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140U -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140U
KR20110001140U KR2020090009798U KR20090009798U KR20110001140U KR 20110001140 U KR20110001140 U KR 20110001140U KR 2020090009798 U KR2020090009798 U KR 2020090009798U KR 20090009798 U KR20090009798 U KR 20090009798U KR 20110001140 U KR20110001140 U KR 201100011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astener
clamp
pin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섭
전상윤
Original Assignee
(주)블루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폼 filed Critical (주)블루폼
Priority to KR2020090009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140U/ko
Publication of KR20110001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1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2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는, 상하 방향으로 제1 핀홀이 관통 형성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1 연장부와, 제1 연장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제1 시스템 판넬의 프로파일부에 형성된 클램프 삽입홈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체결구; 삽입부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수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제2 핀홀이 관통 형성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2 연장부와, 제2 연장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제1 시스템 판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시스템 판넬의 프로파일부에 형성된 클램프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체결구; 및 제1 핀홀 및 제2 핀홀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제1 체결구 및 제2 체결구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좁힘으로써 제1 시스템 판넬 및 제2 시스템 판넬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거푸집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반복사용시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클램프, 시스템 판넬, 결합핀, 체결구

Description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Clamp for connecting pannels}
본 고안은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거푸집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반복사용시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기타의 고층건물을 건축할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제작된 다수의 판넬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게 된다. 즉 다수의 판넬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이러한 상태 하에서 판넬들을 대향하도록 직립시켜 조성되는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됨에 따라 건축물을 이루는 벽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거푸집은 크게 갱폼과 유로폼으로 분류되는데, 여기서 갱폼은 철판으로 제작한 모든 폼을 말하며, 유로폼은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면은 합판으로 구성하고 합판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프로파일과, 멍에·장선재는 금속으로 구성하여 무게를 가볍게 한 거푸집을 말한다.
유로폼은 가로 600 mm, 세로 1200 mm로 규격화되어 마련되며,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여 최근 널리 이용 중에 있는 거푸집이다. 하지 만 유로폼은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되어 생산되므로, 규격화된 유로폼의 크기에 맞지 않는 특정한 크기의 건축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시 요구되는 크기에 부합하도록 합판을 제작하고, 합판이 안착되는 프로파일부를 금속으로 마련하며, 프로파일부의 내측에 멍에재·장선재를 일체로 결합한 시스템 거푸집이 개발된 바 있다.
유로폼 또는 시스템 거푸집을 사용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미리 정해진 설계 도면대로 유로폼 또는 시스템 거푸집을 배치하고 이들 상호 간을 웨지핀 또는 클램프 등을 통해 체결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즉, 유로폼과 유로폼을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유로폼에 선 가공되어 있는 웨지핀용 홀을 따라 웨지핀을 삽입하고 다른 하나의 웨지핀으로 이를 고정시켜 유로폼 상호 간을 결합하게 되며, 유로폼과 시스템 거푸집을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클램프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를 유로폼의 웨지핀용 홀에 삽입하고 타측에 형성된 절곡부를 시스템 거푸집의 프로파일에 삽입하여 유로폼과 시스템 거푸집 상호 간을 결합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웨지핀 또는 클램프는 시스템 거푸집과 이에 인접 배치되는 다른 시스템 거푸집 상호 간을 결합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추고 있지 못하므로, 유로폼이 아닌 시스템 거푸집만을 사용하여 시공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에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클램프는 유로폼과 이에 인접 배치되는 시스템 거푸집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결합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반복 사용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거푸집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반복사용시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거푸집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반복사용시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제1 핀홀이 관통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제1 시스템 판넬의 프로파일부에 형성된 클램프 삽입홈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체결구;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수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제2 핀홀이 관통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제1 시스템 판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시스템 판넬의 프로파일부에 형성된 클램프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체결구; 및 상기 제1 핀홀 및 상기 제2 핀홀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체결구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좁힘으로써 상기 제1 시스템 판넬 및 상기 제2 시스템 판넬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삽입부와 동일 평면상에 마련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 양단부 표면으로부터 각각 함몰 형성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핀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양측면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테이퍼 핀일 수 있다.
상기 결합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체결구의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삽입가이드의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핀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2 핀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가이드는, 상기 결합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서 상기 결합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가이드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은, 상기 삽입가이드의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핀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2 핀홀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 는 한 쌍의 가이드홀일 수 있다.
