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738B1 -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 - Google Patents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738B1
KR102332738B1 KR1020210011997A KR20210011997A KR102332738B1 KR 102332738 B1 KR102332738 B1 KR 102332738B1 KR 1020210011997 A KR1020210011997 A KR 1020210011997A KR 20210011997 A KR20210011997 A KR 20210011997A KR 102332738 B1 KR102332738 B1 KR 102332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
connection
deck
side wal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연
Original Assignee
토원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원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토원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1020210011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표면 상태와 지면과의 각도가 매우 불규칙한 암반구역에서도 암반구역의 표면 상태와 지면과의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평활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가 개시된다. 상기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는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암반 측벽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암반 측벽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데크모듈과,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도 조절 가능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된 암반 측벽에 데크모듈을 지면과 수평하도록 연결시켜 고정시키는 수평 연결유닛 및,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각도 조절 가능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데크모듈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데크모듈과 일정한 각도의 사선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 연결유닛의 하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에 연결되어 상기 데크모듈을 지지하는 제1 지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FOOTBRIDGE FOR ROCKY SECTION INSTALLATION}
본 발명은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의 상태가 불규칙적인 암반구간에 설치하여 보행자가 암반구간을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라 함은 하천, 호소, 해협, 만, 운하, 저지 등과 같은 장소에서 육지와 육지를 육로로 연결시키도록 한 고가구조물이며, 이와 같은 교량은 시공당시 여러 조건에 의해 차량의 통행을 위해 차량통행 전용의 구조물로 제작되어 있는 실정이나, 최근에는 이러한 교량에 보행자나 자전거가 통행할 수 있는 인도교를 설치하는 작업이 수행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인도교로는 기존의 차도로만 형성된 교량의 외측으로 인도를 형성할 수 있는 확장형 인도교가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은 확장형 인도교의 경우 통상적으로 둑, 호안 및 절토 등의 경사면 또는 하천, 강 및 물기슭 등의 비탈진면과 같은 법면에 교량과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최근에는 각 지역별로 차별화된 관광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에 시공되어 있는 차량 통행전용 교량의 경우에도 인도로 전환시켜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일 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접근이 어려운 자연환경이 미려한 암반구간의 경우에도 인도교를 설치하여 보행자가 자연환경이 미려한 암반구간을 따라 보행하면서 자연환경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관광자원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교량에 설치되는 인도교는 연석을 따라 복수개의 브래킷들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후, 상기 복수개의 브래킷들의 상부에 H빔이 설치되며, 상기 H빔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각관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각관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목판이 설치되며, 상기 H빔의 상부 끝단에는 보행자 난간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H빔이 설치되는 브래킷은 공장에서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연석에 브래킷을 고정시키기 위한 측판 및 상판으로 구성된 부착 플레이트와, 상기 부착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H빔을 거치하는 거치판이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써 설치되어지는 구조물의 표면 상태에 따라 평활한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인도교에 적용되는 브래킷의 경우 연석에 'ㄱ'자 형태로 형성된 측판과 상판을 복수개의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서 표면이 전체적으로 매우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암반구간에는 전혀 설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만약 설치한다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표면 상태가 매우 불규칙 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암반구간에 설치할 경우에는 평활한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9128호(2012.01.17.)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 상태와 지면과의 각도가 매우 불규칙한 암반구역에서도 암반구역의 표면 상태와 지면과의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평활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암반 측벽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암반 측벽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데크모듈과,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도 조절 가능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된 암반 측벽에 데크모듈을 지면과 수평하도록 연결시켜 고정시키는 수평 연결유닛 및,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각도 조절 가능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데크모듈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데크모듈과 일정한 각도의 사선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 연결유닛의 하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에 연결되어 상기 데크모듈을 지지하는 제1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데크모듈은 상기 암반 측벽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암반의 측벽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수평 연결유닛에 의해 상기 암반 측벽에 지면과 수평하도록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각형각관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각형각관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데크 연결클립과, 상기 서로 이웃하는 데크 연결클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서로 이웃하는 데크 연결클립에 양측면에 마련된 연결 홈부가 원터치 형태로 결합되어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 데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데크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난간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데크 연결클립은 상기 각형각관과 서로 이웃하는 상부 데크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부 데크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고정부재에 의해 각형각관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서로 이웃하는 상부 데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는 격벽부와, 상기 서로 이웃하는 상부 데크의 측면부에 마련된 연결 홈부에 원터치 형태로 삽입되도록 상기 격벽부의 상단부에 마련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측 하부면에 연결부의 끝단부로부터 중앙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복수개의 톱니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연결부에 결합된 상부 데크의 연결 홈부가 상기 연결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부를 각형각관 상부에 고정하였을 시 상기 고정부재의 머리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관통되는 지지부 일측에 마련되는 고정 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수평 연결유닛은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래킷과, 상기 데크모듈의 측면부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제2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고정되는 