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624U - 배관용 행거 - Google Patents

배관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624U
KR20190002624U KR2020190003599U KR20190003599U KR20190002624U KR 20190002624 U KR20190002624 U KR 20190002624U KR 2020190003599 U KR2020190003599 U KR 2020190003599U KR 20190003599 U KR20190003599 U KR 20190003599U KR 20190002624 U KR20190002624 U KR 201900026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oupling
pipe
coupled
fixed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973Y1 (ko
Inventor
김래균
Original Assignee
김래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래균 filed Critical 김래균
Priority to KR2020190003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97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9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2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quick a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천정에 수직하게 구비된 앵커볼트(B)에 상단이 결합되며, 단면이 원형인 배관의 일측 반원을 감싸는 고정클램프(110)와; 상기 고정클램프(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관의 타측 반원을 감싸는 회동클램프(120)와; 상기 회동클램프(120)의 상부에 결합되며, 탄성적으로 신장 및 압축되며 상기 회동클램프(120)의 상단이 상기 고정클램프(110)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도록 하는 탄성개폐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행거{HANGER FOR PIPE}
본 고안은 배관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설치 및 분해가 간편하며 배관의 지지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배관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산업 시설, 건축물 등에는 가스 배관, 상수도 및 하수도 배관, 냉난방용 배관, 각종 전기 및 통신 시설 관련 배관 등과 같은 다양한 배관이 설비된다. 이러한 배관은 건축물의 천정을 따라서 어느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연장된다.
긴 길이와 하중을 갖는 배관이 천정을 따라 이동되면, 처짐이 발생되거나 바람에 의해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의 처짐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정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배관용 행거가 설치되며, 이 배관용 행거 내부에 배관이 거치되어 배관은 최초 설비된 상태 및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배관용 행거의 일례가 등록특허 제1125262호, 공개특허 제2014-0090061호, 등록실용 제0421489호, 등록특허 제1166441호, 등록실용 제0343998호, 공개실용 제2013-000337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배관용 행거의 설치작업은 작업자가 사다리 등을 이용해 천정 측으로 이동하여 진행된다. 종래 배관용 행거는 한 쌍의 클램프가 힌지 구조로 닫히거나 열리며 배관의 외부를 감싸 지지하거나, 배관과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클램프 중 어느 하나는 천정의 하부로 수직하게 구비된 앵커볼트에 고정된다.
그런데, 개시된 종래 배관용 행거는 내부에 배관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한 쌍의 클램프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조가 복잡하여 천정을 향해 머리를 들고 작업해야 하는 작업자의 체력적 부담이 큰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배관용 행거는 설치 작업 중에 사용자가 손으로 한 쌍의 클램프의 상단 또는 하단을 치게 되는 경우 서로 간의 결속력이 약해 쉽게 열려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렇게 열려버리면 반복해서 설치 작업을 다시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피로도가 더 증가하게 된다.
또한, 종래 배관용 행거는 배관의 무게나 하중에 의해 한 쌍의 클램프 간의 결합상태가 자연적으로 해제되어 열리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배관용 행거가 열려지면, 배관의 위치가 이탈되거나 하부로 추락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하게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한 배관용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 작업 중에 가해지는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배관용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 후 시간이 경화되더라도 배관의 지지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배관용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천정에 수직하게 구비된 앵커볼트(B)에 상단이 결합되며, 단면이 원형인 배관의 일측 반원을 감싸는 고정클램프본체(111)를 포함하는 고정클램프(110)와; 상기 고정클램프(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관의 타측 반원을 감싸는 회동클램프본체(121)의 상부에 탄성부재수용공(124)이 형성된 브래킷결합단(123)을 포함하는 회동클램프(120)와; 상기 회동클램프(120)의 상부에 결합되며, 탄성적으로 신장 및 압축되며 상기 회동클램프(120)의 상단이 상기 고정클램프(110)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도록 하는 탄성개폐부재(130)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개폐부재(130)가 상기 탄성부재수용공(124)에 수용되고, 상기 회동클램프본체(121)와 상기 고정클램프본체(111)가 상기 배관(A)의 단면 외주연 전체를 감싸는 닫힌 상태로 상기 회동클램프본체(121)가 회동되면, 상기 결합브래킷(116)이 상기 탄성부재수용공(124)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개폐부재(13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클램프(110)는, 반원형상으로 상기 배관의 일측 외주연을 감싸는 고정클램프본체(111)와; 상기 고정클램프본체(111)의 상단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앵커볼트(B)가 결합되는 너트(114)가 구비된 앵커볼트고정판(113)과; 상기 고정클램프본체(111)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클램프(120)가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클램프(120)를 지지하는 회동클램프결합단(117)과; 상기 고정클램프본체(111)의 단부에 상기 회동클램프(120)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며, 판면에 경사돌기체결공(116a)이 관통형성된 