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686B1 -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686B1
KR101816686B1 KR1020170046591A KR20170046591A KR101816686B1 KR 101816686 B1 KR101816686 B1 KR 101816686B1 KR 1020170046591 A KR1020170046591 A KR 1020170046591A KR 20170046591 A KR20170046591 A KR 20170046591A KR 101816686 B1 KR101816686 B1 KR 101816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bracket
panel
fixing
exteri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루스
Priority to KR1020170046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격자형 구조를 이루며 배열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건축용 외장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고,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장착부, 상기 제1장착부의 전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1장착부의 좌측에 형성되어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 중 좌측에 배치된 외장패널의 우측 단부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갖는 제1고정브래킷;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고,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상기 제1장착부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장착부, 상기 제2장착부의 전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2장착부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 중 우측에 배치된 외장패널의 좌측 단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갖는 제2고정브래킷; 및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의 사이에 개재되고, 후면에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와 결합하는 대응결합부를 갖는 몰딩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위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장패널이 제1고정브래킷 및 제2고정브래킷에 의해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고정되고, 두 외장패널 사이의 공간이 몰딩브래킷에 의해 메워짐으로써, 외장패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실리콘의 사용에 의한 외장패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Bracket unit for installation of external panels for construction and building exterior panel assembli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장패널을 더욱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각 외장패널의 사이 공간을 용이하게 메울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5183호(2007.02.14. 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건축물의 패널 고정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건축물의 벽면에 다수의 앵커볼트가 고정되고, 상기 앵커볼트에 브라켓이 조립되어 프레임이 부착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패널의 플랜지가 상호 인접하여 체결볼트로 고정되는 한편 패널과 패널 사이의 홈에 실리콘과 패킹이 충진되는 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안쪽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U"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양쪽 단부에서 양측 방향으로 패널의 안쪽면을 받치는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안쪽면에 체결볼트가 장착되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섀시와; 상기 섀시의 안쪽면에서 체결볼트가 장착된 고정부위에 충진되는 실리콘과; 상기 섀시의 수용공간에 상호 인접하는 가장자리 단부가 끼워져 고정 설치되는 패널과; 상기 섀시에 고정 설치된 패널과 패널 사이에 끼워져 실리콘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처리 되는 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건축물의 벽면에 프레임과 섀시를 부착 설치한 다음 섀시의 고정부위에 실리콘을 충진하고, 섀시에 다수의 패널을 끼워 설치한 후 실리콘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패널과 패널 사이에 패킹을 끼워 시공함으로써, 패널의 시공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실리콘의 오염으로 인한 패널의 손상과 오염을 방지함에 따라 건축물의 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실리콘의 도포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실리콘의 도포작업 중 패널에 실리콘이 묻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등 작업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685183호(2007.02.1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장패널을 고정하되 각 외장패널 사이의 공간을 실리콘의 도포 없이 메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장패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외장패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은,
상호 격자형 구조를 이루며 배열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외장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고,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장착부, 상기 제1장착부의 전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1장착부의 좌측에 형성되어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 중 좌측에 배치된 외장패널의 우측 단부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갖는 제1고정브래킷;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고,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상기 제1장착부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장착부, 상기 제2장착부의 전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2장착부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 중 우측에 배치된 외장패널의 좌측 단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갖는 제2고정브래킷; 및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의 사이에 개재되고, 후면에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와 결합하는 대응결합부를 갖는 몰딩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장패널이 제1고정브래킷 및 제2고정브래킷에 의해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고정되고, 두 외장패널 사이의 공간이 몰딩브래킷에 의해 메워짐으로써, 외장패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실리콘의 사용에 의한 외장패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외장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고정브래킷 및 몰딩브래킷을 분해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고정브래킷 및 몰딩브래킷을 분해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C-C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위주로 브래킷유닛의 구성을 함께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는 크게 수직프레임(100), 수평프레임(200), 외장패널(300) 및 브래킷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수직프레임(100) 및 수평프레임(200)은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격자형 구조를 이루도록 배열된다.
외장패널(300)은 수직프레임(100)과 수평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판 형상의 본체(310);
본체(310)의 우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우측면부(320);
우측면부(320)의 후단부에서 좌측으로 돌출 형성된 우측절곡부(330);
본체(310)의 좌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좌측면부(340);
좌측면부(340)의 후단부에서 우측으로 돌출 형성된 좌측절곡부(350);
본체(310)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상면부(360);
상면부(360)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측절곡부(370);
본체(310)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면부(380); 및
하면부(380)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측절곡부(3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장패널(300)은 다수가 구비되어 수직프레임(100) 및 수평프레임(200)이 이루는 격자형 구조물의 각 직사각형 공간을 가리도록 배열된다.