상기 암반 측벽의 형상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암반 측벽에 고정되는 각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제1, 2 고정 브래킷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가변적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암반 측벽에 고정되는 상하 각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를 지면과 수평하도록 상하 각도 조절하여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에 힌지 연결시키는 제1 연결 브래킷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암반 측벽에 고정되는 좌우 각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 고정 브래킷에 힌지 연결시키는 제2 연결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1 지지유닛은 상기 수평 연결유닛의 하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래킷과, 상기 데크모듈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제2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고정되는 상기 암반 측벽의 형상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암반 측벽에 고정되는 각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제1, 2 고정 브래킷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가변적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암반 측벽에 고정되는 상하 각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데크모듈과 사선을 이루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상하 각도 조절하여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에 힌지 연결시키는 제1 연결 브래킷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암반 측벽에 고정되는 좌우 각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 고정 브래킷에 힌지 연결시키는 제2 연결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암반 측벽의 불규칙한 표면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수평 연결유닛 및 제1 지지유닛의 길이에 따라 각도 및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수평 연결유닛과 제1 지지유닛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평 연결유닛을 지지하는 제2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는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각형각관 상부에 복수개의 데크 연결클립을 고정 설치한 후, 상부 데크의 측면부 중앙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 홈부에 데크 연결클립의 연결부가 원터치 형태로 삽입되도록 서로 이웃하는 데크 연결클립 사이에 상부 데크를 원터치 형태로 체결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상부 데크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인도교의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위험한 공사 구간인 암벽 구간에서의 작업자의 작업시간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는 시공시간 단축으로 인한 인도교 설치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는 수평 연결유닛과 제1 지지유닛이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도 조절 가능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인도교 전 구간에 걸친 암반 측벽과 데크모듈 사이의 불규칙한 이격된 거리에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응하여 수평 연결유닛을 통해 데크모듈을 지면과 수평한 형태로 암반 측벽에 연결할 수 있으며,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암반 측벽 구간에서도 인도교 전 구간에 걸쳐 데크모듈과의 사선 각도가 일정하도록 제1 지지유닛을 암반 측벽과 데크모듈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하여 데크모듈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암반 측벽의 불규칙한 표면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수평 연결유닛 및 제1 지지유닛의 길이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응하여 제2 지지유닛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하여 수평 연결유닛과 제1 지지유닛에 제2 지지유닛을 연결하여 상기 제2 지지유닛에 의해 수평 연결유닛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는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암반 측벽의 표면 각도에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응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장에서 대량으로 기 제작하여 납품한다 하더라도 암반 구간에서 매우 신속하고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므로 제작 및 시공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암반 구간에서의 작업시간을 대폭 줄여 시공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암반 측벽의 형상에 대응하여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데크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상부 데크가 데크 연결클립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에 대한 상세도
도 6은 수평 연결유닛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이 암반 측벽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암반 측벽의 형상에 대응하여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데크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상부 데크가 데크 연결클립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에 대한 상세도이며, 도 6은 수평 연결유닛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이 암반 측벽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100)는 데크모듈(110), 수평 연결유닛(120) 및, 제1 지지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크모듈(110)은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암반 측벽(210)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암반 측벽(21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데크모듈(110)은 베이스 프레임(111), 각형각관(112), 데크 연결클립(113), 상부 데크(114) 및, 안전 난간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반 측벽(210)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암반 측벽(21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수평 연결유닛(120)에 의해 상기 암반 측벽(210)에 지면과 수평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형각관(112)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111)임 상부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데크 연결클립(113)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각형각관(112) 상부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데크 연결클립(11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3a), 격벽부(113b), 연결부(113c) 및, 스토퍼(113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3a)는 상기 각형각관(112)과 서로 이웃하는 상부 데크(114)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부 데크(114)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고정부재(113e)에 의해 각형각관(112)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13a)는 고정 홈(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홈(G)은 상기 고정부재(113e)에 의해 지지부(113a)를 각형각관(112) 상부에 고정하였을 시 상기 고정부재(113e)의 머리부가 상기 지지부(113a)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재(113e)에 의해 관통되는 지지부(113a)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113b)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상부 데크(114)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113a)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3c)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상부 데크(114)의 측면부에 마련된 연결 홈부(114a)에 원터치 형태로 삽입되도록 상기 격벽부(113b)의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113c)는 상기 상부 데크(114)의 측면부 중앙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 홈부(114a)에 원터치 형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13a)와 수평하도록 상기 격벽부(113b)의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13d)는 상기 연결부(113c)의 양측 하부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13d)는 