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525B1 -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525B1
KR102055525B1 KR1020190076983A KR20190076983A KR102055525B1 KR 102055525 B1 KR102055525 B1 KR 102055525B1 KR 1020190076983 A KR1020190076983 A KR 1020190076983A KR 20190076983 A KR20190076983 A KR 20190076983A KR 102055525 B1 KR102055525 B1 KR 102055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exhibition
shap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숭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텍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텍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텍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76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2Exhibition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1Decoupling of vibrations by means of point-of-contact supports, e.g. bal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47B2009/04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with gear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67Enclosure type with computer
    • A47B2200/0071Booth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의 광고를 위한 전시장 부스, 상품 진열용 벽 또는 건축물에서의 칸막이 등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시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 상기 바닥에 설치되어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지탱하는 기둥; 상기 기둥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 및 상기 바닥의 일측에 설치되며, 해당 전시용 부스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원이 착석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안내 데스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ISTALLATION STRUCTURE OF EXHIBITION BOOTH}
본 발명은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의 광고를 위한 전시장 부스, 상품 진열용 벽 또는 건축물에서의 칸막이 등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용 부스는, 길거리나 전시장, 기타 행사장 등 탁 트인 넓은 공간의 일부를 구획하여 상품을 판매하거나 전시하는데 사용하는 설치 구조물로서, 목재나 철근으로 현장에서 직업 구조물을 건축하거나, 운반 및 설치구조가 자유롭 도록 조립이 가능하게 각각의 부재를 구성하여 현장에서 조립하여 구조물을 형성한다
특히, 조립식 부스는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뼈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로 이루어져 오픈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면을 형성하는 패널을 설치함으로써 폐쇄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종래 전시용 부스 또는 전시용 부스의 조립체 또는 전시용 부스의 조립장치들은, 프레임과 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는 커넥터가 복수개의 연결편이 입체적으로 상호 연결됨으로써 형성되고, 프레임과 커넥터 사이 또는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프레임의 길이 및 프레임과 프레임의 조립각도와 선택 폭이 넓어 다양한 형상의 부스를 구축할 수 있고, 프레임과 프레임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1784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437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세하게는 상품의 광고를 위한 전시장 부스, 상품 진열용 벽 또는 건축물에서의 칸막이 등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는, 전시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 상기 바닥에 설치되어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지탱하는 기둥; 상기 기둥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 및 상기 바닥의 일측에 설치되며, 해당 전시용 부스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원이 착석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안내 데스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는, 상기 기둥의 일측에 설치되며,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다단의 선반에 의하여 구획되는 수납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은, 전시용 부스에 전시되는 물품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 데스크는, 후면을 형성하는 백 플레이트부; 및"ㄴ"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안내원이 착석하기 위한 의자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데스크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스크 본체부는, "ㄴ"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형태에 대응하는 "ㄴ"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측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대; 및 상기 바닥과 상기 하판 사이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하판을 지지하는 하판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 지지대는, 상측에 안착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회전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사각 플레이트; 및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안착 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지지대는, 상기 사각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 구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구체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홀을 형성되며, 상기 사각 플레이트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구체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 구체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 각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각 모서리에 탄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홈은,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안착 구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구체와의 대향면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구체가 열을 지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플레이트는, 지지된 상기 사각 플레이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부 각 모서리에 회전 구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판 지지대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홈을 형성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상기 하판이 안착되며, 상기 체결홈과 대향하는 하부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 바아를 구비하는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홈은,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홈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홈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 바아를 눌러 고정시키기 위한 누름돌기가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 개 설치되는 누름 플레이트; 상기 누름 플레이트와 홈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으로 팽창액이 공급되면 팽창하여 상기 누름 플레이트를 상기 체결 바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팽창백; 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 바아가 홈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누름에 따라 하강하는 밀대; 및 밀폐된 내부 공간에 팽창액이 담기며, 상기 밀대의 하부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밀대가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긴 팽창액이 압력을 받아 상기 팽창백까지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상기 팽창백으로 공급되는 팽창액 공급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누름돌기는, 하측에 위치하는 것일 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품의 광고를 위한 전시장 부스, 상품 진열용 벽 또는 건축물에서의 칸막이 등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상품의 전시 또는 홍보를 효율적으로 하도록 할 수 있고, 설치 및 분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안내 데스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데스크 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상판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3의 하판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체결홈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은 도 6의 체결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10)은, 바닥(110), 기둥(120), 조명(130) 및 안내 데스크(140)를 포함한다.