브래킷유닛은 외장패널(300)을 수직프레임(100)과 수평프레임(200)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고정브래킷(400), 제2고정브래킷(500), 몰딩브래킷(600) 및 수평브래킷(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고정브래킷(400)은 수직프레임(100)의 전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수직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제1장착부(410);
제1장착부(410)의 전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420); 및
제1장착부(410)의 좌측에 형성되어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 중 좌측에 배치된 외장패널(300)의 우측 단부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장착부(410)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관통하여 수직프레임(100)에 체결되는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수직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이때 제1장착부(410)는 수직프레임(100)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제1장착부(410)는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제1결합부(420)는 제1고정브래킷(400)과 몰딩브래킷(600)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부(410)의 전면에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된 두 제1돌출편(421), 그리고 두 제1돌출편(421)의 단부에 두 제1돌출편(421)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1걸림돌기(4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각 제1걸림돌기(422)는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쐐기 형상을 갖는다.
제1고정부(430)는 제1장착부(410)의 좌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장패널(300)의 우측절곡부(330) 후면을 지지하는 제1후면지지부(431), 제1후면지지부(431)의 좌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장패널(300)의 우측절곡부(330) 좌측면을 지지하는 제1측면지지부(432), 그리고 제1측면지지부(432)의 전단부에서 우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장패널(300)의 우측절곡부(330) 전면을 지지하는 제1전면지지부(4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고정브래킷(400)의 구조에 의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패널(300)의 우측절곡부(330)는 제1고정브래킷(400)에 형성된 두 제1돌출편(421) 중 좌측에 배치된 제1돌출편(421)과 제1고정부(430) 사이의 공간에 진입하여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외장패널(300)의 우측 단부가 제1고정브래킷(400)에 의해 수직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고정브래킷(500)은 제1고정브래킷(400)과 함께 수직프레임(100)의 전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수직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제2장착부(510);
제2장착부(510)의 전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520); 및
제2장착부(510)의 좌측에 형성되어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 중 우측에 배치된 외장패널(300)의 좌측 단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장착부(510)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관통하여 수직프레임(100)에 체결되는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수직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이때 제2장착부(510)는 제1고정브래킷(400)의 제1장착부(410)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수직프레임(100)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제2장착부(510)는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제2결합부(520)는 제2고정브래킷(500)과 몰딩브래킷(600)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장착부(510)의 전면에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된 두 제2돌출편(521), 그리고 두 제2돌출편(521)의 단부에 두 제2돌출편(521)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2걸림돌기(5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각 제2걸림돌기(522)는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쐐기 형상을 갖는다.
제2고정부(530)는 제2장착부(510)의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장패널(300)의 좌측절곡부(350) 후면을 지지하는 제2후면지지부(531), 제2후면지지부(531)의 우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장패널(300)의 좌측절곡부(350) 우측면을 지지하는 제2측면지지부(532), 그리고 제2측면지지부(532)의 전단부에서 좌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장패널(300)의 좌측절곡부(350) 전면을 지지하는 제2전면지지부(5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2고정브래킷(500)의 구조에 의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패널(300)의 좌측절곡부(350)는 제2고정브래킷(500)에 형성된 두 제2돌출편(521) 중 우측에 배치된 제2돌출편(521)과 제2고정부(530) 사이의 공간에 진입하여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외장패널(300)의 좌측 단부가 제2고정브래킷(500)에 의해 수직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고정브래킷(400)과 제2고정브래킷(500)은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수직프레임(100)에 장착 시 고정부(430)(530)가 위치하게 되는 방향에 따라 제1고정브래킷(400) 또는 제2고정브래킷(500)으로 구분된다.
제1고정브래킷(400)과 제2고정브래킷(500)은 대략 10㎝ 정도의 길이를 갖는 플라스틱 압출품으로 이루어지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패널(30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둘 이상 배치되도록 수직프레임(100)에 장착된다.
몰딩브래킷(600)은 외장패널(300)의 상하 길이와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플라스틱 압출품으로 이루어져,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의 사이에 개재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브래킷(600)의 후면에는 대응결합부(610)가 돌출 형성된다. 대응결합부(610)는 몰딩브래킷(600)의 후면에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된 두 대응돌출편(611), 그리고 두 대응돌출편(611)의 단부에 두 대응돌출편(611)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대응걸림돌기(6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 대응돌출편(611)은 제1고정브래킷(400)에 형성된 두 제1돌출편(421)의 사이 및 제2고정브래킷(500)에 형성된 두 제2돌출편(521)의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각 대응걸림돌기(612)는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을 가지며, 각 대응돌출편(611)이 두 제1돌출편(421)의 사이 및 두 제2돌출편(521)의 사이로 진입하는 것에 의하여 제1고정브래킷(400)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422) 및 제2고정브래킷(500)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522)의 후면에 걸리어 고정된다.