상기 제1 핀홀은, 상기 삽입가이드를 포함하는 상기 결합핀의 전체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구는, 상기 제1 핀홀이 형성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 표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는, 상기 결합핀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스프릿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제1 핀홀이 관통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유로폼의 웨지핀용 홀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제1 체결구;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수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제2 핀홀이 관통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시스템 판넬의 프로파일부에 형성된 클램프 삽입홈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체결구; 및 상기 제1 핀홀 및 상기 제2 핀홀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체결구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좁힘으로써 상기 유로폼 및 상기 시스템 판넬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삽입부와 동일 평면상에 마련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 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 양단부 표면으로부터 각각 함몰 형성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양측면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테이퍼 핀이며, 상기 제2 체결구의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삽입가이드의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핀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2 핀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 시스템 판넬의 프로파일부에 결합되는 제1 체결구와, 제1 시스템 판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시스템 판넬의 프로파일부에 결합되는 제2 체결구와, 제1 체결구 및 제2 체결구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좁히도록 마련되는 결합핀에 의하여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시스템 판넬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반복사용시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유로폼의 웨지핀용 홀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제1 체결구와, 유로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시스템 판넬의 프로파일부에 결합되는 제2 체결구와, 제1 체결구 및 제2 체결구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좁히도록 마련되는 결합핀에 의하여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로폼 및 시스템 판넬을 간편하게 결합 할 수 있으며 반복사용시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시스템 판넬은, 유로폼이 사용되기 어려운 크기를 갖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시, 요구되는 목적에 부합하도록 제작되고 합판과 멍에재·장선재가 일체로 결합된 거푸집을 의미하며 이하에서 동일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제1 체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좌측에서 바라본 도 1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제2 체결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우측에서 바라본 도 1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제2 체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시스템 판넬을 결합하도록 사용된 도 1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는 제1 시스템 판넬(N1)의 프로파일부(P1)에 결합되는 제1 체결구(110)와, 제1 시스템 판넬(N1)에 인접 배치되는 제2 시스템 판넬(N2)의 프로파일부(P2)에 결합되는 제2 체결구(120)와, 제1 체결구(110) 및 제2 체결구(120)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좁힘으로써 제1 시스템 판넬(N1) 및 제2 시스템 판넬(N2)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핀(130)을 포함한다.
제1 체결구(110)는 제1 시스템 판넬(N1)의 프로파일부(P1)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제1 핀홀(111a)이 관통 형성되는 삽입부(111)와, 삽입부(1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1 연장부(112)와, 제1 연장부(112)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제1 시스템 판넬(N1)의 프로파일부(P1)에 형성된 클램프 삽입홈(I1)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113)를 포함한다.
삽입부(111)는 후술하는 제2 체결구(120)의 수용부(121) 내에 삽입되어 제2 체결구(12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구성으로, 그 상하 방향을 따라서는 제1 핀홀(111a)이 관통 형성된다.
제1 핀홀(111a)은 결합핀(13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삽입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부(111) 중앙영역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가이드(131)를 포함하는 결합핀(130)의 전체 두께(W3)에 대응되는 폭(W1)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1 핀홀(111a)의 전체 길이(L1)는 후술하는 제2 핀홀(121a)의 전체 길이(L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마련되지만, 제1 핀홀(111a)의 폭(W1)은 제2 핀홀(121a)의 폭(W2)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연장부(112)는 삽입부(1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구성으로, 삽입부(111)와 동일 평면상에 마련되는 제1 지지부(112a)와, 제1 지지부(112a)의 일측 양단부로부터 제1 지지부(112a)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 장되는 제1 플랜지부(112b)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112a)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의 사용시 좌우 방향으로 생성되는 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삽입부(111)와 동일 평면상에서 삽입부(1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부분이며, 제1 플랜지부(112b)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제1 지지부(112a)의 일측 양단부로부터 제1 지지부(112a)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는 부분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시스템 판넬(N1)의 프로파일부(P1)는 클램프 삽입홈(I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직선면부(P12, 도 5 참조)를 갖는데, 제1 플랜지부(112b)는 제1 체결구(110)와 직선면부(P12) 상호 간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킴으로써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와 제1 시스템 판넬(N1) 상호 간을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제1 플랜지부(112b)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의 반복 사용에 따른 결합핀(130)의 반복 사용시 상하 방향으로 생성되는 응력에 저항할 수 있는 역할을 겸한다.
