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442B1 -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442B1
KR101903442B1 KR1020180038040A KR20180038040A KR101903442B1 KR 101903442 B1 KR101903442 B1 KR 101903442B1 KR 1020180038040 A KR1020180038040 A KR 1020180038040A KR 20180038040 A KR20180038040 A KR 20180038040A KR 101903442 B1 KR101903442 B1 KR 101903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tilever
bracket
support
plate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대
조현철
박덕진
Original Assignee
(주)효성
주식회사 효성엘비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성, 주식회사 효성엘비데크 filed Critical (주)효성
Priority to KR1020180038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바닥판 설치시 바닥판을 받쳐주는 캔틸레버형 받침부를 슬래브 시공 후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유지관리가 필요치 않도록 하고, 현장 여건에 맞도록 설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거더의 상부면에서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배치구조를 갖도록 설치되고 일측단 하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힌지브래킷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제1힌지브래킷에 일부분이 겹쳐지는 제2힌지브래킷이 일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타측은 거더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바닥판을 받쳐주는 다수의 캔틸레버형 받침부; 상기 고정부의 제1힌지브래킷과 캔틸레버형 받침부의 제2힌지브래킷을 관통하여 너트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가 고정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바닥판의 설치 및 슬래브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제1힌지브래킷과 제2힌지브래킷에서 분리됨으로서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가 고정부에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핀;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캔틸레버형 받침부를 지지해주면서 설치 각도를 조절해주고 캔틸레버형 받침부와 함께 거더에서 분리하여 제거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Detachable type support for cantilever formation of bridges}
본 발명은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최외측거더에 설치되어 바닥판을 받쳐주는 캔틸레버형 받침부를 교량 슬래브의 시공 후 제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유지관리가 필요치 않고, 거더에 설치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또는 도로의 육교부분을 건설할 때 교대나 교각을 세우고, 피씨 빔(prestressed concrete beam)이나 철제 또는 콘크리트로 만든 거더(girder)를 교대나 교각 사이에 걸친 다음, 거더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교량 슬래브를 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거더는 단면이 주로 I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거더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거더 중, 좌우 양측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거더의 측면에는 외팔보 형태의 캔틸레버부가 구성된다.
상기 캔틸레버부의 시공을 위해서는 먼저 캔틸레버부가 시공될 위치에서 작업자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설치된 작업대 상에서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캔틸레버부 시공용 거푸집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거푸집의 하부에 다수의 동바리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한편, 거푸집의 구성이 완료되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함으로써 캔틸레버부의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캔틸레버부 시공방식은 거푸집 설치를 위한 작업대의 설치와 해체, 그리고 거푸집 및 동바리 설치와 해체에 따른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됨으로써 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된 동바리는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지지상태를 유지해야만 되므로 캔틸레버부 하부측 공간활용의 비효율성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대와 거푸집 및 동바리를 설치하고 해체하는데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해체작업 중 자재가 많이 훼손되기 때문에 해체한 자재를 재사용하는 비율이 낮았다.
아울러, 높고 좁은 환경에서 작업하는 시간이 많으므로 그 만큼 작업 중 안전사고가 생길 위험이 높을 뿐 아니라 목재 동바리 및 합판 거푸집 등의 자재 소모량이 많아 원가가 높아지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한편, 등록특허번호 제1101209호에는 에는 교량 캔틸레버부를 시공함에 있어서, 거더의 측면에 프리캐스트 영구받침대를 설치하고, 그 위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설치한 후, 콘트리트를 타설하도록 함으로써, 앞서 예시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 영구받침대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의 캔틸레버부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번호 제1101209호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교량 캔틸레버부를 시공하는 구성으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영구받침대를 거더의 측면에 앵커를 통해 고정하였으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시공후 영구받침대는 거더에 부착된 상태로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영구받침대는 교량의 슬래브 시공 후에도 거더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이후에는 별도로 유지관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인력 및 비용의 소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구받침대는 현장 여건에 맞도록 설치 각도의 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용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10120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바닥판 설치시 바닥판을 받쳐주는 캔틸레버형 받침부를 슬래브 시공 후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유지관리가 필요치 않도록 하고, 현장 여건에 맞도록 설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거더의 상부면에서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배치구조를 갖도록 설치되고 일측단 하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힌지브래킷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제1힌지브래킷에 일부분이 겹쳐지는 브래킷 연결편이 일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타측은 거더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바닥판을 받쳐주는 다수의 캔틸레버형 받침부; 상기 고정부의 제1힌지브래킷과 캔틸레버형 받침부의 브래킷 연결편을 관통하여 너트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가 고정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바닥판의 설치 및 슬래브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제1힌지브래킷과 브래킷 연결편에서 분리됨으로서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가 고정부에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는, 상기 브래킷 연결편이 일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몸체; 상기 받침부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받침부몸체를 지지해주면서 설치 각도를 조절해주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받침부몸체의 하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거더의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브래킷; 상기 지지브래킷에 일측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받침부몸체의 타측 하부에 힌지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받침부몸체의 설치 각도를 조절해주는 경사지지프레임; 상기 받침부몸체의 일측 하부에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지지브래킷에 끼움 