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028B1 - 교량 캔틸래버 - Google Patents

교량 캔틸래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028B1
KR102423028B1 KR1020210071118A KR20210071118A KR102423028B1 KR 102423028 B1 KR102423028 B1 KR 102423028B1 KR 1020210071118 A KR1020210071118 A KR 1020210071118A KR 20210071118 A KR20210071118 A KR 20210071118A KR 102423028 B1 KR102423028 B1 KR 102423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idge
support frame
gea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수
Original Assignee
(주)성원엠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원엠엔디 filed Critical (주)성원엠엔디
Priority to KR1020210071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캔틸래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통행하는 교량 측면에 설치되거나,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캔틸래버{Bridge cantilever}
본 발명은 교량 캔틸래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통행하는 교량 측면에 설치되거나,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교량 캔틸래버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슬래브에는 한 끝이 고정되고 다른 끝은 자유로운 보 형태의 캔틸레버(cantilever)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캔틸레버는 한쪽 선단이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을 이루더라도 원래 설계하고 시공한 상태로 형상을 유지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철재빔과 같은 별도의 고정브라켓을 캔틸레버 구간의 하부측을 지지하게 하여 자중에 의한 처짐이나 캔틸레버 및 고정브라켓의 균열에 의한 변형 방지를 꾀하였다.
하지만 상기 철재빔 고정브라켓은 캔틸레버 구간에서의 균열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수단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들 캔틸레버 부위에 작용하는 하중 변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진단장비를 도입하여 이들 구간의 변위를 측정 또는 검사하게 되는 번거러움과 불편함 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66319호
본 발명은 차량이 통행하는 교량 측면에 연결 설치되거나,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캔틸래버의 흔들림과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이 통행하는 교량 측면에 설치되거나,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량 캔틸래버는, 교량 측면이나, 인도교 하부로 형성되는 고정캔틸래버와, 고정캔틸래버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고정캔틸래버 하부로 수직 형성되는 하중지지대와, 하중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일측이 교량 측면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지지대와, 하중지지대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시키기 위해 하중지지대와 고정지지대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량 캔틸래버는, 온도 및 무게에 의한 처짐에 의해 변형되는 탄성패드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간극조절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간극조절부는, 감지되는 압력에 의해 실린더를 작동시켜 고정캔틸래버를 지지하기 위한 실린더조절수단; 또는 감지되는 압력에 의해 스크류를 작동시켜 고정캔틸래버를 지지하기 위한 스크류조절수단;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되, 상기 실린더조절수단은, 조절실린더를 지지하도록 고정지지대 양측으로 각각 복수개 형성되는 실린더부재와, 실린더부재에 안착되어 지지부재를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조절실린더와, 조절실린더의 실린더 축과 연결되어 조절실리더의 작동시 고정캔틸래버를 상승시키도록 고정캔틸래버 양측으로 각각 복수개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탄성패드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정보를 조절실린더 측으로 제공하도록 탄성패드와 고정지지대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류조절수단은, 구동스크류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고정캔틸래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부재와, 구동모터의 구동시 회전되도록 일측이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스크류부재에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구동스크류와, 구동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고정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구동모터와, 가이드스크류의 상부가 결합되도록 고정캔틸래버 타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지지대와, 구동스크류의 회전시 승하강되는 고정캔틸래버에 연결되는 스크류지지대 상에서 회전되도록 일측이 가이드베어링에 연결되고, 타측이 스크류지지대에 결합 형성되는 가이드스크류와, 가이드스크류가 공회전될 수 있도록 가이드스크류 일측이 결합되도록 고정지지대 타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량 캔틸래버는, 고정캔틸래버 측으로 가해지는 무게를 다방향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충격완화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충격완화부는, 완충스프링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완충유동홈 내부로 형성되는 완충패널과, 완충패널이 유동될 수 있도록 고정캔틸래버 상부에 형성되는 완충유동홈과, 완충패널이 무게와 진동에 의해 승하강 될 수 있도록 완출패널과 완충유동홈 내부 바닥면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완충스프링과, 완충패널과 완충유동홈 내부 바닥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완충패널 하부로 형성되는 거리감지센서와, 거리감지센서가 완충유동홈 내부 바닥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완충유동홈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감지부재와, 거리감지센서의 감지시 거리가 좁혀짐에 따라 완충패널을 상승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주입 및 퇴출로 작동되도록 완충유동홈 내부 바닥에 형성되는 공압실린더와, 완충패널을 상승시키기 위해 외부의 공기를 주입하거나, 완충패널을 하강시키기 위해 공압실린더 하부 일측으로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주입및퇴출구와, 제1주입및퇴출구 측으로 주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제1주입및퇴출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압력조절기와, 완충패널을 하깅시키기 위해 외부의 공기를 주입하거나, 완충패널을 상승시키기 위해 공압실린더 상부 일측으로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주입및퇴출구와, 제2주입및퇴출구 측으로 주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제2주입및퇴출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압력조절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이 통행하는 교량 측면에 설치되거나,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량 캔틸래버는, 원형의 강관이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일측이 교량 측면에 설치되는 원형강관과, 원형강관과 지지패널 사이를 