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851A - 단열 벽체프레임 - Google Patents

단열 벽체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851A
KR20160040851A KR1020140134280A KR20140134280A KR20160040851A KR 20160040851 A KR20160040851 A KR 20160040851A KR 1020140134280 A KR1020140134280 A KR 1020140134280A KR 20140134280 A KR20140134280 A KR 20140134280A KR 20160040851 A KR20160040851 A KR 20160040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sulating material
inner frame
heat insula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재문
Original Assignee
곽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재문 filed Critical 곽재문
Priority to KR1020140134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0851A/ko
Publication of KR20160040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창호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내측프레임에 커버단열재를 씌우되, 이 커버단열재를 연결프레임으로 감싸 양 끝단의 걸림돌부로 커버단열재를 눌러 걸림홈에 걸리도록 하고,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 사이에 내부단열재를 구비하며, 외측프레임을 관통하는 체결부재 말단이 연결프레임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내측프레임과 내부단열재가 내측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된 연결프레임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실, 내외의 열기 및 냉기가 실외로 방출되거나 혹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프레임의 걸림돌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내측프레임의 삽입홈 전체길이에 대응되게 걸림되어 연결프레임의 고정력이 견고하고, 연결프레임의 걸림돌부를 내측프레임의 삽입홈에 걸어 연결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단순 시공으로 작업의 용이성과 동시에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내측프레임에 연결프레임 고정시 체결부재 미 사용으로 시공 비용이 절약되고, 연결프레임에 체결된 체결부재 말단이 커버단열재에 차단되어 내측프레임에 열기 또는 냉기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 효율이 상승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단열 벽체프레임{Insulation windows frame}
본 발명은 벽체프레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프레임 전면 및 측면을 커버단열재로 커버하고, 연결프레임으로 커버단열재를 감싸되, 연결프레임 양 끝단의 걸림돌부로 커버단열재를 눌러 걸림돌부가 삽입홈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내측프레임 전면에 연결프레임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단열 벽체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벽체, 예를 들면 커튼월과 같은 비내력벽에는 벽체 프레임이 구비되고, 이 벽체 프레임은 바(Bar)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벽체구조물(예컨대, 창호나 벽체의 외장 패널)을 지지한다.
여기서, 커튼월(Curtain Wall)이라 불리는 건물의 벽체에는 시야확보 및 태양광에 의한 실내 조명 기능을 하는 창호가 설치되고, 이 창호는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벽체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실내측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이 수직프레임에서 정해진 간격 이겨되어 실외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프레셔 플레이트와, 수직프레임과 프레셔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어댑터와, 프레셔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연결어댑터에 체결되는 고정볼트 및 일단이 연결어댑터에 걸림 고정되되, 타단이 수직프레임에 체결되어 연결어댑터를 수직프레임에 밀착 고정하는 연결볼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셔 플레이트에는 빗물 또는 이물질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커버가 설치된다.
즉, 상기 연결어댑터의 일단은 상기 프레셔플레이트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프레임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셔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수직프레임에 체결되는 연결볼트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이 연결어댑터에 의해 정해진 간격 이격된 수직프레임과 프레셔플레이트 사이의 측방 공간을 통해 복층유리가 끼워져 커튼월이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의 특허문헌 1은 수직프레임의 정해진 위치에 체결된 소량의 연결볼트가 연결어댑터와 수직프레임 사이를 연결하여 연결어댑터의 고정력이 견고하지 못하고, 연결볼트 체결시 수직프레임에 체결되는 깊이를 서로 동일하게 유지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복수의 연결볼트 체결깊이 차이 발생시 연결어댑터 체결이 불가능하고, 또한, 연결어댑터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곧게 체결되지 못하며, 프레셔플레이트와 수직프레임 사이에 연결어댑터를 서로 다른 고정볼트 및 연결볼트로 고정하여 시공비 상승과 동시에 시공시간이 오래걸려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022501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프레임에 커버단열재를 씌우되, 이 커버단열재를 연결프레임으로 감싸 양 끝단의 걸림돌부로 커버단열재를 눌러 걸림홈에 걸리도록 하고,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 사이에 내부단열재를 구비하며, 외측프레임을 관통하는 체결부재 말단이 연결프레임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내측프레임과 내부단열재가 내측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된 연결프레임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실, 내외의 열기 및 냉기가 실외로 방출되거나 혹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 벽체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프레임은, 중공형 관체형상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고, 양 측면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걸림홈이 형성된 내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전면 및 양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측프레임을 커버하는 커버단열재; 상기 커버단열재를 감싸되, 양 끝단에 상기 커버단열재를 눌러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돌부를 형성하고 있는 연결프레임; 상기 내측프레임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건물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외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열기 및 냉기가 실, 내외로 유입되거나 혹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단열재; 및 상기 외측프레임 및 내부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은 중앙부에 함몰형성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내측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삽입홈에 