상기 연결부(113c)의 끝단부로부터 중앙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복수개의 톱니 형태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데크(114)의 연결 홈부(114a)에 연결부(113c)가 삽입되어 결합되면 상기 상부 데크(114)의 연결 홈부(114a)가 상기 연결부(113c)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데크(114)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면 중앙부에 연결 홈(114a)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데크(114)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데크 연결클립(11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서로 이웃하는 데크 연결클립(113)의 연결부(113c)에 연결 홈부(114a)가 원터치 형태로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전 난간대(115)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데크(114)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데크모듈(110)의 상부 데크(114)를 따라 보행하는 보행자가 데크모듈(110)의 양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100)는 측면 커버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커버모듈(150)은 암반 측벽(210)과 반대 측에 위치한 데크모듈(110)의 측면에 설치됨으로써 외부에 데크모듈(110)의 베이스 프레임(111)과 각형각관(112)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측면 커버모듈(150)은 각형각관(151), 및 복수개의 측면 데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형각관(151)은 상기 암반 측벽(210)과 반대 측에 위치한 데크모듈(110), 즉 베이스 프레임(111)의 일측 하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데크(152)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의 일측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각형각관(112)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의 일측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각형각관(151)에 복수개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결유닛(120)은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2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도 조절 가능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된 암반 측벽(210)에 데크모듈(110)을 지면과 수평하도록 연결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수평 연결유닛(120)은 제1 고정 브래킷(121), 제2 고정 브래킷(122), 연결부재(123), 제1 연결 브래킷(124) 및, 제2 연결 브래킷(1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21)은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210)에 복수개의 고정부재(121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브래킷(122)은 상기 데크모듈(110)의 타측면, 즉 암반 측벽(210)과 반대 측에 위치한 베이스 프레임(111)의 타측면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3)는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21)이 고정되는 상기 암반 측벽(210)의 형상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21)이 암반 측벽(210)에 고정되는 각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제1, 2 고정 브래킷(121)(122)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가변적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재(123)는 제1 연결부재(123a)와 제2 연결부재(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123a)의 일측 끝단부에는 제1 연결 브래킷(124)이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 브래킷(124)을 통해 제1 고정 브래킷(121)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123b)는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123a)와 슬라이딩 체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123b)의 타측 끝단부에는 제2 연결 브래킷(125)이 설치되어 제2 연결 브래킷(125)을 통해 제2 고정 브래킷(122)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체결된 제1, 2 연결부재(123a)(123b)는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21)이 암반 측벽(210)에 고정되는 각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제1, 2 고정 브래킷(121)(122)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길이 조절된 후 고정부재나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제1 연결 브래킷(124)은 상기 연결부재(123)의 일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21)이 암반 측벽(210)에 고정되는 상하 각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23)를 지면과 수평하도록 상하 각도 조절하여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21)에 힌지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브래킷(125)은 상기 연결부재(123)의 타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21)이 암반 측벽(210)에 고정되는 좌우 각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23)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 고정 브래킷(122)에 힌지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유닛(130)은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2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각도 조절 가능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데크모듈(110)의 하부면, 즉 베이스 프레임(111)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유닛(130)의 타측은 상기 데크모듈(110)과 일정한 각도의 사선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 연결유닛(120)의 하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210)에 연결되어 상기 데크모듈(1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지지유닛(130)은 제1 고정 브래킷(131), 제2 고정 브래킷(132), 연결부재(133), 제1 연결 브래킷(134) 및, 제2 연결 브래킷(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31)은 상기 수평 연결유닛(120)의 하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210)에 복수개의 고정부재(131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브래킷(132)은 상기 데크모듈(110)의 하부면, 즉 베이스 프레임(111)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 브래킷(132)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암반 측벽(210)과 멀어지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133)는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31)이 고정되는 상기 암반 측벽(210)의 형상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31)이 암반 측벽(210)에 고정되는 각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제1, 2 고정 브래킷(131)(132)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가변적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재(133)는 제1 연결부재(133a)와 제2 연결부재(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133a)의 일측 끝단부에는 제1 연결 브래킷(134)이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 브래킷(134)을 통해 제1 고정 브래킷(131)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133b)는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133a)와 슬라이딩 체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133b)의 타측 끝단부에는 제2 연결 브래킷(135)이 설치되어 제2 연결 브래킷(135)을 통해 제2 고정 브래킷(132)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체결된 제1, 2 연결부재(133a)(133b)는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31)이 암반 측벽에 고정되는 각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제1, 2 고정 브래킷(131)(132)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길이 조절된 후 고정부재나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제1 연결 브래킷(134)은 상기 연결부재(133)의 일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31)이 암반 측벽(210)에 고정되는 상하 각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33)가 데크모듈(110)과 일정한 각도의 사선을 이루도록 상기 연결부재(133)의 상하 각도 조절하여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31)에 힌지 연결시킨다.
