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434Y1 - 배관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고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8434Y1 KR200448434Y1 KR2020070018005U KR20070018005U KR200448434Y1 KR 200448434 Y1 KR200448434 Y1 KR 200448434Y1 KR 2020070018005 U KR2020070018005 U KR 2020070018005U KR 20070018005 U KR20070018005 U KR 20070018005U KR 200448434 Y1 KR200448434 Y1 KR 20044843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block
- hole
- fastening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2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quick a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및 제 2 서포트부의 체결 및 분리가 쉽고, 별도의 공구의 사용없이 제 1 및 제 2 서포트부를 체결하고 분리할 수 있는 배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각각 반고리 형태로,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일단부와 연결된 타단부에 서로 바라볼 수 있는 제 1 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설치판을 갖는 제 1 및 제 2 서포트부와, 상기 제 1 서포트부의 제 1 설치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설치판을 서로 체결하거나 체결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체결부와, 일단부에 설치대가 체결되고, 상기 일단부와 연결된 타단부가 상기 제 2 서포트부의 제 1 면에 체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설치판은 각각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에 마주보는 제 2 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서포트부의 제 2 설치판 및 지지부에는 마주보는 양쪽이 길게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 1 서포트부의 제 2 면에 대해서 돌출되게 설치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의 긴쪽을 통하여 상기 제 2 서포트부의 제 2 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구멍의 근방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상기 제 1 설치판을 밀착시켜 체결하는 체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관, 고정, 배관 고정 장치, 손잡이, 키블록
Description
본 고안은 배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이나 외벽에 배관을 고정 설치하는 배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관 고정 장치는 천장이나 외벽과는 설치면에 배관을 설치할 때, 배관을 설치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켜 고정하고 지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배관 고정 장치는 배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고리 형태로, 배관에 탈착할 수 있도록 반으로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배관 고정 장치는 일단부가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반고리 형태의 제 1 및 제 2 서포트부와, 제 1 및 제 2 서포트부의 타단부를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배관 고정 장치는 설치면에 설치대를 매개로 고정 지지된다.
그런데 종래의 배관 고정 장치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서포트부를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천장과 같이 높은 곳에서 작업할 경우 작업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작업자는 볼트와 너트를 다룰 수 있는 공구를 별도로 사용하여 제 1 및 제 2 서포트부를 체결하고 분리하는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제 1 및 제 2 서포트부의 체결과 분리가 쉬운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별도의 공구의 사용없이 제 1 및 제 2 서포트부를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각각 반고리 형태로,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일단부와 연결된 타단부에 서로 바라볼 수 있는 제 1 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설치판을 갖는 제 1 및 제 2 서포트부와, 상기 제 1 서포트부의 제 1 설치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설치판을 서로 체결하거나 체결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체결부와, 일단부에 설치대가 체결되고, 상기 일단부와 연결된 타단부가 상기 제 2 서포트부의 제 1 면에 체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설치판은 각각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에 마주보는 제 2 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서포트부의 제 2 설치판 및 지지부에는 마주보는 양쪽이 길게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 1 서포트부의 제 2 면에 대해서 돌출되게 설치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의 긴쪽을 통하여 상기 제 2 서포트부의 제 2 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구멍의 근방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상기 제 1 설치판을 밀착시켜 체결하는 체결블록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서포트부의 제 1 및 제 2 설치판이 지지부를 매개로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회전시켜 손잡이에 연결된 키블록을 회전시킴으로써, 1 및 제 2 서포트부를 간단히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서포트부에 설치되는 체결부를 이용하여 체결 및 분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공구 사용없이 제 1 및 제 2 서포트부를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배관 고정 및 분리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포트부(10), 제 2 서포트부(20), 체결부(30) 및 지지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서포트부(10) 및 제 2 서포트부(20)는 각각 반고리 형태를 가지며, 일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 형태를 형성하고, 일단부와 연결된 타단부에 서로 면접촉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설치판(13, 23)을 갖는다. 체결된 제 1 서포트부(10) 및 제 2 서포트부(20)가 형성하는 고리 형태의 설치 공간(50)에 배관(93)을 설치하게 된다.
제 1 및 제 2 설치판(13, 23)은 서로 접하는 제 1 면과, 제 1 면에 반대되는 제 2 면을 갖는다. 제 2 서포트부(20)의 제 2 설치판(23)에는 마주보는 양쪽이 길게 관통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서포트부(10)의 제 1 설치판(13)에는 관통구멍(25)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반경을 갖는 회전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30)는 제 1 서포트부(10)의 제 1 설치판(13)에 설치되어 제 1 설치판(13)과 제 2 설치판(23)을 서로 체결하거나 체결된 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지지부(60)는 제 2 서포트부(20)의 제 2 설치판(23)에 설치되며, 설치면(95)에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설치대(91)의 타단부가 체결된다.