결합브래킷(116)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클램프(120)는, 상기 고정클램프본체(111)와 대향되는 방향의 반원형상의 회동클램프본체(121)와; 상기 회동클램프결합단(117)이 삽입되는 결합단삽입공(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개폐부재(130)는, 상하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압축 및 신장되며 상기 탄성부재수용공(124)에 수용되는 판스프링(131)과; 상기 판스프링(131)의 상단에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131)이 상방향으로 신장되면 상기 결합브래킷(116)의 경사돌기체결공(116a)에 삽입되어 상기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속력을 인가하는 경사돌기(133a)가 구비된 수평결합면(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브래킷결합단(123)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클램프(110)를 향해 수평하게 돌출형성된 결합리브(123a)가 구비되고, 상기 브래킷결합단(123)과 맞닿는 앵커볼트고정판(113)의 단부에는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결합리브(123a)가 삽입되는 리브삽입공(115a)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행거.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행거는 회동클램프를 작업자가 고정클램프에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 가압하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경사돌기가 탄성적으로 하강 및 상승하면서 회동클램프가 고정클램프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회동클램프가 고정클램프에 고정될 때, 경사돌기에 의해 걸림결합될 뿐만 아니라 브래킷결합단의 결합리브와 결합브래킷이 상하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교차 삽입되어 상하 위치가 구속되므로, 작업 중에 상부 또는 하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닫힌 상태의 배관용 행거를 열린 상태로 전환시킬 때에도 작업자가 손잡이를 아래로 누르는 동작만 요구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배관용 행거의 설치 및 분해를 위핸 작업 동선이 현저히 줄어들어 작업자의 체력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설치 및 분해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이 신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고 있으므로, 하부로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경사돌기가 안정적으로 경사돌기체결공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설치 작업 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배관용 행거의 지지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행거가 배관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행거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행거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행거의 회동클램프와 탄성개폐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행거가 닫혀진 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행거가 배관에 결합되는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행거(100)가 배관(A)을 지지하도록 천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행거(100)는 천정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앵커볼트(B)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클램프(110)와, 고정클램프(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클램프(110)에 개폐되는 회동클램프(120)와, 회동클램프(120)에 결합되어 회동클램프(120)와 고정클램프(110)를 결합 또는 결합해제시키는 탄성개폐부재(1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배관용 행거(100)는 탄성개폐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작업자가 회동클램프(120)를 고정클램프(110)에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작만으로 회동클램프(120)가 고정클램프(110)에 닫힌 상태로 결합되고, 탄성개폐부재(130)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회동클램프(120)를 고정클램프(110)로부터 분리하여 열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동선과 작업시간이 현저히 짧아질 수 있으며, 회동클램프(120)와 고정클램프(110)가 탄성개폐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명에 앞서 열린 상태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클램프(120)의 상단이 고정클램프(110)의 상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닫힌 상태는 도 2와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클램프(120)의 상단이 고정클램프(110)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를 말한다. 열린 상태에서 고정클램프(110)와 회동클램프(120) 사이로 배관(A)를 삽입하거나 분리하고, 고정 상태에서 배관(A)를 지지한다.
도 2는 배관용 행거(100)의 닫힌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배관용 행거(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배관용 행거(100)는 고정클램프(110)와 회동클램프(120)가 서로 배관(A)의 외주연을 감싸 배관(A)을 지지한다. 배관(A)은 통상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클램프(110)와 회동클램프(120)는 이에 대응되게 각각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경우에 따라 배관(A)의 단면이 사각형이거나 다각형인 경우 고정클램프(110)와 회동클램프(120)는 단면의 절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클램프(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에 고정설치된 앵커볼트(B)에 고정결합되어 배관용 행거(100)의 위치가 천정에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클램프(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형 형상으로 배관(A)의 단면형상에 대해 일측 외주연을 감싸는 고정클램프본체(111)와, 고정클램프본체(111)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앵커볼트고정판(113)과, 앵커볼트고정판(113)에 고정되며 앵커볼트(B)와 결합되는 너트(114)와, 앵커볼트고정판(113)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지지판(115)과, 수직지지판(115)에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탄성개폐부재(130)와 결합되는 결합브래킷(116)을 포함한다.