본 실시예의 제1 체결구(110)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의 반복 사용시에도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각 가해지는 응력에 저항하기 위해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 지지부(112a) 및 제1 플랜지부(112b)를 포함함으로써,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경우라도 제1 체결구(110) 전체가 휘어지는 정도를 낮출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의 사용횟수를 늘릴 수 있게 된다.
제1 결합부(113)는 제1 연장부(112)의 일단부, 보다 정확하게는 제1 플랜지부(112b)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제1 시스템 판넬(N1)의 프로파일부(P1)에 형성된 클램프 삽입홈(I1)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제1 결합부(113)는 클램프 삽입홈(I1)의 형성 깊이에 대응하도록 제1 플랜지부(112b)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제2 체결구(120)는 삽입부(111)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수용홀(121b)이 관통 형성되는 수용부(121)와, 수용부(12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2 연장부(122)와, 제2 연장부(122)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제2 시스템 판넬(N2)의 프로파일부(P2)에 형성된 클램프 삽입홈(I2)에 삽입되는 제2 결합부(123)를 포함한다.
수용부(121)는 삽입부(111)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수용홀(121b)이 관통 형성되며, 결합핀(13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제2 핀홀(121a)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3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홀(121b)은 수용부(121)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삽입부(111)가 삽입되는 부분의 수용홀(121b) 일측부는 절개됨으로써 삽입부(111)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제2 핀홀(121a)은 수용부(1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결합핀(130)의 삽입가이드(131)의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 즉 제2 핀홀(121a)의 중앙 영역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홀(121c)이 추가로 형성된다.
가이드홀(121c)은 결합핀(130)의 삽입가이드(131)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결합핀(130)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제1 핀홀(111a) 및 제2 핀홀(121a)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용부(121)는 제2 핀홀(121a) 및 가이드홀(121c)의 둘레를 따라 수용부(121)의 표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리브(124)를 더 포함하며, 보강리브(124)는 제2 핀홀(121a) 및 가이드홀(121c)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2 연장부(122)는 수용부(12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구성으로, 수용부(121)의 일측 양단부 표면으로부터 각각 함몰 형성되는 제2 지지부(122a)와, 제2 지지부(122a)의 일측 양단부로부터 제2 지지부(122a)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122b)를 포함한다. 즉, 제2 연장부(122)는 전술한 제1 연장부(112)의 형상에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제2 지지부(122a)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의 사용시 좌우 방향으로 생성되는 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수용부(12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부분이며, 제2 플랜지부(122b)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제2 지지부(122a)의 일측 양단부로부터 제2 지지부(122a)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는 부분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시스템 판넬(N2)의 프로파일부(P2)는 클램프 삽입홈(I2)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직선면부(P22, 도 5 참조)를 갖는데, 제2 플랜지부(122b)는 제2 체결구(120)와 직선면부(P22) 상호 간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킴으로 써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와 제2 시스템 판넬(N2) 상호 간을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제2 플랜지부(122b)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의 반복 사용에 따른 결합핀(130)의 반복 사용시 상하 방향으로 생성되는 응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겸한다.
본 실시예의 제2 체결구(120)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의 반복 사용시에도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각 가해지는 응력에 저항하기 위해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지지부(122a) 및 제2 플랜지부(122b)를 포함함으로써,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경우라도 제2 체결구(120) 전체가 휘어지는 정도를 낮출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의 사용횟수를 늘릴 수 있게 된다.
제2 결합부(123)는 제2 연장부(122)의 일단부, 보다 정확하게는 제2 플랜지부(122b)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제2 시스템 판넬(N2)의 프로파일부(P2)에 형성된 클램프 삽입홈(I2)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제2 결합부(123)는 클램프 삽입홈(I2)의 형성 깊이에 대응하도록 제2 플랜지부(122b)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결합핀(130)은 제1 핀홀(111a) 및 제2 핀홀(121a)을 따라 관통 삽입되어 제1 체결구(110) 및 제2 체결구(120)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좁힘으로써 제1 시스템 판넬(N1) 및 제2 시스템 판넬(N2)을 상호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양측면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테이퍼면(130a, 130b)과, 길이 방 향을 따라 중앙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삽입가이드(131)를 포함한다. 또한, 결합핀(130)의 하단부에는 제1 체결구(110) 및 제2 체결구(120)로부터 결합핀(1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스프릿(140)이 삽입되는 스프릿 삽입홀(130c)이 관통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는 제1 체결구(110) 및 제2 체결구(120)를 관통하여 결합핀(130)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그 하단부에 이탈방지 스프릿(140)이 결합된 상태로 마련되어 시스템 판넬(N1, N2)의 결합에 사용되며 이러한 사항은 이하에서 동일하다. 다만, 도 5에서는 각 구성의 결합관계를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제1 체결구(110) 및 제2 체결구(120)로부터 분리된 결합핀(130) 및 이탈방지 스프릿(140)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테이퍼면(130a, 130b)은 결합핀(13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결합핀(130)의 양측면을 따라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테이퍼면(130a, 130b)에 의해 결합핀(130)은 제1 핀홀(111a) 및 제2 핀홀(121a)을 따라 삽입되는 경우 제1 체결구(110) 및 제2 체결구(120)를 상호 근접시키게 된다.