연결하며, 지지패널 상에 가해지는 무게를 분산시키기 위해 원형강관과 지지패널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수직철편과, 일측이 교량의 측면에 연결되거나, 인도교 하부를 지지하도록 수직철편 상부로 형성되는 지지패널과, 교량 캔틸래버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지지패널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경량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량 캔틸래버는, 지지패널 상에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원형강관과 지지패널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원형강관으로 형성되는 처짐방지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처짐방지부는, 원형강관 양측으로 밀착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관고정부재와, 회전힌지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회전힌지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으로 형성되는 관고정부재에 결합 형성되는 각회전모터와, 관고정부재를 관통하며, 회전부재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관고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힌지와, 밀착부재를 교량 또는 지면 중 어느 한 위치 상에 밀착시키기 위해 회전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밀착실린더와, 밀착실린더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해 밀착실린더 일측으로 형성되는 각도감지센서와, 밀착부재가 밀착실린더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 형성되는 밀착힌지와, 교랴의 측면 또는 지면의 측면엘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밀착부재와, 밀착부재으 밀착시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도록 밀착부재 후면에 형성되는 압착센서와, 절벽에 밀착시 밀착력을 높여주기 휘해 밀착부재 일측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스파이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량 캔틸래버는, 지지패널 측으로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처짐이 발생되는 위치로 롤러가 이동되어 지지하기 위한 롤러지지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롤러지지부는, 이송롤러가 결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원형강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롤러가이드와, 이송롤러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롤러가이드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롤링실린더의 실린더축에 형성되는 롤러부재에 연결 형성되는 이송롤러와, 이송롤러와 롤러베어링 간의 상호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롤러축과, 롤링실린더의 작동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롤러가 회전하며 이동하도록 롤러부재에 결합 형성되는 롤러베어링과, 롤러베어링이 삽입 될 수 있도록 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형성되는 롤러부재와, 무게감지센서를 통해 처짐이 발생되는 위치의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이송롤러를 이동시켜 무게를 지지하도록 일측이 교량의 측면 또는 절벽 중 어느 한 측면에서 실린더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롤링실린더와, 롤링실린더의 작동시 롤링실린더가 회전될 수 있도록 롤링실린더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실린더힌지와, 무게감지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상으로 이송롤러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원형강관 일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롤러위치센서와, 지지패널 상에 가해지는 무게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지지패널상면에 형성되는 무게감지센서와, 원형강관과 지지패널의 흔들림을 감지하도록 지지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흔들림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이 통행하는 교량 측면에 설치되거나,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량 캔틸래버는, 인도교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레버힌지를 통해 교량 측면에 연결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일측이 교량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바부재에 연결 형성되는 제1고정바와, 레버힌지를 통해 제2바부재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제1고정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바부재와, 회전고정핀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제1바부재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관통홈과, 일측이 지지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바부재에 연결 형성되는 제2고정바와, 레버힌지를 통해 제1바부재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제2고정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바부재와, 제1바부재와 제2바부재가 상호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도록 제1바부재와 제2바부재 간의 삽입 연결되는 래버힌지와, 관통홈을 관통한 회전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바부재 상에 제1바부재에 형성된 관통홈과 대응되는 위치로 복수개 형성되는 고정홈과, 관통홈을 관통하여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고정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량 캔틸래버는, 지지프레임의 처짐이 발생됨에 따라 처짐이 발생된 각도만큼 상승시키거나, 지지프레임의 설치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각도회전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각도회전부는, 구동기어가 맞물려 이동될 수 있도록 교량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기어와, 구동모터를 지지하도록 교량 일측으로 형성되는 모터지지대와, 구동기어 측으로 회전동력을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해 모터지지대 상에 형성되는 구동모터와, 회전동력을 구동기어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구동기어 간의 연결 형성되는 구동벨트와, 구동기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 일측으로 구동모터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기어부재와, 가이드기어에 맞물려 가이드기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따라 회전되도록 기어부재에 형성되는 구동기어와, 지지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기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 일측 하부로 형성되는 처짐지지대와, 가이드기어 하측에 맞물려 지지프레임의 처짐무게를 지지하도록 처짐지지대에 형성되는 처짐방지기어와, 가이드기어와 맞물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처짐방지기어 상에 형성되는 마그네틱과, 지지프레임의 회전시 회전되는 각도를 센싱하며, 지지프레임의 처짐 각도를 센싱하기 위해 지지프레임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회전각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량 캔틸래버는, 지지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지지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높낮이회전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높낮이회전부는, 