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466B1 -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466B1
KR101708466B1 KR1020140155346A KR20140155346A KR101708466B1 KR 101708466 B1 KR101708466 B1 KR 101708466B1 KR 1020140155346 A KR1020140155346 A KR 1020140155346A KR 20140155346 A KR20140155346 A KR 20140155346A KR 101708466 B1 KR101708466 B1 KR 101708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rner bar
assembly
corner
curtai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5478A (ko
Inventor
전병섭
이재근
최정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전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전병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Priority to KR102014015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46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5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커튼 월을 이루는 벽면의 일 면과 다른 일 면이 서로 교차하고 연속하는 두 벽면을 접합하여 단일의 외벽재 재질로 연속 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압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외부에 외장 마감과 단열 마감을 동시에 이루는 마감재를 덧붙여 이루어지는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의 실 외측 방향 일면에 외벽 재를 지지하며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와 결합하기 위한 압출 프레임과, 이 프레임 노출 측면을 마감하는 단열 마감재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코너 바 조립체를 이루어 건축물의 코너부위에 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Corner bar frame assembly of curtain wallbar}
본 발명은 커튼 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 방향으로 커튼 월을 이루는 벽면의 일 면과 다른 일 면이 서로 교차하고 연속하는 두 벽면을 접합하여 단일의 외벽재 재질로 연속 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주체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에서 벽체는 단순히 공간을 칸막이하는 커튼 구실만 하기 때문에 이때의 벽체를 커튼 월이라고 하며, 한국 건축 용어로는‘비 내력 칸막이벽’이라고 한다.
이러한 커튼 월은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유리 등을 사용한 벽면은 근대적인 건축 양식으로 특히 외장용으로서 큰 기능을 갖는다.
커튼 월은 특히 고층 또는 초고층건축에 많이 사용된다. 높이가 100m 이상의 건물이면 외부에 비계조립이 어렵기 때문에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외벽 패널을 들어올려서 붙이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이러한 커튼 월들은 공장에서 사전 제작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패널은 규격화하여 통일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 때문에 건물의 외관도 새로운 구성을 보여준다.
종래에도 커튼 월에 대한 제안은 매우 다양하게 안출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 역시 이에 대한 다양한 발명으로 특허 등록 제1117278호 "커튼 월 창틀의 구조", 특허 등록 제1247236호 "이중단열복합 커튼 월 창의 프레임 구조", 특허 등록 제1218639호 "이중단열복합 커튼 월 프레임" 및 특허 등록 제 1247235호 "노출 바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커튼 월 프레임"을 선 출원 등록한 바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 기술들에 따르면 유리 패널과 같은 외벽재의 견고한 결합 구조에 대한 개선이 제안되거나, 또는 외기와 실내의 단열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커튼 월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시공되는 건축물의 코너(모서리) 부분에는 특별한 커튼 월 프레임이 전혀 없어 동일한 외벽재질로 외장을 마감하는 데는 다소 문제가 있다.
첨부 도 1과 같은 종래 커튼 월 프레임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코너 부분을 살펴보면, 건축물 비 내력 칸막이 벽은 주로 복층 유리 재를 이용한 외벽 재 등 고유의 외벽 마감재와는 차별화된 벽 재를 사용하여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외벽 재는 내력 압출 소재로 길게 이루어진 프레임에 내장 재 및 단열재로 기능 하는 마감재를 붙여 건축물 실외 측으로 외벽 재(P)를 고정 시공하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외벽은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 모서리 면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이 모서리 면을 처리하는 구조를 살펴본다.
건축물의 구조상 벽면에는 모서리 면(이하, 코너라고 함)이 있으며, 이 면은 돌출된 코너와 요입된 코너로 구분될 수 있는데 코너에 외벽 재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인접한 동일 규격의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10)와는 전혀 상이한 구조의 돌출 코너 바(110)와 요입 코너 바(120)를 별도 제작하여 시공하고 있다.
상기 코너 바(110)는 대향 모서리에 단턱(112)을 형성한 단면 형상 사각형의 압출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실내 측 표면에 단열재(114)를 덧붙여 이루어 직교하여 돌출하는 위치의 외벽 재를 상기 단턱(112)에 고정하는 구조를 이루고, 코너 바(120)는 단면 형상 사각형의 압출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일단의 모서리에 단턱(122)을 직교하도록 요입 형성하여 이루고 실내 측 표면에 단열재(124)를 덧붙여 이루며 이 단턱(124)에 요입 직교하는 외벽 재를 고정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수평 구간에는 상기 코너 바들과는 상이한 구조의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10)가 기립 설치되어 외벽 재(P)를 고정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반복 시공되는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10)의 시공 점유 면적 대비 많은 시공 면적을 점유하여 실내 공간을 위축시키는 단점이 있고, 돌출 코너바(110)는 실외 측으로 노출 면(L1)이 필연적이어서 외기 차단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단열 효과의 저하와 함께 건축물의 외장 재 이격이 심하고 이질 재가 개재되는 형태가 되므로 고급스러운 마감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요입 코너 바(120)의 경우에는 실내 노출 면(L2)에 해당하는 면적을 차지하므로 시공 점유 면적이 더 더욱 많아지고 실내 공간 위축의 문제가 더 크다.