그리고 몰딩브래킷(600)의 양측면에는 안착홈(620)이 각각 요입(凹入) 형성된다. 각 안착홈(620)에는 인접한 외장패널(300)의 측면과 접하게 되는 패킹(700)이 삽입되며, 이 패킹(700)에 의해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 사이의 공간이 안정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패킹(700)이 몰딩브래킷(6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홈(620)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상부고정돌기(630)와 하부고정돌기(640)가 돌출 형성되고, 패킹(700)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부고정돌기(630)와 하부고정돌기(640)가 각각 진입하여 걸리게 되는 상부고정홈(710)와 하부고정홈(720)이 각각 요입 형성된다.
결국, 제1고정브래킷(400), 제2고정브래킷(500) 및 몰딩브래킷(600)은 상호 결합되어 하나로 조립되며, 이 조립품은 각 외장패널(300)의 양측 단부를 수직프레임(100)에 고정하되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의 사이 공간을 메워 밀폐하게 된다.
수평브래킷(800)은 상호 상하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수평프레임(200)의 전면에 장착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상하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 중 상측에 배치된 외장패널(300)의 하측절곡부(390)와 수평프레임(20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수평프레임(200)에 결합되는 후방플레이트(810);
후방플레이트(810)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상하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 중 상측에 배치된 외장패널(300)의 하면부(380)와 하측에 배치된 외장패널(300)의 상측절곡부(370) 사이에 개재되는 중앙플레이트(820); 및
중앙플레이트(820)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측에 배치된 외장패널(300)의 상면부(360)와 접하게 되는 전방플레이트(8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후방플레이트(810)는 이를 관통하여 수평프레임(200)에 체결되는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수평프레임(200)에 고정된다.
중앙플레이트(820)는 상측에 배치된 외장패널(300)의 하면부(380)와 접하여 상측 외장패널(300)을 받친다.
전방플레이트(830)는 상호 상하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하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 사이의 공간으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평브래킷(800)은 상호 좌우로 배치된 다수의 외장패널(300)을 가로지를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플라스틱 압출품으로 이루어지거나, 금속판을 절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에 의하면, 외장패널(300)이 제1고정브래킷(400) 및 제2고정브래킷(500)에 의해 수직프레임(100)과 수평프레임(200)에 고정되고,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 사이의 공간이 몰딩브래킷(600)에 의해 메워져 밀폐되며, 상호 상하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 사이의 공간이 수평브래킷(800)에 의해 메워져 밀폐됨으로써, 외장패널(30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실리콘의 사용에 의한 외장패널(3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수직프레임 200 : 수평프레임
300 : 외장패널 310 : 본체
320 : 우측면부 330 : 우측절곡부
340 : 좌측면부 350 : 좌측절곡부
360 : 상면부 370 : 상측절곡부
380 : 하면부 390 : 하측절곡부
400 : 제1고정브래킷 410 : 제1장착부
420 : 제1결합부 421 : 제1돌출편
422 : 제1걸림돌기 430 : 제1고정부
431 : 제1후면지지부 432 : 제1측면지지부
433 : 제1전면지지부 500 : 제2고정브래킷
510 : 제2장착부 520 : 제2결합부
521 : 제2돌출편 522 : 제2걸림돌기
530 : 제2고정부 531 : 제2후면지지부
532 : 제2측면지지부 533 : 제2전면지지부
600 : 몰딩브래킷 610 : 대응결합부
611 : 대응돌출편 612 : 대응걸림돌기
620 : 안착홈 630 : 상부고정돌기
640 : 하부고정돌기 700 : 패킹
710 : 상부고정홈 720 : 하부고정홈
800 : 수평브래킷 810 : 후방플레이트
820 : 중앙플레이트 830 : 전방플레이트

Claims (7)

  1. 상호 격자형 구조를 이루며 배열된 수직프레임(100)과 수평프레임(200)에 외장패널(30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전면에 장착되고,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제1장착부(410), 상기 제1장착부(410)의 전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420), 그리고 상기 제1장착부(410)의 좌측에 형성되어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 중 좌측에 배치된 외장패널(300)의 우측 단부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430)를 갖는 제1고정브래킷(400);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전면에 장착되고,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상기 제1장착부(410)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제2장착부(510), 상기 제2장착부(510)의 전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520), 그리고 상기 제2장착부(510)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 중 우측에 배치된 외장패널(300)의 좌측 단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530)를 갖는 제2고정브래킷(500); 및
    상호 좌우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의 사이에 개재되고, 후면에 상기 제1결합부(420) 및 상기 제2결합부(520)와 결합하는 대응결합부(610)를 갖는 몰딩브래킷(6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420)는 상기 제1장착부(410)의 전면에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된 두 제1돌출편(421), 그리고 상기 두 제1돌출편(421)의 단부에 두 제1돌출편(421)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1걸림돌기(4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부(520)는 상기 제2장착부(510)의 전면에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된 두 제2돌출편(521), 그리고 상기 두 제2돌출편(521)의 단부에 두 제2돌출편(521)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2걸림돌기(5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대응결합부(610)는 상기 몰딩브래킷(600)의 후면에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두 제1돌출편(421)의 사이 및 상기 두 제2돌출편(521)의 사이로 진입하게 되는 두 대응돌출편(611), 그리고 상기 두 대응돌출편(611)의 단부에 두 대응돌출편(611)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422) 및 상기 제2걸림돌기(522)의 후면에 걸리어 고정되는 대응걸림돌기(6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에 있어서;
