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378Y1 - 패널의 설치와 분리가 쉬운 전시용 부스 - Google Patents

패널의 설치와 분리가 쉬운 전시용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378Y1
KR200484378Y1 KR2020160001548U KR20160001548U KR200484378Y1 KR 200484378 Y1 KR200484378 Y1 KR 200484378Y1 KR 2020160001548 U KR2020160001548 U KR 2020160001548U KR 20160001548 U KR20160001548 U KR 20160001548U KR 200484378 Y1 KR200484378 Y1 KR 200484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nel
pair
vertical frames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기획
이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기획, 이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기획
Priority to KR2020160001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3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3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2Exhibition st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널의 설치와 분리가 쉬운 전시용 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부스의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에 부스의 벽면을 형성하는 패널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분리할 수 있는 전시용 부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는, 소정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20)과,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에 수평으로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수평프레임(22)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단을 형성하는 상단프레임(40); 상기 상단프레임(40)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의 벽면을 형성하는 패널(30); 및 상기 패널(30)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패널(30)을 상기 상단프레임(40)에 결합시키는 브라켓(34);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프레임(40)은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의 상단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부(42)와, 상기 끼움부(42)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34)이 결합하는 결합부(43)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42)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플레이트(41)와, 상기 플레이트(41)의 양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의 상단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절곡부(44)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43)는 상단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걸림홈(45)과, 상기 걸림홈(45)을 중심으로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46)과, 상기 한 쌍의 걸림턱(46)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41)에 지지되는 지지부(47)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34)은 상기 한 쌍의 걸림턱(46)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후크(36)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널의 설치와 분리가 쉬운 전시용 부스{DISPLAY BOOTH EASY TO INSTALL AND REMOVE OF PANEL}
본 고안은 패널의 설치와 분리가 쉬운 전시용 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부스의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에 부스의 벽면을 형성하는 패널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분리할 수 있는 전시용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제품을 소개하거나 상품과 기업을 홍보하기 위하여 전시장, 행사장 등과 같은 특정장소에는 전시용 부스(display booth)가 임시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시용 부스는 원하는 형태로 프레임을 제작하고, 볼트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전시용 부스의 벽면을 형성하는 패널을 프레임에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제작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전시용 부스를 제작하는 것은, 나사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패널을 프레임에 설치하기 때문에 패널의 설치와 분리에 많은 시간과 작업공정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전시용 부스는 전시 기간에만 임시로 설치되고 전시가 끝나면 다시 철거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설치와 철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패널을 프레임에 설치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더욱 쉽게 이루어지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2406호에 "전시 부스용 패널"이 공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시용 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전시용 부스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홈(2)이 형성되는 프레임(1)과, 홈(2)에 끼워지는 끼움부재(5)가 접착제 등에 의해 테두리에 결합되는 패널(3)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시용 부스는 패널(3)에 결합된 끼움부재(5)를 프레임(1)에 형성된 홈(2)에 끼움으로써 쉽게 패널(3)을 프레임(1)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전시용 부스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홈(2)이 형성된 프레임(1)과, 끼움부재(5)가 결합된 패널(3)의 제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끼움부재(5)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패널(3)에 결합시키기 때문에, 끼움부재(5)와 패널(3)의 결합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패널(3)을 프레임(1)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홈(2)에 끼워진 끼움부재(5)를 분리시켜야 하지만, 이러한 분리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2406호 (2005. 1. 7. 공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스의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에 부스의 벽면을 형성하는 패널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분리할 수 있는 전시용 부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는, 소정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20)과,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에 수평으로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수평프레임(22)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단을 형성하는 상단프레임(40); 상기 상단프레임(40)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의 벽면을 형성하는 패널(30); 및 상기 패널(30)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패널(30)을 상기 상단프레임(40)에 결합시키는 브라켓(34);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프레임(40)은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의 상단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부(42)와, 상기 끼움부(42)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34)이 결합하는 결합부(43)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42)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플레이트(41)와, 상기 플레이트(41)의 양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의 상단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절곡부(44)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43)는 상단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걸림홈(45)과, 상기 걸림홈(45)을 중심으로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46)과, 상기 한 쌍의 걸림턱(46)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41)에 지지되는 지지부(47)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34)은 상기 한 쌍의 걸림턱(46)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후크(3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는, 상기 패널(30)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패널(30)의 하부를 상기 프레임에 부착 고정시키는 자석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는, 상기 한 쌍의 걸림턱(46)과 상기 브라켓(34)의 걸림후크(36)는 '
