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466Y1 - 커튼월 고정용 브라켓트 - Google Patents

커튼월 고정용 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466Y1
KR200243466Y1 KR2020010015161U KR20010015161U KR200243466Y1 KR 200243466 Y1 KR200243466 Y1 KR 200243466Y1 KR 2020010015161 U KR2020010015161 U KR 2020010015161U KR 20010015161 U KR20010015161 U KR 20010015161U KR 200243466 Y1 KR200243466 Y1 KR 200243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wall
bracket
washer
long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민
Original Assignee
박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민 filed Critical 박재민
Priority to KR2020010015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4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466Y1/ko

Links

Landscapes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층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커튼월을 신속, 정확하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커튼월 고정용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측면에는 볼트를 이용하여 커튼윌에 결합되고, 내측면에 형성된 장공에는 고정구에 결합되어 입설되는 T형 지지볼트가 삽입되어 상부에서 와셔와 너트로 결합되는 통상의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장공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와셔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정합되어 요동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강한 압력에도 미끄러짐 등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시공과정에서 용접 등의 행하지 않으므로 그만큼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커튼월 고정용 브라켓트{Blanket for fixing of a curtain wall}
본 고안은 고층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커튼월을 신속, 정확하고 견고하게 시공함과 동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커튼월 고정용 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슬래브에 매설된 고정구와 커튼월을 연결하는 브라켓트의 상면과 이에 접합되는 와셔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정합되어 강력한 압력에도 요동되지 않도록 한 커튼월 고정용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의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 유리등을 장착하는 커튼월을 슬래브의 외측에 정밀하고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의 시공방법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래브(20)에 매설되는 고정구(5)와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커튼월(10)을 브라켓트(15)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브라켓트(15)의 외측면은 커튼월(10)에 볼트(7)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내측면은 고정구(5)에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T형지지볼트(1)가 브라켓트(15)에 형성된 장공(11)을 관통되며, 상부에서 와셔(12)와 너트(13)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장시간이 경과하면, 외압에 의해 T형지지볼트(1)에 결합된 브라켓트(15)가 전/후측으로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브라켓트(15)의 상면과 와셔(12)의 접합부위에 용접(W)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공은 접합부위에 용접(W)을 행하므로 시공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이 아니라 용접과정에서 불꽃이 다른 인화물질로 번져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고 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브라켓트의 요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시공이 간편하고 화재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커튼월 고정용 브라켓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외측면에는 볼트를 이용하여 커튼윌에 결합되고, 내측면에 형성된 장공에는 고정구에 결합되어 입설되는 T형지지볼트가 삽입되어 상부에서 와셔와 너트로 결합되는 통상의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장공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와셔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정합되어 요동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 및 이로부터 얻게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브라켓트를 이용한 시공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T형지지볼트 2…앵커볼트 4…중공부 5…고정구
10…커튼월 11…장공 11a…나사산 12…와셔
12a…통공 12b…나사산 13…너트 15…브라켓트
20…슬래브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외측면(15a)은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커튼월(10)과 볼트(7)에 의해서 결합되고, 내측면(15b)은 슬래브(20)에 매설되어 있는 고정구(5)의 중공부(4)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T형지지볼트(1)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면(15b)에는 상기 고정구(5)에 삽입되는 T형지지볼트(1)가 삽입되어 전/후로 미세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장공(11)이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11)의 외주면에는 미세간격의 조정과 상부에 접합되는 와셔(12)와 정합되어 요동을 방지하게 되는 삼각형상의 나사산(11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나사산(11a)을 장공(11)의 언저리만 형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상면 전체에 형성하여도 그 효과면에서는 동일한 것이다.
또한 T형지지볼트(1)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산(11a)과 정합되는 와셔(12)의 구성은 중앙에는 T형지지볼트(1)가 삽입되는 통공(12a)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장공(11)의 주변에 형성된 나사산(11a)과 정합되는 동형의 나사산(12b)이 전면에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용되는 것으로서, 건물의 시공과정에서 앵커볼트(2)가 고정된 고정구(5)를 거푸집에 고정한 후 몰타르를 충전시켜 양생시켜 슬래브(20)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5)에 형성된 중공부(4)에는 충전된 충전재를 제거한 후, 상기 중공부(4)에 T형지지볼트(1)를 등간격으로 다수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T형지지볼트(1)에는 브라켓트(15)의 내측면(15b)에 형성된 장공(11)을 삽입하여 T형지지볼트(1)가 상부로 돌출된다.
이 T형지지볼트(1)에는 저면에 나사산(12b)이 배설된 와셔(12)를 삽입하여 장공(11)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11a)과 정합시킨 후 상부에서 너트(13)를 체결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게되는 것이다.
또한 브라켓트(15)의 외측면에는 유리등을 고정 장착하게 되는 커튼월(10)을볼트(7)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커튼월(10)과 고정구(5)를 연결하는 브라켓트(15)는 장공(11)의 주변에 형성된 나사산(11a)과 와셔(12)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산(12b)이 정합되어 강한 압력에도 미끄러짐 등이 발생되지 않고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브라켓트에 형성된 장공의 주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에 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와셔를 정합함으로써 강한 압력에도 미끄러짐 등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또 시공과정에서 용접 등의 행하지 않으므로 그만큼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외측면(12a)에는 커튼윌(10)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고 내측면(12b)에 형성된 장공(11)에는 고정구(5)에 결합되어 입설되는 T형지지볼트(1)가 삽입되어 상부에서 와셔(12)와 너트(13)로 체결되는 통상의 브라켓트(15)에 있어서, 상기 장공(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1a)과 와셔(12)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산(12b)이 정합되어 요동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고정용 브라켓트.
KR2020010015161U 2001-05-23 2001-05-23 커튼월 고정용 브라켓트 KR200243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161U KR200243466Y1 (ko) 2001-05-23 2001-05-23 커튼월 고정용 브라켓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161U KR200243466Y1 (ko) 2001-05-23 2001-05-23 커튼월 고정용 브라켓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466Y1 true KR200243466Y1 (ko) 2001-10-29