바닥(110)은, 전시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기둥(120), 조명(130), 안내 데스크(140) 및 기타 전시에 필요로 하는 구조물 등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기둥(120)은, 바닥(110)에 설치되어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물(170)을 지탱한다. 여기서, 구조물(170)이라 함은, 지붕 또는 전시용 패널 등이 해당할 수 있으며, 기타 전시에 필요로 하는 구조물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조명(130)은, LED 등, 백열 전구 등과 같이 발광 수단으로 형성되며, 기둥(1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물(170)에 설치되어 바닥(110) 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이때, 조명(130)은, 그 설치 장소가 구조물(17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110), 기둥(120) 또는 안내 데스크(140) 등 그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안내 데스크(140)는, 바닥(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해당 전시용 부스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원이 착석하기 위한 공간(도 2의 143)을 형성한다. 즉, 안내 데스크(140)는, 안내원이 의자를 설치하여 착석하여 안내를 수행하거나, 서서 안내를 수행하기 위한 공간(143)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10)은, 수납함(150) 및 표시수단(160)을 포함한다.
수납함(150)은, 기둥(120)의 일측에 설치되며,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다단의 선반에 의하여 구획되어, 전시에 필요로 하는 물품 등을 내부 공간에 수납하도록 한다.
표시수단(160)은, LED 디스플레이 또는 LCD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표시 수단으로 형성되며, 전시용 부스에 전시되는 물품의 정보를 동영상 또는 정시화상 등의 출력을 통하여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10)은, 상품의 광고를 위한 전시장 부스, 상품 진열용 벽 또는 건축물에서의 칸막이 등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상품의 전시 또는 홍보를 효율적으로 하도록 할 수 있고, 설치 및 분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안내 데스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내 데스크(140)는, 백 플레이트부(141) 및 데스크 본체부(142)를 포함한다.
백 플레이트부(141)는, 안내 데스크(140)의 후면을 형성하며, 전면에 데스크 본체부(142)가 설치된다.
데스크 본체부(142)는, "ㄴ"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백 플레이트부(141)의 전면에 설치되며, 안내원이 착석하기 위한 의자를 놓을 수 있는 공간(143)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내 데스크(140)는, 안내원이 보행자 또는 부스 내에서 관람하는 관람자의 동선을 피해 자신만의 공간(143)을 확보함으로써 안정적인 정보 전달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데스크 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스크 본체부(142)는, 상판(1241), 하판(1242), 상판 지지대(500) 및 하판 지지대(400)를 포함한다.
상판(1241)은, "ㄴ"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하판(1242)의 상측에서 상판 지지대(50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판(1242)은, 상판(1241)의 형태에 대응하는 "ㄴ"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상판(1241)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판(1241)을 지지하고, 하판 지지대(400)에 의해 바닥(110)으로부터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판(1242)은, 상측에 설치되는 상판 지지대(500)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판 지지대(500)가 설치되는 위치에 삽입홈(12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 지지대(500)는, 하판(1242)의 상측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1241)을 지지한다.
하판 지지대(400)는, 바닥(110)과 하판(1242) 사이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하판(1242)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데스크 본체부(142)는, 보행자가 많은 전시장의 특성상 많은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될 수밖에 없는 환경속에서, 상판 지지대(500) 및 하판 지지대(400)를 이용하여 상판(1241) 또는 하판(1242)으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감쇄시킴으로써 장치나 기구물 등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상판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판 지지대(500)는,지지 플레이트(510) 및 회전 지지대(520)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상판(1241)을 지지하며, 회전 지지대(5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회전 지지대(520)는, 지지 플레이트(510)의 하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플레이트(51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510)는, 사각 플레이트(511) 및 안착 구체(512)를 포함한다.
