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336Y1 - 단열성 벽체프레임 - Google Patents

단열성 벽체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336Y1
KR200481336Y1 KR2020150001102U KR20150001102U KR200481336Y1 KR 200481336 Y1 KR200481336 Y1 KR 200481336Y1 KR 2020150001102 U KR2020150001102 U KR 2020150001102U KR 20150001102 U KR20150001102 U KR 20150001102U KR 200481336 Y1 KR200481336 Y1 KR 200481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frame
inner fram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950U (ko
Inventor
곽재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Priority to KR2020150001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3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9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9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885Curtain walls comprising a supporting structure for flush mounted glaz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열성 벽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내, 외측프레임 사이에 측벽과, 측벽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차단벽을 형성하고 있는 단열재를 구비하되, 이 단열재의 측벽 말단에 형성된 절곡부를 통해 체결부재를 관통시켜 내측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내, 외측프레임으로 전달된 열기 또는 냉기가 정해진 간격 이격 형성된 복수의 차단벽에 차단되어 실내의 열기 또는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거나 혹은 실외 열기 또는 냉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성 벽체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 외측프레임에 전달된 열기 또는 냉기가 단열재의 복수의 차단벽에 의해 실외 공간으로 방출되거나 혹은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실내 온도가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어 에너지 소비율이 저하되며, 이에 따라 실내 온도 유지비용이 절감되고,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단열성 벽체프레임{Insulation wall frame}
본 고안은 벽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 외측프레임 사이에 복수의 차단벽을 갖는 단열재를 구비하여, 실내의 열기 또는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거나 혹은 실외 열기 또는 냉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성 벽체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벽체, 예를 들면 커튼월과 같은 비내력벽에는 벽체 프레임이 구비되고, 이 벽체 프레임은 바(Bar)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벽체구조물(예컨대, 창호나 벽체의 외장 패널)을 지지한다.
여기서, 커튼월(Curtain Wall)이라 불리는 건물의 벽체에는 시야확보 및 태양광에 의한 실내 조명 기능을 하는 창호가 설치되고, 이 창호는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벽체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커튼월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건물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센터바와, 상기 내측센터바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건물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외측센터바 및 상기 내측센터바와 상기 외측센터바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열재는 상기 내, 외측센터 일 측면에서 연장형성된 연결파이프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단열재는 속이 채워진 바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파이프 양 측면에는 제1패킹재를 밀착결합되고, 상기 내, 외측센터바 사이를 통해 창호를 밀어넣음으로써, 창호가 상기 제1패킹재 사이에 끼워져 상기 내, 외측센터바 사이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해진 간격으로 일렬 배치된 센터프레임 사이로 창호를 밀어넣음으로써, 창호가 연속배치되어 건물 외벽을 이루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커튼월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외측센터바에 전달된 실외의 열기 또는 냉기가 단열재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어 동절기에 실내 공기를 차게하거나 혹은 하절기에 실내 공기를 덥게 하고, 내측센터바에 전달된 실내의 열기 또는 냉기가 단열재를 통해 실외 공간으로 방출되어 실내 온도 유지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 연결파이프 상에 단열재 결합시 단열재를 연결파이프 일단에서 장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단열재의 길이에 따라 연결파이프에 결합시 비교적 넓은장소에서 작업을 진행해야 하며, 내, 외측프레임의 연결파이프 미정렬시 단열재가 연결파이프에 슬라이딩 결합되지 않아 결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셋째로, 단열재가 체결부재(예컨대, 못 또는 나사등)에 의해 고정되지 않아 고정력이 견고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단열재가 내, 외측센터바 사이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다.