끼움되는 삽입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부와 서로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내부단열재 일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의 삽입홈은 상협하광 구조로 함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삽입돌부는 상기 삽입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홈과 동일한 상협하광 구조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결합돌부 내부에 상기 체결부재가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진입홈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진입홈 내주면에 상기 체결부재의 외주면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프레임은, 연결프레임의 걸림돌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내측프레임의 삽입홈 전체길이에 대응되게 걸림되어 연결프레임의 고정력이 견고하고, 연결프레임의 걸림돌부를 내측프레임의 삽입홈에 걸어 연결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단순 시공으로 작업의 용이성과 동시에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내측프레임에 연결프레임 고정시 체결부재 미 사용으로 시공 비용이 절약되고, 연결프레임에 체결된 체결부재 말단이 커버단열재에 차단되어 내측프레임에 열기 또는 냉기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 효율이 상승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벽체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벽체프레임을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벽체프레임을 통해 실, 내외의 열기 또는 냉기가 유동되는 흐름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내측프레임(100)은 중공형 관체형상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고, 양 측면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걸림홈(101)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프레임(100)은 건물 내부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내측프레임(100)은 중앙부에 함몰형성된 삽입홈(102)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삽입홈(102)은 상협하광 구조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내측프레임(100)은 스틸, 목재 또는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커버단열재(200)는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전면 및 양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측프레임(100)을 커버한다.
상기 커버단열재(200)는 폴리아미드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단열재(200)는 상기 내측프레임(100)을 감싸도록 그 양단부가 절곡되고, 절곡된 그 끝단부가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걸림돌부(301)에 눌려 상기 걸림홈(101)에 밀착된다.
상기 커버단열재(200)는 중앙부가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삽입돌부(302)에 눌려 절곡된 상태로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삽입홈(102) 내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커버단열재(200)의 절곡된 중앙부는 상협하광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단열재(200)는 상기 내측프레임(100)과 연결프레임(300) 간에 열기 또는 냉기가 서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연결프레임(300)은 상기 커버단열재(200)를 감싸되, 양 끝단에 상기 커버단열재(200)를 눌러 상기 걸림홈(101)에 걸림되는 걸림돌부(301)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전면 및 양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커버단열재(200)를 누르도록 그 양단이 절곡형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상기 내측프레임(100)과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삽입홈(102)에 끼움되는 삽입돌부(30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부(302)와 서로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내부단열재(500) 일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부(303)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부(302)는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삽입홈(102)에 끼워진 상태로 걸림 고정되어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중앙부가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중앙부에서 들뜨거나 혹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삽입돌부(302)는 상기 삽입홈(102)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홈(102)과 동일한 상협하광 구조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상기 결합돌부(303) 내부에 상기 체결부재(600)가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진입홈(303a)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진입홈(303a) 내주면에 상기 체결부재(600)의 외주면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부(303b)를 형성한다.
외측프레임(400)은 상기 내측프레임(100)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건물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외측프레임(400)은 상기 내측프레임(100)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된다.
내부단열재(500)는 상기 외측프레임(400)과 상기 연결프레임(30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400)으로 전달되는 열기 및 냉기가 실, 내외로 유입되거나 혹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내부단열재(500)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단열재(500)의 길이는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20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되는 유리창(W) 두께와 동일하다.
상기 내부단열재(500)는 일단이 상기 체결부재(600)에 의해 외측프레임에 고정되되, 타단이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결합돌부(303)에 끼워져 고정된다.
체결부재(600)은 상기 외측프레임(400) 및 내부단열재(500)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프레임(300)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재(6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못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600)는 상기 외측프레임(400) 및 내부단열재(500)를 관통하되, 그 말단이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진입홈(303a)으로 진입되어 상기 진입홈(303a) 내의 걸림홈부(303b)에 걸림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벽체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건물 내부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내측프레임(100)을 설치하고, 이 내측프레임(100) 전방을 커버단열재(200)로 커버한다.