사각 플레이트(511)는,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방향액 용기(100)를 지지하며, 하측 중심 부분에 안착 구체(512)가 설치된다.
안착 구체(512)는,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사각 플레이트(511)의 하측면에 설치되며, 안착홈(523)에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 지지대(520)는, 상부 플레이트(521), 하부 플레이트(522) 및 안착홈(523)을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521)는, 사각 플레이트(511)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안착 구체(512)가 통과될 수 있도록 안착 구체(512)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홀(5212)을 형성되며, 사각 플레이트(511)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플레이트(521)는, 상측에 지지된 사각 플레이트(511)가 지지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부 각 모서리에 회전 구체(521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플레이트(521)는, 회전 구체(5211)를 수용하기 위한 회전 구체(521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홈(5213)이 각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5213)에 삽입된 회전 구체(5211)는, 상부 플레이트(521)의 하측에 맞닿을 수 있도록 상측 일부가 외부로 노출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부 플레이트(522)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플레이트(521)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플레이트(521)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플레이트(522)는, 상부 플레이트(521)의 하측 각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각 모서리에 탄성체(5221)를 구비할 수 있다.
안착홈(523)은, 안착 구체(51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부 플레이트(522)의 상부에 형성되어 안착 구체(512)가 안착된다.
이때, 안착홈(52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에 안착된 안착 구체(512)가 회전할 수 있도록 안착 구체(512)와의 대향면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구체(5231)가 열을 지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착홈(523)는, 회전 구체(5231)를 수용하기 위한 회전 구체(523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홈(5232)이 안착 구체(512)와의 대향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대(500)는, 상판(1241)으로부터 상하 방향, 즉 수직 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의 뒤틀림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감쇄시킴으로써, 상판(124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도 6은 3의 하판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판 지지대(400)는, 안착 플레이트(600) 및 받침대(700)를 포함한다.
안착 플레이트(600)는, 받침대(700)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받침대(70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측에 하판(1242)이 설치되며, 체결홈(900)과 대향하는 하부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 바아(800)를 구비한다.
받침대(700)는, 바닥(110)에 앙카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설치되거나 바닥(110)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움직이지 않도록 삽입 설치되고,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홈(900)을 형성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체결홈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홈(900a)은, 밀착 플레이트(910) 및 피니언 기어(920)를 포함한다.
밀착 플레이트(910)는,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체결홈(900a)의 일측에서 탄성체(S)(예를 들어, 용수철 등)에 의하여 지지되며, 체결 바아(800)를 홈의 반대 방향, 즉 피니언 기어(920) 방향으로 밀착시킨다.
피니언 기어(920)는, 홈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체결 바아(8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체결 바아(800)의 측면을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크 기어(810)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린 상태로 체결 바아(8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피니언 기어(920)는, 체결홈(900a)의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 회전축(920a)이 물리는 정도에 따라 체결 바아(800)가 승강 또는 하강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회전축(920a)이 강하게 물리면 체결 바아(800)가 승강 또는 하강이 잘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회전축(920a)이 약하게 물리면 체결 바아(800)가 승강 또는 하강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피니언 기어(920)는, 체결홈(900a)에서의 체결 바아(800)의 상하 운동 정도를 조절하는 구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밀착 플레이트(910)는 체결 바아(800)와 대향하는 면에 단면이 삼각형인 가이드 돌기(911)가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체결 바아(800)는 밀착 플레이트(910)와 대향하는 면에 가이드 돌기(911)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유도홈(820)이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 바아(800)가 체결홈(900a)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함에 있어, 가이드 돌기(911)가 슬라이딩 유도홈(8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유도되어 체결 바아(800)가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지 아니하고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은 도 6의 체결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홈(900b)은, 고정 플레이트(930), 누름 플레이트(940), 팽창백(950), 밀대(960) 및 팽창액 공급탱크(970)를 포함한다.
