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838A -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 - Google Patents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838A
KR20180106838A KR1020170176518A KR20170176518A KR20180106838A KR 20180106838 A KR20180106838 A KR 20180106838A KR 1020170176518 A KR1020170176518 A KR 1020170176518A KR 20170176518 A KR20170176518 A KR 20170176518A KR 20180106838 A KR20180106838 A KR 20180106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m
handrail
support
present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주
Original Assignee
김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주 filed Critical 김원주
Priority to KR102017017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6838A/ko
Publication of KR20180106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에 관한 것으로, 제 1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제 1서포트빔, 제 2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제 2서포트빔, 및 제 1핸드레일에 대해 제 2핸드레일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제 1서포트빔과 제 2서포트빔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교량 점검시설용 난간의 코너 부위에서 이웃한 핸드레일 각각을 연결하는 한 쌍의 서포트빔을 힌지 연결함으로써 핸드레일의 각도를 용이하게 설정 가능함에 따라 설치 작업성의 증대 및 공사기간의 단축을 실현할 수 있고, 핸드레일을 각각을 서포트빔에 견고하게 고정 연결함으로써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포스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FOOT PLATE STRUCTURE FOR BRIDGE CHECK SYSTEM}
본 발명은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점검시설용 난간의 코너 부위에서 이웃한 핸드레일 각각을 연결하는 한 쌍의 서포트빔을 힌지 연결함으로써 핸드레일의 각도를 용이하게 설정 가능함에 따라 설치 작업성의 증대 및 공사기간의 단축을 실현할 수 있고, 핸드레일을 각각을 서포트빔에 견고하게 고정 연결함으로써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포스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교량을 유지관리하고 보수하기 위하여 교량점검대가 설치된다.
기존의 교량점검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교각에 앵커볼트를 미리 설치한 뒤, 이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앵글을 고정시킨 다음, 앵글의 상부에 점검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발판 및 난간을 설치하였다.
그런데, 기존의 교량점검대는 교각에 고정되는 앵글의 크기와 중량이 크기 때문에 취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앵커볼트가 설치된 정위치에 앵글을 고정시키기가 매우 어려워 설치작업에 따른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장마철에 교량점검대까지 수위가 높아질 경우에 각종 부유물 및 빠른 유속으로 인한 변형 및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교량점검대의 해체 및 재설치가 불가피하나 이 경우, 교각에 설치된 앵글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다수의 너트를 앵커볼트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므로 해체작업 및 재설치 작업이 번거롭다.
아울러, 교량점검대가 지상으로부터 높은곳에 위치되는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특성상, 설치가 어려울수록 작업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대된다.
최근에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180279호에서와 같이 교각 주변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의 단부에 수직으로 핸드레일을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상하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구멍을 형성한 핸드레일 포스트와, 고정브라켓 상부에 안착 결합되어지는 발판으로 구성되며, 발판 상호간 연결부위에는 이음판이 결합 구성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교량 점검시설은 포스트에 핸드레일을 삽입하여 제작하는데, 방향 전환되는 코너(corner) 부위를 위해 핸드레일을 현장에서 굽힘 각도에 맞게 굽힘 성형 가공함에 따라 설치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굽혀지는 핸드레일로 인해 포스트의 설치 개수가 증가함으로써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 점검시설용 난간의 코너 부위에서 이웃한 핸드레일 각각을 연결하는 한 쌍의 서포트빔을 힌지 연결함으로써 이웃한 핸드레일의 벌어짐 각도를 용이하게 설정 가능함에 따라 기존에 핸드레일을 굽혀서 벌어짐 각도 조절 후 설치하는 방식 대비 설치 작업성의 증대 및 공사기간의 단축을 실현하고자 하는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핸드레일을 각각을 대응되는 서포트빔에 견고하게 고정 연결함으로써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포스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설치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은: 제 1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제 1서포트빔; 제 2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제 2서포트빔; 및 상기 제 1핸드레일에 대해 상기 제 2핸드레일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서포트빔과 상기 제 