고정클램프본체(111)는 일정 폭을 갖는 판상 재질로 반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고정클램프본체(111)의 내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A)의 외경에 대응되거나 일정 길이 크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배관(A)이 고정클램프(110)와 회동클램프(120)에 의해 형성되는 원 내부에 수용지지된다.
고정클램프본체(111)의 판면에는 복수개의 제1경량공(112)이 형성된다. 제1경량공(112)은 고정클램프본체(111)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클램프본체(111)의 상단은 앵커볼트고정판(113)의 연결판(113a)과 연결되고, 하단은 회동클램프결합단(117)과 연결된다. 고정클램프(110)는 너트(114)를 제외하고 일체로 제조된다.
본 고안의 배관용 행거(100)는 천정에 배관(A)이 이동되는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배관(A)을 지지하여 배관(A)의 처짐과 이탈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고정클램프본체(111)는 배관(A)의 무게를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과 두께 및 폭으로 설계된다. 배관(A)의 사용목적과 종류에 따라 고정클램프본체(111)의 규격은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앵커볼트고정판(113)은 고정클램프본체(111)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너트(114)와 결합된다. 앵커볼트고정판(113)은 연결판(113a)에 의해 고정클램프본체(111)에 연장형성된다. 앵커볼트고정판(113)의 가운데 영역에는 너트(114)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너트(1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에 고정된 앵커볼트(B)에 나사결합되어 배관용 행거(100)의 위치를 고정한다.
작업자는 배관용 행거(100)의 설치를 위해 앵커볼트고정판(113)의 너트(114)가 앵커볼트(B)와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앵커볼트고정판(113)을 회전시켜 너트(114)를 앵커볼트(B)에 결합시킨다.
수직지지판(115)은 앵커볼트고정판(113)의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된다. 수직지지판(115)은 닫힌 상태에서 회동클램프(120)의 브래킷결합단(123)을 접촉지지하여 회동클램프(120)의 최대 회동각도를 제한한다.
수직지지판(115)과 앵커볼트고정판(113)의 경계영역에는 리브삽입공(115a)이 관통형성된다. 리브삽입공(115a)은 회동클램프(120)가 닫혀질 때, 회동클램프(120)의 브래킷결합단(123)에 형성된 결합리브(123a)가 삽입된다.
결합리브(123a)가 리브삽입공(115a)에 삽입됨에 따라 회동클램프(120)가 틀어지지 않고 정확한 위치로 고정클램프(110)에 결합될 수 있다. 리브삽입공(115a)은 결합리브(123a)의 폭과 높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관통형성된다.
결합브래킷(116)은 수직지지판(115)의 하단에 회동클램프(120)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결합브래킷(116)은 회동클램프(120)가 닫혀질 때, 브래킷결합단(123)의 탄성부재수용공(124)으로 삽입되어 탄성개폐부재(130)와 결합된다. 결합브래킷(116)이 탄성개폐부재(130)와 결합되는 과정에 의해 고정클램프(110)와 회동클램프(120)의 닫힌 상태가 구속될 수 있다.
결합브래킷(116)의 내부에는 탄성개폐부재(130)의 경사돌기(133a)가 삽입되는 경사돌기체결공(116a)이 관통형성된다. 경사돌기체결공(116a)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 탄성개폐부재(130)의 경사돌기(133a)가 삽입된다. 경사돌기(133a)가 경사돌기체결공(116a)에 삽입되어 결합브래킷(116)이 탄성개폐부재(130)에 위치가 구속된다. 이에 의해 배관용 행거(100)의 닫혀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합브래킷(116)의 선단(116b)은 탄성부재수용공(124)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양측이 내측으로 절단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즉, 결합브래킷(116)의 폭(W1) 보다 선단(116b)의 폭(W2)이 더 좁게 형성되어 탄성부재수용공(124)으로 삽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회동클램프결합단(117)은 회동클램프(120)의 결합단삽입공(126)과 결합되어 회동클램프(120)가 고정클램프(110)에 대해 회동되도록 지지한다.
