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210B1 -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210B1
KR101796210B1 KR1020160170632A KR20160170632A KR101796210B1 KR 101796210 B1 KR101796210 B1 KR 101796210B1 KR 1020160170632 A KR1020160170632 A KR 1020160170632A KR 20160170632 A KR20160170632 A KR 20160170632A KR 101796210 B1 KR101796210 B1 KR 101796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cantilever
bracket
bolt
horizon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이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원 filed Critical 이성원
Priority to KR1020160170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더의 상면에 형성된 앵커볼트와 체결하면서 상기 거더의 측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교량의 캔틸레버를 형성하기 위한 브래킷에 있어서, 일측부는 상기 거더의 상면 위에 올려지도록 하면서 타측부는 상기 거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수평패널; 상기 수평패널의 타측부에는 프리캐스트 플레이트의 단부를 수평상태로 걸쳐질 수 있는 수평부가 형성되고 수평부의 전방에는 상기 거더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수직부가 일체로 되게 형성되며, 수평부 하부와 수직부 전방 공간에는 지지대를 일체 형성하는 한편, 상기 수평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2 체결구와 대응하여 제3 체결구가 형성된 받침대; 상기 수평패널과 받침대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와 너트 및 상기 수평패널 위로 노출된 볼트와 너트를 씌우기 위한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을 이용하여 캔틸레버를 시공 후에는 상기 볼트를 풀어 상기 수평패널로부터 상기 받침대를 분리 제거함으로써, 자원의 활용성과 경제성이 더욱 향상되는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Bracket for cantilever and cantileve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bracket}
본 발명은 교량의 캔틸레버를 시공하기 위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을 이용하여 교량의 캔틸레버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캔틸레버의 시공 후 상기 브래킷을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브래킷을 이용하여 교량의 캔틸레버 시공이 더욱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교량의 구조를 살펴보면 크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교각, 상기 교각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거더(girder), 상기 거더 위에 설치되는 슬래브 및 상기 슬래브 양측에 설치되는 캔틸레버(Cantilever)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 캔틸레버의 구조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 제1101209호(2012.1.04. 공고) 에 게재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강재 영구받침대를 설치하고, 상기 강제 영구받침대의 끝단을 장선재로 연결하는 한편, 상기 강재 영구받침대와 장선재 위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올려 설치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강재 영구받침대는 패널을 올려놓기 위한 장선재의 설치와 작업통로의 하중을 포함하므로 규모가 크고 설치방법상 영구받침대의 처짐 및 교량바닥판의 구배를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가 상기 거더(1) 위에 올려지도록 하면서 상기 일측 단부에는 상기 거더(1)의 상부로 돌출된 앵커 볼트와 체결하도록 체결구(11a)가 형성된 수평 패널(11); 상기 수평 패널(11)의 일측 단부가 거더(1)에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거더(1)의 측면에 밀착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 패널(11)의 일측 단부측 하부에 형성되는 수직 패널(12); 및 상기 수직패널(12)의 타측과 수평 패널(11)의 하부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여 보강력을 증대될 수 있도록 하되, 일측 단면은 상기 수직 패널에 지지되고 상부는 상기 수평 패널을 받쳐주도록 형성된 지지대(13);를 포함하여 구성된 캔틸레버용 브래킷(10)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캔틸레버용 브래킷(10)은 상기 수평 패널(11)의 체결구(11a)가 거더(1)의 앵커볼트에 볼팅 체결된 상태에서 수평 패널(11)의 하부에 수직 패널(12)과 지지대(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캔틸레버의 시공 후에는 수평 패널(11)은 물론 수평 패널(11)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된 수직 패널(12) 및 지지대(13) 등을 철거할 수 없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캔틸레버용 브래킷(10)은 캔틸레버의 시공 후 재활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원 측면에서 많은 낭비를 초래하는 결점이 있고, 캔틸레버의 시공 비용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며, 시공 후 캔틸레버용 브래킷이 항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방치되어 