2서포트빔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서포트빔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서포트빔의 축 방향으로 제 1끼움부를 형성하는 제 1리브; 상기 제 2서포트빔에 구비되고, 상기 제 1끼움부와 일치되는 제 2끼움부를 형성하는 제 2리브; 및 상기 제 1끼움부와 상기 제 2끼움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서포트빔과 상기 제 2서포트빔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피벗핀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서포트빔은 상기 힌지부의 노출을 막기 위해 제 1커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서포트빔은 상기 제 1커버부재와 겹치도록 제 2커버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서포트빔과 상기 제 2서포트빔은 각각 보강브라켓을 연결하고, 상기 보강브라켓 각각은 바닥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서포트빔과 상기 제 2서포트빔은 수용부를 함몰 형성하고, 상기 보강브라켓 각각은 대응되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 1서포트빔 또는 상기 제 2서포트빔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리브와 상기 제 2리브는 다른 굵기의 상기 피벗핀을 축 삽입 허용하도록 축 방향을 따라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벗핀은 상기 제 1리브와 상기 제 2리브의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서포트빔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서포트빔의 축 방향으로 제 1끼움부를 형성하며, 축 방향을 따라 둘레면에 제 1절개부를 형성하는 제 1리브; 및 상기 제 2서포트빔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끼움부에 축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제 1절개부에 끼움됨으로써 상기 제 1서포트빔과 상기 제 2서포트빔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피벗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은 종래 기술과 달리 내교량 점검시설용 난간의 코너 부위에서 이웃한 핸드레일 각각을 연결하는 한 쌍의 서포트빔을 힌지 연결함으로써 이웃한 핸드레일의 벌어짐 각도를 용이하게 설정 가능함에 따라 기존에 핸드레일을 굽혀서 벌어짐 각도 조절 후 설치하는 방식 대비 설치 작업성의 증대 및 공사기간의 단축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핸드레일을 각각을 대응되는 서포트빔에 견고하게 고정 연결함으로써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포스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난간의 핸드레일과 서포트빔의 연결관계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난간의 핸드레일과 서포트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의 저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난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난간의 보강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난간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난간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난간의 핸드레일과 서포트빔의 연결관계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난간의 핸드레일과 서포트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의 저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난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난간의 보강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난간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10)은 교량의 구조물(2)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 1서포트빔(110)과 제 2서포트빔(120) 및 힌지부(200)를 포함한다.
특히, 구조물(2)은 일부 둘레면에 복수 개의 고정브라켓(20)이 설치된다. 그리고, 바닥판(30)이 고정브라켓(20)에 놓여진 채 상호 결속된다. 그래서, 작업자는 바닥판(30)을 따라 이동하면서 교량 하측을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작업자가 바닥판(3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브라켓(20) 각각은 포스트(40)를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한다. 이때, 포스트(4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조물(2)의 일측에 배치되는 포스트(40)는 제 1핸드레일(52)을 지지한다. 이때, 제 1핸드레일(52)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바닥판(30)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구조물(2)의 타측에 배치되는 포스트(40)는 제 2핸드레일(54)을 지지한다. 제 2핸드레일(54)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바닥판(30)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 1핸드레일(52)과 제 2핸드레일(54)은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되고, 단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 1핸드레일(52)은 대응되는 포스트(40)에 다양한 방식으로 지지되고, 제 2핸드레일(54)은 대응되는 포스트(40)에 다양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한편, 제 1서포트빔(110)은 제 1핸드레일(52)을 지지한다. 특히, 제 1서포트빔(110)은 제 1핸드레일(52)의 제 2핸드레일(54) 측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아울러, 제 2서포트빔(120)은 제 2핸드레일(54)의 제 1핸드레일(52) 측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특히, 제 1서포트빔(110)과 제 2서포트빔(120)은 대응되는 제 1핸드레일(52)과 제 2핸드레일(54)의 벌어짐 각도를 설정 가능하도록 힌지부(200)에 의해 연결된다.