승하강부재가 슬라이드 승하강 될 수 있도록 교량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승하강가이드판과, 높낮이실린더가 안착될 수 있도록 승하강가이드판 하부로 형성되는 실린더지지판과, 승하강가이드판을 따라 높낮이실린더의 작동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승하강가이드판에 결합 형성되는 승하강부재와,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실린더지지판에 안착되며, 실린더 축이 승하강부재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는 높낮이실린더와, 승하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부재핀과, 부재핀에 의해 승하강부재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모터축이 부재핀에 결합되어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승하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부재회전모터와, 지지프레임의 회전시 각도를 감지하여 설정되는 각도에 따라 회전됨을 감지하도록 지지프레임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각변형센서와, 지지프레임의 높낮이를 감지하도록 승하강가이드판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높낮이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캔틸래버의 흔들림과 무게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여 캔틸래버의 안전성을 높여주는 효과와 캔틸래버의 위치변환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형성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교량캔틸래버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교량캔틸래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간극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4는 교량캔틸래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충격완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은 교량캔틸래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크랙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교량캔틸래버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교량캔틸래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처짐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0은 교량캔틸래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롤러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2는 교량캔틸래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크랙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 교량캔틸래버에 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교량캔틸래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각도회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6은 교량캔틸래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높낮이회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8은 교량캔틸래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크랙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 교량캔틸래버(100)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교량캔틸래버(100)는 차량이 통행하는 교량 측면에 설치되거나,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량캔틸래버(100)는 고정캔틸래버(110), 하중지지대(111), 고정지지대(112), 탄성패드(11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캔틸래버(110)는 교량 측면이나, 인도교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지지대(111)는 고정캔틸래버(11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중지지대(111)는 고정캔틸래버(110) 하부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지지대(112)는 하중지지대(111)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지지대(112)는 일측이 교량 측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패드(113)는 하중지지대(111)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패드(113)는 하중지지대(111)와 고정지지대(1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교량캔틸래버(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간극조절부(15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간극조절부(150)는 교량캔틸래버(100)에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간극조절부(150)는 온도 및 무게에 의한 처짐에 의해 변형되는 탄성패드(113)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극조절부(150)는 실린더조절수단(151)과 스크류조절수단(156)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조절수단(151)은 감지되는 압력에 의해 실린더를 작동시켜 고정캔틸래버(1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조절수단(151)은 실린더부재(152), 조절실린더(153), 지지부재(154), 압력감지센서(155)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부재(152)는 조절실린더(153)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부재(152)는 고정지지대(112) 양측으로 각각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실린더(153)는 실린더부재(152)에 안착되어 지지부재(154)를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154)는 조절실린더(153)의 실린더 축과 연결되어 조절실리더의 작동시 고정캔틸래버(110)를 상승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154)는 고정캔틸래버(110) 양측으로 각각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감지센서(155)는 탄성패드(113)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정보를 조절실린더(153)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력감지센서(155)는 탄성패드(113)와 고정지지대(1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조절수단(156)은 감지되는 압력에 의해 스크류를 작동시켜 고정캔틸래버(1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조절수단(156)은 스크류부재(157), 구동스크류(158), 구동모터(159), 스크류지지대(160), 가이드스크류(161), 가이드베어링(162)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부재(157)는 구동스크류(158)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부재(157)는 고정캔틸래버(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스크류(158)는 구동모터(159)의 구동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스크류(158)는 일측이 구동모터(159)의 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스크류부재(157)에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159)는 구동스크류(158)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159)는 고정지지대(1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지지대(160)는 가이드스크류(161)의 