Figure 112016027681825-utm00001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에 의하면, 패널의 상부에 고정된 브라켓의 걸림후크를 상단프레임에 형성된 걸림턱에 삽입하여 걸림되도록 하거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패널을 프레임에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에 의하면, 패널의 상부는 브라켓에 의해 상단프레임에 결합 고정되고, 패널의 하부는 자석에 의해 수평프레임에 부착 고정됨으로써, 패널 전체가 프레임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시용 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패널에 홍보를 위한 전시물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프레임에 패널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상단프레임에 패널의 상부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이고,
도 7은 도 4에 따른 프레임에 패널의 하부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단프레임의 사시도 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의 수직단면도 이고,
도 10은 도 9의 'A' 부분 확대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고안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고안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두께 및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어진 것이며, 따라서 본 고안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상대적인 크기나 두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패널에 홍보를 위한 전시물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10)는 프레임에 결합하여 부스(10)의 벽면을 형성하는 패널(30)을 포함한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패널(30)은 홍보를 위한 각종 전시 사진 등이 부착 설치되는 구성으로, 부스(10)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하는 프레임에 설치되고 분리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부스(10)는 신제품을 소개하거나 상품과 기업을 홍보하기 위하여 전시장, 행사장 등과 같은 특정장소에 임시로 설치되는데, 특히 전시 기간에만 임시로 설치되고 전시가 끝나면 다시 철거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설치와 철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패널(30)을 프레임에 설치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더욱 쉽게 이루어지게 할 필요가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프레임에 패널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상단프레임에 패널의 상부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이고, 도 7은 도 4에 따른 프레임에 패널의 하부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10)는 프레임, 패널(30), 상단프레임(40), 브라켓(34)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소정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20)과,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에 수평으로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수평프레임(22)를 포함한다.
상단프레임(40)은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단을 형성한다.
패널(30)은 상단프레임(40)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의 벽면을 형성한다.
브라켓(34)은 패널(30)의 상부에 고정되어 패널(30)을 상단프레임(40)에 결합시킨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10)는 패널(30)의 하부에 고정되어 패널(30)의 하부를 상기 프레임 예를들어, 수평프레임(22)에 부착 고정시키는 자석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10)에 의하면, 패널(30)의 상부는 브라켓(34)에 의해 상단프레임(40)에 결합되고, 패널(30)의 하부는 자석부(37)에 의해 수평프레임(22)에 부착 결합됨에 따라, 패널(30)을 프레임에 쉽게 설치하고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10)는 상기 수평프레임(22) 중 최하단의 수평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레그(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단프레임의 사시도 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의 수직단면도 이고, 도 10은 도 9의 'A' 부분 확대도 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단프레임(40)은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 상단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부(42)와, 끼움부(42) 상부에 구비되어 브라켓(34)이 결합하는 결합부(43)를 포함한다.
끼움부(42)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플레이트(41)와, 플레이트(41)의 양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의 상단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절곡부(44)를 포함한다.
결합부(43)는 상단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걸림홈(45)과, 걸림홈(45)을 중심으로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46)과, 상기 한 쌍의 걸림턱(46)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41)에 지지되는 지지부(47)를 포함한다.
브라켓(34)은 상기 한 쌍의 걸림턱(46)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후크(3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단프레임(40)의 결합부(43)에 한 쌍의 걸림턱(46)을 형성하고, 브라켓(34)에 걸림후크(36)를 형성하면, 패널(30)을 상단프레임(40)에 쉽게 결합시키고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43)에 한 쌍의 걸림턱(46)을 형성하는 이유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패널(30)이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하는 전면패널(31)과,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하는 배면패널(32)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전시용 부스(10)의 벽면을 형성하는 패널(30)은 프레임의 전면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도 9 및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프레임의 전면과 배면 양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결합부(43)에 한 쌍의 걸림턱(46)을 형성하면, 패널(30)을 프레임의 전면과 배면 양쪽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걸림턱(46)과 상기 브라켓(34)의 걸림후크(36)는 대략 '
Figure 112016027681825-utm00002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걸림후크(36)와 걸림턱(46)에 삽입되어 걸림된 경우에 패널(30)이 상단프레임(40)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시용 부스의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에 패널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분리할 수 있는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그 실시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 가능한 모든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전시용 부스 20 : 수직프레임
22 : 수평프레임 30 : 패널
34 : 브라켓 37 : 자석부
40 : 상단프레임