상기 제2 연결 브래킷(135)은 상기 연결부재(133)의 타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31)이 암반 측벽(210)에 고정되는 좌우 각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33)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 고정 브래킷(132)에 힌지 연결시킨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100)는 제2 지지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유닛(140)은 상기 암반 측벽(210)의 불규칙한 표면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수평 연결유닛(120) 및 제1 지지유닛(130)의 길이에 따라 각도 및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수평 연결유닛(120)과 제1 지지유닛(13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평 연결유닛(1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지지유닛(140)은 제1 지지부재(141)와 제2 지지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지지부재(141)는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 연결유닛(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지지부재(142)는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지지유닛(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2 지지부재(141)(142)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체결된 제1, 2 지지부재(141)(142)는 상기 암반 측벽(210)의 불규칙한 표면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수평 연결유닛(120) 및 제1 지지유닛(130)의 길이에 따라 길이가 조절된 후 고정부재나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에 대한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100)는 수평 연결유닛(120)이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2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도 조절 가능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 가능함으로써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된 암반 측벽(210)에 데크모듈(110)을 지면과 수평하도록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100)는 데크모듈(110)이 암반 측벽(21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데, 암반 측벽(210)의 경우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평 연결유닛(120)이 설치되는 암반 측벽(210)의 위치에 따라 암반 측벽(210)의 표면 각도가 변경될 뿐만 아니라, 암반 측벽(210)과 데크모듈(110)의 베이스 프레임(111) 사이의 간격 또한 변경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대량으로 기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되는 일반적인 인도교의 경우에는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됨으로써 암반 측벽과 데크모듈 사이의 간격이 불규칙적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수평 연결유닛이 설치되는 암반 측벽의 표면 각도 또한 설치 위치에 따라 불규칙 적으로 변경되는 암반 구간의 경우에는 불규칙적으로 변경되는 암반 측벽과 데크모듈 사이의 거리와 수평 연결유닛이 설치되는 암반 측벽의 표면 각도에 대응하여 설치하는 것이 사실 상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100)의 경우에는 수평 연결유닛(120)의 연결부재(123)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제작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123)의 양측 끝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2 연결 브래킷(124)(125)을 통해 제1, 2 고정 브래킷(121)(122)과 연결되는 상하, 좌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암반 측벽(210)에도 수평 연결유닛(120)을 통해 데크모듈(110)을 지면과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100)의 제1 지지유닛(130)의 경우에도 연결부재(133)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제작됨과 동시에, 연결부재(133)의 양측 끝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2 연결 브래킷(134)(135)을 통해 제1, 2 고정 브래킷(131)(132)과 연결되는 상하, 좌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암반 측벽(210) 구간에서도 전 구간에 걸쳐 데크모듈(110)과의 사선 각도가 일정하도록 제1 지지유닛(130)을 암반 측벽(210)과 데크모듈(110)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지지유닛(130)은 상기 암반 측벽(210)에 대향하여 상기 데크모듈(11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데크모듈(110)과 수평 연결유닛(12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와 같은 제1 지지유닛(130)은 통상적으로 상기 데크모듈(110)과 30도 정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암반 측벽(210)과 데크모듈(110)에 연결되어 상기 암반 측벽(210)에 대향하여 데크모듈(110)을 지지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적이다.