상부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지지대(160)는 고정캔틸래버(110)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스크류(161)는 구동스크류(158)의 회전시 승하강되는 고정캔틸래버(110)에 연결되는 스크류지지대(160) 상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스크류(161)는 일측이 가이드베어링(162)에 연결되고, 타측이 스크류지지대(160)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베어링(162)은 가이드스크류(161)가 공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베어링(162)은 가이드스크류(161) 일측이 결합되도록 고정지지대(112)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교량캔틸래버(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충격완화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충격완화부(200)는 교량캔틸래버(100)에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충격완화부(200)는 고정캔틸래버(110) 측으로 가해지는 무게를 다방향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완화부(200)는 완충패널(210), 완충유동홈(211), 완충스프링(212), 거리감지센서(213), 감지부재(214), 공압실린더(215), 제1주입및퇴출구(216), 제1압력조절기(217), 제2주입및퇴출구(218), 제2압력조절기(219)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패널(210)은 완충스프링(212)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패널(210)은 완충유동홈(211)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유동홈(211)은 완충패널(210)이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유동홈(211)은 고정캔틸래버(110)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스프링(212)은 완충패널(210)이 무게와 진동에 의해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스프링(212)은 완출패널과 완충유동홈(211) 내부 바닥면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감지센서(213)는 완충패널(210)과 완충유동홈(211) 내부 바닥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거리감지센서(213)는 완충패널(210)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재(214)는 거리감지센서(213)가 완충유동홈(211) 내부 바닥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감지부재(214)는 완충유동홈(211)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압실린더(215)는 거리감지센서(213)의 감지시 거리가 좁혀짐에 따라 완충패널(210)을 상승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주입 및 퇴출로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압실린더(215)는 완충유동홈(211) 내부 바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주입및퇴출구(216)는 완충패널(210)을 상승시키기 위해 외부의 공기를 주입하거나, 완충패널(210)을 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주입및퇴출구(216)는 공압실린더(215) 하부 일측으로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압력조절기(217)는 제1주입및퇴출구(216) 측으로 주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압력조절기(217)는 제1주입및퇴출구(216)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주입및퇴출구(218)는 완충패널(210)을 하깅시키기 위해 외부의 공기를 주입하거나, 완충패널(210)을 상승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주입및퇴출구(218)는 공압실린더(215) 상부 일측으로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압력조절기(219)는 제2주입및퇴출구(218) 측으로 주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압력조절기(219)는 제2주입및퇴출구(218)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교량캔틸래버(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크랙감지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크랙감지부(300)는 교량캔틸래버(100)에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크랙감지부(300)는 고정캔틸래버(110)의 처짐발생시 케이스의 크랙이 발생되어 형광물질(312)이 유출됨에 따라 고정캔틸래버(110)의 처짐을 감지하기 위해 하중지지대(111)와 고정지지대(1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랙감지부(300)는 외부케이스(310), 내부케이스(311), 형광물질(312), 케이스눌림판(313)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케이스(310)는 내부케이스(311)를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스(310)는 내부케이스(311) 외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케이스(311)는 형광물질(312)이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케이스(311)는 외부케이스(3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광물질(312)은 케이스눌림판(313)에 의해 눌려지는 내부케이스(311)의 파손시 내부케이스(31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눌림판(313)은 내부케이스(311)의 일측을 눌러 파손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눌림판(313)은 고정지지대(1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교량캔틸래버(400)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교량캔틸래버(400)는 차량이 통행하는 교량 측면에 설치되거나,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량캔틸래버(400)는 원형강관(410), 수직철편(411), 지지패널(412), 경량홀(413)을 포함한다.
상기 원형강관(410)은 원형의 강관이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일측이 교량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철편(411)은 원형강관(410)과 지지패널(412) 사이를 연결하며, 지지패널(412) 상에 가해지는 무게를 분산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철편(411)은 원형강관(410)과 지지패널(412)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패널(412)은 일측이 교량의 측면에 연결되거나, 인도교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패널(412)은 수직철편(411)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량홀(413)은 교량 캔틸래버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경량홀(413)은 지지패널(412)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교량캔틸래버(4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처짐방지부(45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처짐방지부(450)는 교량캔틸래버(400)에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처짐방지부(450)는 지지패널(412) 상에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원형강관(410)과 지지패널(412)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원형강관(41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짐방지부(450)는 관고정부재(451), 회전부재(452), 각회전모터(453), 회전힌지(454), 밀착실린더(455), 각도감지센서(456), 밀착힌지(457), 밀착부재(458), 압착센서(459), 스파이크(460)를 포함한다.