Claims (3)

  1. 소정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20)과,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에 수평으로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수평프레임(22)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단을 형성하는 상단프레임(40);
    상기 상단프레임(40)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의 벽면을 형성하는 패널(30);
    상기 패널(30)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패널(30)을 상기 상단프레임(40)에 결합시키는 브라켓(34); 및
    상기 패널(30)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패널(30)의 하부를 상기 프레임에 부착 고정시키는 자석부(37);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프레임(40)은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의 상단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부(42)와, 상기 끼움부(42)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34)이 결합하는 결합부(43)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42)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플레이트(41)와, 상기 플레이트(41)의 양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20)의 상단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절곡부(44)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43)는 상단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걸림홈(45)과, 상기 걸림홈(45)을 중심으로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46)과, 상기 한 쌍의 걸림턱(46)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41)에 지지되는 지지부(47)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34)은 상기 한 쌍의 걸림턱(46)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후크(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부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림턱(46)과 상기 브라켓(34)의 걸림후크(36)는 '
    Figure 112016027681825-utm00003
    '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부스.
KR2020160001548U 2016-03-22 2016-03-22 패널의 설치와 분리가 쉬운 전시용 부스 KR200484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548U KR200484378Y1 (ko) 2016-03-22 2016-03-22 패널의 설치와 분리가 쉬운 전시용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548U KR200484378Y1 (ko) 2016-03-22 2016-03-22 패널의 설치와 분리가 쉬운 전시용 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378Y1 true KR200484378Y1 (ko) 2017-08-30

Family

ID=6062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548U KR200484378Y1 (ko) 2016-03-22 2016-03-22 패널의 설치와 분리가 쉬운 전시용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3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299A (ko) 2017-11-29 2019-06-07 김상원 전시 모듈 및 전시 모듈 조립체
KR102055525B1 (ko) 2019-06-27 2020-01-22 주식회사 씨에스텍플러스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KR102139442B1 (ko) 2020-03-16 2020-07-29 주식회사 씨에스텍플러스 조립식 전시용 부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406A (ko) 2003-06-30 2005-01-07 (주)투비디자인 전시 부스용 패널
KR20090037222A (ko) * 2007-10-11 2009-04-15 (주)다우텍 패널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406A (ko) 2003-06-30 2005-01-07 (주)투비디자인 전시 부스용 패널
KR20090037222A (ko) * 2007-10-11 2009-04-15 (주)다우텍 패널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299A (ko) 2017-11-29 2019-06-07 김상원 전시 모듈 및 전시 모듈 조립체
KR102055525B1 (ko) 2019-06-27 2020-01-22 주식회사 씨에스텍플러스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KR102139442B1 (ko) 2020-03-16 2020-07-29 주식회사 씨에스텍플러스 조립식 전시용 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686B1 (ko)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KR101569481B1 (ko) 천장 패널 고정 시스템
KR200484378Y1 (ko) 패널의 설치와 분리가 쉬운 전시용 부스
AU2017369525B2 (en) Connec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a wall element in an elevator car
KR101877647B1 (ko) 미닫이식 도어의 프레임 조립구조
KR101458198B1 (ko) 천정마감장치
CA2915184C (en) Spa cabinet attachment
KR101641832B1 (ko) 조명 설치용 지지장치
KR102107655B1 (ko) 페그보드 설치장치
KR20120048318A (ko) 천정재 설치구조
KR200459341Y1 (ko)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KR101232840B1 (ko) 행거형 정보 표시장치
KR101484083B1 (ko) 착탈형 와이어 패널을 구비한 앵글 선반
KR102094074B1 (ko)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KR200460190Y1 (ko) 다용도 채널간판 고정구
KR200488433Y1 (ko) 픽쳐 걸이구의 레일용 고정구
KR101348143B1 (ko) 에이비에스 욕실 천장판 보강재
JP2012085988A (ja) ハンギングレール
JP5623801B2 (ja) ユニット式ルーム用パネル固定部材、及びユニット式ルーム
CN106836610B (zh) 一种支持多种类型支架的安装结构
KR101839547B1 (ko) 결합구조 및 지지구조가 개선된 안내판 걸이구
US20150276123A1 (en) Adjustable mounting bracket and support
KR101030970B1 (ko) 선반 지지용 프레임 구조물
KR101845356B1 (ko)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KR20170006405A (ko) 간판 설치용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