즉, 힌지부(200)는 제 1핸드레일(52)에 대해 제 2핸드레일(54)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제 1서포트빔(110)과 제 2서포트빔(120)을 힌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1핸드레일(52)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 1서포트빔(110)에 연결 고정될 수 있고, 제 2핸드레일(54)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 2서포트빔(120)에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예로서, 제 1서포트빔(110)은 제 1핸드레일(52)의 단부 측으로 제 1수용부(114)를 함몰 형성한다. 이때, 제 1수용부(114)는 제 1서포트빔(11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함몰 형성된다.
그래서, 제 1핸드레일(52) 각각은 일측 가장자리가 제 1수용부(114)에 수용된 상태로 제 1고정연결부재(112)에 의해 제 1서포트빔(110)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특히, 제 1핸드레일(52)의 가장자리가 제 1수용부(114)에 수용된 채 제 1서포트빔(11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연결 부위의 매립으로 인해,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고정연결부재(112)는 볼트와 너트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 2핸드레일(54) 각각은 일측 가장자리가 제 2수용부(114)에 수용된 상태로 제 2고정연결부재(122)에 의해 제 2서포트빔(120)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여기서, 제 1고정연결부재(112)는 볼트와 너트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제 1핸드레일(52)과 제 2핸드레일(54)은 대응되는 포스트(40)에 연결 지지되며, 포스트(40)는 구조물(2)에 연결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0) 각각에 지지됨으로써, 제 1핸드레일(52)을 지지하는 제 1서포트빔(110)의 지지력이 저감되고, 제 2핸드레일(54)을 지지하는 제 2서포트빔(120)의 지지력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힌지부(200)는 제 1리브(210), 제 2리브(220) 및 피벗핀(230)을 포함한다.
제 1리브(210)는 제 2서포트빔(120)을 향하는 제 1서포트빔(110)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 1서포트빔(110)의 축 방향으로 제 1끼움부(212)를 형성한다.
아울러, 제 2리브(220)는 제 2서포트빔(120)에 구비되고, 제 1끼움부(212)와 일치되는 제 2끼움부(222)를 형성한다.
이때, 제 1리브(210)가 제 2리브(220)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제 2리브(220)가 제 1리브(210)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구조물(2)의 일측에 배치되는 포스트(40)는 제 1핸드레일(52)을 지지하고, 제 1핸드레일(52)은 제 1서포트빔(110)을 지지한다.
그리고, 구조물(2)의 타측에 배치되는 포스트(40)는 제 2핸드레일(54)을 지지하고, 제 2핸드레일(54)은 제 2서포트빔(120)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 1리브(210)가 제 2리브(220)에 지지되거나, 또는 제 2리브(220)가 제 1리브(210)에 지지됨으로써, 제 1서포트빔(110)과 제 2서포트빔(120)은 하측으로 처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피벗핀(230)은 일치되는 제 1끼움부(212)와 제 2끼움부(222)에 축 삽입됨으로써 제 1서포트빔(110)과 제 2서포트빔(120)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제 1서포트빔(110)과 제 2서포트빔(120)은 피벗핀(230)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된다. 특히, 제 1서포트빔(110)과 제 2서포트빔(120)이 피벗핀(230)을 기준으로 충분히 회동 가능하도록, 제 1리브(210)는 제 1서포트빔(11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제 2리브(220)는 제 2서포트빔(12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피벗핀(230)은 제 1리브(210)와 제 2리브(220)의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측에 헤드부(232)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헤드부(2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제 1리브(210)는 서로 다른 굵기의 피벗핀(230)을 축 삽입 허용하도록 축 방향을 따라 제 1절개부(214)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 1절개부(214)를 통해, 피벗핀(230)은 제 1절개부(214)의 개방측으로 제 1끼움부(212)에 삽입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 2리브(220)는 서로 다른 굵기의 피벗핀(230)을 축 삽입 허용하도록 축 방향을 따라 제 2절개부(224)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 2절개부(224)를 통해, 피벗핀(230)은 제 2절개부(224)의 개방측으로 제 