상기 관고정부재(451)는 원형강관(410) 양측으로 밀착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452)는 회전힌지(454)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회전모터(453)는 회전힌지(454)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각회전모터(453)는 일측으로 형성되는 관고정부재(451)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힌지(454)는 관고정부재(451)를 관통하며, 회전부재(452)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힌지(454)는 관고정부재(45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실린더(455)는 밀착부재(458)를 교량 또는 지면 중 어느 한 위치 상에 밀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실린더(455)는 회전부재(45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감지센서(456)는 밀착실린더(455)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각도감지센서(456)는 밀착실린더(45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힌지(457)는 밀착부재(458)가 밀착실린더(455)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재(458)는 교량의 측면 또는 지면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센서(459)는 밀착부재(458)의 밀착시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센서(459)는 밀착부재(458) 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파이크(460)는 절벽에 밀착시 밀착력을 높여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파이크(460)는 밀착부재(458) 일측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교량캔틸래버(4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롤러지지부(5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롤러지지부(500)는 교량캔틸래버(400)에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지지부(500)는 지지패널(412) 측으로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처짐이 발생되는 위치로 롤러가 이동되어 지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지지부(500)는 롤러가이드(510), 가이드홈(511), 이송롤러(512), 롤러축(513), 롤러베어링(514), 롤러부재(515), 롤링실린더(516), 실린더힌지(517), 롤러위치센서(518), 무게감지센서(519), 흔들림감지센서(520)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가이드(510)는 이송롤러(512)가 결합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가이드(510)는 원형강관(4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511)은 이송롤러(512)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홈(511)은 롤러가이드(51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롤러(512)는 가이드홈(511)에 삽입되어 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롤러(512)는 롤링실린더(516)의 실린더축에 형성되는 롤러부재(515)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축(513)은 이송롤러(512)와 롤러베어링(514) 간의 상호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베어링(514)은 롤링실린더(516)의 작동시 가이드홈(511)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롤러(512)가 회전하며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베어링(514)은 롤러부재(515)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부재(515)는 롤러베어링(514)이 삽입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부재(515)는 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링실린더(516)는 무게감지센서(519)를 통해 처짐이 발생되는 위치의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이송롤러(512)를 이동시켜 무게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링실린더(516)는 일측이 교량의 측면 또는 절벽 중 어느 한 측면에서 실린더힌지(517)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힌지(517)는 롤링실린더(516)의 작동시 롤링실린더(516)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힌지(517)는 롤링실린더(516)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위치센서(518)는 무게감지센서(519)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상으로 이송롤러(512)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위치센서(518)는 원형강관(410) 일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감지센서(519)는 지지패널(412) 상에 가해지는 무게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무게감지센서(519)는 지지패널(412)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흔들림감지센서(520)는 원형강관(410)과 지지패널(412)의 흔들림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흔들림감지센서(520)는 지지패널(412) 일측으로 형성되는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교량캔틸래버(4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크랙감지부(6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크랙감지부(600)는 교량캔틸래버(400)에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크랙감지부(600)는 원형강관(410)과 지지패널(412)의 처짐발생시 케이스의 크랙이 발생되어 형광물질(612)이 유출됨에 따라 원형강관(410)과 지지패널(412)의 처짐을 감지하기 위해 밀착부재(458)와 밀착실린더(455)의 실린더축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랙감지부(600)는 외부케이스(610), 내부케이스(611), 형광물질(612), 케이스눌림판(613)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케이스(610)는 내부케이스(611)를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스(610)는 내부케이스(611) 외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케이스(611)는 형광물질(612)이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케이스(611)는 외부케이스(6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광물질(612)은 케이스눌림판(613)에 의해 눌려지는 내부케이스(611)의 파손시 내부케이스(61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눌림판(613)은 내부케이스(611)의 일측을 눌러 파손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눌림판(613)은 