있어 부식 등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 등이 내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 결점 및 문제점등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그 주된 목적으론 캔틸레버의 시공 후 캔틸레버용 브래킷을 수평 패널에서 받침대를 간편 용이하게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유지보수가 필요 없게 되어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캔틸레버용 브래킷을 이용하여 교량의 캔틸레버 시공이 더욱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론 캔틸레버 시공시 상기 캔틸레버용 브래킷에 프리캐스트 플레이트를 올려 놓은 후 난간을 고정한 상태에서 배근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 그 특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론 캔틸레버용 브래킷의 수평패널 상부에 고정판 체결구를 형성하여 캔틸레버용 브래킷에 프리캐스트 플레이트를 올려 배열한 후 고정판을 이용하여 볼팅 고정토록 함으로서 프리캐스트 플레이트가 미끄러져 추락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 그 특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론 교량을 시공 시 곡선 구간에서 캔틸레버의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캔틸레버용 브래킷을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거더의 상면에 형성된 앵커볼트와 체결하면서 상기 거더의 측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교량의 캔틸레버를 시공하기 위한 캔틸레버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용 브래킷의 일측부는 상기 거더의 상면 위에 올려지도록 하면서 상기 앵커볼트와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구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상기 거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제2 체결구가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는 고정판 체결구가 형성된 수평패널; 상기 수평패널의 타측부에는 프리캐스트 플레이트의 단부를 수평상태로 걸쳐질 수 있는 수평부가 형성되고 수평부의 전방에는 상기 거더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수직부가 일체로 되게 형성되며, 수평부 하부와 수직부 전방 공간에는 지지대를 일체 형성하는 한편, 상기 수평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2 체결구와 대응하여 제3 체결구가 형성된 받침대; 상기 제3 체결구 및 제2 체결구를 통해 상기 받침대의 하부로부터 상기 수평패널의 상부로 끼워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 및 상기 수평패널의 상부로 노출된 볼트의 끝단과 너트를 씌우기 위한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 패널의 상부에는 프리캐스트 플레이트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고정판 체결구는 제2 체결구 사이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패널의 표면에는 캔틸레버 시공 후 노출되는 부위의 부식방지를 위한 도금층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패널의 타측부는 상향 경사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한편, 상기 받침대의 상면은 상기 수평패널의 타측부와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의 수평부와 지지대 끝단에는 중량물을 올려 놓았을 때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판을 고정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는 평판, 사각파이프, 원형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앵커볼트가 형성된 거더를 통해 캔틸레버를 형성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일측부에는 제1 체결구가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제2 체결구가 형성된 수평패널과 프리캐스트 플레이트의 단부를 수평상태로 걸쳐질 수 있는 수평부가 형성되고 수평부의 전방에는 상기 거더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수직부가 일체로 되게 형성되며, 수평부 하부와 수직부 전방 공간에는 지지대를 일체 형성하는 한편, 상기 수평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2 체결구와 대응하여 제3 체결구가 형성된 받침대로 구성되어 상기 제3 체결구 및 제2 체결구를 통해 볼트와 너트로 조립한 후 상기 수평패널의 상부로 노출된 볼트/너트를 마감캡으로 씌워 조립된 캔틸레버용 브래킷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거더의 앵커볼트에 위치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캔틸레버용 브래킷을 설치하되, 상기 수평패널의 일측부가 상기 거더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체결구를 상기 앵커볼트에 끼워 체결하는 한편 상기 받침대의 수직부가 상기 거더의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하여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평평한 상부면을 통해 다수개의 고리형 철근이 돌출되고, 외측 선단에는 막음벽이 돌출 형성되는 한편, 양측 단면에는 상기 앵커볼트와 볼트와 너트가 노출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가 이웃하는 두 브래킷 사이에 받쳐지는 상태로 연속하여 올려놓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의 내측에 수평패널에 형성된 고정판 체결구를 