고정 플레이트(930)는,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홈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 개의 관통홀(931)이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 플레이트(930)는, 체결 바아(800)와 대향하는 면에 단면이 삼각형인 가이드 돌기(932)가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체결 바아(800)는 고정 플레이트(930)와 대향하는 면에 가이드 돌기(932)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유도홈(820)이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누름 플레이트(940)는, 고정 플레이트(930)와 팽창백(950)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관통홀(931)을 통과하여 체결 바아(800)를 눌러 고정시키기 위한 누름돌기(941)가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 개 설치되며, 팽창백(950)이 팽창됨에 따라 체결 바아(800) 방향으로 이동되어 관통홀(931)를 통과하여 이동되는 누름돌기(941)로 체결 바아(800)를 눌러 고정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누름돌기(941)는, 하측에 위치하는 것일 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체결 바아(800)가 하강함에 따라 누름 플레이트(940)의 이동 거리도 늘어나게 되는데, 체결 바아(800)가 조금만 하강한 경우에는 상측에 위치하는 누름돌기(941)에 의하여 조금 눌러지게 될 것이나, 체결 바아(800)가 최하단까지 하강하게 되면 최하측에 위치한 누름돌기(941)까지 체결 바아(800)를 눌러 체결 바아(800)가 체결홈(900b)에서 강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팽창백(950)은, 누름 플레이트(940)와 홈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으로 팽창액이 공급되면 팽창하여 누름 플레이트(940)를 체결 바아(800)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즉, 팽창백(950)은,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비닐팩 등과 같은 밀폐용기로 제작되며,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팽창액 공급탱크(970)로부터 공급되는 팽창액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너비가 t1으로부터 t2를 거쳐 t3까지 팽창하여 누름 플레이트(940)를 체결 바아(80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밀대(960)는, 홈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홈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고, 하부가 팽창액 공급탱크(97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체결 바아(800)가 홈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측을 누름에 따라 하강하여 팽창액 공급탱크(97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하부로 팽창액 공급탱크(970)에 담긴 팽창액을 주사기에 수용된 액체를 밀착시키듯이 밀착시켜 연결관(980)을 통해 팽창백(950)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팽창액 공급탱크(970)는, 밀폐된 내부 공간에 팽창액을 수용하여 두며, 밀대(960)의 하부가 상부에 배치되며, 밀대(960)가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긴 팽창액이 하측 방향으로 압력을 받아 하부로부터 팽창백(950)까지 연결된 연결관(980)을 통해 팽창백(950)으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체결홈(900b)은, 체결 바아(800)가 체결홈(900b)에 삽입됨에 따라 체결홈(900)에 의한 체결 바아(800)의 체결을 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착 플레이트(600)의 상측에 안착된 하판(1242)가 받침대(700)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안정적인 지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110: 바닥
120: 기둥
130: 조명
140: 안내 데스크
150: 수납함
160: 표시수단

Claims (14)

  1. 전시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
    상기 바닥에 설치되어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지탱하는 기둥;
    상기 기둥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 및
    상기 바닥의 일측에 설치되며, 해당 전시용 부스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원이 착석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안내 데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데스크는,
    후면을 형성하는 백 플레이트부; 및
    "ㄴ"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안내원이 착석하기 위한 의자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데스크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스크 본체부는,
    "ㄴ"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형태에 대응하는 "ㄴ"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측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대; 및
    상기 바닥과 상기 하판 사이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하판을 지지하는 하판 지지대를 포함하는,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일측에 설치되며,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다단의 선반에 의하여 구획되는 수납함을 더 포함하는,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전시용 부스에 전시되는 물품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지지대는,
    상측에 안착된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회전 지지대를 포함하는,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사각 플레이트; 및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안착 구체를 포함하는,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대는,