종래 배관용 행거는 힌지에 의해 한 쌍의 클램프가 회동되게 작동되었다. 그러나, 힌지가 배관의 무게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면서 닫힌 상태가 해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배관용 행거(100)는 힌지 없이 회동클램프결합단(117)과 결합단삽입공(126)의 물리적인 결합에 의해 배관의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안정적으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한다.
회동클램프결합단(117)은 고정클램프본체(111)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며 결합단삽입공(126)에 삽입되는 연결벤딩암(117a)과, 연결벤딩암(117a)의 단부에 결합되어 결합단삽입공(126)에 겹쳐지는 회동지지날개(117b)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벤딩암(117a)은 고정클램프본체(11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후 일정 각도 경사지게 내측으로 절곡되어 회동클램프(120)의 결합단삽입공(126)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회동지지날개(117b)는 결합단삽입공(126)의 내측에서 회동클램프본체(121)와 겹쳐져 회동클램프(120)가 회동되도록 회동축 역할을 한다.
회동지지날개(117b)의 폭(W4)은 연결벤딩암(117a)의 폭(W3) 보다 넓게 형성된다. 또한, 결합단삽입공(126)의 폭(W8)은 연결벤딩암(117a)의 폭(W3) 보다는 크고 회동지지날개(117b)의 폭(W4) 보다는 좁게 형성된다.
배관용 행거(100)의 조립시 작업자는 회동클램프(120)를 기울여 결합단삽입공(126)의 내부로 회동지지날개(117b)를 삽입한다. 회동지지날개(117b)가 회동클램프본체(12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회동지지날개(117b)의 폭이 결합단삽입공(126)의 폭보다 좁아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 때, 회동지지날개(117b)의 결합단삽입공(126)으로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도록, 결합단삽입공(126)의 상부에는 결합슬릿(126a)이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클램프결합단(117)이 결합단삽입공(126)에 삽입되면, 도 6의 (b)와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클램프(120)가 회동지지날개(117b)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 때, 회동클램프(120)의 최대 개방 각도는 연결벤딩암(117a)의 경사각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회동클램프(120)는 고정클램프(110)에 회동되며 배관용 행거(100)가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로 전환되며 배관(A)를 지지하거나 분리되게 한다.
회동클램프(120)는 고정클램프본체(111)와 대향되는 방향의 반원형상을 갖는 회동클램프본체(121)와, 회동클램프본체(121)의 상단에 구비되어 결합브래킷(116)과 결합되는 브래킷결합단(123)을 포함한다.
회동클램프본체(121)는 배관(A)의 외주연을 감싸는 반원형태로 형성된다. 회동클램프본체(121)는 고정클램프본체(111)와 동일한 외경을 갖게 형성된다. 회동클램프본체(121)의 판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2경량공(122)이 형성된다.
회동클램프본체(121)의 상단은 브래킷결합단(123)과 일체로 연결된다. 회동클램프본체(121)의 하단에는 앞서 설명한 결합단삽입공(126)이 관통 형성되어 회동클램프결합단(117)에 회동클램프본체(121)가 회동될 수 있게 한다.
브래킷결합단(123)은 회동클램프본체(121)의 상단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탄성개폐부재(130)를 내부에 수용하며 결합브래킷(116)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브래킷결합단(123)은 닫힌 상태에서 수직지지판(115)에 접촉 지지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브래킷결합단(123)의 상단에는 결합브래킷(116)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결합리브(123a)가 구비된다.
결합리브(123a)는 고정클램프(110)에 회동클램프(120)가 닫혀질 때, 수직지지판(115)의 리브삽입공(115a)으로 삽입되어 결합 방향을 안내한다. 또한, 결합리브(123a)가 리브삽입공(115a)에 삽입되어 상하로 위치가 구속됨에 따라 배관용 행거(100)의 설치 작업 중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결합리브(123a)의 내부에는 탄성부재수용공(124)이 일정 면적 관통형성된다.
도 4는 회동클램프(120)에 탄성개폐부재(13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닫힌 상태에서 배관용 행거(10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수용공(124)에는 탄성개폐부재(130)가 수용되고, 회동클램프(120)가 고정클램프(110)에 결합되면 탄성개폐부재(130)의 상부로 결합브래킷(116)이 삽입된다.