Family

ID=7306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161U KR200243466Y1 (ko) 2001-05-23 2001-05-23 커튼월 고정용 브라켓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4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886B1 (ko) * 2006-12-28 2007-10-09 (주)원진화스닝 커튼월 고정장치
KR101256884B1 (ko) 2012-02-28 2013-04-22 (주)동양윈텍 커튼월용 앵커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886B1 (ko) * 2006-12-28 2007-10-09 (주)원진화스닝 커튼월 고정장치
KR101256884B1 (ko) 2012-02-28 2013-04-22 (주)동양윈텍 커튼월용 앵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066B1 (ko) 조적벽체의 보강공법
KR200243466Y1 (ko) 커튼월 고정용 브라켓트
KR200291531Y1 (ko) 파이프 서포트용 고정핀
KR100761558B1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JPH04315645A (ja) 石材等構造物の連結装置
JPS639622Y2 (ko)
JPH0122811Y2 (ko)
JP2971061B1 (ja) 基礎コンクリート打設時における土台用アンカーボルトの保持装置
KR200159182Y1 (ko) 거푸집 고정장치
JPH08326304A (ja) 足場取付構造
KR200362896Y1 (ko) 천장판 고정장치
JP2004218325A (ja) 火打ち
JP2005314881A (ja) 足場つなぎ用金具
KR200193191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구
JP2505729Y2 (ja) シ―ルドトンネルの防水構造
JPH0477776B2 (ko)
KR900006375Y1 (ko) 세면대 지지용 브라켓 (Bracket)
KR200201556Y1 (ko) 건축용 판넬 지지구
KR910006600Y1 (ko) 지주설치용 앵커장치
JP2000064795A (ja) トンネル工事の防水シート施工における吊り鉄筋金具の固定装置
JP2002276172A (ja) 浴室ユニット
JPH0571171A (ja) 壁パネル接合構造
JPH0433316Y2 (ko)
JPH03110233A (ja) 軸組構造
KR200277732Y1 (ko) 건축용 석재판넬 고정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