이용하여 양측의 프리캐스트 플레이트 상부에 고정판을 대고 연결볼트로 고정하고 프리캐스트 플레이트의 막음벽 내측의 끼움봉에 지주를 끼워 난간을 형성하는 단계; 선형 철근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의 고리형 철근들 사이를 망 형태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난간을 끼움봉으로부터 해체하고 연결된 프리캐스트 플레이트 위로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의 하부를 받치고 있는 캔틸레버용 브래킷의 볼트와 너트를 풀어 상기 수평패널로부터 받침대를 분리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는 평면에서 볼 때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아지도록 양측 단면에 절개각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절개각을 이용하여 교량의 곡선구간에 프리캐스트 플레이트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에 의하면 상기 캔틸레버용 브래킷을 캔틸레버의 시공 후 수평패널로부터 받침대를 분리하여 분리된 받침대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활용성과 경제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상기 캔틸레버용 브래킷을 이용하여 교량의 캔틸레버 시공이 더욱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캔틸레버용 브래킷을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에 의하면 양측 단부에 절개각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직선구간의 캔틸레버는 물론이고 내외측으로 굽어지는 곡선구간의 캔틸레버의 시공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시공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캔틸레버 및 브래킷의 시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캔틸레버의 시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캔틸레버용 브래킷을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캔틸레버용 브래킷을 도시한 요부 설명도.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캔틸레버용 브래킷을 이용한 캔틸레버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교량의 캔틸레버용 브래킷을 이용한 시공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설명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캔틸레버용 브래킷(100)은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상기 거더(1)의 상면 위에 올려지도록 하면서 타측부는 상기 거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수평패널(110)과, 상기 수평패널(110)의 타측부를 통해 체결되면서 상기 거더의 측면에 밀착하여 지지되도록 형성된 받침대(120), 상기 수평패널(110)과 받침대(120)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와 너트(130a, 130b) 및 상기 수평패널 위로 노출된 볼트와 너트를 씌우기 위한 마감캡(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패널(110)은 강판으로 형성되는데, 일측부는 상기 거더(1)의 상면 위에 올려지도록 하면서 상기 앵커볼트(1a)와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구(111)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상기 거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제2 체결구(11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수평패널(110)은 일측부의 제1 체결구(111)와 타측부의 제2 체결구(112)를 통해 후술하는 받침대(120)를 거더의 측면에 설치한다.
상기 수평패널(110)은 실시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부가 상향 경사각(R1)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받침대(120)의 상면이 동일한 상향 경사각(R2)으로 이루어져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의 내측보다 외측이 소정 기울기 상향되는 상태로 시공되게 한다.
상기 수평패널(110)은 다른 실시 예로서 부식 방지를 위해 표면에 도금층(1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평패널(110)은 내구성과 지지력 보강을 위해 합금 강철로 형성하되, 표면에 예를 들어 경질 또는 연질의 크롬 도금층(130)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패널(110)은 다른 실시 예로서 상부에 올려지는 프리캐스트 플레이트를 고정판에 체결된 연결볼트를 끼움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판 체결구(113)가 더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받침대(120)는 상기 수평패널(110)의 타측부를 통해 상기 거더(1)의 측면에 밀착하여 설치하도록 하되, 상기 수평패널의 타측부에는 프리캐스트 플레이트의 단부를 수평상태로 걸쳐질 수 있는 수평부(121a)가 형성되고 수평부(121a)의 전방에는 상기 거더(1)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수직부(121b)가 일체로 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21a) 하부와 수직부(121b) 전방 공간에는 지지대(123)를 일체 형성하는 한편, 상기 수평부(121)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2 체결구(112)와 대응하여 제3 체결구(122)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3 체결구 및 제2 체결구를 통해 상기 받침대의 하부로부터 상기 수평패널의 상부로 