결합되고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지지프레임;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에 체결되고 지지브래킷의 상부면에 놓여져 수직지지프레임을 고정하면서 설치 높이를 조절해주는 높이조절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브래킷은, 상기 거더의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며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에는 상기 경사지지프레임이 힌지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핀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판; 상기 지지판들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이 끼워질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너트가 안착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지지프레임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의 내면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일측단에 일측이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브래킷몸체의 타측단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1나사봉; 상기 슬리브의 타측단에 일측이 나사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각도조절부의 지지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제2나사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지지프레임의 길이 조절시 슬리브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슬리브에 손잡이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는, 상기 브래킷 연결편이 일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바닥판이 놓여지게 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하부판;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연결해주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일측에서 연결판과 직교되도록 위치하고 연결판과 하부판에 결합되어 거더의 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전면판; 상기 연결판의 타측에서 연결판과 직교되도록 위치하고 연결판과 상부판 및 하부판에 결합되는 배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의 전면판에 걸려지도록 설치되어 전면판과 거더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캔틸레버형 받침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쐐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쐐기판은 일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쐐기판몸체; 상기 쐐기판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의 전면판에 걸려지게 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고정판과 캔틸레버형 받침부를 힌지 결합하고 바닥판 설치 및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교량의 슬래브 시공이 완료된 후 힌지핀을 제거하여 캔틸레버형 받침부를 분리하게 됨으로써 캔틸레버형 받침부의 재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캔틸레버형 받침부를 완전히 제거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유지관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어 추가적인 인력 및 비용의 소모를 줄여 사용성이 우수하고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각도조절부를 작동하여 캔틸레버형 받침부의 설치 각도를 설계 조건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를 이용하여 바닥판을 받쳐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캔틸레버형 받침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각도조절부에서 지지브래킷에 수직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의 각도조절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에 있어 바닥판 형성 후 캔틸레버형 받침부와 각도조절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를 이용하여 바닥판을 받쳐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에서 고정부와 캔틸레버형 받침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에서 쐐기판을 이용한 각도조절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에 있어 캔틸레버의 형성 후 캔틸레버형 받침부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를 이용하여 바닥판을 받쳐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캔틸레버형 받침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각도조절부에서 지지브래킷에 수직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의 각도조절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에 있어 바닥판 형성 후 캔틸레버형 받침부와 각도조절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거더(10)의 상부면에서 거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배치구조를 갖도록 설치되고 하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힌지브래킷(120)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의 제1힌지브래킷(120)에 일부분이 겹쳐지는 브래킷 연결편(220)이 일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거더(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바닥판(20)을 받쳐주게 되는 다수의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와, 상기 고정부(100)의 제1힌지브래킷(120)과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브래킷 연결편(220)을 관통하여 너트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200)가 고정부(100)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바닥판의 설치 및 슬래브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제1힌지브래킷(120)과 브래킷 연결편에서 분리됨으로써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200)를 고정부(100)에서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핀(40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00)는 거더(10)의 상부면에 앵커를 통해 고정되고 일측단이 거더(10)의 폭 방향 외측으로 일부분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의 일측단 하부에서 거더(10)의 길이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힌지브래킷(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힌지브래킷(120)은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판(110)의 하부에 2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핀(400a)이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핀 삽입홀(1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브래킷 연결편(220)이 제1힌지브래킷(120)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 고정판(110)에는 앵커의 설치를 위해 하나 이상의 앵커설치홀(111)이 형성되고, 교량의 슬래브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와의 합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1개 이상의 전단연결재(1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200)는 상기 브래킷 연결편(220)이 일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몸체(201)와, 상기 받침부몸체(201)의 하부에 설치되어 받침부몸체(201)를 지지해주면서 받침부몸체(201)의 설치 각도를 조절해주는 각도조절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몸체(201)는 바닥판이 놓여지는 상부판(210)과, 상기 상부판(210)의 일측 하부면에서 상기 고정부(100)의 제1힌지브래킷(120)에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브래킷 연결편(220)과, 후술되는 각도조절부(300)의 수직지지프레임(330)이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판(210)의 일측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2힌지브래킷(230)과, 후술되는 각도조절부(300)의 경사지지프레임(320)이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판(210)의 타측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3힌지브래킷(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 연결편(220)은 상기 제1힌지브래킷(120)의 일측면에 겹쳐지고 상기 힌지핀(400a)이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핀 삽입홀(221)이 형성된다.
