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내부인 슬래브는 전기배선이나 배관 및 덕트(이하, "시설재"라 칭함) 등이 설치되어지며 이러한 시설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감패널인 천정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천정재는 통상 행거볼트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과 행거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설치하는 방법이 있으며, 행거볼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슬래브에 상단이 매립되거나 결합되어지도록 설치된 행거볼트의 하단에 행거에 의하여 캐링찬넬 이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캐링찬넬의 하부에 M바를 결합킨 후 그 하부에 다시 천정재가 나사로 고정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천정재의 시공은 용이하나 시공후 부분적으로 노출된 나사가 부식되는 과정에서 녹물이 외부로 흘러 얼룩이 발생됨에 따라 미감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천정 내부에 설치된 파이프나 전선 등을 점검 및 수리하기 위한 별도의 점검구가 설치되어짐으로써, 전체적으로 천정재가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점검구를 설치하기 위한 점검구를 준비하고 이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천정재를 절단하고 이를 다시 결합시키는 등의 공정이 더 소요됨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행거볼트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700)의 하부에 수평이 되도록 클립바(500)를 설치하고, 상기 클립바(500)의 하부에 각각 별도의 결합돌기(610)(610')가 양측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천정재(600)를 맞대어 상기 크립바(500)에 삽입시킴으로써, 천정재(600)가 설치되어진다.
이러한 크립바(500)는 수평부재(510)의 하단 양측에 경사부재(520)(520')가 마주보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경사부재(520)(520')의 하단에 수납부재(530)(53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수납부재(530)(530')하단에 수평가이드부재(540)(5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재(530)(530') 사이로 맞대어진 결합돌기(610)(610')가 탄성 가압되어지도록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천정재(600)의 수직연장편으로 인한 부피과다로 포장비 및 운송비가 많이 소요도어지고, 천정재(600)의 길이가 짧음에 따라 한줄에 여러개의 천정재(6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러장이 맞대어지도록 설치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천정재 사이의 틈새로 인하여 방음성 및 단열성이 낮아지며 결로현상으로 인하여 물방울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천정재 고정구는 크립수평바(100)의 하부에 천정재(200)가 결합구(300)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크립수평바(100)는 소정 두께를 갖는 강판을 프레싱 절곡하여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상측으로 위치되어지는 패널(110)의 양측에 각각 걸림턱(120)(120')이 형성되어지도록 접혀지고, 상기 접혀진 걸림턱(120)(120')의 내측부에 하부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경사편(130)(130')이 절곡되게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경사편(130)(130')의 하단에는 만곡형태로 볼록하게 확장된 형태를 갖는 즉, 반원형 또는 타원형태를 갖는 가압편(140)(140')이 대칭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가압편(140)(140') 하부에는
형태를 갖는 삽입가이드편(150)(150')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가이드편(150)(150')은 절곡된 모서리 부분이 만곡되어지거나 챔퍼링되어지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결합구(300)의 후크헤드(310) 상부에 형성된 맞대기편(350)이 용이하게 안내되어지면서 삽입될 수 있고, 각각의 삽입가이드편(150)(150')의 사이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정 간격은 결합구(300)의 연장편(320)의 두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구(300)는 천정재(200)를 수평크립바(100)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결합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반원형 또는 타원형을 갖는 후크헤드(31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편(320)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연장편(320)의 하부에 삽입편(330)이 일체로 형성된 단위결합부(340)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단위결합부(340)와 다른 단위결합부(340')가 서로 맞대어져 상기 후크헤드(310)는 가압편(140)(140') 사이에 삽입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삽입편(330)은 천정재(200)에 형성된 결합홈(210)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210)에 끼워지는 삽입편(330)은 억지끼워맞춤형태로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결합부(340)를 구성하는 후크헤드(310)의 상부에는 상측을 향하여 소정길이로 인출된 맞대기편(350)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벌어진 상태로 있는 삽입가이드편(150)(150')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되어짐과 동시에 만곡편(140)(140')의 가압력에 의하여 밀착되는 과정에서 측방향으로 틀어지거나 반원형태의 후크헤드(310)(3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위결합부(340)(340')를 구성하는 각각의 연장편(320) 하단에 형성된 삽입편(330)은 수직높이의 길이가 천정재(200)에 형성된 결합홈(210)의 수직 높이와 두께와 같거나 조금 적어지도록 형성하고, 그 내부에 탄성변형 공간부(331)가 일체로 형성 되어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하고, 소재의 소요량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천정재 고정구를 이용하여 천정재가 시공되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벽체(400)의 전면이 벽마감재(410)로 시공된 상부로 위치한 슬래브의 하부에 크립수평바(100)가 평행이 되도록 설치한다.
다음, 천정재(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홈(210)에 결합구(300)를 구성하는 단위결합부(340)의 삽입편(330)이 끼워지도록 한 후 다른 천정재(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른 결합홈(210)에 다른 단위결합부(340')의 삽입편(330)이 끼워지도록 한다.
다음, 단위결합구(340)와 다른 단위결합구(340')를 맞대기한 상태에서 결합구(300)의 상측으로 위치된 맞대기편(350)이 크립수평바(10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가이드편(150)(150') 사이로 위치되도록 한 후 천정재(200)를 누름과 동시에 삽입가이드편(150)(150')이 양측으로 확장되어지면서 삽입이 시작되어지고, 연장편(320)에 연결되어지도록 형성된 후크헤드(310)가 만곡편(140)(140') 사이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짐과 동시에 경사편(130)(130')의 탄성력에 의하여 내측방향 즉, 후크헤드(310)의 중심을 향하여 일정한 가압력 내지는 조임력이 작용함에 따라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을 통해 모든 천정재(200)가 크립수평바(100)의 하부에 설치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천정재(200)의 시공이 마무리된다.
이 과정에서 천정재(200)의 결합은 먼저, 벽체(400)의 전면으로 시공된 각각 의 벽마감재(410)에 천정재(200)의 일측에 끼워진 몰딩(M)이 맞닿도록 결합시키고, 결합된 타측에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천정재(200)가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천정재 고정구에 의하여 모든 천정재(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전기배선이나 배관 및 덕트 등을 점검 및 교환할 경우, 작업자는 천정재(200)가 결합된 부분을 하부로 잡아 당김과 동시에 후크헤드(310)의 외면이 만곡편(140)(140') 및 삽입가이드편(150)(150')를 확장시키면서 하부로 이동하여 결합구(300)가 분리되어짐으로써 천정재(200)를 분리시켜 점검 및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이후 이를 분리시킬 때와 역과정을 통해 분리되었던 천정재(200)를 다시 결합시키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단위결합부(340)의 후크헤드(310)를 속이 비어 있는 형태를 갖도록 하고, 삽입편(330)의 내부가 완전이 비어 있는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헤드(310)의 내부에 소정 공간부(360)가 별도로 제공되어지도록 하고, 삽입편(330)의 내부는 다수개의 별도 공간부(331')가 제공되어지도록 하여 단위결합부(340)(340')의 강도를 높여 뒤틀리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후크헤드(310)가 변형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후크헤드(310)와 삽입편(330)을 연결하는 연장편(320)의 내부에 동일한 공간부가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정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재 고정구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3은 도2의 A부 확대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재 고정구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재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재 고정구를 분리 도시한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천정재 고정구를 분리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크립수평바 110:패널
120,120':걸림턱 130,130':경사편
140,140':가압편 150,150':삽입가이드편
200:천정재 300:결합구
310:후크헤드 320:연장편
330:삽입편 340,340':단위결합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