끼워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 및 상기 수평패널의 상부로 노출된 볼트의 끝단과 너트를 씌우기 위한 마감캡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120)는 상기 수평패널(110)을 통해 체결된 상태로 상면에 작용하는 캔틸레버(200)의 하중을 지지대와 받침대(120)의 수직부(121b)를 통해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대(120)의 수평부(121a)에 형성된 상기 제3 체결구(122)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후술하는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의 양측 단부를 올려 받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되는 것이고, 이를 위해 상기 제3 체결구는 중심선상의 양측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대(120)는 실시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패널(110)의 타측부와 동일한 경사각(R2)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받침대(120)의 끝단이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를 기울지 않도록 받쳐주면서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의 내측보다 외측이 소정 기울기 상향되는 상태로 시공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20)의 수평부(121a)과 지지대(123) 끝단에는 중량물을 올려 놓았을 때 하중에 의해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판(124)을 고정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23)는 평판, 사각파이프, 원형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볼트와 너트(130a, 130b)는 상기 제3 체결구 및 제2 체결구를 통해 상기 받침대(120)의 하부로부터 상기 수평패널(110)의 상부로 끼워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볼트와 너트(130a, 130b)는 볼트(130a) 머리가 하부를 향하도록 체결함으로써 캔틸레버의 시공 후 상기 볼트(130a)를 간편하게 풀어 받침대(120)를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캡(140)은 상기 수평패널(110)의 상부로 노출된 볼트(130a)의 끝단과 너트(130b)를 씌우도록 형성된다. 상기 마감캡(140)은 브래킷의 설치 후 캔틸레버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타설되는 시멘트 물이 볼트와 너트의 틈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마감캡(140)은 볼트와 너트(130a, 130b)를 밀봉함으로써, 상기 캔틸레버(200)의 시공후 상기 받침대를 분리 제거시 상기 시멘트 물에 의해 응고된 볼트와 너트(130a, 130b)가 풀리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캡(140)은 예를 들어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캔틸레버용 브래킷(100)을 이용하여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앵커볼트(1a)가 형성된 거더(1)를 통해 캔틸레버(200)를 형성하는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에는 제1 체결구(111)가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제2 체결구(112)가 형성된 수평패널(110)과, 상기 캔틸레버의 프리캐스트 플레이트를 받쳐줄 수 있는 수평부(121a), 거더(1)의 측면에 긴밀히 접촉되는 수직부(121b), 수평부와 수직부 사이에 고정되어 보강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지지대(123)로 형성되면서 상기 수평부(121a)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2 체결구(112)와 대응하는 제3 체결구(122)가 형성된 받침대(120)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수평패널(110)의 타측부에 형성된 제2 체결구(112)와 상기 받침대(120)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3 체결구(122)를 통해 볼트와 너트(130a, 130b)로 체결한 후, 상기 수평패널 위로 노출되는 볼트와 너트(130a, 130b)를 마감캠(140)으로 씌워 조립된 캔틸레버용 브래킷(100)을 준비한다. 이와 같은 캔틸레버용 브래킷(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1)의 앵커볼트(1a)에 위치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캔틸레버용 브래킷(100)을 볼팅 고정하되, 상기 수평패널(110)의 일측부가 상기 거더(1)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체결구(111)를 상기 앵커볼트(1a)에 끼워 체결하는 한편 상기 받침대(120)의 일측부에 형성된 수직면(121b)이 상기 거더(1)의 측면에 견고하게 밀착하여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다음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틸레버용 브래킷(100)의 수평패널(110)과 받침대의(120)의 수평부(121a) 상면을 통해 다수개의 고리형 철근(211)이 돌출되고, 외측 선단에는 막음벽(212)이 돌출 형성되는 한편, 양측 단면에는 상기 앵커볼트(1a)와 볼트와 너트(130)가 노출되도록 절개홈(213)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는 실시 예로서 막음벽(212) 내측에 난간(230)의 지주를 끼울 수 있도록 끼움봉(21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는 다른 실시 예로서 도 8과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아지도록 양측 단면에 절개각(R3)을 형성한다. 상기 절개각(R3)은 후술하는 곡선구간의 시공을 위해 형성하는 것이다.