KR 10-2012-0052068 A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 외측프레임 사이에 측벽과, 측벽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차단벽을 형성하고 있는 단열재를 구비하되, 이 단열재의 측벽 말단에 형성된 절곡부를 통해 체결부재를 관통시켜 내측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내, 외측프레임으로 전달된 열기 또는 냉기가 정해진 간격 이격 형성된 복수의 차단벽에 차단되어 실내의 열기 또는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거나 혹은 실외 열기 또는 냉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성 벽체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단열성 벽체프레임은, 건물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내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건물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외측프레임;상기 내, 외측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 사이로 창호가 끼워지도록 상기 내, 외측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고, 상기 외측프레임에 전달되는 실외의 열기 혹은 냉기가 상기 내측프레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측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부재;로 구성되는 단열성 벽체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측벽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내측프레임을 통해 열기 또는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거나 또는 상기 외측프레임을 통해 열기 또는 냉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의 말단에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내측프레임에 밀착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단열재의 절곡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측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성 벽체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의 차단벽은, 중앙부가 나사 또는 볼트의 통과 방향을 따라 정해진 각도 굽어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성 벽체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은 일 측면에 상기 단열재의 측벽 사이에 억지로 끼워지는 끼움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열재의 측벽 말단에는 상기 내측프레임의 끼움걸림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성 벽체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은 일 측면에 상기 단열재의 측벽 사이로 억지로 끼워지는 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성 벽체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석면, 유리, 섬유, 코르크, 규조토 및 발포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성 벽체프레임은, 내, 외측프레임에 전달된 열기 또는 냉기가 단열재의 복수의 차단벽에 의해 실외 공간으로 방출되거나 혹은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실내 온도가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어 에너지 소비율이 저하되며, 이에 따라 실내 온도 유지비용이 절감되고,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성 벽체프레임은, 내, 외측프레임의 걸림돌부 및 끼움걸림부를 단열재의 측벽 사이에 억지로 끼워넣어 내, 외측프레임과 단열재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고, 절곡형성된 절곡부를 통해 체결부재의 말단을 내측프레임에 고정시켜 단열재가 내측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절곡형성된 차단벽 중앙부로 체결부재의 진입을 유도하여 체결부재를 단열재 중앙부로 손쉽게 관통시킬수 있고, 내, 외측프레임 사이에 내부단열재를 단순 결합하는 방식으로 현장 시공이 가능하고, 미숙련자도 내, 외측프레임 사이에 단열재를 손쉽게 끼워넣어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 프레임을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 프레임의 단열재가 실,내외 공기 순환을 차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 프레임에 창호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단열성 벽체프레임은 내측프레임(100), 외측프레임(200), 단열재(300) 및 체결부재(400)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프레임(100)은 건물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내측프레임(100)은 일 측면에 상기 단열재(300)의 측벽(310) 사이에 억지로 끼워지는 끼움걸림부(101)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걸림부(101)는 상기 측벽(310)사이에 억지로 끼움고정되고, 상기 걸림돌부(311)와 체결되어 상기 단열재(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끼움걸림부(101)는 상기 단열재(300)의 측벽(310)에 밀착되도록 서로 대향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끼움걸림부(101)는 "ㄱ"자 구조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프레임(200)은 상기 내측프레임(100)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건물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외측프레임(200)은 일 측면에 상기 단열재(300)의 측벽(310)에 억지로 끼워지는 결합돌부(20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부(201)는 상기 단열재(300)의 측벽(310)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단열재(300)를 고정한다.
상기 결합돌부(201)는 상기 단열재(300)의 측벽(310)에 밀착되도록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프레임(200)은 중앙부로 관통 체결한 체결부재(미부호)의 말단을 상기 단열재의 차단벽에 체결 고정하여 상기 단열재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단열재(300)는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200) 사이로 창호(W)가 끼워지도록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200)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고, 상기 외측프레임(200)에 전달되는 실외의 열기 혹은 냉기가 상기 내측프레임(10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단열재(3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측벽(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310)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측벽(310)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내측프레임(100)을 통해 열기 또는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거나 또는 상기 외측프레임(200)을 통해 열기 또는 냉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의 말단에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내측프레임에 밀착되는 절곡부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측벽 말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절곡형성된다.
상기 단열재(300)의 차단벽(320)은 중앙부가 체결부재(예컨대, 나사, 볼트 등)의 통과 방향을 따라 정해진 각도 굽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단열재(300)는 상기 측벽(310) 사이에 상기 차단벽(32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부(321)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321)는 상기 차단벽(3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항되게 열기 또는 냉기를 잔류시켜, 실내 열기 또는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거나 혹은 실외 열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단열재(300)의 측벽(310) 말단에는 상기 내측프레임(200)의 끼움걸림부(101)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부(31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부(311)는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끼움걸림부(101)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단열재(300)가 상기 내측프레임(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걸림돌부(311)는 말단이 상기 측벽(310)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단열재(300)는 석면, 유리, 섬유, 코르크, 규조토 및 발포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400)는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측프레임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체결부재(400)는 그 말단이 상기 내측프레임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측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체결부재(400)는 상기 단열재의 절곡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측프레임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체결부재(400)는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단열재를 상기 내측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성 벽체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건물 내부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내측프레임(100)을 설치하고, 이 내측프레임(100) 전방에 단열재(300)를 끼워 고정한다.