이때, 상기 커버단열재(200)는 상기 내측프레임(100) 전면에 밀착되되, 절곡된 그 양단이 상기 내측프레임(100)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측프레임(100)을 커버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단열재(200) 전면으로 상기 연결프레임(300)을 밀착시키고, 이 연결프레임(300)의 걸림돌부(301)를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걸림홈(101)에 걸리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연결프레임(300)에 의해 상기 연결프레임(300)과 상기 내측프레임(100) 사이에 커버단열재(200)가 밀착되고, 이 커버단열재(200)의 양단이 상기 걸림홈(101)에 걸림되는 상기 걸림돌부(301)에 눌림되어 상기 걸림홈(101)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삽입돌부(302)는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삽입홈(102)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중앙부 및 양 측면이 상기 내측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삽입돌부(302)와 상기 삽입홈(102)은 상협하광 구조의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돌부(302)가 상기 삽입홈(10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상기 내부단열재(500)의 일단이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결합돌부(303) 외면을 감싸도록 연결프레임(300)에 억지로 끼워 고정하고, 타단에 외측프레임(400)을 밀착시켜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400)을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배치한다.
그 다음, 상기 외측프레임(400) 및 내부단열재(500)를 통해 체결부재(600)를 관통시키되, 이 체결부재(600)의 말단을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진입홈(303a)으로 진입시켜 상기 연결프레임(300) 내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진입홈(303a) 내로 진입된 상기 체결부재(600)의 나사산이 상기 진입홈(303a) 내의 걸림홈부(303b)에 걸림으로써, 상기 체결부재(600)가 상기 진입홈(303a) 내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에서는 내측프레임(100)에 커버단열재(200), 연결프레임(300) 및 내부단열재(500)를 순차적으로 고정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내부 단열재(500) 전방에 외측프레임(400)을 구비하여 체결부재(600)로 내, 외측프레임(100,400)을 연결한 후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400) 사이로 유리창(W)을 밀어넣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 순서는 작업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단열 창호프레임은 하절기의 경우, 상기 외측프레임(400)의 실외를 열기를 전달받게 되고, 이 열기는 상기 내부단열재(500)에 차단되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내부단열재(500)에서 차단된 열기 중 일부 열기는 상기 내부단열재(500)를 통해 실내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실내측 방향으로 이동된 열기는 상기 내측프레임(100)과 상기 연결프레임(300) 사이에 구비된 커버단열재(200)에 차단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한편, 건물 내부에 설치된 상기 내측프레임(100)은 에어컨 등에 의해 냉각 상태를 유지하는 실내의 냉기를 전달받고, 이 냉기의 흐름이 상기 내측프레임(100)과 상기 연결프레임(300) 사이에 구비된 커버단열재(200)에 차단되어 실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에따라, 상기 외측프레임(400)을 통해 전달되는 실외의 열기는 상기 내부단열재(500) 및 커버단열재(200)에 차단되어 실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고, 상기 내측프레임(100)을 통해 전달되는 실내의 냉기는 상기 커버단열재(200)에 차단되어 실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실내의 냉방 효율이 상승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내부단열재(500)의 측면에는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400) 사이 공간으로 진입되는 유리창(W)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스켓(501)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스켓(501)은 상기 유리창(W)이 상기 내부단열재(500)에 정해진 거리 이상 근접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내부단열재(500)가 상기 유리창(W)에 의해 압박되어 손상되거나 혹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동절기의 경우에는,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실외의 냉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실내의 열기가 건물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내측프레임(100)과 외측프레임(400) 사이에 커버단열재(200) 및 내부단열재(500)를 구비하되, 이 커버단열재(200) 및 내부단열재(500)를 내측프레임(100)에 고정된 연결프레임(300)으로 연결 고정시켜 실, 내외의 열기 및 냉기가 유입되거나 혹은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는, 연결프레임(300)의 걸림돌부(30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내측프레임(100)의 삽입홈(102) 전체길이에 대응되게 걸림되어 연결프레임(300)의 고정력이 견고하고, 연결프레임(300)의 걸림돌부(301)를 내측프레임(100)의 삽입홈(102)에 걸어 연결프레임(300)을 고정시키는 단순 시공으로 작업의 용이성과 동시에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내측프레임(100)에 연결프레임(300) 고정시 체결부재 미 사용으로 시공 비용이 절약되고, 연결프레임(300)에 체결된 체결부재(600) 말단이 커버단열재(200)에 차단되어 내측프레임(100)에 열기 또는 냉기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벽체프레임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내측프레임 101 : 걸림홈
102 : 삽입홈 200 : 커버단열재
300 : 연결프레임 301 : 걸림돌부
302 : 삽입돌부 303 : 결합돌부
303a : 진입홈 303b : 걸림돌부
400 : 외측프레임 500 : 내부단열재
501 : 가스켓 600 : 체결부재
W : 창호

Claims (4)

  1. 중공형 관체형상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고, 양 측면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걸림홈(101)이 형성된 내측프레임(100)과;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전면 및 양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측프레임(100)을 커버하는 커버단열재(200);