다음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를 이웃하는 두 브래킷(100) 사이에 받쳐지는 상태로 연속하여 올려놓고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의 유동이나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패널(110)에 형성된 고정판 체결구113)에 연결볼트(B)를 걸은 후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고정판(G)을 끼워 견고하게 고정하고, 작업자가 작업하는 도중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끼움봉(214)에 난간(230)을 끼워 고정한 다음 선형 철근을 이용하여 상기 고리형 철근(211)들 사이를 망 형태로 연결하여 고정한다. 즉, 상기 고리형 철근(211)은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의 평평한 상면으로부터 '∧'형태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이들 사이로 선형 철근을 배열한 후 와이어로 묶으면서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 들을 일체로 연결 고정하는 것이다.
다음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된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 위로 시멘트 콘크리트(220)를 타설하고 양생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시멘트 콘크리트(200)는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의 절개홈(213) 사이로 침투하여 양생됨으로써 상기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 사이에 부착력을 작용한다.
다음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의 하부를 받치고 있는 브래킷(100)의 볼트(130a)를 풀어 거더(1)에 고정된 수평패널(110)로부터 받침대(120를 분리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분리한 받침대(120)는 다른 캔틸레버(200)의 시공에서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캔틸레버 시공방법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를 평면에서 볼 때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아지도록 양측 단면에 절개각(R3)을 형성함으로써, 도 13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직선구간 및 곡선구간(내외측)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의 외측 양 끝단이 서로 맞닿는 상태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직선구간에서는 도 13의 (a)와 같이 양측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브래킷(100) 위에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의 양측 단부가 걸리는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브래킷(100)의 수평패널(110) 위로 노출된 앵커볼트(1a)와 마감캡(140)은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의 양측에 형성된 절개홈(213)을 통해 노출된다.
다음으로 곡선구간의 외측에서는 도 13의 (b)와 같이 양측에 설치되는 브래킷(100) 위에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의 양측 단부가 걸리는 상태로 설치하되, 최대 상기 절개각(R3)만큼씩 좁혀가면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앵커볼트(1a)와 마감캡(140)은 최소한 상기 양측에 형성된 절개홈(213)과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로 노출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곡선구간의 내측에서는 도 13의 (c)와 같이 양측에 설치되는 브래킷 위에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의 양측 단부가 걸리는 상태로 설치하되, 최대 상기 절개홈(213)이 브래킷(100)의 수평패널(110) 또는 받침대(120)의 수평부(121a)를 벗어나지 않도록 벌려가면서 설치한다. 이때, 상기 브래킷(100)의 수평패널(110)과 받침대(120)의 수평부(121a)는 필요에 따라 좌우 폭을 넓혀 형성한 것으로 적용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210)의 외측 끝단이 서로 벌어지지 않는 상태로 직선구간 및 곡선구간에서의 캔틸레버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 및 시공방법에 의하면 상기 브래킷을 캔틸레버의 시공 후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원의 활용성과 경제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브래킷을 이용하여 교량의 캔틸레버 시공이 더욱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양측 단부에 절개각(R3)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직선구간의 캔틸레버는 물론이고 내외측으로 굽어지는 곡선구간에서 캔틸레버의 시공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시공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브래킷 110: 수평패널
111: 제1 체결구 112: 제2 체결구
113 : 고정판 체결구
120: 받침대 121a : 수평부
121b : 수직부 122: 제3 체결구