탄성부재수용공(124)은 탄성개폐부재(130)의 판스프링(131)이 일정높이(h1)로 수용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수용공(124)에 탄성개폐부재(130)가 수용될 때, 판스프링(131)이 신장되어 결합브래킷(116)이 삽입될 공간(d)이 확보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부재수용공(124)을 형성하는 내벽면의 상단에는 판스프링높이제한돌기(124a)가 구비된다.
판스프링높이제한돌기(124a)는 탄성부재수용공(124)의 상단 양측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판스프링높이제한돌기(124a)에 의해 탄성부재수용공(124)의 상단의 폭(W5)은 판스프링(131)의 폭보다 좁아지므로 판스프링(131)이 판스프링높이제한돌기(124a)에 걸려 탄성적으로 신장되는 높이가 제한된다. 이에 의해 탄성부재수용공(124)의 상단에 결합브래킷(116)이 삽입될 공간(d)이 항상 비어 있게 된다.
또한, 판스프링높이제한돌기(124a)에 걸려 판스프링(131)이 초기 상태로 신장되지 못하므로 판스프링(131)은 초기 상태로 신장되기 위해 상부방향으로 계속하여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한편, 탄성부재수용공(124)의 일측 내벽면에는 판스프링(131)이 탄성적으로 압축 및 신장될 때 판스프링(13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라인(124b)이 일정길이 형성된다. 가이드라인(124b)은 내측을 향해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탄성부재수용공(124)은 결합브래킷(116)이 삽입되는 상단의 폭(W5)과, 가이드라인(124b)이 형성된 중간영역의 폭(W6)과, 하부영역의 폭(W7)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W5<W6<W7).
상단의 폭(W5)은 판스프링(131)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고, 중간부분의 폭(W6)은 판스프링(131)의 폭 보다 약간의 여유가 있게 형성되고, 하부의 폭(W7)은 판스프링(131)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가이드라인(124b)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131)의 가이드홈(133b)이 삽입된다. 가이드홈(133b)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라인(124b)이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판스프링(131)이 압축되거나 신장되며 높이가 조절된다. 가이드라인(124b)에 가이드홈(133b)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판스프링(131)이 높이조절 과정에서 가이드라인(124b)을 따라 이동되므로 탄성부재수용공(124)의 외부로 판스프링(13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라인(124b)이 탄성부재수용공(124)의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은 탄성부재수용공(124)에 판스프링(131)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탄성부재수용공(124)의 하부에는 수직하게 돌출된 판스프링끼움돌기(124c)가 구비된다. 판스프링끼움돌기(124c)가 판스프링(131)의 관통공(131a)에 삽입되어 판스프링(131)이 탄성부재수용공(124)에 위치가 고정된다.
이렇게 판스프링(131)을 판스프링끼움돌기(124c)에 끼우는 조립과정에서 가이드라인(124b)이 탄성부재수용공(124)의 양측에 형성되어 중간부분의 폭(W6)이 판스프링(131)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되면 판스프링(131)을 판스프링끼움돌기(124c)에 끼우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중간영역의 폭(W6)이 판스프링(131)을 판스프링끼움돌기(124c)에 조립할 수 있는 최소 여유공간이 형성되도록 탄성부재수용공(124)의 일측에만 가이드라인(124b)을 형성한다.
한편, 브래킷결합단(123)의 하부에는 탄성부재고정버튼(125)이 돌출형성된다. 탄성부재고정버튼(125)은 원형의 관형태로 일정 높이 돌출형성되고, 탄성개폐부재(130)의 버튼수용공(137a)에 끼워진다.
탄성개폐부재(130)는 판스프링끼움돌기(124c)와 탄성부재고정버튼(125)에 동시에 끼움결합되어 회동클램프(120)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탄성개폐부재(130)는 회동클램프(120)에 결합되어 회동클램프(120)가 고정클램프(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탄성개폐부재(130)는 C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판스프링(131)과, 판스프링(131)의 상단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평결합면(133)과, 판스프링(131)의 하단에 수직하게 형성된 하부지지면(137)을 포함한다.
판스프링(131)은 접혀지게 구비되어 상부판과 하부판이 탄성적으로 높이가 조절되게 구비된다. 판스프링(131)은 탄성부재수용공(124)에 수용된 상태로 높이가 유지되거나 압축되며 탄성적으로 높이가 조절된다. 판스프링(13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131a)이 관통 형성된다. 관통공(131a)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수용공(124)의 판스프링높이제한돌기(124a)가 삽입된다.