    상기 커버단열재(200)를 감싸되, 양 끝단에 상기 커버단열재(200)를 눌러 상기 걸림홈(101)에 걸림되는 걸림돌부(301)를 형성하고 있는 연결프레임(300);
    상기 내측프레임(100)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건물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외측프레임(400);
    상기 외측프레임(400)과 상기 연결프레임(30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400)으로 전달되는 열기 및 냉기가 실, 내외로 유입되거나 혹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단열재(500); 및
    상기 외측프레임(400) 및 내부단열재(500)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프레임(30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6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벽체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100)은 중앙부에 함몰형성된 삽입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상기 내측프레임(100)과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삽입홈(102)에 끼움되는 삽입돌부(30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부(302)와 서로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내부단열재(500) 일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부(30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벽체프레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삽입홈(102)은 상협하광 구조로 함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삽입돌부(302)는 상기 삽입홈(102)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홈(102)과 동일한 상협하광 구조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벽체프레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상기 결합돌부(303) 내부에 상기 체결부재(600)가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진입홈(303a)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진입홈(303a) 내주면에 상기 체결부재(600)의 외주면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부(303b)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벽체프레임.
KR1020140134280A 2014-10-06 2014-10-06 단열 벽체프레임 KR20160040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280A KR20160040851A (ko) 2014-10-06 2014-10-06 단열 벽체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280A KR20160040851A (ko) 2014-10-06 2014-10-06 단열 벽체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851A true KR20160040851A (ko) 2016-04-15

Family

ID=5580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280A KR20160040851A (ko) 2014-10-06 2014-10-06 단열 벽체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08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881B1 (ko) * 2018-11-02 2019-04-08 주식회사 동양씨엔앰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103109B1 (ko) * 2019-08-26 2020-04-21 허정범 체결이 용이한 커튼 월 단열 마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커튼 월
CN111395619A (zh) * 2020-04-24 2020-07-10 广东非丰公共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防火幕墙
KR20210145337A (ko) * 2020-05-25 2021-12-02 (유) 한빛글로벌 단열성 및 기밀성이 개선되고 결로 현상이 방지되는 창호 프레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881B1 (ko) * 2018-11-02 2019-04-08 주식회사 동양씨엔앰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103109B1 (ko) * 2019-08-26 2020-04-21 허정범 체결이 용이한 커튼 월 단열 마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커튼 월
CN111395619A (zh) * 2020-04-24 2020-07-10 广东非丰公共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防火幕墙
KR20210145337A (ko) * 2020-05-25 2021-12-02 (유) 한빛글로벌 단열성 및 기밀성이 개선되고 결로 현상이 방지되는 창호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578B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20160040851A (ko) 단열 벽체프레임
KR101108921B1 (ko) 열차단재를 이용한 차열 및 단열 커튼월 구조체
KR101432668B1 (ko)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200479852Y1 (ko) 단열 벽체프레임
KR101471912B1 (ko) 단열 창호프레임
KR200481336Y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1657237B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200483809Y1 (ko) 단열 창호 프레임
KR20160002973U (ko) 단열 창호 프레임
KR200473063Y1 (ko) 창호용 세로 단열프레임
KR200481335Y1 (ko) 단열 벽체프레임
KR101752252B1 (ko) 단열 창호프레임
KR200482596Y1 (ko) 단열 창호프레임
KR101419659B1 (ko) 단열고정창호
KR200486437Y1 (ko) 복합창호
KR101790729B1 (ko) 자동문용 단열프레임
KR101658623B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1707069B1 (ko) 단열 창호프레임
KR101549043B1 (ko) 복합 창호 프레임
JP2010150874A (ja) 建具
KR101400963B1 (ko) 창호용 3중 단열 프레임
KR20160021647A (ko)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598521B1 (ko) 커튼월
KR20150139404A (ko) 스테인레스 문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