이때, 상기 단열재(300)의 측벽(310) 사이에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끼움걸림부(101)가 억지로 끼워지도록 상기 단열재(300)를 상기 내측프레임(100)으로 밀어넣게 된다.
그러면, 상기 단열재(300)의 걸림돌부(311)가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끼움걸림부(101)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단열재(300)가 상기 내측프레임(100) 전방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열재(300)의 절곡부는 상기 내측프레임의 전면에 밀착된다.
이후, 상기 단열재(300) 전방에 상기 외측프레임(200)이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외측프레임(200)을 상기 단열재(300)에 밀어넣게 된다.
이때,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결합돌부(201)가 상기 단열재(300)의 측벽(310) 사이로 억지로 끼워져 상기 외측프레임(200)이 상기 단열재(3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체결부재(미부호)를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내측에서 상기 단열재(300)의 차단벽(320)으로 관통 체결함으로써, 상기 단열재와 상기 외측프레임이 견고하게 연결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프레임 내측 중앙부로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사용자의 의도나 시공방법에 따라 상기 단열재의 차단벽에 체결되거나 혹은 상기 차단벽을 관통하여 그 말단이 상기 내측프레임에 체결 고정 될 수 있다.
이때, 중앙부가 내측프레임(100)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된 상기 차단벽(320)이 체결부재의 진입방향을 유도함으로써, 체결부재가 상기 차단벽(320)의 중앙부로 관통된다.
또한, 상기 단열재의 절곡부를 통해 체결부재(미부호)를 관통체결하되, 이 체결부재의 말단이 상기 내측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측프레임이 견고하게 연결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상기 외측프레임(200)은 상기 내측프레임(100)과 정해진 간격 이격된 상태로 건물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2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창호(W)를 밀어넣어 고정시킴으로써, 건물 외벽을 이루는 커튼월(Curtain Wall)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내측프레임(100)에 단열재(300)를 끼워 고정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300) 전방에 외측프레임(200)을 끼워넣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200) 사이로 창호(W)를 밀어넣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 순서는 작업자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형성된 커튼윌은 하절기의 경우, 상기 외측프레임(200)이 실외의 열기를 전달받게 되고, 이 열기는 상기 단열재(300)의 차단벽(320)을 두고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공간부(321)에 잔류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건물 내부에 설치된 상기 내측프레임(100)은 에어컨 등에 의해 냉각 상태를 유지하는 내부 공기에 의해 냉기를 전달받고, 이 냉기를 상기 단열재(300)의 차단벽(320)을 두고 안쪽에 위치된 상기 공간부(321)로 전달하여 상기 공간부(321)에 냉기가 잔류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단열재(300)의 차단벽(320)을 두고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공간부(321)에 열기가 잔류되고, 안쪽에 위치된 상기 공간부(321)에 냉기가 잔류됨으로써, 실외 열기가 상기 차단벽(320) 및 냉기에 차단되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실내 냉기가 상기 차단벽(320) 및 열기에 차단되어 건물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단열재(300)의 측벽(310) 외면에는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공간으로 진입되는 유리창(W)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스켓(34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스켓(340)은 상기 유리창(W)이 상기 단열재(300)에 정해진 거리 이상 근접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단열재(300)가 상기 유리창(W)에 의해 압박되어 손상되거나 혹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동절기의 경우에는,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실외의 냉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실내의 열기가 건물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단열재(300)의 측벽(310) 사이에 복수의 차단벽(320)을 구성하여 실내의 열기 또는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거나 혹은 실외 열기 또는 냉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는, 내, 외측프레임(100,200)에 전달된 열기 또는 냉기가 단열재(300)의 복수의 차단벽(320)에 의해 실외 공간으로 방출되거나 혹은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실내 온도가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어 에너지 소비율이 저하되며, 이에 따라 실내 온도 유지비용이 절감되고,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며, 내, 외측프레임의 걸림돌부 및 끼움걸림부를 단열재의 측벽 사이에 억지로 끼워넣어 내, 외측프레임과 단열재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고, 절곡형성된 절곡부를 통해 체결부재의 말단을 내측프레임에 고정시켜 단열재가 내측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절곡형성된 차단벽 중앙부로 체결부재의 진입을 유도하여 체결부재를 단열재 중앙부로 손쉽게 관통시킬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성 벽체프레임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내측프레임 101 : 끼움걸림부
200 : 외측프레임 201 : 결합돌부
300 : 단열재 310 : 측벽
311 : 걸림돌부 320 : 차단벽
321 : 공간부 330 : 절곡부
340 : 가스켓 400 : 체결부재
W : 창호

Claims (5)

  1. 건물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내측프레임(100)과;
    상기 내측프레임(100)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건물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외측프레임(200);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200) 사이로 창호(W)가 끼워지도록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200)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고, 상기 외측프레임(200)에 전달되는 실외의 열기 혹은 냉기가 상기 내측프레임(10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300); 및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측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부재(400);