상기 코너 바(110, 120)는 고층 건축물에 시공할 때 바의 외형이 커서 운반 및 조립 시공에 어려움이 더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이 갖는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안된 본 발명은 시공 장소에 선정된 동일 구조의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 일단에 돌출 또는 요입 구조에 맞추어 외벽 재를 고정하는 코너 바 조립체를 추가 부재로 마련하여 현장 조립 시공하도록 이루어 커튼 월 프레임이 동일한 구조로 반복 시공됨으로 인테리어 적으로 통일된 미감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을 제공하는 과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외벽 재에 의하여 실내, 외가 구분되고 단열 차음 등을 이루는 커튼 월 프레임의 실외로 노출면을 배제하여 단열에 유용한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을 제공하는 과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돌출 또는 요입 코너에 시공하는 코너 바에 의해 실내 점유 면적이 불필요하게 허비되지 않아 실내 공간 효율을 높여 줄 수 있는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을 제공하는 과제를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통상의 압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외부에 외장 마감과 단열 마감을 동시에 이루는 마감재를 덧붙여 이루어지는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의 실 외측 방향 일면에 외벽 재를 지지하며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와 결합하기 위한 압출 프레임과, 이 프레임 노출 측면을 마감하는 단열 마감재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코너 바 조립체를 이루어 건축물의 코너부위에 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상기 코너 바 조립체는 돌출 코너와 요입 코너에 양 측면으로부터 교접 위치로 근접하여 시공되는 외벽 재를 지지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지지면을 형성하되 상기 지지면을 가상 연장한 선의 내각은 외벽 재의 교접 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 장소에 선정된 동일 구조의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 일단에 돌출 또는 요입 구조에 맞추어 외벽 재를 고정하는 코너 바 조립체를 추가하여 간단하게 현장 조립 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동일 건축물에 시공하는 커튼 월 프레임은 서로 같은 구조의 조립체로 반복 시공됨으로 인테리어 적으로 통일된 미감의 시공이 가능하여 내장재로서의 효과가 우수하고, 외벽 재에 의하여 실내, 외가 구분되고 단열 차음 등을 이루는 커튼 월 프레임의 실외로 노출될 수 있는 프레임 표면을 배제함에 따라 프레임을 통한 내 외기의 전도가 차단됨에 의해 단열의 효과가 매우 높은 효과가 있고, 돌출 또는 요입 코너에 시공하는 코너 바는 기존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와 동일한 두께로 시공됨에 의해 실내 점유 면적이 불필요하게 허비되지 않아 실내 공간 효율을 높여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시공 상태를 도시한 코너 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커튼 월의 돌출 코너 바 프레임을 도시한 발췌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커튼 월의 돌출 코너 바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커튼 월의 요입 코너 바 프레임을 도시한 발췌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커튼 월의 요입 코너 바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커튼 월 코너 바 프레임 시공 상태를 도시한 코너 바 구성도.
도 7a,7b는 본 발명 커튼 월의 돌출 코너 바 조립체에 각도 편 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참고도.
도 7c,7d는 본 발명 커튼 월의 요입 코너 바 조립체에 각도 편 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참고도.
도 2 내지 도 6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압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외부에 외장 마감과 단열 마감을 동시에 이루는 마감재를 덧붙여 이루어지는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10)와, 외벽 재(P)를 지지하며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와 결합하기 위한 압출 프레임과, 이 프레임 노출 측면을 마감하는 단열 마감재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코너 바 조립체로 이루어 상기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10)의 실 외측 방향 일면에 코너 바 조립체를 결합하여 일체화하고 이 코너 바 조립체에 지지 되도록 외벽 재(P)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코너 바 조립체는 돌출 코너 바 조립체와 요입 코너 바 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이 조립체는 양 측면으로부터 교접 위치로 근접시켜 시공되는 외벽 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면을 형성하되 상기 지지면은 두 개의 지지 면으로부터 가상 연장한 선의 내각이 외벽 재의 교접 각과 동일하게 구성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돌출 코너 바 조립체(20)는 "ㄷ"자형 프레임 일단으로 서로 외향하는 지지 면(211)을 형성하여 이루고, 지지 면의 반대 쪽에는 홈(212)을 형성하는 지지대(213)를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한 프레임(21)과, 프레임의 홈(212)에 끼워 외표면을 마감하는 단열 마감재(22)를 결합하여 이루며, 상기 지지대(213)는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10)와 접하여 피스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요입 코너 바 조립체(30)는 "ㄷ"자형 프레임 일단으로 서로 내향하는 지지 면(311)을 형성하여 이루고, 지지 면의 반대 쪽에는 홈(312)을 형성하는 지지대(313)를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한 프레임(31)과, 프레임의 홈(312)에 끼워 외표면을 마감하는 단열 마감재(32)를 결합하여 이루며, 상기 지지대(313)는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10)와 접하여 피스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코너 바 조립체(20, 30)의 지지면(211, 311)은 각각 도시된 중심선을 기준을 볼 때 두 지지 면이 대칭 등각으로 이루어지며 그 각도는 건축물의 벽면 각도에 맞추어 제작할 수 있는데 통상 직각이 많이 적용될 것이다.