그런데, 암반 구간에서는 암반 측벽의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됨에 따라 통상적인 인도교의 경우 데크모듈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의 길이 조절은 가능할지 모르나, 지지유닛이 데크모듈과 암반 측벽에 연결되는 상하, 좌우 각도가 조절 불가능함으로써 지지유닛이 설치되는 암반 측벽의 위치에 따라 암반 측벽의 표면 각도에 대응하여 인도교 전체에 걸쳐 데크모듈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사선 형태로 데크모듈과 암반 측벽에 연결하여 상기 데크모듈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100)의 제1 지지유닛(130)은 연결부재(133)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133) 양측 끝단에 설치되는 제1, 2 연결 브래킷(134)(135)을 통해 제1, 2 고정 브래킷(131)(132)과 연결되는 상하, 좌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암반 측벽(210) 구간에서도 인도교(100) 전 구간에 걸쳐 데크모듈(110)과의 사선 각도가 일정하도록 제1 지지유닛(130)을 암반 측벽(210)과 데크모듈(110)에 연결하여 데크모듈(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100)는 암반 측벽(210)의 불규칙한 표면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수평 연결유닛(120) 및 제1 지지유닛(130)의 길이에 따라 제2 지지유닛(140)의 각도 및 길이가 조절되어 수평 연결유닛(120)과 제1 지지유닛(130)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지유닛(140)에 의해 수평 연결유닛(12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를 보다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100)는 베이스 프레임(11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각형각관(112) 상부에 복수개의 데크 연결클립(113)을 고정 설치한 후, 상부 데크(114)의 측면부 중앙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 홈부(114a)에 데크 연결클립(113)의 연결부(113c)가 원터치 형태로 삽입되도록 서로 이웃하는 데크 연결클립(113) 사이에 상부 데크(114)를 원터치 형태로 체결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상부 데크(114)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인도교의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위험한 공사 구간인 암벽 구간에서의 작업자의 작업시간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100)는 시공시간 단축으로 인한 인도교 설치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100)는 수평 연결유닛(120)과 제1 지지유닛(130)이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2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도 조절 가능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인도교 전 구간에 걸친 암반 측벽(210)과 데크모듈(110) 사이의 불규칙한 이격된 거리에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응하여 수평 연결유닛(120)을 통해 데크모듈(110)을 지면과 수평한 형태로 암반 측벽(210)에 연결할 수 있으며,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암반 측벽(210) 구간에서도 인도교 전 구간에 걸쳐 데크모듈(110)과의 사선 각도가 일정하도록 제1 지지유닛(130)을 암반 측벽(210)과 데크모듈(110)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하여 데크모듈(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암반 측벽(210)의 불규칙한 표면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수평 연결유닛(120) 및 제1 지지유닛(130)의 길이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응하여 제2 지지유닛(140)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하여 수평 연결유닛(120)과 제1 지지유닛(130)에 제2 지지유닛(140)을 연결하여 상기 제2 지지유닛(140)에 의해 수평 연결유닛(12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데크모듈 (120) : 수평 연결유닛
(130) : 제1 지지유닛 (140) : 제2 지지유닛

Claims (7)

  1.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암반 측벽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암반 측벽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데크모듈;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도 조절 가능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된 암반 측벽에 데크모듈을 지면과 수평하도록 연결시켜 고정시키는 수평 연결유닛; 및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각도 조절 가능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데크모듈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데크모듈과 일정한 각도의 사선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 연결유닛의 하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에 연결되어 상기 데크모듈을 지지하는 제1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연결유닛은,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래킷;
    상기 데크모듈의 측면부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제2 고정 브래킷;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고정되는 상기 암반 측벽의 형상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암반 측벽에 고정되는 각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제1, 2 고정 브래킷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가변적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암반 측벽에 고정되는 상하 각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를 지면과 수평하도록 상하 각도 조절하여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에 힌지 연결시키는 제1 연결 브래킷;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암반 측벽에 고정되는 좌우 각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 고정 브래킷에 힌지 연결시키는 제2 연결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유닛은,
    상기 수평 연결유닛의 하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표면이 불규칙한 암반 측벽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래킷;
    상기 데크모듈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제2 고정 브래킷;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고정되는 상기 암반 측벽의 형상과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암반 측벽에 고정되는 각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제1, 2 고정 브래킷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가변적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암반 측벽에 고정되는 상하 각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데크모듈과 사선을 이루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상하 각도 조절하여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에 힌지 연결시키는 제1 연결 브래킷;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이 암반 측벽에 고정되는 좌우 각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 고정 브래킷에 힌지 연결시키는 제2 연결 브래킷을 포함하는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모듈은,
