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260B1 -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Google Patents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2260B1 KR101432260B1 KR1020130073530A KR20130073530A KR101432260B1 KR 101432260 B1 KR101432260 B1 KR 101432260B1 KR 1020130073530 A KR1020130073530 A KR 1020130073530A KR 20130073530 A KR20130073530 A KR 20130073530A KR 101432260 B1 KR101432260 B1 KR 1014322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steel
- column
- template
- vertical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0 art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기둥구조를 이루는 철골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둥구조의 모서리에 사용될 수 있는 노출수직부재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이루는 노출수직부재에 기둥 거푸집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이루는 노출수직부재에 보 거푸집의 지지를 위한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노출수직부재를 이용하여 다이어프램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거푸집용 플레이트를 노출수직부재에 부착하여 기둥과 보의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서로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노출수직부재가 기둥 외면의 중앙에 더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 철골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템플레이트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도 11은 상기 템플레이트를 이루는 수직부재고정부와 수직철근고정부가 평판형 또는 리브형으로 형성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템플레이트에 수직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의 여러 실시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실시예에 의한 기둥구조에 있어서 중앙수직부재와 노출수직부재의 크기 같을 때의 철골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실시예에 의한 기둥구조에 있어서 중앙수직부재가 노출수직부재보다 더 클 때의 철골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실시예에 의한 기둥구조에 있어서 템플레이트가 평판형과 리브형의 혼합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7은 노출수직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마구리판을 이용하여 철골조립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1 : 마구리판 12 : 거푸집설치용 볼트공
15 : 콘크리트 에어홀 20 : 템플레이트
21 : 수직철근고정부 22 : 수직부재고정부
23 : 철근삽입공 24 : 가새부재
25 : 철근안치홈 26 : 후크공
28 : 다이어프램 30 : 수직철근
31 : 띠철근 32 : 커플러
45 : 거푸집 48 : 거푸집용 플레이트
50 : 보 거푸집 55 : 지지대
60 : 중앙수직부재
Claims (14)
-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에 있어서,
기둥 외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금속재질의 노출수직부재(10)와, 상기 노출수직부재(10) 다수 개와 수평상태로 접합되는 템플레이트(20)와, 상기 노출수직부재(10) 다수 개와 수평상태로 결합되는 다이어프램(28) 및, 위치고정수단에 의해 템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수직철근(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골조립체(1)와;
상기 철골조립체(1)의 템플레이트(20) 및 수직철근(30)을 매립시키면서 기둥 몸체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에 있어서,
기둥 외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금속재질의 노출수직부재(10)와, 기둥의 횡단면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수직부재(60)와, 상기 노출수직부재(10) 다수 개 및 중앙수직부재(60)와 수평상태로 접합되는 템플레이트(20) 다수 개와, 상기 노출수직부재(10) 다수 개와 수평상태로 결합되는 다이어프램(28) 및, 위치고정수단에 의해 템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수직철근(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골조립체(1)와;
상기 철골조립체(1)의 템플레이트(20), 중앙수직부재(60) 및 수직철근(30)을 매립시키면서 기둥 몸체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수직부재(10)는 기둥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수직부재(10)는 기둥의 각 면 중앙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수직부재(10)는, 강판을 단면이 ㄱ자 형상이 되도록 롤포밍하여 제작한 것이거나, 앵글형강, 사각강관, 원형강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제4항에 있어서,
기둥의 각 면 중앙에 설치되는 노출수직부재(10)는 T형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레이트(20)는, 노출수직부재(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수직부재고정부(22)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수직부재고정부(22)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철근고정부(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레이트(20)는, 노출수직부재(10) 또는 중앙수직부재(60)의 내측에 위치하는 수직부재고정부(22)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수직부재고정부(22)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철근고정부(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고정부(22)에는 콘크리트 에어홀(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조립체(1)에는 가새부재(24)가 더 형성되어 있되;
상기 가새부재(24)는 한 템플레이트(20) 내에서 인접하는 수직철근고정부(21) 사이 또는 대향하는 수직부재고정부(22) 사이에 형성되어 있거나, 상하로 위치하는 두 템플레이트(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고정부(22) 및 수직철근고정부(21)는, 기둥의 횡단면과 평행한 판으로 형성되는 평판형 또는 기둥의 횡단면과 수직한 판으로 형성되는 리브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템플레이트(2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직철근고정부(21)에 구비된, 철근삽입공(23), 철근안치홈(25) 및 쌍으로 이루어지는 후크공(26)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수직부재(10)에는 거푸집설치용 볼트공(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21723 | 2013-02-28 | ||
KR1020130021723 | 2013-02-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2260B1 true KR101432260B1 (ko) | 2014-08-21 |
Family
ID=5175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3530A KR101432260B1 (ko) | 2013-02-28 | 2013-06-26 |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2260B1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2176B1 (ko) * | 2014-12-10 | 2015-09-11 |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 분리형 거푸집이 선조립된 기둥구조체 |