2끼움부(222)에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제 1서포트빔(110)은 힌지부(200)의 노출을 막기 위해 제 1커버부재(242)를 구비할 수 있고, 제 2서포트빔(120)은 제 1커버부재(242)와 겹치도록 제 2커버부재(244)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제 1커버부재(242)는 제 1서포트빔(110)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제 2커버부재(244)는 제 2서포트빔(120)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제 1커버부재(242)는 제 1곡면(243)을 형성하고, 제 2커버부재(244)는 제 2곡면(245)을 형성함으로써, 제 1서포트빔(110)과 제 2서포트빔(120)이 피벗핀(230)을 기준으로 호 궤적을 따라 회동시, 제 1커버부재(242)와 제 2커버부재(244)는 부딪히거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물론, 제 1서포트빔(110)만이 제 1커버부재(242)를 형성할 수도 있고, 제 2서포트빔(120)만이 제 2커버부재(244)를 형성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제 1서포트빔(110)과 제 2서포트빔(120)이 피벗핀(230)을 기준으로 호 궤적을 따라 회동됨으로써, 난간(10)의 코너 부분은 제 1서포트빔(110)과 제 2서포트빔(120)에 의해 용이하게 벌어짐 각도가 설정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 1핸드레일(52)의 하측 휨을 방지하기 위해, 제 1서포트빔(110)이 바닥판(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핸드레일(54)의 하측 휨을 방지하기 위해, 제 2서포트빔(120)이 바닥판(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서포트빔(110)은 하측에 제 1보강브라켓(310)을 구비하고, 제 1보강브라켓(310)은 바닥판(30)에 결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서포트빔(120)은 하측에 제 2보강브라켓(320)을 구비하고, 제 2보강브라켓(320)은 바닥판(30)에 결속될 수 있다.
이때, 제 1보강브라켓(310)과 제 2보강브라켓(320)은 바닥판(30)의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제 1보강브라켓(310)과 제 2보강브라켓(320)은 바닥판(3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그래서, 제 1보강브라켓(310)은 제 1서포트빔(110)을 바닥판(30)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제 2보강브라켓(320)은 제 2서포트빔(120)을 바닥판(30)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제 1보강브라켓(310)은 제 1삽입부재(312) 및 제 1지지부재(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삽입부재(312)는 제 1서포트빔(110)의 제 1수용부(114)에 삽입된다. 이때, 제 1삽입부재(312)는 제 1수용부(114)의 내측의 둘레면에 최대한 많이 접하고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제 1삽입부재(31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1지지부재(314)는 제 1삽입부재(312)에서 연장되어 바닥판(30)의 테두리에 접하게 된다.
이 후, 제 1삽입부재(312)와 제 1서포트빔(110) 및 바닥판(30)은 체결부재(330)로써 결속되고, 제 1지지부재(314)와 바닥판(30)은 체결부재(330)로써 결속된다. 그래서, 제 1서포트빔(110)은 바닥판(3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보강브라켓(320)은 제 2삽입부재(322) 및 제 2지지부재(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삽입부재(322)는 제 2서포트빔(120)의 제 2수용부(114)에 삽입된다. 이때, 제 2삽입부재(322)는 제 2수용부(114)의 내측의 둘레면에 최대한 많이 접하고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제 2삽입부재(3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2지지부재(324)는 제 2삽입부재(322)에서 연장되어 바닥판(30)의 테두리에 접하게 된다.
이 후, 제 2삽입부재(322)와 제 2서포트빔(120) 및 바닥판(30)은 체결부재(330)로써 결속되고, 제 2지지부재(324)와 바닥판(30)은 체결부재(330)로써 결속된다. 그래서, 제 2서포트빔(120)은 바닥판(3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체결부재(330)는 볼트 또는 스크류인 것으로 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서포트빔(110) 또는 제 2서포트빔(120)이 바닥판(30)이나 기타 고정체에 힌지부(200)를 통해 연결 지지됨으로써, 제 1핸드레일(52)과 제 2핸드레일(54)의 벌어짐 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난간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10)은 교량의 구조물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 1서포트빔(110)과 제 2서포트빔(120) 및 힌지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서포트빔(110)과 제 2서포트빔(1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힌지부(200)는 제 1리브(210) 및 피벗핀(230)을 포함한다.