    상기 암반 측벽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암반의 측벽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수평 연결유닛에 의해 상기 암반 측벽에 지면과 수평하도록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각형각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각형각관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데크 연결클립;
    상기 서로 이웃하는 데크 연결클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서로 이웃하는 데크 연결클립에 양측면에 마련된 연결 홈부가 원터치 형태로 결합되어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 데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데크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난간대를 포함하는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연결클립은,
    상기 각형각관과 서로 이웃하는 상부 데크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부 데크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고정부재에 의해 각형각관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서로 이웃하는 상부 데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는 격벽부;
    상기 서로 이웃하는 상부 데크의 측면부에 마련된 연결 홈부에 원터치 형태로 삽입되도록 상기 격벽부의 상단부에 마련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측 하부면에 연결부의 끝단부로부터 중앙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복수개의 톱니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연결부에 결합된 상부 데크의 연결 홈부가 상기 연결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부를 각형각관 상부에 고정하였을 시 상기 고정부재의 머리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관통되는 지지부 일측에 마련되는 고정 홈을 더 포함하는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반 측벽의 불규칙한 표면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수평 연결유닛 및 제1 지지유닛의 길이에 따라 각도 및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수평 연결유닛과 제1 지지유닛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평 연결유닛을 지지하는 제2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
KR1020210011997A 2021-01-28 2021-01-28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 KR102332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997A KR102332738B1 (ko) 2021-01-28 2021-01-28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997A KR102332738B1 (ko) 2021-01-28 2021-01-28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738B1 true KR102332738B1 (ko) 2021-12-01

Family

ID=7893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997A KR102332738B1 (ko) 2021-01-28 2021-01-28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3698A (ko) * 2021-12-20 2023-06-2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트러스 방식과 슬라이딩 절점링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조립식 보도 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보도 확장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499A (ko) * 2007-04-12 2008-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데크 고정용 패스너
KR101109128B1 (ko) 2011-07-12 2012-02-24 (주)신화금속 보강설치 구성을 갖는 가설 인도교
KR101534016B1 (ko) * 2014-11-25 2015-07-0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교량용 인도확장 구조물
KR101903442B1 (ko) * 2018-04-02 2018-11-07 (주)효성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CN210797296U (zh) * 2019-09-02 2020-06-19 无锡交通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钢-混结合梁桥面翼缘板托架安装结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499A (ko) * 2007-04-12 2008-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데크 고정용 패스너
KR101109128B1 (ko) 2011-07-12 2012-02-24 (주)신화금속 보강설치 구성을 갖는 가설 인도교
KR101534016B1 (ko) * 2014-11-25 2015-07-0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교량용 인도확장 구조물
KR101903442B1 (ko) * 2018-04-02 2018-11-07 (주)효성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CN210797296U (zh) * 2019-09-02 2020-06-19 无锡交通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钢-混结合梁桥面翼缘板托架安装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3698A (ko) * 2021-12-20 2023-06-2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트러스 방식과 슬라이딩 절점링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조립식 보도 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보도 확장방법
KR102553176B1 (ko) 2021-12-20 2023-07-10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러스 방식과 슬라이딩 절점링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조립식 보도 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보도 확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202B1 (ko) 교량 확장 인도
KR100987061B1 (ko) 교량 상부구조물 확장구조 및 방법
KR101876827B1 (ko)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32738B1 (ko) 암반구간 설치용 인도교
KR101727124B1 (ko) 행어를 이용한 교량용 보도 및 그 시공 방법과, 경관용 인도교 및 그 시공 방법
KR200432594Y1 (ko) 교량용 가설 인도
KR100989111B1 (ko)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
KR101018637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101283014B1 (ko) 발판 지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인도교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326928B1 (ko) 복합 고가교량의 스틸그레이팅 설치 구조
KR20200073672A (ko) 개보수가 용이한 면진 데크로드
KR200361531Y1 (ko) 3단 분리형 교량유지관리 점검대
KR100945041B1 (ko) 교량 확장용 보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확장공법
KR1011854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2151075B1 (ko) 난간부와 발판부를 모듈화한 출렁다리
KR101018638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100611722B1 (ko) 도로 및 교량용 난간지주의 설치구조
KR100918828B1 (ko) 신축되는 교량용 가설인도
KR102057323B1 (ko) 부착식 또는 거치식 확장형 인도교
KR101439789B1 (ko) 기둥 설치장치
TWI667391B (zh) Bridge construction lad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236192Y1 (ko) 경사부 난간 설치구조
GB2243397A (en) Safety guard-rail apparatus
KR200303255Y1 (ko) 교각 점검대용 난간 및 그 난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