    상기 외장패널(300)은 사각 판 형상의 본체(310), 상기 본체(310)의 우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우측면부(320), 상기 우측면부(320)의 후단부에서 좌측으로 돌출 형성된 우측절곡부(330), 상기 본체(310)의 좌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좌측면부(340), 그리고 상기 좌측면부(340)의 후단부에서 우측으로 돌출 형성된 좌측절곡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부(430)는 상기 제1장착부(410)의 좌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장패널(300)의 우측절곡부(330) 후면을 지지하는 제1후면지지부(431), 상기 제1후면지지부(431)의 좌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우측절곡부(330)의 좌측면을 지지하는 제1측면지지부(432), 그리고 상기 제1측면지지부(432)의 전단부에서 우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우측절곡부(330)의 전면을 지지하는 제1전면지지부(4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고정부(530)는 상기 제2장착부(510)의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장패널(300)의 좌측절곡부(350) 후면을 지지하는 제2후면지지부(531), 상기 제2후면지지부(531)의 우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측절곡부(350)의 우측면을 지지하는 제2측면지지부(532), 그리고 상기 제2측면지지부(532)의 전단부에서 좌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측절곡부(350)의 전면을 지지하는 제2전면지지부(53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외장패널(300)의 우측절곡부(330)는 상기 두 제1돌출편(421) 중 좌측에 배치된 제1돌출편(421)과 상기 제1고정부(430) 사이의 공간에 진입하여 걸리게 되고,
    상기 외장패널(300)의 좌측절곡부(350)는 상기 두 제2돌출편(521) 중 우측에 배치된 제2돌출편(521)과 상기 제2고정부(530) 사이의 공간에 진입하여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브래킷(600)의 양측면에는 안착홈(620)이 각각 요입 형성되고,
    상기 각 안착홈(620)에는 인접한 외장패널(300)의 측면과 접하게 되는 패킹(700)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620)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상부고정돌기(630)와 하부고정돌기(64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패킹(700)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상부고정돌기(630)와 상기 하부고정돌기(640)가 각각 진입하여 걸리게 되는 상부고정홈(710)과 하부고정홈(720)이 각각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호 상하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전면에 장착된 수평브래킷(8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외장패널(300)은 상기 본체(310)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상면부(360), 상기 상면부(360)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측절곡부(370), 상기 본체(310)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면부(380), 그리고 상기 하면부(380)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측절곡부(3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브래킷(800)은 상호 상하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 중 상측에 배치된 외장패널(300)의 하측절곡부(390)와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200)에 결합되는 후방플레이트(810), 상기 후방플레이트(810)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상하로 배치된 두 외장패널(300) 중 상측에 배치된 외장패널(300)의 하면부(380)와 하측에 배치된 외장패널(300)의 상측절곡부(370) 사이에 개재되는 중앙플레이트(820), 그리고 상기 중앙플레이트(820)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측에 배치된 외장패널(300)의 상면부(360)와 접하게 되는 전방플레이트(8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7. 삭제
KR1020170046591A 2017-04-11 2017-04-11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KR101816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591A KR101816686B1 (ko) 2017-04-11 2017-04-11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591A KR101816686B1 (ko) 2017-04-11 2017-04-11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686B1 true KR101816686B1 (ko) 2018-01-11

Family

ID=6100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591A KR101816686B1 (ko) 2017-04-11 2017-04-11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686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465B1 (ko) * 2018-02-09 2018-07-06 김용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거푸집의 소음방지형 해체장치 및 해체방법
KR20200014389A (ko) 2020-01-09 2020-02-10 오경순 외장 판넬 고정용 트러스의 무용접 고정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20230113204A (ko) 2023-02-16 2023-07-28 김순범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브래킷용 지지고정부재