한편 제2힌지브래킷(230)은 서로 마주보며 돌출되고 힌지핀 삽입홀(232)이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지지판(231)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3힌지브래킷(240)도 서로 마주보며 돌출 되고 힌지핀 삽입홀(242)가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지지판(241)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판(210)의 하부에는 상부판(210)의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프레임(210a)을 더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부(300)는,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하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거더(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브래킷(310)과, 상기 지지브래킷(310)에 일측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제3힌지브래킷(2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캔틸레버형 받침부(200)를 받쳐줌과 동시에 설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지지프레임(320)과,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제2힌지브래킷에 일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지지브래킷(310)에 끼움 결합되며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지지프레임(330)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30)에 체결되고 지지브래킷(310)에 놓여져 수직지지프레임(330)을 고정 지지하는 높이조절너트(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래킷(310)은, 거더(1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판(311)과, 상기 결합판(311)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며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에는 상기 경사지지프레임(320)이 힌지핀(400c)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핀 삽입홀(313)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판(312)과, 상기 지지판(312)들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홀(315)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판(314)와, 상기 지지판들(312)들의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홀(317)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판(3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너트(340)는 도면에서와 같이 수직지지프레임(330)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판(316)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수직지지프레임을 고정하거나,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직지지프레임(330)에 체결되고 상부판(314)에 안착되도록 설치되어 수직지지프레임(330)을 고정해줄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30)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래킷(310)의 상부판(314)의 관통홀(315) 및 하부판(316)의 관통홀(317)을 통해 삽입되며 외측에 체결되는 높이조절너트(340)에 의해 지지브래킷(310)에 설치되는 수직나사봉부(331)와, 상기 수직나사봉부(331)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브래킷(230)의 지지판(231) 사이에 끼워져 힌지핀(400b)에 의해 체결되는 연결편(3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편(332)에는 힌지핀(400b)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힌지핀 삽입홀(333)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지지프레임(330)은 캔틸레버형 받침부(200)를 지지해줌과 동시에 상기 높이조절너트(340)에 의해 지지브래킷(310) 상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직지지프레임(33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경사지지프레임(320)의 작동에 의해 캔틸레버형 받침부(200)가 힌지핀(400a)를 축으로 하여 상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높이 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여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30)은 거더(10)의 플랜지 높이 변화에 따라 지지브래킷(310)과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설치 간격이 변화된다 하더라도 지지브래킷(310)과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설치가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교량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거더(10)의 크기 또한 변화되고 이때 거더(10)의 플랜지 높이 또한 변화된다. 따라서 플랜지의 높이가 줄어들 경우에는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30)과 지지브래킷(310)의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때 수직나사봉부(331)에 체결된 높이조절너트(340)를 회전하여 지지브래킷(310)과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간격을 조절한 상태에서 거더(10)의 측면에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거더(10)에 적용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한편 상기 경사지지프레임(32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의 내면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321)와, 상기 슬리브(321)의 일측단에 일측이 나사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제3힌지브래킷(2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나사봉(324)과, 상기 슬리브(321)의 타측단에 일측이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브래킷(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나사봉(3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나사봉(324)의 타측단에는 상기 제3힌지브래킷(240)의 지지판(241) 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하고 힌지핀(400c)을 통해 제3힌지브래킷(2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편(325)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325)에는 