삽입가이드(131)는 결합핀(130)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해 결합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핀(130)의 중앙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삽입가이드(131)는 전술한 제2 체결구(120)의 가이드홀(121c)을 따라 삽입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결합핀(130)은 제1 핀홀(111a) 및 제2 핀홀(121a)을 따라 간편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구(120)의 수용부(121) 에 형성되는 제2 핀홀(121a) 및 가이드홀(121c)은 결합핀(13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또한 결합핀(130)보다 약간 크도록 마련되며, 제1 핀홀(111a)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또한 삽입가이드(131)를 포함하는 결합핀(130)의 전체 두께(W3)보다 약간 크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결합핀(130)은 제1 핀홀(111a) 및 제2 핀홀(121a)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제1 체결구(110) 및 제2 체결구(120)를 상호 인접하도록 끌어당기고 결국 제1 시스템 판넬(N1) 및 제2 시스템 판넬(N2)을 상호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가이드(131)가 결합핀(130)의 일측면에만 마련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삽입가이드(131)는 결합핀(130)의 양측면에 모두 마련될 수도 있으며(미도시), 이 경우 수용부(121)에는 제2 핀홀(121a)의 중앙 영역에서 제2 핀홀(121a)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홀(미도시)이 형성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는 결합핀(130)의 양측면에 모두 테이퍼면(130a, 130b)을 형성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힘만으로 제1 체결구(110) 및 제2 체결구(120)를 인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핀(130)에 마련된 삽입가이드(131)에 의해 간편하게 제1 시스템 판넬(N1) 및 제2 시스템 판넬(N2)을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가 사용되는 원리를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하도록 시스템 판넬(N1, N2)을 배치시킨 뒤에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를 사용하여 시스템 판넬(N1, N2)을 상호 결합하게 된다.
즉, 시스템 판넬(N1, N2) 상호 간을 결합하기 위해 먼저, 제1 시스템 판넬(N1)의 일측에 마련된 프로파일부(P1)의 클램프 삽입홈(I1)에 제1 체결구(110)의 제1 결합부(113)를 삽입하며, 제2 시스템 판넬(N2)의 일측에 마련된 프로파일부(P2)의 클램프 삽입홈(I2)에 제2 체결구(120)의 제2 결합부(123)를 삽입한다.
이 경우 제1 체결구(110) 및 제2 체결구(120)는 각각 제1 핀홀(111a) 및 제2 핀홀(121a)이 중첩되도록 상호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거리로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제1 시스템 판넬(N1) 및 제2 시스템 판넬(N2)에 임시적으로 배치된다.
다음으로, 제1 핀홀(111a), 제2 핀홀(121a) 및 가이드홀(121c)을 따라 결합핀(130)을 위치시키고, 위치된 결합핀(130)의 상단부를 망치 등을 이용하여 타격함으로써 제1 체결구(110) 및 제2 체결구(120)의 이격거리를 좁힌다. 결합핀(130)의 양측면에 형성된 테이퍼면(130a, 130b)에 의해 결합핀(130)이 점진적으로 삽입되는 경우 제1 체결구(110) 및 제2 체결구(120)는 상호 점진적으로 인접하게 되며, 결합핀(130)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1 체결구(110) 및 제2 체결구(120)는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제1 시스템 판넬(N1) 및 제2 시스템 판넬(N2)을 상호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제1 시스템 판넬(N1)의 프로파일부(P1) 및 제2 시스템 판넬(N2)의 프로파일부(P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 프(100)를 체결함으로써 시스템 판넬(N1, N2) 상호 간을 견고히 결합한다.
