (ko)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투명방음벽의 투명판 설치 구조
JP6042843B2 (ja) 屋上用目地カバー装置
KR102126921B1 (ko) 외장판넬 설치용 브라켓장치
CN211666526U (zh) 装配式门窗框架
JP6744991B2 (ja) ルーバー用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