밀착부재(458)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 교량캔틸래버(700)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교량캔틸래버(700)는 차량이 통행하는 교량 측면에 설치되거나,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량캔틸래버(700)는 지지프레임(710), 제1고정바(711), 제1바부재(712), 관통홈(713), 제2고정바(714), 제2바부재(715), 래버힌지(716), 고정홈(717), 회전고정핀(718)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710)은 인도교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710)은 일측이 레버힌지를 통해 교량 측면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바(711)는 일측이 교량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바부재(712)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바부재(712)는 레버힌지를 통해 제2바부재(715)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바부재(712)는 제1고정바(7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홈(713)은 회전고정핀(718)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홈(713)은 제1바부재(712)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고정바(714)는 일측이 지지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바부재(715)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바부재(715)는 레버힌지를 통해 제1바부재(712)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바부재(715)는 제2고정바(7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버힌지(716)는 제1바부재(712)와 제2바부재(715)가 상호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래버힌지(716)는 제1바부재(712)와 제2바부재(715) 간의 삽입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홈(717)은 관통홈(713)을 관통한 회전고정핀(718)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홈(717)은 제2바부재(715) 상에 제1바부재(712)에 형성된 관통홈(713)과 대응되는 위치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고정핀(718)은 관통홈(713)을 관통하여 고정홈(717)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4는 교량캔틸래버(7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각도회전부(75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도 14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회전부(750)는 교량캔틸래버(700)에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각도회전부(750)는 지지프레임(710)의 처짐이 발생됨에 따라 처짐이 발생된 각도만큼 상승시키거나, 지지프레임(710)의 설치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회전부(750)는 가이드기어(751), 모터지지대(752), 구동모터(753), 구동벨트(754), 기어부재(755), 구동기어(756), 처짐지지대(757), 처짐방지기어(758), 마그네틱(759), 회전각센서(76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기어(751)는 구동기어(756)가 맞물려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기어(751)는 교량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지지대(752)는 구동모터(753)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지지대(752)는 교량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753)는 구동기어(756) 측으로 회전동력을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753)는 모터지지대(752)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벨트(754)는 회전동력을 구동기어(756)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벨트(754)는 구동모터(753)의 모터축과 구동기어(756) 간의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부재(755)는 구동기어(756)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어부재(755)는 지지프레임(710) 일측으로 구동모터(753)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기어(756)는 가이드기어(751)에 맞물려 가이드기어(751)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따라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기어(756)는 기어부재(755)에 형성되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짐지지대(757)는 지지프레임(71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기어(758)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처짐지지대(757)는 지지프레임(710) 일측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짐방지기어(758)는 가이드기어(751) 하측에 맞물려 지지프레임(710)의 처짐무게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처짐방지기어(758)는 처짐지지대(757)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759)은 가이드기어(751)와 맞물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마그네틱(759)은 처짐방지기어(758)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각센서(760)는 지지프레임(710)의 회전시 회전되는 각도를 센싱하며, 지지프레임(710)의 처짐 각도를 센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각센서(760)는 지지프레임(710)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6은 교량캔틸래버(7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높낮이회전부(8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은 도 16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낮이회전부(800)는 교량캔틸래버(700)에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높낮이회전부(800)는 지지프레임(710)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지지프레임(7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회전부(800)는 승하강가이드판(810), 실린더지지판(811), 승하강부재(812), 높낮이실린더(813), 부재핀(814), 회전부재(815), 부재회전모터(816), 각변형센서(817), 높낮이센서(818)를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가이드판(810)은 승하강부재(812)가 슬라이드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가이드판(810)은 교량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지지판(811)은 