특히 체결부(30)는 손잡이(31)와 체결블록(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손잡이(31)는 제 1 설치판(13)의 제 2 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체결블록(33)은 손잡이(31)와 연결되어 있으며, 관통구멍(25)의 긴쪽을 통하여 제 2 설치판(23)의 제 2 면으로 돌출되며, 손잡이(31)의 회전에 따라 관통구멍(25) 근방에 밀착되어 제 1 설치판(13)과 제 2 설치판(23)을 서로 밀착시켜 제 1 및 제 2 서포트부(10, 20)를 체결한다.
체결블록(33)은 제 1 지지블록(32), 가이드블록(34), 제 2 지지블록(36) 및 키블록(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지지블록(32)은 손잡이(31)에 연결되며, 제 1 설치판(13)의 제 2 면에 설치된다. 제 1 지지블록(32)의 장폭은 제 1 설치판(13)의 회전구멍(15)의 내경보다는 크며, 길이가 긴 쪽의 양쪽이 회전구멍(15) 밖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블록(34)은 제 1 지지블록(32)에 연결되며, 제 1 설치판(13)의 회전구멍(15) 안에 위치한다. 가이드블록(34)은 회전구멍(15) 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블록(34)은 회전구멍(15)의 내경에 근접한 외경을 갖는다.
제 2 지지블록(36)은 가이드블록(34)과 연결되어 제 1 설치판(13)의 제 1 면 위에 위치하며, 관통구멍(25) 안에 위치하여 가이드블록(34)의 회전에 따라서 관통구멍(25) 안에서 회전한다. 즉 제 1 및 제 2 지지블록(32, 36)은 제 1 설치판(13)의 제 2 면으로 돌출된 손잡이(31)가 제 1 설치판(13)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키블록(38)은 제 2 지지블록(36)과 연결되며, 관통구멍(25)의 장폭보다는 짧으며, 관통구멍(25)의 단폭보다는 길다. 따라서 키블록(38)은 손잡이(31)의 회전에 따라 관통구멍(25)의 근방에 밀착되어 제 1 및 제 2 설치판(13, 23)을 서로 밀착시켜 체결한다.
이때 손잡이(31)는 일측으로 돌출된 결합편(35)을 포함한다. 결합편(35)은 제 1 지지블록(32), 가이드블록(34), 제 2 지지블록(36) 및 키블록(38)을 관통하여 제 1 지지블록(32), 가이드블록(34), 제 2 지지블록(36) 및 키블록(38)을 서로 밀착되게 결합시킨다.
관통구멍(25)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구멍(25a)과, 서브 구멍(25b)을 포함한다. 메인 구멍(25a)은 제 2 지지블록(36)의 회전반경보다는 적어도 길며, 키블록(38)의 길이보다는 짧은 내경을 갖는다. 서브 구멍(25b)은 메인 구멍(25a)의 마주보는 내주면에서 안쪽으로 형성된다. 메인 구멍(25a)의 내경과 양쪽의 서브 구멍(25b)의 길이의 합은 키블록(38)의 길이보다는 길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서포트부(10, 20)를 체결하는 경우, 손잡이(31)를 이용하여 키블록(38)을 서브 구멍(25a)이 형성된 방향으로 키블록(38)을 위치시켜, 키블록(38)과 제 2 지지블록(36)을 관통구멍(25)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손잡이(31)를 회전시켜 키블록(38)을 서브 구멍(25b)이 있는 위치에서 이탈시켜 메인 구멍(25a)만이 형성된 쪽으로 이동시키면, 키블록(38)의 양단이 메인 구멍(38)의 근방에 밀착되어 제 1 및 제 2 설치판(13, 23)을 체결하게 된다.
지지부(60)는 제 2 설치판(23)의 제 1 면에 고정 설치된다. 지지부(60)는 설치대(91)의 타단부가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지지몸체(61)와 너트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몸체(61)는 너트부(63)가 일정 유격을 갖고 결합되는 결합판(65)과, 결합판(65)과 일체로 형성되며 결합판(65)을 중심으로 양쪽이 하향 절곡되어 서로 밀착되는 한 쌍의 고정판(67)을 포함한다. 고정판(67)은 제 2 설치판(23)의 제 1 면에 고정 설치되며, 관통 구멍(25)에 대응되는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부(63)의 내주면에는 암나나산이 형성되어 있고, 설치대(91)의 외주면에는 너트부(63)의 암나사산에 대응되게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지지블록(32), 가이드블록(34), 제 2 지지블록(36) 및 키블록(38)이 분리된 구조를 예시하였지만, 제 1 지지블록(32) 및 가이드블록(34)과, 제 2 지지블록(36) 및 키블록(38)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가이드블록(34), 제 2 지지블록(36) 및 키블록(38)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100)의 사용예를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배관 고정 장치(100)를 이용하여 설치면(95)에 배관(93)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면(95) 위에 배관 고정 장치(100)를 설치한다. 즉 설치면(95)에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설치대(91)의 타단부를 지지부(60)의 너트부(63)에 체결하여 배관 고정 장치(100)를 설치면(95) 위에 고정 설치한다. 물론 배관 고정 장치(100)의 제 1 및 제 2 서포트부(10, 20)가 형성하는 고리의 내경은 배관(93)의 외경에 대응된다.