도 5에 도시된 타이로드(T)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시스템 판넬(N1 및 N3, N2 및 N4)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100)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시스템 판넬(N1, N2)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반복사용시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제1 체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유로폼 및 시스템 판넬을 결합하도록 사용된 도 6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200)는 유로폼(U)의 웨지핀용 홀(H1)에 삽입되는 돌기(213)를 갖는 제1 체결구(210)와, 유로폼(U)에 인접 배치되는 시스템 판넬(N)의 프로파일부(P)에 결합되는 제2 체결구(220)와, 제1 체결구(210) 및 제2 체결구(220)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좁힘으로써 유로폼(U) 및 시스템 판넬(N)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핀(230)을 포함한다.
제2 체결구(220) 및 결합핀(230)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2 체결구(120) 및 결합핀(13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체결구(210)는 유로폼(U)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제1 핀 홀(211a)이 관통 형성되는 삽입부(211)와, 삽입부(2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1 연장부(212)와, 제1 연장부(212)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유로폼(U)의 웨지핀용 홀(H1)에 삽입되는 돌기(213)를 포함한다.
삽입부(211) 및 제1 연장부(212)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삽입부(111) 및 제1 연장부(112)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돌기(213)는 제1 연장부(212), 보다 정확하게는 제1 플랜지부(212b)의 일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유로폼(U)에 선 가공되어 있는 웨지핀용 홀(H1)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200)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로폼(U) 및 시스템 판넬(N)을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응하여 제1 체결구(210)는 유로폼(U)의 웨지핀용 홀(H1)에 삽입되기 위한 돌기(213)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200)가 사용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하도록 유로폼(U) 및 시스템 판넬(N)을 배치시킨 뒤에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200)를 사용하여 유로폼(U)과 시스템 판넬(N)을 상호 결합하게 된다.
즉, 유로폼(U)과 시스템 판넬(N)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먼저, 유로폼(U)에 선 가공되어 있는 웨지핀용 홀(H1)에 제1 체결구(210)의 제1 플랜지부(212b)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 돌기(213)를 삽입하며, 시스템 판넬(N)의 일측에 마련된 프로파일부(P)의 클램프 삽입홈(I)에 제2 체결구(220)의 결합부(223)를 삽입한다.
이 경우 제1 체결구(210) 및 제2 체결구(220)는 각각 제1 핀홀(211a) 및 제2 핀홀(221a)이 중첩되도록 상호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거리로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유로폼(U) 및 시스템 판넬(N)에 임시적으로 배치된다.
다음으로, 제1 핀홀(211a), 제2 핀홀(221a) 및 가이드홀(221c)을 따라 결합핀(230)을 위치시키고, 위치된 결합핀(230)의 상단부를 망치 등을 이용하여 타격함으로써 제1 체결구(210) 및 제2 체결구(220)의 이격거리를 좁힌다. 결합핀(230)의 양측면에 형성된 테이퍼면(230a, 230b)에 의해 결합핀(230)이 점진적으로 삽입되는 경우 제1 체결구(210) 및 제2 체결구(220)는 상호 점진적으로 인접하게 되며, 결합핀(230)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1 체결구(210) 및 제2 체결구(220)는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유로폼(U) 및 시스템 판넬(N)을 상호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유로폼(U) 및 시스템 판넬(N)의 프로파일부(P)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200)를 체결함으로써 유로폼(U)과 시스템 판넬(N) 상호 간을 견고히 결합한다.