높낮이실린더(813)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지지판(811)은 승하강가이드판(810)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부재(812)는 승하강가이드판(810)을 따라 높낮이실린더(813)의 작동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부재(812)는 승하강가이드판(810)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실린더(813)는 승하강부재(812)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실린더지지판(811)에 안착되며, 실린더 축이 승하강부재(812)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핀(814)은 승하강부재(812)를 기준으로 회전부재(815)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핀(814)은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815)는 부재핀(814)에 의해 승하강부재(812)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부재(815)는 지지프레임(7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회전모터(816)는 모터축이 부재핀(814)에 결합되어 회전부재(815)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회전모터(816)는 승하강부재(8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변형센서(817)는 지지프레임(710)의 회전시 각도를 감지하여 설정되는 각도에 따라 회전됨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각변형센서(817)는 지지프레임(710)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센서(818)는 지지프레임(710)의 높낮이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높낮이센서(818)는 승하강가이드판(810)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8은 교량캔틸래버(7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크랙감지부(9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크랙감지부(900)는 교량캔틸래버(700)에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크랙감지부(900)는 지지프레임(710)의 처짐발생시 케이스의 크랙이 발생되어 형광물질(912)이 유출됨에 따라 지지프레임(710)의 처짐을 감지하기 위해 지지프레임(710)과 교량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랙감지부(900)는 외부케이스(910), 내부케이스(911), 형광물질(912), 케이스눌림판(913)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케이스(910)는 내부케이스(911)를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스(910)는 내부케이스(911) 외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케이스(911)는 형광물질(912)이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케이스(911)는 외부케이스(9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광물질(912)은 케이스눌림판(913)에 의해 눌려지는 내부케이스(911)의 파손시 내부케이스(91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눌림판(913)은 내부케이스(911)의 일측을 눌러 파손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눌림판(913)은 교량 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교량캔틸래버
110 : 고정캔틸래버 111 : 하중지지대
112 : 고정지지대 113 : 탄성패드
150 : 간극조절부 151 : 실린더조절수단
152 : 실린더부재 153 : 조절실린더
154 : 지지부재 155 : 압력감지센서
156 : 스크류조절수단 157 : 스크류부재
158 : 구동스크류 159 : 구동모터
160 : 스크류지지대 161 : 가이드스크류
162 : 가이드베어링
200 : 충격완화부 210 : 완충패널
211 : 완충유동홈 212 : 완충스프링
213 : 거리감지센서 214 : 감지부재
215 : 공압실린더 216 : 제1주입및퇴출구
217 : 제1압력조절기 218 : 제2주입및퇴출구
219 :제2압력조절기
300 : 크랙감지부 310 : 외부케이스
311 : 내부케이스 312 : 형광물질
313 : 케이스눌림판
400 : 교량캔틸래버 410 : 원형강관
411 : 수직철편 412 : 지지패널
413 : 경량홀
450 : 처짐방지부 451 : 관고정부재
452 : 회전부재 453 : 각회전모터
454 : 회전힌지 455 : 밀착실린더
456 : 각도감지센서 457 : 밀착힌지
458 : 밀착부재 459 : 압착센서
460 : 스파이크
500 : 롤러지지부 510 : 롤러가이드
511 : 가이드홈 512 : 이송롤러
513 : 롤러축 514 : 롤러베어링
515 : 롤러부재 516 : 롤링실린더
517 : 실린더힌지 518 : 롤러위치센서
519 : 무게감지센서 520 : 흔들림감지센서
600 : 크랙감지부 610 : 외부케이스
611 : 내부케이스 612 : 형광물질
613 : 케이스눌림판
700 : 교량캔틸래버 710 : 지지프레임
711 : 제1고정바 712 : 제1바부재
713 : 관통홈 714 : 제2고정바
715 : 제2바부재 716 : 래버힌지
717 : 고정홈 718 : 회전고정핀
750 : 각도회전부 751 : 가이드기어
752 : 모터지지대 753 : 구동모터
754 : 구동벨트 755 : 기어부재
756 : 구동기어 757 : 처짐지지대
758 : 처짐방지기어 759 : 마그네틱
760 : 회전각센서
800 : 높낮이회전부 810 : 승하강가이드판
811 : 실린더지지판 812 : 승하강부재
813 : 높낮이실린더 814 : 부재핀
815 : 회전부재 816 : 부재회전모터
817 : 각변형센서 818 : 높낮이센서
900 : 크랙감지부 910 : 외부케이스
911 : 내부케이스 912 : 형광물질
913 : 케이스눌림판

Claims (4)

  1. 차량이 통행하는 교량 측면에 설치되거나,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교량 캔틸래버에 있어서,
    상기 교량 캔틸래버는,
    인도교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레버힌지를 통해 교량 측면에 연결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일측이 교량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바부재에 연결 형성되는 제1고정바와,
    레버힌지를 통해 제2바부재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제1고정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바부재와,
    회전고정핀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제1바부재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관통홈과,
    일측이 지지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바부재에 연결 형성되는 제2고정바와,
    레버힌지를 통해 제1바부재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제2고정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바부재와,
    제1바부재와 제2바부재가 상호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도록 제1바부재와 제2바부재 간의 삽입 연결되는 래버힌지와,
    관통홈을 관통한 회전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바부재 상에 제1바부재에 형성된 관통홈과 대응되는 위치로 복수개 형성되는 고정홈과,
    관통홈을 관통하여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고정핀로 이루어지되,

    상기 교량 캔틸래버는,