다음으로 배관(93)을 분리된 제 1 서포트부(10)와 제 2 서포트부(20)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 1 서포트부(10)의 제 1 설치판(13)을 제 2 서포트부(20)의 제 2 설치판(23)으로 이동시켜 지지부(60)의 고정판(67)에 밀착시킨다. 이때 손잡이(31)를 이용하여 키블록(38)을 서브 구멍(25b)이 형성된 방향으로 위치시켜, 키블록(38)과 제 2 지지블록(36)을 관통구멍(25)에 삽입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구멍(25b)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키블록(38)이 수직 방향에 올 수 있도록 손잡이(31)를 회전시킨다. 이때 작업자가 키블록(38)을 보지 않고 손잡이(31)로 키블록(38)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키블록(38)과 손잡이(31)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1)를 회전시켜 제 1 및 제 2 설치판(13, 23)을 지지부(60)의 고정판(67)을 사이에 두고 체결하여 배관(93)을 배관 고정 장치(100)에 고정한다. 즉 손잡이(31)를 회전시켜 키블록(38)을 서브 구멍(25b)이 있는 위치에서 이탈시켜 메인 구멍(25a)만이 형성된 쪽으로 이동시키면, 키블록(38)의 양단이 메인 구멍(25a)의 근방에 밀착되어 제 1 및 제 2 설치판(13, 23)을 밀착시켜 체결하게 된다. 예컨대, 도 5의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키블 록(38)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회전시켜 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제 1 설치판(13)의 제 2 면의 제 1 지지블록(36)과 제 2 설치판(23)의 제 2 면의 키블록(38)은 사이에 존재하는 제 1 설치판(13)과 제 2 설치판(23)을 체결한다. 이에 따라 배관 고정 장치(100)는 배관(93)을 고정하여 지지하게 된다.
한편으로 배관 고정 장치(100)를 배관(93)에서 분리하는 방법은, 손잡이(31)를 회전시켜 키블록(38)을 서브 구멍(25b)이 형성된 방향에 위치시키면, 제 1 서포트부(10)를 제 2 서포트부(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배관 고정 장치(100)에서 배관(93)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100)는 손잡이(31)의 회전에 의해 제 1 및 제 2 서포트부(10, 20)를 간단히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서포트부(10)에 설치되는 체결부(30)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서포트부(10, 20)를 간단히 체결 및 분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서포트부(10, 20)를 체결 및 분리하기 위해서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제 1 및 제 2 서포트부가 분리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제 1 및 제 2 서포트부가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설치면에 배관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제 1 서포트부 13 : 제 1 설치판
20 : 제 2 서포트부 23 : 제 2 설치판
30 : 체결부 31 : 손잡이
33 : 체결블록 38 : 키블록
50 : 설치공간 60 : 지지부
91 : 설치대 93 : 배관
95 : 설치면 100 : 배관 연결 장치
Claims (5)
- 각각 반고리 형태로,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일단부와 연결된 타단부에 서로 바라볼 수 있는 제 1 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설치판을 갖는 제 1 및 제 2 서포트부와;상기 제 1 서포트부의 제 1 설치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설치판을 서로 체결하거나 체결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체결부와;일단부에 설치대가 체결되고, 상기 일단부와 연결된 타단부가 상기 제 2 서포트부의 제 1 면에 체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상기 제 1 및 제 2 설치판은 각각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에 마주보는 제 2 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서포트부의 제 2 설치판 및 지지부에는 마주보는 양쪽이 길게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체결부는,상기 제 1 서포트부의 제 2 면에 대해서 돌출되게 설치된 손잡이와;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의 긴쪽을 통하여 상기 제 2 서포트부의 제 2 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구멍의 근방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상기 제 1 설치판을 밀착시켜 체결하는 체결블록;을 포함하며,상기 체결블록은,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설치판의 제 2 면에 설치되는 제 1 지지블록과;상기 제 1 지지블록과 연결되며, 상기 관통구멍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설치판의 위치에 상기 제 1 지지블록의 장폭보다는 작은 내경을 갖는 회전구멍에 위치하는 가이드블록과;상기 가이드블록과 연결되어 제 1 설치판의 제 1 면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구멍 안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블록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구멍 