판스프링(131)의 상부판의 일측 외주연에는 내측방향으로 일정 깊이 가이드홈(133b)이 함몰 형성된다. 가이드홈(133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수용공(124)의 가이드홈(133b)에 끼움결합되어 판스프링(131)의 높이조절시 판스프링(131)의 위치이탈을 방지한다.
수평결합면(133)은 판스프링(131)의 상단에 수평하게 일정면적 연장형성된다. 수평결합면(13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다. 수평결합면(133)의 판면에는 경사돌기(133a)가 상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수평결합면(133)의 단부에는 작업자가 힘을 가하는 손잡이(135)가 구비된다.
경사돌기(133a)는 회동클램프(120)가 고정클램프(110)에 결합될 때, 탄성부재수용공(124)으로 삽입된 결합브래킷(116)의 경사돌기체결공(116a)에 삽입되어 고정클램프(110)와 회동클램프(120)의 닫힌 상태가 구속되도록 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클램프(12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램프(11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 탄성부재수용공(124)의 상단으로 결합브래킷(116)이 삽입된다. 결합브래킷(116)의 삽입되면서 수평결합면(133)의 경사돌기(133a)를 아래로 가압한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결합단(123)이 수직지지판(115)과 맞닿고 결합브래킷(116)의 삽입이 완료되면, 경사돌기(133a)가 경사돌기체결공(116a)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경사돌기(133a)를 아래로 가압하던 가압력이 해소되므로, 경사돌기(133a)는 탄성적으로 초기 위치로 상승하며 경사돌기체결공(116a)에 끼워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돌기(133a)가 경사돌기체결공(116a) 내부에 경사지게 끼워지면서 결합브래킷(116)을 브래킷결합단(123) 내부에 구속시킨다. 이에 의해 고정클램프(110)에 회동클램프(120)가 결합된 닫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판스프링(131)은 판스프링높이제한돌기(124a)에 의해 초기 상태로 신장되지 못하고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로 탄성부재수용공(124)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판스프링(131)은 항상 초기상태로 신장되기 위해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경사돌기(133a)가 경사돌기체결공(116a)에 체결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판스프링(131)이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게 되므로 경사돌기(133a)가 경사돌기체결공(116a)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하므로, 고정클램프(110)와 회동클램프(12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고정클램프(110)에 결합된 회동클램프(120)를 열어야 하는 경우, 작업자는 손잡이(135)를 아래로 내리는 방향으로 손잡이(135)에 힘(P)을 가한다. 이에 의해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35)와 수평결합면(133)이 아래로 가압되고, 판스프링(131)은 제1높이(h1)에서 압축되어 제2높이(h2)로 낮아진다.
판스프링(131)과 수평결합면(133)이 하강되면서 경사돌기체결공(116a)에 끼워져 있던 경사돌기(133a)도 하강되며 경사돌기체결공(116a)으로부터 분리된다. 경사돌기(133a)가 분리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회동클램프(120)를 고정클램프(110)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배관용 행거(100)가 열린상태로 전환된다.
판스프링(131)의 하부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하부지지면(137)이 일정면적 형성된다. 하부지지면(137)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결합단(123)에 고정되어 탄성개폐부재(1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하부지지면(137)에는 버튼수용공(137a)이 관통형성된다. 버튼수용공(137a)에는 탄성부재고정버튼(125)이 억지끼움되어 탄성개폐부재(130)를 회동클램프(12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배관용 행거(100)가 배관(A)을 지지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배관용 행거(100)의 조립을 위해 회동클램프(120)에 탄성개폐부재(130)를 결합시킨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클램프(120)의 탄성부재수용공(124)에 탄성개폐부재(130)를 결합시킨다. 판스프링(131)의 가이드홈(133b)이 가이드라인(124b)에 끼워지게 판스프링(131)을 탄성부재수용공(124)으로 삽입하고, 판스프링(131)의 관통공(131a)에 판스프링끼움돌기(124c)를 끼운다. 그리고, 하부지지면(137)의 버튼수용공(137a)에 탄성부재고정버튼(125)을 끼워 회동클램프(120)와 탄성개폐부재(130)의 결합을 완료한다.
회동클램프(120)의 결합단삽입공(126)에 고정클램프(110)의 회동지지날개(117b)를 비스듬하게 삽입하여 회동클램프결합단(117)을 결합한다.