상기 지지면(211, 311)은 압출 프레임(21, 31) 제작 시 해당 면의 각도를 예각 또는 둔각으로 변경하여 일체로 제작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시공될 건축물의 벽면에 외벽 재의 교접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사전 제작에 참고하여 현장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코너 바 조립체(20, 30)와 외벽 재의 결합 시공을 위해 구성하는 압출 프레임(21, 31)의 지지 면(211, 311)에 별도의 각도 편 부재(40)를 압출 형성하여 상기 지지 면에 나사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지지 면의 각도를 임의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외벽 재의 교접 각도를 좁게 또는 넓게 시공할 때 압출 프레임에 용이하게 부가 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압출 프레임의 지지 면 각도를 공장 제작 시 많이 사용되는 각도의 제품으로 다량 생산하고 현장에서 외벽 재 시공 각도에 따라 별도의 각도 편 부재(40) 만을 추가 시공함으로 제작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부분품 관리에서도 부품 수가 줄어들어 용이하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시공 예를 통해 살펴보면, 본 발명의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는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10)의 실외 측 방향 일 면에 간편하게 현장에서 조립 시공된다.
도 6 도시와 같이 시공 현장의 외벽 재(P)를 지지하도록 프레임 조립체 들은 일정간격으로 이격하고 기립하여 시공된다.
이격 간격은 외벽 재(P)의 넓이에 맞추어 시공되며, 통상의 시공 방법에 따라 외벽 재는 프레임 조립체(10)에 지지 되도록 결합 시공된다.
이때 시공에 있어 건물의 외벽이 돌출되거나 안쪽으로 꺾여 요입되는 구조를 이루는 경우 본 발명의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20, 30)를 현장에서 적용하여 시공을 이루게 된다.
돌출 코너인 경우에는 프레임 조립체(20)를 기존의 프레임 조립체(10)에 나사 결합하여 압출 프레임(21)의 지지 면(211)에 외벽 재(P)를 지지 고정하도록 결합시공하고, 요입 코너인 경우에는 프레임 조립체(30)를 이용하여 기존의 프레임 조립체(10)에 결합하여 압출 프레임(31)의 지지 면(311)에 외벽 재(P)를 지지 고정하도록 결합시공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 면(211, 311)들은 외벽 재(P)의 교접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선택하여 시공하는 것이 필요하고, 그 각도는 통상적으로 직각으로 교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서는 돌출 및 요입 모서리가 뾰족하거나 완만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압출 프레임(21, 31)의 지지 면(211, 311)의 각도를 사전에 맞도록 제작하여 시공할 수도 있고, 도 7 도시와 같이 지지 편 부재(40)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면에 결합하면 지지 편 부재에 의해 지지 면을 연장하는 내각은 변경되며 따라서 외벽 재의 교접 각도 변경 현장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a는 교접 각도가 예각인 경우이며 도 7b는 교접 각도가 둔각인 경우에 따라 지지 편 부재(40)의 결합 방향을 서로 반대로 하여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요입 코너의 경우에도 도 7c , 도 7d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설명과 동일하다.