힌지핀 삽입홀(3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나사봉(327)의 타측단에는 상기 지지브래킷(310)의 지지판(312) 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하고 힌지핀(400d)을 통해 지지브래킷(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편(328)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328)에는 힌지핀 삽입홀(329)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리브(321)에는 사용자가 슬리브(321)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손잡이(322)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321)의 중공을 관통하는 관통홀(323)을 더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323)에 회전막대(도시없음)를 삽입하여 슬리브(321)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사지지프레임(320)은 상기 슬리브(321)의 회전을 통해 제1나사봉(324)과 제2나사봉(327)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부(100)에 결합되는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현장 요건에 맞도록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설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분리형 받침장치는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설치시 설계 조건에 따라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설치 각도 조절할 경우, 각도조절부(300)의 경사지지프레임(320) 및 수직지지프레임(330)을 작동하여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설치각도를 상향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즉 경사지지프레임(320)의 슬리브(321)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1나사봉(324)과 제2나사봉(327)의 길이가 조절되어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되, 이와 동시에 높이조절너트(340)를 회전하여 수직지지프레임(330)을 지지브래킷(310) 상에서 이동시켜 줌으로써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닥판 및 슬래브콘크리트의 타설을 통한 교량 슬래브의 시공이 완료되면 고정부(100)와 캔틸레버형 받침부(200)를 연결하는 힌지핀(400a)을 제거하고 각도조절부(300)의 지지브래킷(310)을 거더에서 분리하여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와 각도조절부(300)를 완전히 탈거함으로써 교량의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 캔틸레버형 받침부(200) 및 각도조절부(300)를 별도로 유지 관리할 필요가 없어 추가적인 인력 및 비용의 소모를 줄여 사용성이 우수하고 매우 경제적이다.
한편 도 8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를 이용하여 바닥판을 받쳐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에서 고정부와 캔틸레버형 받침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에서 쐐기판을 이용한 각도조절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받침장치에 있어 캔틸레버의 형성 후 캔틸레버형 받침부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제2실시에에 의한 캔틸레버형 받침부(200)는 상기 브래킷 연결편(220)이 일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바닥판이 놓여지게 되는 상부판(210)과, 상기 상부판(210)에서 상부판(210)의 하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하부판(211)과, 상기 상부판(210)과 하부판(211)을 일체로 연결해주는 연결판(212)과 상기 연결판(212)의 일측에서 연결판(212)과 직교되도록 위치하고 연결판(212)과 하부판(211)에 결합되어 거더(10)의 측면에 밀착되는 전면판(213)과, 상기 연결판(212)의 타측에서 연결판(212)과 직교되도록 위치하고 연결판(212)과 상부판(210) 및 하부판(211)에 결합되는 배면판(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 연결편(220)은 힌지핀(400a)이 설치될 수 있도록 힌지핀 삽입홀(221)이 형성되며 제1힌지브래킷(120)과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위치한다.
상기 연결판(212)은 상부판(210)과 하부판(211)의 중심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상부판(210)과 하부판(211)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등 다양한 형태나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213)과 배면판(214)은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강성을 보강해주고, 또한 전면판(213)은 캔틸레버형 받침부(200)가 거더(10)의 측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캔틸레버형 받침부(200)는 바닥판의 설치 및 콘크리트의 타설을 통해 슬래브의 시공이 완료된 후 상기 힌지핀(400a)을 제거하게 되면 고정부(100)에서 분리가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별도의 유지보수비용이 발생되지 않아 매우 경제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전면판(213)에 걸려지고 전면판(213)과 거더(10)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쐐기판(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쐐기판(500)은 일측면에 경사면(511)이 형성되어 있는 쐐기판몸체(510)와, 상기 쐐기판몸체(510)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전면판(213)에 걸려지게 되는 걸림고리(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쐐기판(500)은 쐐기판몸체(510)에 형성되는 경사면(511)의 경사각도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현장요건에 맞도록 캔틸레버형 받침부(2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거더 (20) : 바닥판
(100) : 고정부 (110) : 고정판
(120) : 제1힌지브래킷 (122) : 힌지핀 삽입홀
(130) : 전단연결재 (140) : 앵커
(200) : 캔틸레버형 받침부 (201) : 받침부몸체
(210) : 상부판 (210a) : 보강프레임
(211) : 하부판 (212) : 연결판
(213) : 전면판 (214) : 배면판
(220) : 브래킷 연결편 (221) : 힌지핀 삽입홀
(230) : 제2힌지브래킷 (231) : 지지판
(232) : 힌지핀 삽입홀 (240) : 제3힌지브래킷
(241) : 지지판 (242) : 힌지핀 삽입홀
(300) : 각도조절부 (310) : 지지브래킷
(311) : 결합판 (312) : 지지판
(313) : 힌지핀 삽입홀 (314) : 상부판
(315) : 관통홀 (320) : 경사지지프레임
(321) : 슬리브 (322) : 회전손잡이