    상기 사각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 구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구체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홀을 형성되며, 상기 사각 플레이트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구체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 구체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 각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각 모서리에 탄성체를 구비하는,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안착 구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구체와의 대향면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구체가 열을 지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11. 제8항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는,
    지지된 상기 사각 플레이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부 각 모서리에 회전 구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지지대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홈을 형성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상기 하판이 안착되며, 상기 체결홈과 대향하는 하부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 바아를 구비하는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홈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홈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 바아를 눌러 고정시키기 위한 누름돌기가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 개 설치되는 누름 플레이트;
    상기 누름 플레이트와 홈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으로 팽창액이 공급되면 팽창하여 상기 누름 플레이트를 상기 체결 바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팽창백;
    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 바아가 홈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누름에 따라 하강하는 밀대; 및
    밀폐된 내부 공간에 팽창액이 담기며, 상기 밀대의 하부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밀대가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긴 팽창액이 압력을 받아 상기 팽창백까지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상기 팽창백으로 공급되는 팽창액 공급탱크를 포함하는,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기는,
    하측에 위치하는 것일 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KR1020190076983A 2019-06-27 2019-06-27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KR102055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983A KR102055525B1 (ko) 2019-06-27 2019-06-27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983A KR102055525B1 (ko) 2019-06-27 2019-06-27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525B1 true KR102055525B1 (ko) 2020-01-22

Family

ID=69368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983A KR102055525B1 (ko) 2019-06-27 2019-06-27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5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3492A (ja) * 2002-07-03 2004-02-05 Commons Co Ltd 陳列視聴ブース
KR200411784Y1 (ko) 2005-12-10 2006-03-17 홍석기 원통형고정구를 구비한 전시용부스
KR101229801B1 (ko) * 2011-05-03 2013-02-08 이동욱 선반 설치형 조립식 부스
KR200484378Y1 (ko) 2016-03-22 2017-08-30 주식회사 경동기획 패널의 설치와 분리가 쉬운 전시용 부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3492A (ja) * 2002-07-03 2004-02-05 Commons Co Ltd 陳列視聴ブース
KR200411784Y1 (ko) 2005-12-10 2006-03-17 홍석기 원통형고정구를 구비한 전시용부스
KR101229801B1 (ko) * 2011-05-03 2013-02-08 이동욱 선반 설치형 조립식 부스
KR200484378Y1 (ko) 2016-03-22 2017-08-30 주식회사 경동기획 패널의 설치와 분리가 쉬운 전시용 부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0218A (en) Ceiling module
US8783476B2 (en) Cladded fixture
US6010017A (en) Modular dispenser and display system
US5915656A (en) Modular floor stand
KR102055525B1 (ko) 전시용 부스 설치 구조
US20080142460A1 (en) Suspension apparatus
KR200482530Y1 (ko) 앵글선반프레임
US7676971B2 (en) Trade show marketing display system
JP3215112U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用スタンド
CN202775338U (zh) 一种旋转展示架
KR101075456B1 (ko) 선반 구조물
KR200451957Y1 (ko) 조립식 선반
KR200469911Y1 (ko) 광고표시판 고정장치용 지주
JP6719968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CN201011991Y (zh) 物品展示架
KR101492619B1 (ko) 오브제 페데스톨
JP2004068311A (ja) 表示体を一体に具えた展示ブース及び表示体固定構造
JP3228033U (ja) パーテーション部材に設置する付属部材の固定具
CN214462990U (zh) 一种多功能展厅
KR20200001091A (ko) 각도 조절형 신발용 선반
JP2013154060A (ja) 物品陳列什器
WO2011108949A1 (en) Illuminated shelf system
CN219895233U (zh) 展示架及商品展示系统
US20070184723A1 (en) Modular storage system, components therefor, storage method & kit
JP3166340U (ja) 商品展示台単体及びそれを使用した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