본 실시예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200)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로폼(U) 및 시스템 판넬(N)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반복사용시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 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제1 체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좌측에서 바라본 도 1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제2 체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우측에서 바라본 도 1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제2 체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시스템 판넬을 결합하도록 사용된 도 1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제1 체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유로폼 및 시스템 판넬을 결합하도록 사용된 도 6의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110, 210 : 제1 체결구
120, 220 : 제2 체결구 130 : 결합핀
140 : 이탈방지 스프릿 N1 : 제1 시스템 판넬
N2 : 제2 시스템 판넬 U : 유로폼

Claims (11)

  1. 상하 방향으로 제1 핀홀이 관통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제1 시스템 판넬의 프로파일부에 형성된 클램프 삽입홈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체결구;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수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제2 핀홀이 관통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제1 시스템 판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시스템 판넬의 프로파일부에 형성된 클램프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체결구; 및
    상기 제1 핀홀 및 상기 제2 핀홀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체결구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좁힘으로써 상기 제1 시스템 판넬 및 상기 제2 시스템 판넬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삽입부와 동일 평면상에 마련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 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 양단부 표면으로부터 각각 함몰 형성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양측면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테이퍼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체결구의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삽입가이드의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핀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2 핀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가이드는,
    상기 결합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서 상기 결합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가이드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은,
    상기 삽입가이드의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핀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2 핀홀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홀은,
    상기 삽입가이드를 포함하는 상기 결합핀의 전체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구는,
    상기 제1 핀홀이 형성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 표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스프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9. 상하 방향으로 제1 핀홀이 관통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유로폼의 웨지핀용 홀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제1 체결구;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수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제2 핀홀이 관통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시스템 판넬의 프로파일부에 형성된 클램프 삽입홈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체결구; 및
    상기 제1 핀홀 및 상기 제2 핀홀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체결구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좁힘으로써 상기 유로폼 및 상기 시스템 판넬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삽입부와 동일 평면상에 마련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 양단부 표면으로부터 각각 함몰 형성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양측면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테이퍼 핀이며,
    상기 제2 체결구의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삽입가이드의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핀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2 핀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KR2020090009798U 2009-07-27 2009-07-27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KR201100011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798U KR20110001140U (ko) 2009-07-27 2009-07-27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798U KR20110001140U (ko) 2009-07-27 2009-07-27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140U true KR20110001140U (ko) 2011-02-08

Family

ID=4420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798U KR20110001140U (ko) 2009-07-27 2009-07-27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140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14Y1 (ko) * 2012-11-29 2014-04-10 주식회사 태창테크 고소작업대의 안전 난간
KR101396388B1 (ko) * 2012-12-05 2014-05-20 주식회사 블루폼 측면 부착형 건축용 사다리
KR20190041355A (ko) * 2017-10-12 2019-04-22 서보산업 주식회사 웨지핀을 이용한 거푸집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조립 방법
CN111576873A (zh) * 2020-05-29 2020-08-25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方通扣以及紧固方法
CN116163512A (zh) * 2023-04-26 2023-05-26 河北易达建模架工程技术有限公司 建筑模板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14Y1 (ko) * 2012-11-29 2014-04-10 주식회사 태창테크 고소작업대의 안전 난간
KR101396388B1 (ko) * 2012-12-05 2014-05-20 주식회사 블루폼 측면 부착형 건축용 사다리
KR20190041355A (ko) * 2017-10-12 2019-04-22 서보산업 주식회사 웨지핀을 이용한 거푸집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조립 방법
CN111576873A (zh) * 2020-05-29 2020-08-25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方通扣以及紧固方法
CN111576873B (zh) * 2020-05-29 2024-05-17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方通扣以及紧固方法
CN116163512A (zh) * 2023-04-26 2023-05-26 河北易达建模架工程技术有限公司 建筑模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1645538B1 (ko) 더블 벽체 및 더블 벽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더블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213439B1 (ko) 유로폼 고정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의 일체적 지지구조
KR102004419B1 (ko)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구조
KR20110001140U (ko)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KR101618798B1 (ko)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KR101479014B1 (ko) 노듈과 웹부재의 조립에 의한 조립식 노듈러 거더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조립식 노듈러 거더
KR101731382B1 (ko) 철근 삽입이 용이한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성형장치
KR200453780Y1 (ko) 거푸집의 코너연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의 코너 시공방법
US6443418B1 (en) Ultra thin-type form panel, a form employ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oundation
KR101540649B1 (ko) 원터치 고정형 격자철선을 이용한 철근 일체형 합성구조
KR101125472B1 (ko) 판넬결합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판넬의 결합방법
KR20190113149A (ko) Pc 세그멘트 패널, pc 내력벽체 및 pc 내력벽체 보강공법
KR101309100B1 (ko) 세그먼트용 체결장치
KR101090449B1 (ko) 강도 보강된 플라스틱 거푸집
KR101875749B1 (ko) 건축물용 박스형 강합성보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20200053193A (ko) 복합 단열재를 사용한 영구 거푸집
KR101229276B1 (ko)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JP2010168877A (ja) 残存型枠、およびこれに用いる型枠パネル
KR200405361Y1 (ko) 슬라이딩 엔드 패널
KR20090043026A (ko) 2차부재 고정용 성형강판 매입기구
KR101310843B1 (ko)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KR20160019286A (ko) 단부다이아프램을 구비한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량 시공방법
KR102035495B1 (ko) 수평전단보강수단을 이용한 이중합성 pc벽체 구조
KR200486761Y1 (ko)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