123 : 지지대 130a: 볼트
130b: 너트 140: 마감캡
200: 캔틸레버 210: 프리캐스트 플레이트
211: 고리형 철근 212: 막음벽
213: 절개홈 214: 끼움봉
220: 시멘트 콘크리트 230: 난간

Claims (7)

  1. 거더의 상면에 형성된 앵커볼트와 체결하면서 상기 거더의 측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교량의 캔틸레버를 시공하기 위한 캔틸레버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일측부가 상기 거더의 상면 위에 올려지도록 하면서 상기 앵커볼트와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구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상기 거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제2 체결구가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는 고정판 체결구가 형성된 수평패널; 상기 수평패널의 타측부에는 프리캐스트 플레이트의 단부를 수평상태로 걸쳐질 수 있는 수평부가 형성되고 수평부의 전방에는 상기 거더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수직부가 일체로 되게 형성되며, 수평부 하부와 수직부 전방 공간에는 지지대를 일체 형성하는 한편, 상기 수평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2 체결구와 대응하여 제3 체결구가 형성된 받침대; 상기 제3 체결구 및 제2 체결구를 통해 상기 받침대의 하부로부터 상기 수평패널의 상부로 끼워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 및 상기 수평패널의 상부로 노출된 볼트의 끝단과 너트를 씌우기 위한 마감캡;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패널의 타측부는 상향 경사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한편, 상기 받침대의 상면은 상기 수평패널의 타측부와 동일한 상향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용 브래킷.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수평부와 지지대 끝단에는 중량물을 올려 놓았을 때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판을 고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용 브래킷.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패널의 표면에는 부식 방지를 위한 도금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용 브래킷.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평판, 사각파이프, 원형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용 브래킷.
  6.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앵커볼트가 형성된 거더를 통해 캔틸레버를 형성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일측부에는 제1 체결구가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제2 체결구가 형성된 수평패널과 상기 수평패널의 타측부에는 수평부, 수직부 및 지지대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2 체결구와 대응하여 제3 체결구가 형성된 받침대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2 체결구와 제3 체결구를 통해 볼트와 너트로 체결한 후, 상기 수평패널 위로 노출되는 볼트와 너트를 마감캠으로 씌워 조립된 브래킷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거더의 앵커볼트에 위치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브래킷을 설치하되, 상기 수평패널의 일측부가 상기 거더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체결구를 상기 앵커볼트에 끼워 체결하는 한편 상기 받침대의 수직부가 상기 거더의 측면에 밀착하여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평평한 상부면을 통해 다수개의 고리형 철근이 돌출되고, 외측 선단에는 막음벽이 돌출 형성되는 한편, 양측 단면에는 상기 앵커볼트와 볼트와 너트가 노출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가 이웃하는 두 브래킷 사이에 받쳐지는 상태로 연속하여 올려놓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의 내측에 수평패널에 형성된 고정판 체결구를 이용하여 양측의 프리캐스트 플레이트 상부에 고정판을 대고 연결볼트로 고정하고 프리캐스트 플레이트의 막음벽 내측의 끼움봉에 지주를 끼워 난간을 형성하는 단계; 선형 철근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의 고리형 철근들 사이를 망 형태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난간을 끼움봉으로부터 해체하고 연결된 프리캐스트 플레이트 위로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의 하부를 받치고 있는 브래킷의 볼트와 너트를 풀어 상기 받침대를 분리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시공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플레이트는 평면에서 볼 때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아지도록 양측 단면에 절개각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절개각을 이용하여 교량의 곡선구간에 프리캐스트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시공방법.