상기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10)와 본 발명의 돌출, 요입 코너 바 조립체(20, 30)가 체결된 연장은 조립체 들의 시공 가상 선(L3)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길이 즉, 이등변 삼각형의 대각선 길이에 해당하도록 조립체(20, 30)의 연장을 제한하고 기존 조립체와 결합하게 제안하므로 실내 면적을 과도하게 점유하지 아니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10 :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 20 : 돌출 코너 바 조립체
21, 31 : 압출 프레임 22, 32 : 마감재
30 : 요입 코너 바 조립체 40 : 지지 편 부재
211, 311 : 지지 면 212, 312 : 홈
213, 313 : 지지대

Claims (7)

  1. 압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외부에 외장 마감과 단열 마감을 동시에 이루는 마감재를 덧붙여 이루어지는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10)와, 외벽 재(P)를 지지하며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와 결합하기 위한 코너 바 조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너 바 조립체는 돌출 코너 바 조립체와 요입 코너 바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커튼 월의 코너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돌출 코너 바 조립체는 "ㄷ"자형 프레임 일단으로 서로 외향 하는 지지 면(211)을 형성하여 이루고, 지지 면의 반대쪽에는 홈(212)을 형성하는 지지대(213)를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한 프레임(21)과, 프레임의 홈(212)에 끼워 외 표면을 마감하는 단열 마감재(22)를 결합하여 이루며, 상기 지지대(213)는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10)와 접하여 피스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돌출 코너 바 조립체(20)로 구성하고,
    상기 요입 코너 바 조립체는 "ㄷ"자형 프레임 일단으로 서로 내 향하는 지지 면(311)을 형성하여 이루고, 지지 면의 반대쪽에는 홈(312)을 형성하는 지지대(313)를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한 프레임(31)과, 프레임의 홈(312)에 끼워 외 표면을 마감하는 단열 마감재(32)를 결합하여 이루며, 상기 지지대(313)는 커튼 월 프레임 조립체(10)와 접하여 피스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요입 코너 바 조립체(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너 바 조립체(20, 30) 지지 면(211, 311)의 두 지지 면이 대칭 등각의 직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너 바 조립체(20, 30) 지지 면(211, 311)의 두 지지 면의 각도를 예각 또는 둔각 중 어느 하나의 각을 이루도록 일체로 제작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너 바 조립체(20, 30)의 압출 프레임(21, 31) 지지 면(211, 311)에 별도의 각도 편 부재(40)를 압출 성형하고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KR1020140155346A 2014-11-10 2014-11-10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KR101708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346A KR101708466B1 (ko) 2014-11-10 2014-11-10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346A KR101708466B1 (ko) 2014-11-10 2014-11-10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478A KR20160055478A (ko) 2016-05-18
KR101708466B1 true KR101708466B1 (ko) 2017-02-21

Family

ID=5611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346A KR101708466B1 (ko) 2014-11-10 2014-11-10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4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92843B (zh) * 2023-07-17 2023-09-26 邹城市科威电力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预制装配式建筑角度测量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278B1 (ko) * 2009-05-25 2012-03-20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커튼 월 창틀의 구조
KR101341438B1 (ko) * 2011-08-22 2014-01-02 주식회사 해담은창 커튼월 시스템
KR101377613B1 (ko) * 2012-04-17 2014-03-25 주식회사 케이씨씨 커튼월 단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278B1 (ko) * 2009-05-25 2012-03-20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커튼 월 창틀의 구조
KR101341438B1 (ko) * 2011-08-22 2014-01-02 주식회사 해담은창 커튼월 시스템
KR101377613B1 (ko) * 2012-04-17 2014-03-25 주식회사 케이씨씨 커튼월 단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478A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639B1 (ko) 이중단열복합 커튼월 프레임
KR101472311B1 (ko) 이중단열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101235718B1 (ko) 유닛 타입 스틸 커튼월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 장착구조
KR101698593B1 (ko) 알루미늄-스틸 복합 커튼월 구조
KR20190016060A (ko) 견고한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는 커튼월.
KR102010521B1 (ko) 단열 커튼월
KR101808504B1 (ko) 커튼월의 수직바 연결재
KR101708466B1 (ko)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KR101577622B1 (ko) 커튼월의 하부받침대 및 유리 고임목 겸용 단열부재
KR101520878B1 (ko) 경량 골조부재와 회전방지 체결볼트를 이용한 가건축물의 골조구조
KR102110820B1 (ko) 복합 커튼월 시스템
KR102157069B1 (ko) 복합 커튼월 시스템
KR101800818B1 (ko) 이중단열 구조를 구비한 유니트 방식의 커튼월
KR20090046140A (ko)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
KR101937191B1 (ko) 조립식 하우스
KR101707374B1 (ko) 단열 및 내구성이 보강된 한옥 기둥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82922Y1 (ko) 빗물 유입을 차단시키는 구조를 갖는 커튼 월 복층패널 장착용 프레임
KR20190001270U (ko) 건축용 벽체 블록 및 건축용 벽체 모듈 조립체
KR102240604B1 (ko) 커튼월 프레임의 접합 시스템 및 방법
KR101623939B1 (ko)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커튼월 창
JP2003206583A (ja) 出窓付壁面パネル体および壁面構造体
KR101200012B1 (ko)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KR20200000577U (ko) 조립 패널 결합용 압출형재
JP6604773B2 (ja) 建物の建具枠取付構造
JP2006183440A (ja) 壁パネル接続構造及びユニットル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