(323) : 관통홀 (324) : 제1나사봉
(325) : 연결편 (326) : 힌지핀 삽입홀
(327) : 제2나사봉 (328) : 연결편
(329) : 힌지핀 삽입홀 (330) : 수직지지프레임
(331) : 수직나사봉부 (332) : 연결편
(333) : 힌지핀 삽입홀 (340) : 높이조절너트
(400a)(400b)(400c)(400d) : 힌지핀
(500) : 쐐기판 (510) : 쐐기판몸체
(511) : 경사면 (520) : 걸림고리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거더의 상부면에서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배치구조를 갖도록 설치되고 일측단 하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힌지브래킷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제1힌지브래킷에 일부분이 겹쳐지는 브래킷 연결편이 일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타측은 거더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바닥판을 받쳐주는 다수의 캔틸레버형 받침부;
    상기 고정부의 제1힌지브래킷과 캔틸레버형 받침부의 브래킷 연결편을 관통하여 너트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가 고정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바닥판의 설치 및 슬래브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제1힌지브래킷과 브래킷 연결편에서 분리됨으로서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가 고정부에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는, 상기 브래킷 연결편이 일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몸체와, 상기 받침부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받침부몸체를 지지해주면서 설치 각도를 조절해주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받침부몸체의 하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거더의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에 일측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받침부몸체의 타측 하부에 힌지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받침부몸체의 설치 각도를 조절해주는 경사지지프레임과, 상기 받침부몸체의 일측 하부에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지지브래킷에 끼움 결합되고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지지프레임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에 체결되고 지지브래킷의 상부면에 놓여져 수직지지프레임을 고정하면서 설치 높이를 조절해주는 높이조절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은,
    상기 거더의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며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에는 상기 경사지지프레임이 힌지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핀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판;
    상기 지지판들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이 끼워질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너트가 안착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프레임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의 내면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일측단에 일측이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받침부몸체의 타측단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1나사봉;
    상기 슬리브의 타측단에 일측이 나사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각도조절부의 지지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제2나사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프레임의 길이 조절시 슬리브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슬리브에 손잡이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7. 삭제
  8. 거더의 상부면에서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배치구조를 갖도록 설치되고 일측단 하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힌지브래킷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제1힌지브래킷에 일부분이 겹쳐지는 브래킷 연결편이 일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타측은 거더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바닥판을 받쳐주는 다수의 캔틸레버형 받침부;
    상기 고정부의 제1힌지브래킷과 캔틸레버형 받침부의 브래킷 연결편을 관통하여 너트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가 고정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바닥판의 설치 및 슬래브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제1힌지브래킷과 브래킷 연결편에서 분리됨으로서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가 고정부에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는, 상기 브래킷 연결편이 일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바닥판이 놓여지게 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하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연결해주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일측에서 연결판과 직교되도록 위치하고 연결판과 하부판에 결합되어 거더의 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전면판과, 상기 연결판의 타측에서 연결판과 직교되도록 위치하고 연결판과 상부판 및 하부판에 결합되는 배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의 전면판에 걸려지도록 설치되어 전면판과 거더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캔틸레버형 받침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쐐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판은 일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쐐기판몸체;