배관용 행거(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사다리 등을 이용해 배관용 행거(100)가 설치될 천정 아래로 이동한다. 이 때, 천정에는 미리 앵커볼트(B)가 수직하게 설치된다.
고정클램프(110)의 앵커볼트고정판(113)에 형성된 너트(114)에 앵커볼트(B)를 나사결합하여 고정클램프(110)를 앵커볼트(B)에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회동클램프(120)를 최대한 열어 고정클램프본체(111)와 회동클램프본체(121) 내부에 배관(A)을 삽입한다. 그리고,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클램프(120)를 고정클램프(110) 측으로 회동시킨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결합단(123)의 결합리브(123a)가 수직지지판(115)의 리브삽입공(115a)에 삽입되고, 결합브래킷(116)이 탄성부재수용공(124)의 상부로 삽입된다.
결합브래킷(116)이 탄성부재수용공(124)으로 삽입되는 압력에 의해 경사돌기(133a)가 하부로 가압되고, 결합브래킷(116)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돌기(133a)는 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며 결합브래킷(116)의 경사돌기체결공(116a)에 삽입된다.
경사돌기(133a)가 경사돌기체결공(116a)에 삽입되면서 회동클램프(120)와 고정클램프(110)의 결합이 완료된다.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돌기(133a)가 결합브래킷(116)의 경사돌기체결공(116a)에 삽입되어 결합브래킷(116)의 이동을 저지하므로 회동클램프(120)와 고정클램프(110)의 결합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관(A)가 배관용 행거(100) 내부에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배관(A)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 배관용 행거(100)로부터 배관(A)을 분리해야 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잡이(135)가 아래로 향하는 방향으로 힘(P)을 인가한다.
이에 의해 수평결합면(133)이 하강되고 판스프링(131)이 압축되면서 경사돌기(133a)가 경사돌기체결공(116a)으로부터 분리된다. 경사돌기(133a)가 분리됨에 따라 회동클램프(120)와 고정클램프(110)간의 구속력이 해제되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클램프(120)를 열린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행거는 회동클램프를 작업자가 고정클램프에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 가압하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경사돌기가 탄성적으로 하강 및 상승하면서 회동클램프가 고정클램프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닫힌 상태의 배관용 행거를 열린 상태로 전환시킬 때에도 작업자가 손잡이를 아래로 누르는 동작만 요구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배관용 행거의 설치 및 분해를 위핸 작업 동선이 현저히 줄어들어 작업자의 체력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설치 및 분해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이 신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고 있으므로, 하부로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경사돌기가 안정적으로 경사돌기체결공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설치 작업 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배관용 행거의 지지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배관용 행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배관용 행거 110 : 고정클램프
111 : 고정클램프본체 112 : 제1경량공
113 : 앵커볼트고정판 113a : 연결판
114 : 너트 115 : 수직지지판
115a : 리브삽입공 116 : 결합브래킷
116a : 경사돌기체결공 116b : 선단
117 : 회동클램프결합단 117a : 연결벤딩암
117b : 회동지지날개 120 : 회동클램프
121 : 회동클램프본체 122 : 제2경량공
123 : 브래킷결합단 123a : 결합리브
124 : 탄성부재수용공 124a : 판스프링높이제한돌기
124b : 가이드라인 124c : 판스프링끼움돌기
125 : 탄성부재고정버튼 126 : 결합단삽입공
126a : 결합슬릿 130 : 탄성개폐부재
131 : 판스프링 131a : 관통공
133 : 수평결합면 133a : 경사돌기
133b : 가이드홈 135 : 손잡이
137 : 하부지지면 137a : 버튼수용공
A : 배관
B : 앵커볼트

Claims (4)

  1. 천정에 수직하게 구비된 앵커볼트(B)에 상단이 결합되며, 단면이 원형인 배관의 일측 반원을 감싸는 고정클램프본체(111)를 포함하는 고정클램프(110)와;
    상기 고정클램프(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관의 타측 반원을 감싸는 회동클램프본체(121)의 상부에 탄성부재수용공(124)이 형성된 브래킷결합단(123)을 포함하는 회동클램프(120)와;
    상기 회동클램프(120)의 상부에 결합되며, 탄성적으로 신장 및 압축되며 상기 회동클램프(120)의 상단이 상기 고정클램프(110)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도록 하는 탄성개폐부재(130)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개폐부재(130)가 상기 탄성부재수용공(124)에 수용되고,
    상기 회동클램프본체(121)와 상기 고정클램프본체(111)가 상기 배관(A)의 단면 외주연 전체를 감싸는 닫힌 상태로 상기 회동클램프본체(121)가 회동되면, 상기 고정클램프(110)의 단부에 상기 회동클램프(120)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는 결합브래킷(116)이 상기 탄성부재수용공(124)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개폐부재(13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프(110)는,