KR101619067B1 (ko) * | 2015-06-01 | 2016-05-10 |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 보구조체의 범용 접합구조를 가진 조립 기둥구조체 |
KR101622165B1 (ko) * | 2015-07-08 | 2016-05-18 | (주)씨지스플랜 |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기둥 |
KR101648422B1 (ko) * | 2015-02-10 | 2016-08-16 | (주)씨지스플랜 | 라운드 앵글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 |
KR101666981B1 (ko) * | 2016-04-05 | 2016-10-17 | 박정희 | 선조립형 철근 구조물의 결합구조 |
CN106437029A (zh) * | 2016-08-31 | 2017-02-22 | 绍兴职业技术学院 | 一种型钢劲性混凝土结构 |
CN106930468A (zh) * | 2017-05-04 | 2017-07-07 | 四川盛邦建设股份有限公司 | 罩扣结构及建筑装饰柱 |
KR101875015B1 (ko) * | 2016-07-07 | 2018-07-05 |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 선조립 src 기둥 구조체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
KR102115986B1 (ko) * | 2019-10-02 | 2020-05-27 | 박정희 | 거푸집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선조립 기둥 구조물 |
CN111364758A (zh) * | 2020-04-09 | 2020-07-03 | 晏幸福 | 支模支撑系统 |
CN112125599A (zh) * | 2020-08-28 | 2020-12-25 | 同济大学 | 一种混凝土装饰板的制备方法 |
CN113187155A (zh) * | 2021-05-08 | 2021-07-30 | 厦门泰睿坤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建筑柱体用的钢筋笼结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72195A (ja) * | 1992-03-26 | 1993-10-19 | Nippon Concrete Ind Co Ltd | プレキャスト製品 |
JPH07292859A (ja) * | 1994-04-25 | 1995-11-07 | Nippon Steel Corp | 鋼殻合成構造体 |
KR20050054407A (ko) * | 2003-12-04 | 2005-06-10 | 이창남 | ㄱ형강 콘크리트구조 |
KR20050091996A (ko) * | 2004-03-11 | 2005-09-16 | 넹-이 투 | 철골 연결구 |
-
2013
- 2013-06-26 KR KR1020130073530A patent/KR10143226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72195A (ja) * | 1992-03-26 | 1993-10-19 | Nippon Concrete Ind Co Ltd | プレキャスト製品 |
JPH07292859A (ja) * | 1994-04-25 | 1995-11-07 | Nippon Steel Corp | 鋼殻合成構造体 |
KR20050054407A (ko) * | 2003-12-04 | 2005-06-10 | 이창남 | ㄱ형강 콘크리트구조 |
KR20050091996A (ko) * | 2004-03-11 | 2005-09-16 | 넹-이 투 | 철골 연결구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2176B1 (ko) * | 2014-12-10 | 2015-09-11 |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 분리형 거푸집이 선조립된 기둥구조체 |
KR101648422B1 (ko) * | 2015-02-10 | 2016-08-16 | (주)씨지스플랜 | 라운드 앵글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 기둥 |
KR101619067B1 (ko) * | 2015-06-01 | 2016-05-10 |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 보구조체의 범용 접합구조를 가진 조립 기둥구조체 |
KR101622165B1 (ko) * | 2015-07-08 | 2016-05-18 | (주)씨지스플랜 |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기둥 |
KR101666981B1 (ko) * | 2016-04-05 | 2016-10-17 | 박정희 | 선조립형 철근 구조물의 결합구조 |
KR101875015B1 (ko) * | 2016-07-07 | 2018-07-05 |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 선조립 src 기둥 구조체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
CN106437029A (zh) * | 2016-08-31 | 2017-02-22 | 绍兴职业技术学院 | 一种型钢劲性混凝土结构 |
CN106930468A (zh) * | 2017-05-04 | 2017-07-07 | 四川盛邦建设股份有限公司 | 罩扣结构及建筑装饰柱 |
KR102115986B1 (ko) * | 2019-10-02 | 2020-05-27 | 박정희 | 거푸집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선조립 기둥 구조물 |
CN111364758A (zh) * | 2020-04-09 | 2020-07-03 | 晏幸福 | 支模支撑系统 |
CN112125599A (zh) * | 2020-08-28 | 2020-12-25 | 同济大学 | 一种混凝土装饰板的制备方法 |
CN113187155A (zh) * | 2021-05-08 | 2021-07-30 | 厦门泰睿坤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建筑柱体用的钢筋笼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2260B1 (ko) |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
KR101523532B1 (ko) |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 |
KR101178381B1 (ko) |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이의 제작방법 | |
KR101030419B1 (ko) |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 |
KR20130043324A (ko) |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 |
KR101663132B1 (ko) | 자립 기둥구조체 | |
KR20100121866A (ko) | 세트화된 배근구조를 갖는 건축 구조물용 피씨 슬래브 | |
KR101618798B1 (ko) |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 |
KR101308053B1 (ko) |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 |
KR101458435B1 (ko) |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619067B1 (ko) | 보구조체의 범용 접합구조를 가진 조립 기둥구조체 | |
KR101458434B1 (ko) | 선제작된 pc패널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CN202672351U (zh) | 槽键式预制构件连接节点 | |
KR100343960B1 (ko) |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 |
KR101954387B1 (ko) |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 |
KR20160137705A (ko) | Cft기둥의 합성거더 접합구조 | |
KR101161364B1 (ko) | 개량형 합성보 | |
KR20180073201A (ko) | 합성보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415695B1 (ko) | 합성보를 이용한 클린룸 골조 | |
KR101921834B1 (ko) | 돌출 데크를 이용한 콘크리트 합성기둥 | |
KR20190046336A (ko) | 샌드위치 피씨-월 및 그 제조방법 | |
JP2017014713A (ja) |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 |
JP2017040122A (ja) | 鉄筋コンクリート柱梁接合部プレキャスト部材 | |
KR20160149087A (ko) | 트러스보강 조립보 | |
KR101338890B1 (ko) | 비용접 고정식 프레임패널을 갖는 벽체시스템, 그리고 그의 제작 및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