제 1리브(210)는 제 1서포트빔(110)의 단부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제 1서포트빔(110)의 축 방향으로 제 1끼움부(212)를 형성하며, 축 방향을 따라 둘레면에 제 1절개부(214)를 형성한다. 물론, 제 1리브(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축 방향 길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피벗핀(230)은 제 2서포트빔(120)의 단부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제 1끼움부(212)에 축 삽입되거나 또는 제 1절개부(214)에 끼움됨으로써 제 1서포트빔(110)과 제 2서포트빔(120)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피벗핀(23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난간 20: 고정브라켓
30: 바닥판 40: 포스트
52: 제 1핸드레일 54: 제 2핸드레일
110: 제 1서포트빔 114: 제 1수용부
120: 제 2서포트빔 124: 제 2수용부
200: 힌지부 210: 제 1리브
212: 제 1끼움부 214: 제 1절개부
220: 제 2리브 230: 피벗핀
242: 제 1커버부재 244: 제 2커버부재
310: 제 1보강브라켓 320: 제 2보강브라켓

Claims (1)

  1. 바닥판에 지지되는 제 1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제 1서포트빔;
    상기 바닥판에 지지되는 제 2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제 2서포트빔; 및
    상기 제 1핸드레일에 대해 상기 제 2핸드레일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 1서포트빔과 상기 제 2서포트빔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1서포트빔과 상기 제 2서포트빔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
KR1020170176518A 2017-12-20 2017-12-20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 KR20180106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518A KR20180106838A (ko) 2017-12-20 2017-12-20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518A KR20180106838A (ko) 2017-12-20 2017-12-20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421 Division 2017-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838A true KR20180106838A (ko) 2018-10-01

Family

ID=63877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518A KR20180106838A (ko) 2017-12-20 2017-12-20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68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060B1 (ko) * 2021-04-14 2021-10-21 박춘종 교각에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구조를 갖는 교량점검대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01273A (ko) * 2020-06-29 2022-01-05 김원주 각도 조절되는 교량의 점검난간용 난간지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273A (ko) * 2020-06-29 2022-01-05 김원주 각도 조절되는 교량의 점검난간용 난간지주
KR102316060B1 (ko) * 2021-04-14 2021-10-21 박춘종 교각에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구조를 갖는 교량점검대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4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KR20180106838A (ko) 교량 점검시설용 힌지형 난간
KR20080019033A (ko) 보강구조와 회전조절이 가능한 등주용 연결부재
KR101553355B1 (ko) 가설인도
KR10146749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
KR200421527Y1 (ko) 펜스의 프레임 연결구조
JP5399867B2 (ja) 仮設足場用支持装置
KR20180028216A (ko) 절곡빔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KR102590046B1 (ko) 바닥판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닥판 시공방법
KR100779060B1 (ko) 도로 경사면의 조립식 점검로
US9841140B2 (en) Door lintel lift apparatus and method
KR20190067997A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휀스
US6932195B1 (en) Intermediate scaffold member join
KR20120033608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연결장치
KR102104723B1 (ko)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절첩식 조명등기구 폴
JP4643648B2 (ja) 橋梁の架設工法
WO1994023156A1 (en) Safety rail system
KR100962553B1 (ko) 토목 및 건축용 지지장치
CA2903885C (en) A modular barrier system
KR101567301B1 (ko) 점검시설용 발판 설치구조
KR20150134137A (ko) 홀더형 조립식 안전난간
JP3981604B2 (ja) 仮設階段用踊り場
KR100740856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KR102514117B1 (ko) 회전이 가능한 난간 구조물
JP5450123B2 (ja) 橋脚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