    반원형상으로 상기 배관의 일측 외주연을 감싸는 고정클램프본체(111)와;
    상기 고정클램프본체(111)의 상단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앵커볼트(B)가 결합되는 너트(114)가 구비된 앵커볼트고정판(113)과;
    상기 고정클램프본체(111)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클램프(120)가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클램프(120)를 지지하는 회동클램프결합단(117)과;
    판면에 경사돌기체결공(116a)이 관통형성된 을결합브래킷(116);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클램프(120)는,
    상기 고정클램프본체(111)와 대향되는 방향의 반원형상의 회동클램프본체(121)와;
    상기 회동클램프결합단(117)이 삽입되는 결합단삽입공(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행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개폐부재(130)는,
    상하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압축 및 신장되며 상기 탄성부재수용공(124)에 수용되는 판스프링(131)과;
    상기 판스프링(131)의 상단에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131)이 상방향으로 신장되면 상기 결합브래킷(116)의 경사돌기체결공(116a)에 삽입되어 상기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속력을 인가하는 경사돌기(133a)가 구비된 수평결합면(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행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결합단(123)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클램프(110)를 향해 수평하게 돌출형성된 결합리브(123a)가 구비되고,
    상기 브래킷결합단(123)과 맞닿는 앵커볼트고정판(113)의 단부에는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결합리브(123a)가 삽입되는 리브삽입공(115a)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행거.
KR2020190003599U 2019-08-30 2019-08-30 배관용 행거 KR200491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599U KR200491973Y1 (ko) 2019-08-30 2019-08-30 배관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599U KR200491973Y1 (ko) 2019-08-30 2019-08-30 배관용 행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331A Division KR20190046476A (ko) 2017-10-26 2017-10-26 배관용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24U true KR20190002624U (ko) 2019-10-21
KR200491973Y1 KR200491973Y1 (ko) 2020-07-08

Family

ID=6838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599U KR200491973Y1 (ko) 2019-08-30 2019-08-30 배관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9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407A (ko) * 2021-11-24 2023-05-31 대일강업주식회사 파이프 행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17Y1 (ko) * 2010-01-15 2010-06-07 최규섭 배관용 원터치 행거
KR20100010367U (ko) * 2009-04-14 2010-10-22 구성회 천정 배관용 행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367U (ko) * 2009-04-14 2010-10-22 구성회 천정 배관용 행거
KR200448917Y1 (ko) * 2010-01-15 2010-06-07 최규섭 배관용 원터치 행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407A (ko) * 2021-11-24 2023-05-31 대일강업주식회사 파이프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973Y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6476A (ko) 배관용 행거
JP6396348B2 (ja) 天吊り用部材
KR20190002624U (ko) 배관용 행거
KR101833513B1 (ko) 천장용 조명장치의 설치구조
KR100926329B1 (ko) 배관용 행거 클램프
JP6973013B2 (ja) ブローアウト装置
JP2010065506A (ja) スレート葺屋根における新設屋根材取付方法及び取付け作業器
KR100695784B1 (ko) 전력선 가선 기구 교체장치
JP6861436B2 (ja) 足場用仮設扉
KR20180106838A (ko)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
KR20190002968A (ko) 슬라이딩 도어용 피봇홀더 선택 설치형 연동장치
KR200415653Y1 (ko) 천정구조물 지지용 브래킷
JP6863148B2 (ja) 外壁パネル高さ調整具
CN210106756U (zh) 管道套管安装固定装置
JP2972519B2 (ja) 落下物養生装置
KR200191203Y1 (ko) 천정 구조물 지지체용 행거
KR20150003850U (ko) 생명줄 고정장치
KR101880406B1 (ko)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JP5943612B2 (ja) 天井埋込み型空気調和機
KR20210081938A (ko)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
KR20110000695U (ko) 점검구 도어 힌지
KR200495064Y1 (ko) 창문형 에어컨 지지장치
KR100402318B1 (ko)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US11680831B2 (en) Laser lowering device
JP7455422B2 (ja) 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