안에서 회전하는 제 2 지지블록과;상기 제 2 지지블록과 연결되며, 상기 관통구멍의 장폭보다는 짧으며, 상기 관통구멍의 단폭보다는 길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구멍의 근방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상기 제 1 설치판을 밀착시켜 체결하는 키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일측으로 돌출된 결합편을 포함하며,상기 결합편은 상기 제 1 지지블록, 상기 가이드블록, 상기 제 2 지지블록 및 상기 키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지지블록, 상기 가이드블록, 상기 제 2 지지블록 및 상기 키블록을 서로 밀착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상기 제 2 지지블록의 회전반경보다는 적어도 길며, 상기 블록의 길이보다는 짧은 내경을 갖는 메인 구멍과;상기 메인 구멍의 마주보는 내주면에서 안쪽으로 형성되는 서브 구멍;을 포함하며,상기 메인 구멍의 내경과 상기 양쪽의 서브 구멍의 길이의 합은 상기 키블록의 길이보다는 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상기 설치대가 체결되는 너트부와;상기 너트부가 일정 유격을 갖고 결합되는 결합판과,상기 결합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을 중심으로 양쪽이 하향 절곡되어 서로 밀착되며, 상기 제 2 설치판의 제 1 면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된 고정판을 갖는 지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8005U KR200448434Y1 (ko) | 2007-11-08 | 2007-11-08 | 배관 고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8005U KR200448434Y1 (ko) | 2007-11-08 | 2007-11-08 | 배관 고정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4483U KR20090004483U (ko) | 2009-05-13 |
KR200448434Y1 true KR200448434Y1 (ko) | 2010-04-09 |
Family
ID=4129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8005U KR200448434Y1 (ko) | 2007-11-08 | 2007-11-08 | 배관 고정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8434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9816A (en) * | 1890-06-10 | Pipe-hanger | ||
JPH08177840A (ja) * | 1994-12-26 | 1996-07-12 | Nec Corp | 接続機能付き吊り具 |
JP2003042348A (ja) * | 2001-08-01 | 2003-02-13 | Akagi:Kk | 配管支持具及び取付機構 |
KR20050061675A (ko) * | 2003-12-18 | 2005-06-23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 인테리어 부품의 체결구조 |
-
2007
- 2007-11-08 KR KR2020070018005U patent/KR20044843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9816A (en) * | 1890-06-10 | Pipe-hanger | ||
JPH08177840A (ja) * | 1994-12-26 | 1996-07-12 | Nec Corp | 接続機能付き吊り具 |
JP2003042348A (ja) * | 2001-08-01 | 2003-02-13 | Akagi:Kk | 配管支持具及び取付機構 |
KR20050061675A (ko) * | 2003-12-18 | 2005-06-23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 인테리어 부품의 체결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4483U (ko) | 2009-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9052B1 (ko) | 배수관 고정용 이지 클램프 | |
KR20170124218A (ko) | 건축용 에이치 빔 파이프 행거 고정용 클램프 | |
JP2007205035A (ja) | H型鉄骨の上フランジ接続用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用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組み付け方法 | |
KR200448917Y1 (ko) | 배관용 원터치 행거 | |
KR100710835B1 (ko) | 파이프 고정용 클램핑 장치 | |
KR200381958Y1 (ko) | 원터치 행거 | |
KR200448434Y1 (ko) | 배관 고정 장치 | |
KR20110080434A (ko) | 배관용 파이프 행거 | |
KR101766601B1 (ko) | 파이프용 지지장치 | |
KR20150020890A (ko) | 배관 고정장치 | |
KR200447084Y1 (ko) | 배관 고정 장치 | |
JP2017057704A (ja) | ブレース連結金具 | |
KR101916114B1 (ko) | 배관용 파이프 행거 | |
KR200448435Y1 (ko) | 배관 고정 장치 | |
JP5291498B2 (ja) | ヘッダー固定具、及び、ヘッダー固定構造 | |
JP2007218320A (ja) | 配管類固定具 | |
JPH0634079A (ja) | 建屋取付用管継手 | |
KR100758529B1 (ko) | 배관설치용 걸이구 | |
JP5389466B2 (ja) | 排水管用支持冶具 | |
JP3204037U (ja) | 吊り下げ機器又は部材の仮固定具 | |
KR101678151B1 (ko) | 배관파이프 체결 장치 | |
KR20190013271A (ko) | 파이프용 지지장치 | |
KR20180048283A (ko) | 파이프용 지지장치 | |
KR20100106801A (ko) | 파이프 행거 제조방법 및 파이프 행거 | |
CN218326538U (zh) | 一种管线安装固定构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