KR1020160170632A 2016-12-14 2016-12-14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KR101796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632A KR101796210B1 (ko) 2016-12-14 2016-12-14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632A KR101796210B1 (ko) 2016-12-14 2016-12-14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210B1 true KR101796210B1 (ko) 2017-11-09

Family

ID=6038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632A KR101796210B1 (ko) 2016-12-14 2016-12-14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21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413B1 (ko) * 2017-12-12 2018-07-30 (주) 효성 지지용 브라켓 설치구조
KR101903442B1 (ko) * 2018-04-02 2018-11-07 (주)효성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KR101967278B1 (ko) * 2018-05-31 2019-06-04 다산기업 주식회사 교량 점검 시설의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 시설 시공 방법
KR20200061327A (ko) * 2020-05-13 2020-06-02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KR102168881B1 (ko) 2019-08-29 2020-10-22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교량 점검시설물의 보강 구조체
CN113897864A (zh) * 2021-09-13 2022-01-07 中煤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支撑托架
KR102402326B1 (ko) * 2021-05-21 2022-05-25 나성준 캔틸레버 교량의 착탈식 지지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 교량의 시공방법
KR20230034002A (ko) * 2021-09-02 2023-03-09 (주)이알코리아 교량용 지지대 일체형 캔틸레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658930B1 (ko) * 2024-01-03 2024-04-18 (주)효명피씨 캔틸레버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gfrp데크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204B1 (ko) * 2011-06-03 2012-01-04 (주) 효성 강재 영구받침대를 이용한 스틸박스 교량 슬래브의 캔틸레버부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204B1 (ko) * 2011-06-03 2012-01-04 (주) 효성 강재 영구받침대를 이용한 스틸박스 교량 슬래브의 캔틸레버부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413B1 (ko) * 2017-12-12 2018-07-30 (주) 효성 지지용 브라켓 설치구조
KR101903442B1 (ko) * 2018-04-02 2018-11-07 (주)효성 교량의 캔틸레버부 형성을 위한 분리형 받침장치
KR101967278B1 (ko) * 2018-05-31 2019-06-04 다산기업 주식회사 교량 점검 시설의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 시설 시공 방법
KR102168881B1 (ko) 2019-08-29 2020-10-22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교량 점검시설물의 보강 구조체
KR20200061327A (ko) * 2020-05-13 2020-06-02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KR102361339B1 (ko) * 2020-05-13 2022-02-11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KR102402326B1 (ko) * 2021-05-21 2022-05-25 나성준 캔틸레버 교량의 착탈식 지지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 교량의 시공방법
KR20230034002A (ko) * 2021-09-02 2023-03-09 (주)이알코리아 교량용 지지대 일체형 캔틸레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16513B1 (ko) 2021-09-02 2023-03-31 (주)이알코리아 교량용 지지대 일체형 캔틸레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3897864A (zh) * 2021-09-13 2022-01-07 中煤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支撑托架
CN113897864B (zh) * 2021-09-13 2023-11-10 中煤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支撑托架
KR102658930B1 (ko) * 2024-01-03 2024-04-18 (주)효명피씨 캔틸레버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gfrp데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210B1 (ko)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US6588160B1 (en) Composite structural member with pre-compression assembly
CA2202193C (en) Reusable composite bridge structure
KR100742206B1 (ko) 모멘트 재분배에 의하여 장경간 및 저형고를 가지는 강합성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US8323550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bridge decking panel
KR102168358B1 (ko) 매립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US5617599A (en) Bridge deck panel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KR100728106B1 (ko)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102080492B1 (ko)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KR102168881B1 (ko) 교량 점검시설물의 보강 구조체
KR101820871B1 (ko) 영구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2029425B1 (ko) 확장 인도교
JP2018021403A (ja) 鋼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及びpc床版
KR20050071311A (ko) 교량점검통로 및 설치방법
KR102332145B1 (ko) Pc공법을 적용한 물류구조물의 램프 시공 구조
JP6286737B2 (ja) 床版パネルの固定構造
KR100755188B1 (ko) 스틸박스 교량의 슬라브 거푸집용 브라켓
JP2006233669A (ja) 橋梁歩道の拡幅方法及び橋梁歩道構造
JPH0868007A (ja) 橋梁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58410B1 (ko) 하천 옹벽 및 교량 상판의 통행 도로
KR200201606Y1 (ko) 슬라브 거푸집과 안전망의 설치기능을 가지는psc교량용 빔
JP5749624B2 (ja) アンカーの施工方法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JPH08269912A (ja) 鋼製橋脚とフーチングとの固着方法
KR20190000607U (ko)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