    로 구성되는 단열성 벽체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100)은 일 측면에 상기 단열재(300)의 측벽(310) 사이에 억지로 끼워지는 끼움걸림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프레임(200)은 일 측면에 상기 단열재(300)의 측벽(310) 사이로 억지로 끼워지는 결합돌부(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열재(3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측벽(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310) 말단에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끼움걸림부(101)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부(3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310) 사이에 중앙부가 나사 또는 볼트의 통과 방향을 따라 정해진 각도 굽어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측벽(310)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내측프레임(100)을 통해 열기 또는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거나 또는 상기 외측프레임(200)을 통해 열기 또는 냉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3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의 말단에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내측프레임(100)에 밀착되는 절곡부(3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400)는 상기 단열재(300)의 절곡부(330)를 관통하여 상기 내측프레임(100)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벽체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300)는,
    석면, 유리, 섬유, 코르크, 규조토 및 발포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벽체프레임.
KR2020150001102U 2015-02-16 2015-02-16 단열성 벽체프레임 KR200481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102U KR200481336Y1 (ko) 2015-02-16 2015-02-16 단열성 벽체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102U KR200481336Y1 (ko) 2015-02-16 2015-02-16 단열성 벽체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950U KR20160002950U (ko) 2016-08-24
KR200481336Y1 true KR200481336Y1 (ko) 2016-09-20

Family

ID=56854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102U KR200481336Y1 (ko) 2015-02-16 2015-02-16 단열성 벽체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686B1 (ko) * 2017-04-11 2018-01-11 주식회사 알루스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KR101959224B1 (ko) * 2018-10-18 2019-03-18 박병수 건축물의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383B1 (ko) * 2020-05-13 2021-10-13 주식회사 두진테크 차양방충망 내재형 고효율 커튼 월
CN111851807B (zh) * 2020-06-23 2021-08-06 深圳市中装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幕墙组件连接构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147B1 (ko) 2013-05-28 2013-09-12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리브가스켓을 갖는 커튼월 어셈블리
KR200473101Y1 (ko) 2013-11-19 2014-06-11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단열성이 우수한 창호
KR101471578B1 (ko) 2014-02-04 2014-12-24 주식회사 인아웃텍 단열성 벽체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068A (ko) 2010-11-15 2012-05-23 주식회사 건미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내진구조 커튼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147B1 (ko) 2013-05-28 2013-09-12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리브가스켓을 갖는 커튼월 어셈블리
KR200473101Y1 (ko) 2013-11-19 2014-06-11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단열성이 우수한 창호
KR101471578B1 (ko) 2014-02-04 2014-12-24 주식회사 인아웃텍 단열성 벽체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686B1 (ko) * 2017-04-11 2018-01-11 주식회사 알루스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KR101959224B1 (ko) * 2018-10-18 2019-03-18 박병수 건축물의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950U (ko)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578B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200481336Y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1596271B1 (ko) 단열성이 보강된 커튼월
KR101432668B1 (ko)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506016B1 (ko) 단열성이 개선된 창호용 프레임
KR10167285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KR101657237B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1569647B1 (ko) 창호 프레임용 단열부재
KR101291800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372874B1 (ko) 창호용 단열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7911B1 (ko) 스테인리스 단열 도어프레임
KR101471912B1 (ko) 단열 창호프레임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20170141433A (ko) 탈부착이 용이한 단열커튼월
KR20150004058U (ko) 단열 창호프레임
KR200479852Y1 (ko) 단열 벽체프레임
KR20160040851A (ko) 단열 벽체프레임
KR10227330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커튼월의 단열 구조
KR20160002972U (ko)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658623B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1790729B1 (ko) 자동문용 단열프레임
KR101400963B1 (ko) 창호용 3중 단열 프레임
KR101598521B1 (ko) 커튼월
KR20160021647A (ko)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549043B1 (ko) 복합 창호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