    상기 쐐기판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캔틸레버형 받침부의 전면판에 걸려지게 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KR1020180038040A 2018-04-02 2018-04-02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KR101903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40A KR101903442B1 (ko) 2018-04-02 2018-04-02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40A KR101903442B1 (ko) 2018-04-02 2018-04-02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442B1 true KR101903442B1 (ko) 2018-11-07

Family

ID=6436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040A KR101903442B1 (ko) 2018-04-02 2018-04-02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44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676A (zh) * 2019-01-15 2019-04-05 福建省工业设备安装有限公司 一种悬挑梁智能拆卸装置及其拆卸方法
CN113056589A (zh) * 2019-10-28 2021-06-29 安尼木业株式会社 适用于扩展式人行天桥的悬臂型支撑装置
KR102332738B1 (ko) * 2021-01-28 2021-12-01 토원산업개발(주)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
CN114457906A (zh) * 2022-01-05 2022-05-10 中铁天丰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悬挑梁支撑结构
KR102423028B1 (ko) * 2021-06-01 2022-07-20 (주)성원엠엔디 교량 캔틸래버
KR102487850B1 (ko) * 2022-03-25 2023-01-12 (주)한맥기술 일체형 지지대를 포함하는 캔틸레버 프리캐스트 반단면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구조체 시공 방법
CN115853314A (zh) * 2022-12-09 2023-03-28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女儿墙顶部悬挑构件支撑装置及施工方法
KR102604650B1 (ko) * 2023-07-07 2023-11-23 주식회사 펜타드 캔틸레버 구조물의 보강장치
KR102658930B1 (ko) * 2024-01-03 2024-04-18 (주)효명피씨 캔틸레버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gfrp데크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985B1 (ko) * 2008-08-25 2009-04-08 이상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켄틸레버 브라켓
KR101796210B1 (ko) * 2016-12-14 2017-11-09 이성원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985B1 (ko) * 2008-08-25 2009-04-08 이상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켄틸레버 브라켓
KR101796210B1 (ko) * 2016-12-14 2017-11-09 이성원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676A (zh) * 2019-01-15 2019-04-05 福建省工业设备安装有限公司 一种悬挑梁智能拆卸装置及其拆卸方法
CN109577676B (zh) * 2019-01-15 2024-01-30 福建省工业设备安装有限公司 一种悬挑梁智能拆卸装置及其拆卸方法
CN113056589A (zh) * 2019-10-28 2021-06-29 安尼木业株式会社 适用于扩展式人行天桥的悬臂型支撑装置
KR102332738B1 (ko) * 2021-01-28 2021-12-01 토원산업개발(주)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
KR102423028B1 (ko) * 2021-06-01 2022-07-20 (주)성원엠엔디 교량 캔틸래버
CN114457906A (zh) * 2022-01-05 2022-05-10 中铁天丰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悬挑梁支撑结构
CN114457906B (zh) * 2022-01-05 2024-05-03 中铁天丰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悬挑梁支撑结构
KR102487850B1 (ko) * 2022-03-25 2023-01-12 (주)한맥기술 일체형 지지대를 포함하는 캔틸레버 프리캐스트 반단면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구조체 시공 방법
CN115853314A (zh) * 2022-12-09 2023-03-28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女儿墙顶部悬挑构件支撑装置及施工方法
KR102604650B1 (ko) * 2023-07-07 2023-11-23 주식회사 펜타드 캔틸레버 구조물의 보강장치
KR102658930B1 (ko) * 2024-01-03 2024-04-18 (주)효명피씨 캔틸레버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gfrp데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4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KR20180045140A (ko)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CN111456330B (zh) 一种用于预埋钢筋的定位模具
KR101587400B1 (ko)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KR101883413B1 (ko) 지지용 브라켓 설치구조
KR102038061B1 (ko) 가변형 조립식 보 거푸집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003011B1 (ko) 도로경계석의 높이 조절 및 유지용 지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 시공방법
JP4020406B2 (ja) 型枠支持機構及び打設方法
US2564935A (en) Bracket for supporting roadway overhang forms
KR101820871B1 (ko) 영구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2336613B1 (ko) 설치 및 해체가 신속 용이한 교량용 캔틸레버 브래킷 및 이에 의한 시공방법
JP3922455B2 (ja) 型枠支持機構、梁材保持用ジグ、床版の打設方法
CN109138457B (zh) 用于安装装配式建筑的支撑系统及其施工方法
KR20100089645A (ko) 링너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서포트
KR100653229B1 (ko) 슬래브 거푸집용 가설빔 지지장치
KR20110019452A (ko)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형틀지지대
KR20090070852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US7757446B2 (en) Non-loadbearing wall system in an existing building prior to concrete slab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100778139B1 (ko)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CN208858184U (zh) 一种工作高度可调的楼板后浇带支撑工具
KR102402326B1 (ko) 캔틸레버 교량의 착탈식 지지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 교량의 시공방법
KR200358782Y1 (ko) 교량 상부 슬라브의 거푸집 받침대
KR101702957B1 (ko) 테이블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CN219195663U (zh) 一种c梁悬挑支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