    인도교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의 처짐이 발생됨에 따라 처짐이 발생된 각도만큼 상승시키거나, 지지프레임의 설치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각도회전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각도회전부는,
    구동기어가 맞물려 이동될 수 있도록 교량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기어와,
    구동모터를 지지하도록 교량 일측으로 형성되는 모터지지대와,
    구동기어 측으로 회전동력을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해 모터지지대 상에 형성되는 구동모터와,
    회전동력을 구동기어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구동기어 간의 연결 형성되는 구동벨트와,
    구동기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 일측으로 구동모터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기어부재와,
    가이드기어에 맞물려 가이드기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따라 회전되도록 기어부재에 형성되는 구동기어와,
    지지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기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 일측 하부로 형성되는 처짐지지대와,
    가이드기어 하측에 맞물려 지지프레임의 처짐무게를 지지하도록 처짐지지대에 형성되는 처짐방지기어와,
    가이드기어와 맞물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처짐방지기어 상에 형성되는 마그네틱과,
    지지프레임의 회전시 회전되는 각도를 센싱하며, 지지프레임의 처짐 각도를 센싱하기 위해 지지프레임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회전각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교량 캔틸래버는,
    인도교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지지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높낮이회전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높낮이회전부는,
    승하강부재가 슬라이드 승하강 될 수 있도록 교량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승하강가이드판과,
    높낮이실린더가 안착될 수 있도록 승하강가이드판 하부로 형성되는 실린더지지판과,
    승하강가이드판을 따라 높낮이실린더의 작동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승하강가이드판에 결합 형성되는 승하강부재와,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실린더지지판에 안착되며, 실린더 축이 승하강부재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는 높낮이실린더와,
    승하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부재핀과,
    부재핀에 의해 승하강부재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모터축이 부재핀에 결합되어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승하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부재회전모터와,
    지지프레임의 회전시 각도를 감지하여 설정되는 각도에 따라 회전됨을 감지하도록 지지프레임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각변형센서와,
    지지프레임의 높낮이를 감지하도록 승하강가이드판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높낮이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캔틸래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71118A 2021-06-01 2021-06-01 교량 캔틸래버 KR102423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118A KR102423028B1 (ko) 2021-06-01 2021-06-01 교량 캔틸래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118A KR102423028B1 (ko) 2021-06-01 2021-06-01 교량 캔틸래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028B1 true KR102423028B1 (ko) 2022-07-20

Family

ID=8260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118A KR102423028B1 (ko) 2021-06-01 2021-06-01 교량 캔틸래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0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319B1 (ko) 2008-04-21 2008-10-31 주식회사 정신 교량 강교 캔틸레버 구간의 철재빔 처짐 진단장치
KR101284221B1 (ko) * 2010-11-05 2013-07-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bg 센서 기반 계측장치가 적용된 교량의 받침형 내진장치
KR101903442B1 (ko) * 2018-04-02 2018-11-07 (주)효성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319B1 (ko) 2008-04-21 2008-10-31 주식회사 정신 교량 강교 캔틸레버 구간의 철재빔 처짐 진단장치
KR101284221B1 (ko) * 2010-11-05 2013-07-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bg 센서 기반 계측장치가 적용된 교량의 받침형 내진장치
KR101903442B1 (ko) * 2018-04-02 2018-11-07 (주)효성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8660B (zh) 输送带设备
US9527675B2 (en) Chain tension sensor
US8973742B2 (en) Chain tension sensor
CN102272022A (zh) 输送带
KR102423028B1 (ko) 교량 캔틸래버
JP4840256B2 (ja) カウンタバランス型クレーン
KR102422290B1 (ko) 교량 캔틸래버
WO2003010082A1 (fr) Detecteur de surcharge sur vehicules elevateurs de haute portee
CN106869205A (zh) 提升绳索引导装置
KR102021196B1 (ko) 리클레이머용 감지장치
JP2009101979A (ja) 積載物の重量を計測することができる運搬車両
US7017220B2 (en) Spring counterbal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y biasing a dock leveler
CN109733793A (zh) 一种带式输送机用的智能缓冲装置
KR101953817B1 (ko)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CN108120412B (zh) 间隙检测装置和机械设备
US20060045713A1 (en) Device for measuring a maximum load allowed for lift platforms
CN107963408A (zh) 一种自检调整型运输轨道
KR102662274B1 (ko) 크러싱 플랜트용 컨베이어 벨트 슬립 센싱 시스템
KR102060490B1 (ko) 유체이송호스 지지용 새들
KR101950607B1 (ko) 코크스 오븐용 승강장치
AU2017279723B2 (en) Sensor assembly for a chain conveyor background
KR102025621B1 (ko)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US6290026B1 (en) Hydraulic elevator
CN105606010B (zh) 机械式宽度检测单元以及外形检测装置
TWM568251U (zh) Belt conveyor anti-separ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