KR20230113202A (ko) 2023-02-14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12A (ko) 2023-03-07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06A (ko) 2023-03-07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16A (ko) 2023-04-06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05A (ko) 2023-03-07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17A (ko) 2023-04-06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01A (ko) 2023-02-14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10A (ko) 2023-03-07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이 각관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외장패널의 결합구조
KR20230113207A (ko) 2023-03-07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15A (ko) 2023-04-06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09A (ko) 2023-03-07 2023-07-28 김순범 건축물 벽체에서 간격이 조절되게 구비된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구조
KR20230113218A (ko) 2023-04-06 2023-07-28 김순범 건축물 벽체용 수평유지 벽체고정부재
KR20230113203A (ko) 2023-02-14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08A (ko) 2023-03-07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19A (ko) 2023-04-06 2023-07-28 김순범 건축물 벽체의 직각부에 설치되는 외장패널의 결합고정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183B1 (ko) * 2006-05-25 2007-02-22 신창윤 건축물의 패널 고정장치
KR200481336Y1 (ko) * 2015-02-16 2016-09-20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단열성 벽체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183B1 (ko) * 2006-05-25 2007-02-22 신창윤 건축물의 패널 고정장치
KR200481336Y1 (ko) * 2015-02-16 2016-09-20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단열성 벽체프레임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465B1 (ko) * 2018-02-09 2018-07-06 김용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거푸집의 소음방지형 해체장치 및 해체방법
KR20200014389A (ko) 2020-01-09 2020-02-10 오경순 외장 판넬 고정용 트러스의 무용접 고정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20230113201A (ko) 2023-02-14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02A (ko) 2023-02-14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03A (ko) 2023-02-14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04A (ko) 2023-02-16 2023-07-28 김순범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브래킷용 지지고정부재
KR20230113212A (ko) 2023-03-07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06A (ko) 2023-03-07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08A (ko) 2023-03-07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05A (ko) 2023-03-07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09A (ko) 2023-03-07 2023-07-28 김순범 건축물 벽체에서 간격이 조절되게 구비된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구조
KR20230113210A (ko) 2023-03-07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이 각관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외장패널의 결합구조
KR20230113207A (ko) 2023-03-07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17A (ko) 2023-04-06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18A (ko) 2023-04-06 2023-07-28 김순범 건축물 벽체용 수평유지 벽체고정부재
KR20230113215A (ko) 2023-04-06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16A (ko) 2023-04-06 2023-07-28 김순범 건축용 외장패널 결합고정구조
KR20230113219A (ko) 2023-04-06 2023-07-28 김순범 건축물 벽체의 직각부에 설치되는 외장패널의 결합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686B1 (ko)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US9506246B2 (en) Partition wall system including clamping of the panels
US20140305063A1 (en) Panel for Wall of a Set Building an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US9879420B2 (en) Partition wall system with clamping profile
KR101369468B1 (ko)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 트러스의 유니트브라켓과 코너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패널 시공방법
KR102054616B1 (ko) 복합단열패널 시공방법
KR101458198B1 (ko) 천정마감장치
KR200484378Y1 (ko) 패널의 설치와 분리가 쉬운 전시용 부스
KR20120048318A (ko) 천정재 설치구조
KR200451121Y1 (ko) 코킹 일체형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JP6425447B2 (ja) 建具用額縁、改装建具及び建具用額縁の施工方法
KR20190104916A (ko) 캐노피 결합구조
KR101833232B1 (ko) 단열성능을 확보한 노출 및 비노출 타입 자재 겸용 커튼월 어셈블리
KR20120020381A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1680111B1 (ko) 판 스크린 타입 루버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루버 연결 부재
JP5792547B2 (ja) 浴室ユニットの洗い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649071B2 (ja) 取付部材の取付構造
KR101976314B1 (ko) 캐노피 결합구조
JP5190643B2 (ja) ガラスパネルの取付け構造
KR101711556B1 (ko) 칸막이 판넬과 도어 설치용 고정 프레임
JP2007170177A (ja) 間仕切り用金具
JP6441766B2 (ja) 側枠の取付構造および側枠の施工方法
JPH0636108Y2 (ja) クリーンルーム用壁パネルの下部構造
KR102100755B1 (ko)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
JP5425819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を使用した建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